KR19990003480U - 자동차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480U
KR19990003480U KR2019970017078U KR19970017078U KR19990003480U KR 19990003480 U KR19990003480 U KR 19990003480U KR 2019970017078 U KR2019970017078 U KR 2019970017078U KR 19970017078 U KR19970017078 U KR 19970017078U KR 19990003480 U KR19990003480 U KR 19990003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re
outlet
air conditioner
ai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박상록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록,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박상록
Priority to KR2019970017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480U/ko
Publication of KR19990003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80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메인덕트(1)내의 일측부위에 설치된 블로워유닛트(2)와, 이 블로워유닛트(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냉방장치의 증발기(3), 이 증발기(3)로부터 분기되면서 히터코어(5)와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4a)를 갖춘 뒷좌석환기토출구(4), 상기 히터코어(5)로부터 각기 분기되어 설치된 앞좌석 환기토출구(6)와 푸트취출구(7) 및 디프로스터토출구(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가 히터코어(5)의 전방으로 메인덕트(1)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절기때 난방장치의 히터코어로부터 데워져 공급되는 따뜻한 공기를 뒷좌석에까지 송풍되도록 함으로써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기
본 고안은 자동차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내 뒷좌석이 위치한 후방공간부로 냉방된 공기를 강제송풍시켜 순환시킬 때 이를 안내시키도록 된 뒷좌석 환기토출구의 설치위치를 열교환기의 후방에 설치하여 증발기로부터 냉방된 공기뿐만 아니라, 열교환기로부터 가열된 공기도 뒷좌석 환기토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뒷좌석의 후방공간부로 안내시킴으로써, 후방의 탑승한 승객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되는 공기조화기는 크게 차실내의 공기를 하절기때 냉각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함을 더해 줄 수 있도록 된 냉방장치와, 동절기때 공기를 가열시켜 온화함을 줄 수 있도록 된 난방장치로 구분되어지는 바, 상기 냉방장치는 상온이나 저온상태에서도 액화 및 기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및 고압상태의 기체로 변환시키도록 된 압축기와, 이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켜 중온 및 고압상태의 액체로 변환시키도록 된 응축기, 이 응축기로부터 냉각된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되기 쉬운 저온 및 저압의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도록 된 팽창밸브 및, 이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시켜 저온 및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환시키도록 된 증발기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응축기에는 냉각팬이 구비되어 있어 냉매의 냉각시 상승되는 공기를 외부의 대기중으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증발기에는 송풍기가 구비되어 있어 냉매의 증발시 냉각된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차실내를 냉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장치는 엔진 냉각용 온수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된 관로상에 장착된 히터유닛트와, 이 히터유닛트에 장착되어 온수가 방출하는 열을 강제로 송풍시켜 공기를 따뜻하게 가열시키면서 이를 차실내로 강제로 안내하도록 된 블로워(송풍모터)로 구성되어져, 상기 엔진 냉각용 온수로부터 열원을 받도록 된 히터유닛트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공기가 블로워를 매개로 차실내로 공급되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난방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1)내의 일측부위에 블로워유닛트(2)가 설치되고, 이 블로워유닛트(2)로부터 냉방장치의 증발기(3)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 증발기(3)로부터 송풍기(4a)를 갖춘 뒷좌석환기토출구(4)가 상기 메인덕트(1)에서 분기되면서 히터코어(5)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이 히터코어(5)로부터 앞좌석 환기토출구(6)와 푸트취출구(7) 및 디프로스터토출구(8)가 각기 분기되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내외기댐퍼(Damper ; 통풍조절기)이고, 10은 후방토출구댐퍼이며, 11은 온도조절댐퍼이고, 12는 전방토출구댐퍼이며, 13은 디프로스터토출구댐퍼, 또한 14는 푸트취출구댐퍼, 그리고 15는 히터코어댐퍼이다.
따라서 하절기때 냉방시에는 상기 온도조절댐퍼(11)가 메인덕트(1)내에서 히터코어(5)로 통하는 통로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3)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블로워유닛트(2)에 의해 강제송풍되어져 뒷좌석환기토출구(4)와 앞좌석 환기토출구(6) 및 푸트취출구(7), 디프로스터토출구(8)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어 냉방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절기때 난방시에는 상기 온도조절댐퍼(11)가 메인덕트(1)내에서 히터코어(5)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히터코어(5)로 유입된 공기가 이로부터 가열되고, 이 가열된 공기는 역시 블로워유닛트(2)에 의해 강제송풍되어져 앞좌석 환기토출구(6)와 푸트취출구(7) 및 디프로스터토출구(8)로 공급되어 난방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자동차 공기조화기에서는, 난방시 히터코어(5)로부터 가열되어 블로워유닛트(2)에 의해 강제송풍된 공기는,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가 히터코어(5)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된 공기가 뒷좌석환기토출구(4)를 통해 차실내의 후방공간부로 직접 안내되지 못하고, 이 차실내 후방공간부의 난방이 앞좌석 환기토출구(6)나 푸트취출구(7)를 통해 전방공간부를 거쳐 후방으로 송풍되는 온기에 의해 난방될 수 밖에 없으므로, 즉 차실내의 뒷좌석공간으로 별도의 따뜻한 공기를 송풍할 수 없어 동절기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은 실내공기가 적절히 데워질 때까지 견딜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실내의 뒷좌석으로 공기조화기로부터 처리된 공기를 직접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뒷좌석 환기토출구를 히터코어의 전방으로 마련하여 동절기때 난방장치의 히터코어로부터 데워져 공급되는 따뜻한 공기를 뒷좌석에까지 송풍되도록 함으로써,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에 탑재된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인덕트2 : 블로워유닛트
3 : 증발기4 : 뒷좌석 환기토출구
5 : 히터코어6 : 앞좌석 환기토출구
7 : 푸트취출구8 : 디프로스터토출구
9 : 내외기댐퍼10 : 후방토출구댐퍼
11 : 온도조절댐퍼12 : 전방토출구댐퍼
13 : 디프로스터토출구댐퍼14 : 푸트취출구댐퍼
15 : 히터코어댐퍼
본 고안은, 메인덕트내의 일측부위에 설치된 블로워유닛트와, 이 블로워유닛트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냉방장치의 증발기, 이 증발기로부터 분기되면서 히터코어와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를 갖춘 뒷좌석환기토출구, 상기 히터코어로부터 각기 분기되어 설치된 앞좌석 환기토출구와 푸트취출구 및 디프로스터토출구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가 히터코어의 전방으로 메인덕트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1)내의 일측부위에 설치된 블로워유닛트(2)와, 이 블로워유닛트(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냉방장치의 증발기(3), 이 증발기(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히터코어(5), 이 히터코어(5)의 전방으로 각기 분기되어 설치된 뒷좌석환기토출구(4)와 앞좌석 환기토출구(6) 및 푸트취출구(7) 그리고 디프로스터토출구(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덕트(1)내 증발기(3)와 히터코어(5) 사이에는 온도조절댐퍼(11)가 설치되고,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에는 송풍기(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유닛트(2)가 장착된 메인덕트(1)에는 내외기댐퍼(9)가 설치되고,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의 입구에는 후방토출구댐퍼(10)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코어(5)의 후미와 앞좌석 환기토출구(6) 및 푸트취출구(7) 그리고 디프로스터토출구(8)에는 각기 히터코어댐퍼(15)와 전방토출구댐퍼(12) 및 푸트취출구댐퍼(14) 그리고 디프로스터토출구댐퍼(1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는 동절기때 상기 온도조절댐퍼(11)가 메인덕트(1)내에서 히터코어(5)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히터코어(5)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되고, 이 가열된 공기는 다시 개방된 히터코어댐퍼(15)와 후방토출구댐퍼(10), 전방토출구댐퍼(12) 및 푸트취출구댐퍼(14) 그리고 디프로스터토출구댐퍼(13)를 통해 차실내의 뒷좌석 공간은 물론 앞좌석 상/하측 공간 및 윈드쉴드 내면으로 직접 송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는 하절기때 증발기(3)로부터 차갑게 냉각된 공기를 차실내의 뒷좌석 공간으로 직접 송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기의 구조에 의하면, 메인덕트내 블로워유닛트에 의해 송풍된 외기를 가열하여 동절기때 차실내의 공기를 난방시키도록 된 히터코어로부터 뒷좌석환기토출구가 전방으로 배치되어 메인덕트상에 설치됨에 따라, 이 증발기로부터 데워진 공기가 뒷좌석환기토출구를 통해 차실내의 뒷좌석 공간으로 직접 송풍될 수 있어 뒷좌석 공간의 난방이 단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메인덕트(1)내의 일측부위에 설치된 블로워유닛트(2)와, 이 블로워유닛트(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냉방장치의 증발기(3), 이 증발기(3)로부터 분기되면서 히터코어(5)와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4a)를 갖춘 뒷좌석환기토출구(4), 상기 히터코어(5)로부터 각기 분기되어 설치된 앞좌석 환기토출구(6)와 푸트취출구(7) 및 디프로스터토출구(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환기토출구(4)가 히터코어(5)의 전방으로 메인덕트(1)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기.
KR2019970017078U 1997-06-30 1997-06-30 자동차 공기조화기 KR199900034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78U KR19990003480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78U KR19990003480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80U true KR19990003480U (ko) 1999-01-25

Family

ID=6967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078U KR19990003480U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4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81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A1321476C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511229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984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03480U (ko) 자동차 공기조화기
JPH06206439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CN212604367U (zh) 一种热泵用汽车空调箱
US20110197614A1 (en) Dehumidification system for a vehicle
KR0134230B1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어퍼벤트
KR0134402Y1 (ko) 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3166474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KR19980029442U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KR0184562B1 (ko) 차량용 에어콘의 자동풍량조절장치
KR0134126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200004354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360394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CN113910859A (zh) 用于机动车的空调设备和冷却方法
CN110217072A (zh) 车辆及其空调
KR200251708Y1 (ko) 차량용 냉난방장치
KR19980022530U (ko) 자동차의 냉.난방 장치
KR19980029441U (ko) 오토매틱 에어 컨디션 공조장치
JPH11112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64595U (ko) 자동차의 결로 방지 리브가 형성된 덕트
KR19980027344U (ko) 자동차 사이드 글라스의 서리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