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961B1 - 자동차의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961B1
KR100566961B1 KR1020040035257A KR20040035257A KR100566961B1 KR 100566961 B1 KR100566961 B1 KR 100566961B1 KR 1020040035257 A KR1020040035257 A KR 1020040035257A KR 20040035257 A KR20040035257 A KR 20040035257A KR 100566961 B1 KR100566961 B1 KR 10056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conditioning
heater core
control valve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302A (ko
Inventor
김미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96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6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 B60H2001/327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to control the refriger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4)로의 냉매공급라인에 냉매량조절밸브(9)를 설치하고, 히터코어(5)로의 냉각수공급라인에 냉각수량조절밸브(11)를 설치하여, 이들을 온도조절레버(14)의 조작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13)에 의해 작동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조유니트(1)의 내부에 별도의 온도조절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증발기(4)와 히터코어(5)를 가깝게 일직선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조유니트(1)를 작고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엔진룸내 설치시 공간의 활용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조장치{HVAC device of vehicles}
도 1은 종래 공조유니트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조유니트, 2 : 블로워,
3 : 내외기조절도어, 4 : 증발기,
5 : 히터코어, 6 : 압축기,
7 : 응축기, 8 : 팽창밸브,
9 : 냉매량조절밸브, 10 : 엔진,
11 : 냉각수량조절밸브, 12 : 라디에이터,
13 : 전자제어유니트, 14 : 온도조절레버,
s : 혼합공간.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유니트의 구조가 단 순해지고 그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는 외부와 어느 정도 격리된 밀폐공간으로서 탑승자들의 쾌적한 운행을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윈드쉴드글래스나 윈도우글래스에 김 서림을 방지하거나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차량에는 냉방과 난방 및 통풍을 할 수 있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공조장치의 공조유니트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조유니트(21)는 내기와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내외기조절도어(23)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센터콘솔에 구비되어 있는 조절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내기 및 외기의 유입을 선택하고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내기 및 외기는 블로워(22)에 의해 빨아들여져 이후에 설치된 증발기(24)쪽으로 불려지며, 증발기(24)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조절도어(26)의 위치에 따라 히터코어(25)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는 경로를 가지고 공조유니트(21)의 후방부로 이동되며, 이후에는 벤트도어(27)나 디프로스트도어(28) 및 풋도어(29)등을 통하여 해당 덕트를 타고 각각의 위치에서 차실내로 토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온도조절도어(26)에 의해 히터코어(25)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도록 내외기의 경로가 조절되기 때문에 증발기(24)와 히터코어(25)의 사이에 온도조절도어(26)가 설치되어야만 하고 또한 증발기(24)와 히터코어(25)가 일직선상에 설치될 수 없으며, 히터코어(25)의 후방 에 증발기(24) 및 히터코어(25)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어 적절한 온도를 형성하게 되는 혼합공간(s)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조유니트(21)의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공조유니트(21)의 크기가 커지면 엔진룸내 주변 장치들과의 간섭에 의하여 설치가 난해해지는 등 레이 아웃 문제에 있어서 불리한 점이 많아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공조유니트의 크기가 감소하고 내부 구조도 단순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기조절도어가 입구를 이루면서 블로워를 통해 흡입된 내외기가 지나는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일직선상으로 배열시킨 공조유니트와;
상기 증발기에서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거쳐 다시 증발기로 순환하는 냉매의 공급경로에서,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사이에 설치된 냉매량조절밸브;
라디에이터에서 엔진을 거쳐 히터코어를 지나 다시 라디에이터쪽으로 순환하는 냉각수 공급경로에서, 상기 엔진과 히터코어사이에 설치된 냉각수량조절밸브 및;
차실내에 위치한 온도조절레버 조작위치에 따라 상기 냉매량조절밸브와 냉각수량조절밸브의 각 개도량을 닫힌 상태로부터 최대 개방위치까지 비례하여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로 이루어진다.
즉, 냉매와 냉각수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내기 및 외기의 온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온도조절도어가 필요없게 되며, 이에 의해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더 가깝게 일직선상에 배치할 수 있게 되고, 후방의 혼합공간도 줄어들 수 있게 되어 공조유니트의 크기가 감소되며,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구성도이다.
공조유니트(1)의 입구에는 내기와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내외기조절도어(3)가 설치되어 있다.
이후의 부분에는 블로워(2)가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빨아들여진 내기 및 외기를 증발기(4) 쪽으로 불어주게 된다.
블로워(2)의 후방에 설치된 증발기(4)는 공조유니트(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6), 응축기(7), 팽창밸브(8)와 함께 냉매순환라인을 이루고 있는데, 응축기(7)와 팽창밸브(8)의 사이에 냉매량조절밸브(9)가 설치된다.
냉매는 응축기(7)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나 팽창밸브(8)를 통과한 후에는 기화하기 쉬운 안개상태로 무화되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응축기(7) 이후 부분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공조유니트(1) 내에서 증발기(4) 이후 부분에 설치되는 히터코어(5)는 엔진(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고 라디에이터(12)쪽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엔진(10)으로부터의 공급라인상에 냉각수량조절밸브(water valve;11)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량조절밸브(9)와 냉각수량조절밸브(11)는 전자제어유니트(13)에 의해 그 개도량이 조절되는데, 전자제어유니트(13)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온도조절레버(14)를 통해 운전자의 의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증발기(4)와 히터코어(5)로 공급되는 냉매 및 냉각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제어유니트(13)는 온도조절레버(14)를 냉방위치로 돌리면 그 off 위치에서 최대 냉방 위치에 이르기까지 비례하여 냉매량조절밸브(9)의 개도량을 닫힌 상태로부터 최대 개방위치까지 조절하고, 온도조절레버(14)를 난방위치로 돌리면 역시 그 off위치에서 최대 난방 위치에 이르기까지 냉각수량조절밸브(9)를 닫힌 상태로부터 최대 개방 위치까지 비례하여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냉매 및 냉각수의 양을 조절하게 되면, 유입되는 내기 및 외기의 증발기(4) 또는 히터코어(5)와의 열교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그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도조절도어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증발기(4)와 히터코어(5)를 보다 가까이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일직선상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기 및 외기가 증발기(4)와 히터코어(5)를 거치면서 이미 균일한 상태의 온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혼합을 위한 혼합공간(s)이 크게 필요하지 않게 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들에 의하여 공조유니트(1)의 크기를 작게 그리고 외형도 보다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며, 그 내부 구조도 단순해진다.
이에 따라 엔진룸내 설치공간도 적게 차지하여 공조유니트(1)의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엔진룸 상에 추가로 생기는 여유 공간은 다른 장치들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레이아웃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조절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 게 되어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가깝게 일직선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조유니트를 보다 작고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치공간을 작게 차지함으로써 엔진룸의 공간활용이 매우 자유스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되는 냉매 및 냉각수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공조장치에서보다 빠른 응답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내외기조절도어(3)가 입구를 이루면서 블로워(2)를 통해 흡입된 내외기가 지나는 증발기(4)와 히터코어(5)를 일직선상으로 배열시킨 공조유니트(1)와;
    상기 증발기(4)에서 압축기(6)와 응축기(7) 및 팽창밸브(8)를 거쳐 다시 증발기(4)로 순환하는 냉매의 공급경로에서, 상기 응축기(7)와 팽창밸브(8)사이에 설치된 냉매량조절밸브(9);
    라디에이터(12)에서 엔진(10)을 거쳐 히터코어(5)를 지나 다시 라디에이터(12)쪽으로 순환하는 냉각수 공급경로에서, 상기 엔진(10)과 히터코어(5)사이에 설치된 냉각수량조절밸브(11) 및;
    차실내에 위치한 온도조절레버(14) 조작위치에 따라 상기 냉매량조절밸브(9)와 냉각수량조절밸브(11)의 각 개도량을 닫힌 상태로부터 최대 개방위치까지 비례하여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13);
    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공조장치.
  2. 삭제
KR1020040035257A 2004-05-18 2004-05-18 자동차의 공조장치 KR10056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57A KR100566961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차의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57A KR100566961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차의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302A KR20050110302A (ko) 2005-11-23
KR100566961B1 true KR100566961B1 (ko) 2006-03-31

Family

ID=3728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57A KR100566961B1 (ko) 2004-05-18 2004-05-18 자동차의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9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302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7308133A (ja) 車両用空調装置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07137127A (ja) 車両用電池冷却・空調装置
JPH0450207B2 (ko)
KR100566961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KR102610904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01080339A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0100427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328562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換装置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56787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KR20010059264A (ko) 자동차용 보조 공기조화장치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9279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JPH0558140A (ja) 車両用エアコンデイシヨナ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2209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및 템프 도어 제어 방법
JP367996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601584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29442U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JP200410667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61359B1 (ko) 공조장치의악취제거시스템
JP2001080340A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