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169A -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169A
KR19980028169A KR1019960047166A KR19960047166A KR19980028169A KR 19980028169 A KR19980028169 A KR 19980028169A KR 1019960047166 A KR1019960047166 A KR 1019960047166A KR 19960047166 A KR19960047166 A KR 19960047166A KR 19980028169 A KR19980028169 A KR 1998002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ltage
response
state transi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0462B1 (ko
Inventor
박시홍
방석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62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26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28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 H03K3/281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 H03K3/286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bipolar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using means other than a transformer for feedback using at least two transistors so coupled that the input of one is derived from the output of another, e.g. multivibrator bistable
    • H03K3/2893Bistables with hysteresis, e.g. Schmitt trigg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03K5/1565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the output pulses having a constant duty cyc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09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전류변화에 따라 기준전압을 입력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제 1 및 제 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수단, 상기 기준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에 따른 기준신호의 변동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입력전압을 입력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전압 입력수단,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준신호와 상기 입력신호를 차동입력하여 두신호의 차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수단; 상기 차동증폭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기준전압 입력수단 및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를 제공하는 상태천이 검출수단, 상기 상태천이 검출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듀티비가 50%인 구형파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태천이 검출수단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수단의 기준신호의 변동분에 따른 전류변화에 대응하여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를 동일하게 가져감으로써, 상측 문턱전압에 대칭되도록 상측 문턱전압을 높여서 출력신호의 듀티비를 50%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동증폭기 양쪽 입력단의 에미터팔로워를 같은 전류레벨에서 동작하도록 동일한 동작조건을 만들어줌으로써, 상측 문턱전압과 하측 문턱전압이 대칭되도록 조절하여 출력신호의 듀티비를 동일하게 만드는 정밀한 양방향의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는 기준전압을 설정하여 이 기준전압 보다 높은 상측 문턱전압에서 입력전압의 증가에 관계없이 출력이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기준전압 보다 낮은 하측 문턱전압에서는 로우상태를 가지므로써, 입력전압의 변화에 대하여 출력이 상하측 문턱전압에서 상태가 반복적으로 히스테리시스 형태로 변화한다.
도 1 은 종래의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상기 비교기는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전류변화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입력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제 1 및 제 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부(10) 즉 제 1 에미터팔로워와, 상기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관게없이 항시 일정한 전류레벨에서 동작하고, 입력전압(Vin)에 응답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전압 입력부(12) 즉, 제 2 에미터팔로워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준신호와 입력신호(Vin)를 차동입력하여 두신호의 차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14)와, 차동증폭부(14)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기준전압 입력부(10) 및 입력전압 입력부(12)의 전류변화를 제공하는 상태천이 검출부(16)와, 상태천이 검출부(16)의 동작에 응답하여 입력전압(Vin)의 변화에 따라 히스테리시스형의 구형파를 출력하는 출력부(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상태천이 검출부(16)의 트랜지스터(Q8,Q9)가 오프상태에 있다고 가정하면 출력부(18)의 트랜지스터(Q10)가 턴오프되어 출력(Vout)은 하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에 입력전압(Vin)이 증가하여 기준전압입력부(10)의 기준전압(Vref) 보다 높은 상측 문턱전압(VTH)에 도달하면 트랜지스터(Q4)의 입력전압이 트랜지스터(Q3)의 입력전압 보다 커지게 되고, 차동증폭부(14)의 출력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이는 상태천이 검출부(16)를 제어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Q7)를 턴오프 시킴으로써, 상태천이 검출부(16)의 트랜지스터(Q8,Q9)는 온상태에 들어가게 되고, 순차적으로 출력트랜지스터(Q10)이 턴온됨으로써, 출력전압(Vout)은 로우상태로 반전된다.
반면에, 입력전압이 감소하여 하측 문턱전압(VTL)에 이르면 차동증폭부(14)의 출력전압이 상승하여 트랜지스터(Q7)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8,Q9)의 베이스 전위가 낮아져서 트랜지스터(Q8,Q9)는 오프상태에 들어가게 되고, 순차적으로 출력트랜지스터(Q10)이 턴-오프되어 출력부(18)의 출력전압은 하이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기준전압입력부(10)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전류레벨을 살펴보자.
먼저, 상태천이 검출부(16)의 트랜지스터(Q8,Q9)가 온상태에서 전압원(VCC)에 연결된 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I의 일부인 I2가 저항(R2)를 통해 분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I-I2(여기에서, I2는 0.5I이다.)의 콜렉터전류(Ic)가 흐르게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Q8,Q9)가 오프상태일 때에는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I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모두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전류(Ic)는 I가 된다. 이와같이 상태천이 검출부(16)의 동작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전류가 변화하게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전압(VBE)가 변화하게 되는 데 이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서 구해질 수 있다.
[식 1]
입력전압입력부(12)의 트랜지스터(Q2)는 상태천이 검출부(16)의 온-오프 동작에 관계없이 전류원에서 공급되는 전류 I에 의해서 동작함으로써, 베이스-에미터 전압(VBE)가 항시 일정한 반면에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Q11,Q12)가 온상태일 때 상기 식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이 소량 변화한다. 이를 환언하면, 기준전압입력부(10)는 입력전압입력부(12) 보다 작은 범위의 전류레벨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입력전압(Vin)이 인가되어 출력이 상측 문턱전압에서 로우상태로 천이할 경우에 대해서는 베이스-에미터간의 전압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동증폭부(14)의 양입력단은 동일조건의 전류레벨에서 동작하지만, 하측 문턱전압에서 하이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에는 동작전류레벨이 다르게 된다.
트랜지스터(Q8,Q9)의 동작상태에 따른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의 대소괸게는
VBE,Q1 < VBE,Q2 가 된다.
그리고, VBE 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하측히스테리시스는
I1·R1-I2·R2 이고, (단, I1·R1 < I2·R2)
트랜지스터(Q1,Q2)의 VBE차이를 고려한 경우의 하측 히스테리시스는
I1·R1-I2·R2-(VBE,Q0-VBE,Q1) (단, I1·R1 < I2·R2) 이다.
도 2 는 종래의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의 입출력 파형도로서. 기준전압과 상측히스테리시스의 문턱전압간의 전압폭 보다 하측 히스테리시스의 문턱전압(VTL)의 폭이 넓어짐으로 인해서 출력파형의 상하측 히스테리시스의 듀티비가 다르게 나타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8)이 온상태에 있을 때 나타나는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의 차이는 전류(I2)가 클수록 전류(I1)이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증대되고, 결과적으로 하측문턱전압이 낮아짐으로써, 출력신호의 듀티비가 더욱더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동증폭기 양쪽 입력단의 에미터팔로워를 같은 전류레벨에서 동작하도록 동일한 동작조건을 만들어줌으로써, 상측 문턱전압과 하측 문턱전압이 대칭되도록 조절하여 출력신호의 듀티비를 동일하게 만드는 정밀한 양방향의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는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전류변화에 따라 기준전압을 입력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제 1 및 제 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수단; 상기 기준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에 따른 기준신호의 변동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입력전압을 입력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전압 입력수단;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준신호와 상기 입력신호를 차동입력하여 두신호의 차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수단; 상기 차동증폭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 입력수단 및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를 제공하는 상태천이 검출수단; 상기 상태천이 검출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듀티비가 50%인 구형파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의 입출력 파형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의 입출력 파형도.
이하, 첨부한 도면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상기 비교기는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전류변화에 따라 기준전압(Vref)을 입력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제 1 및 제 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부(10)와, 기준전압 입력부(10)의 전류변화에 따른 기준신호의 변동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입력전압을 입력하여 입력신호(Vin)를 발생하는 입력전압 입력부(12)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준신호와 입력신호(Vin)를 차동입력하여 두신호의 차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14)와, 차동증폭부(14)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기준전압 입력부(10) 및 입력전압 입력부(12)의 전류변화를 제공하는 상태천이 검출부(16)와, 상태천이 검출부(16)의 동작에 응답하여 입력전압(Vin)의 변화에 따라 듀티비가 50%인 구형파를 출력하는 출력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천이 검출수단는 상기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 전류원과, 상기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류원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전류원으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이다.
상기 비교기는 기준전압압력부(10)와, 입력전압입력부(12)와, 차동증폭부(14)와, 상태천이 검출부(16)와, 출력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천이 검출부(16)는 기준전류(I)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Q10)와, 기준전압입력부(10)의 출력단과 입력전압 입력부(12)의 출력단에 일측의 단자들이 각각이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10)와 전류미러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Q8,Q9)와, 차동증폭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트랜지스터(Q8,Q9) 및 트랜지스터(Q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10)과 트랜지스터(Q8,Q9)는 2 : 1의 전류구동능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태천이 검출부(16)의 트랜지스터(Q8,Q9,Q10)이 오프상태에 있을 때는 종래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트랜지스터들(Q8,Q9,Q10)이 온상태에 있을 때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트랜지스터들(Q8,Q9,Q10)이 온상태가 될때 비교기의 출력전압(Vout)은 로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에 입력전압입력부(12)의 입력전압(Vin)이 감소하여 하측히스테리시스의 문턱전압에 이르면 차동증폭부(14)의 트랜지스터(Q4)가 온상태에 들어가고 차동증폭부(14)의 출력단의 전위가 상승하여 트랜지스터(Q7)가 온된다. 이어서, 상태천이 검출부(16)의 트랜지스터들(Q8,Q9,Q10)은 오프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10)과 2 : 1의 비를 갖는 트랜지스터(Q8,Q9)는 각각이 기준전압입력부(10)으로부터 I2 즉, 0.5I의 전류와 입력전압입력부(12)로부터 I3 즉,0.5I의 전류를 뽑아내고, 상태천이 검출부(16)은 출력부(18)의 저항(R5)에 총 2I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써, 출력부(18)의 트랜지스터(Q11)가 턴온되어 출력전압(Vout)은 로우에서 하이로 상태천이 한다.
상기의 트랜지스터(Q9)는 기준전압입력부(10)에서 뽑아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를 입력전압입력부(12)로부터 뽑아내어 기준전압입력부(10)의 베이스-에미터간의 전압(VBE)의 변화를 보상해줌으로써, 트랜지스터(Q1)과 트랜지스터(Q2)로 하여금 동일전류레벨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가진 비교기의 입출력 파형도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입력전압(Vin)이 VREF+I1×R1의 전압을 초과할시 차동증폭부(14)의 출력전위가 감소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Q7)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8,Q9,Q10)의 베이스전위가 높아지므로 트랜지스터들(Q8,Q9,Q10)과 저항(R5)사이의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출력트랜지스터(Q11)은 턴온되어 로우상태의 출력(Vout)이 발생된다. 이후의 입력전압(Vin)의 증가는 출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편, 입력전압이(Vin)이 VREF+(I1×R1)-(I2×R2)의 전압보다 낮아질 때 차동증폭부(14)의 출력전압이 상승하고, 스위칭트랜지스터(Q7)는 온상태가 된다. 이 때에 트랜지스터들(Q8,Q9,Q10)이 오프상태에 있게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1)은 오프상태에 들어가고, 출력부(18)의 출력은 하이상태로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Q8)이 동작전류를 보상해 줌으로 인해서 기준전압(Vref)를 사이에 두고 상측 문턱전압과 히측 문턱전압이 대칭을 이루도록 조절함으로써, 출력신호는 50 대 50의 동일한 듀티비를 갖게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태천이 검출수단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수단의 기준신호의 변동분에 따른 전류변화에 대응하여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를 동일하게 가져감으로써, 상측 문턱전압에 대칭되도록 상측 문턱전압을 높여서 출력신호의 듀티비를 50%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전류변화에 따라 기준전압을 입력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제 1 및 제 2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전압 입력수단, 상기 기준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에 따른 기준신호의 변동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태천이에 응답하여 입력전압을 입력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전압 입력수단,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준신호와 상기 입력신호를 차동입력하여 두신호의 차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수단, 상기 차동증폭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기준전압 입력수단 및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전류변화를 제공하는 상태천이 검출수단, 상기 상태천이 검출수단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듀티비가 50%인 구형파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천이 검출수단는 상기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 1 전류원과, 상기 입력전압 입력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류원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전류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원은 상기 입력전압 입력수단으로부터 제 1 전류원과 동일한 전류를 싱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KR1019960047166A 1996-10-21 1996-10-21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KR0180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166A KR0180462B1 (ko) 1996-10-21 1996-10-21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166A KR0180462B1 (ko) 1996-10-21 1996-10-21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169A true KR19980028169A (ko) 1998-07-15
KR0180462B1 KR0180462B1 (ko) 1999-04-01

Family

ID=1947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166A KR0180462B1 (ko) 1996-10-21 1996-10-21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95B1 (ko) * 2005-08-02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전압비교회로
KR100791040B1 (ko) * 2000-10-25 2008-01-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작은 프로파일을 갖는, 스위치 및 커넥터 조립체 조합
KR20130048714A (ko) * 2010-03-17 2013-05-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범위가 넓은 레일-레일 비교기를 위한 오프셋 교정 및 정밀 히스테리시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40B1 (ko) * 2000-10-25 2008-01-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작은 프로파일을 갖는, 스위치 및 커넥터 조립체 조합
KR100735495B1 (ko) * 2005-08-02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전압비교회로
KR20130048714A (ko) * 2010-03-17 2013-05-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범위가 넓은 레일-레일 비교기를 위한 오프셋 교정 및 정밀 히스테리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0462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6729B1 (en) Amplifier circuit
US6384684B1 (en) Amplifier
US8575930B2 (en) Magnetic detection device
US5585747A (en) High speed low power sense amplifier
EP0268345A2 (en) Matching current source
KR19980071656A (ko) 귀환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광수신기
US5642062A (en) Comparator circuit operating on variable current
US4255716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S5938773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US7057445B2 (en) Bias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differential amplifier
US5128564A (en) Input bias current compensation for a comparator
US4308504A (en) Direct-coupled amplifier circuit with DC output offset regulation
KR19980028169A (ko)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KR950005170B1 (ko) 증폭기
US5367211A (en) Differential amplifier with hysteresis
KR100537053B1 (ko) 푸쉬풀형 증폭 회로
US4166983A (en) Circuit for limiting the output voltage of an amplifier
KR100332508B1 (ko) 안정화전류미러회로
US4333025A (en) N-Channel MOS comparator
JP2779388B2 (ja) 定電圧発生回路
CN115864343B (zh) 一种限流电路
JP2003008408A (ja) ヒステリシスコンパレータ回路
US4956613A (en) Differential amplifier having externally controllable power consumption
KR0177997B1 (ko) 히스테리시스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비교기 회로
KR960003445B1 (ko) 전원장치의 라인 레귤레이션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