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508B1 - 안정화전류미러회로 - Google Patents

안정화전류미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508B1
KR100332508B1 KR1019970059382A KR19970059382A KR100332508B1 KR 100332508 B1 KR100332508 B1 KR 100332508B1 KR 1019970059382 A KR1019970059382 A KR 1019970059382A KR 19970059382 A KR19970059382 A KR 19970059382A KR 100332508 B1 KR100332508 B1 KR 10033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de transistor
output
current mirror
out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085A (ko
Inventor
유아사타찌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03F3/343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345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G05F3/262Current mirror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프로세스의 산포 등이 있어도 입출력 특성을 보다 일정하게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입력측 nMOS 트랜지스터(11)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를 구비한 전류 미러 회로(10)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의 출력 전위(V2)의 소정치로부터의 상승에 대해서 출력 전류(I3)가 소정치로부터 감소하는 오차 증폭 회로(30)와, 이 전류(I3)가 흐르는 입력측 pMOS 트랜지스터(22)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에 직렬 접속된 출력측 pMOS 트랜지스터(21)를 구비한 전류 미러 회로(20)와, 출력측 pMOS 트랜지스터(21)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 사이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42)를 포함한다. 입력단에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41)는, nMOS 트랜지스터(42)가 노레타로서 기능하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을 nMOS 트랜지스터(42)의 게이트로 인가한다.

Description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본 발명은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전류 미러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류 미러 회로(10)는, 다이오드 접속된 입력측 nMOS 트랜지스터(11)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로 구성되고, nMOS 트랜지스터(11)에, 입력 신호로서 전류(I1)가 공급된다. 전류 미러 회로(10)의 출력 전류(I2)는, 다이오드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21)의 입력으로 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21)는, 예를 들어 다른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측으로 되어 있고, 이 경우, pMOS 트랜지스터(21)의 게이트전위(VB)가 이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측 pMOS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의 게이트로 공급된다.
nMOS 트랜지스터(11)와 nMOS 트랜지스터(12)가 동일 특성이고, nMOS 트랜지스터(12)의 출력 전위(드레인 전위)(V2)가 nMOS 트랜지스터(11)의 드레인 전위(V1)와 같은 이상적인 경우에는, I1=I2가 되지만,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V1과 V2는 일반적으로 서로 같지 않게 된다.
nMOS 트랜지스터(11)가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으므로, 드레인 전압(V1)은 nMOS 트랜지스터(11)의 임계치(Vthn) 정도가 된다. 한편, pMOS 트랜지스터(21)도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으므로,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전압(VDD-V2)도 pMOS 트랜지스터(21)의 임계치의 절대치(Vthp) 정도가 된다. 일반적인 수치 예로서, 대략,
VDD=3.0V, Vthn=Vthp=1.0V
로 하면, V1=1.0V, V2=2.0V로 되고, I1<I2 로 된다.
V1=V2 또한 I1=I2 가 성립함을 이상으로 하는 일 예이고, 일반적으로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입출력 특성이 일정한 것을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제조 프로세스가 산포하여 임계치(Vthp)가 변동하거나 MOS 트랜지스터의 포화 특성이 변동하면,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 전위(V2)가 산포하게 된다.
제조 프로세스의 산포에 대한출력 전위(V2)의 산포는, 집적 회로의 회로 소자의 미세화에 따라 현저하게 된다. 또한, 출력 전위(V2)는, 전원 전압(VDD)이나 온도의 변동에도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제조 프로세스의 산포 등이 있어도 입출력 특성을 보다 일정하게 함이 가능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원리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의 원리 구성의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b의 원리 구성의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전류 미러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10, 20, 33, 40...전류 미러 회로
3, 30, 30A...오차 증폭 회로
4, 40...노레타(norator)
11, 12, 31, 32, 41, 42...nMOS 트랜지스터
21, 22, 34...pMOS 트랜지스터
청구항 1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1 전류 미러 회로(1)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의 소정치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출력 전류(I3)가 소정치에서 벗어나는 오차 증폭 회로(3)와,
상기 오차 증폭 회로의 출력 전류가 흐르는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2 전류 미러 회로(2)를 포함한다.
이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동작에는 2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다음의 1) 과 같이 동작하고, 예를 들어 도 2a에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를 서로 교환하여 전원 전위(VDD)와 접지 전위를 서로 교환한 구성인 경우에는 이하의 2) 와 같이 동작한다.
1) 제조 프로세스의 산포나 전원 전압 또는 온도의 변동 등의 원인에 의해,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소정치로부터 상승하면,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이에 의해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I2)가 감소하여 동시에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저하한다. 이 원인에 의해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소정치로부터 저하하면,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이 것에 의해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I2)가 증가하여 동시에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상승한다.
2) 상기 원인에 의해,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소정치로부터 상승하면,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이에 의해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I2)가 증가하여 동시에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저하한다. 이 원인에 의해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소정치로부터 저하하면,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이에 의해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I2)가감소하여 동시에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상승한다.
따라서, 청구항 1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하면, 상기 원인에 의해, 제 1 전류 미러 회로(1) 또는 제 2 전류 미러 회로(2)의 입출력 특성이 소망의 것으로부터 벗어나서,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2)가 소정치로부터 벗어나도, 오차 증폭 회로(3)에 의해, 이 출력 전위(V2)가 소정치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B)도 소정치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하여, 이들 전위가 안정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안정화 동작에 의해, 제 1 전류 미러 회로(1)의 출력 전류(I2) 및 제 2 전류 미러 회로(2)의 입력 전류(I3)도 안정화한다. 환언하면, 제 1 전류 미러 회로(1)의 출력 전류(I2) 및 제 2 전류 미러 회로(2)의 입력 전류(I3)의 안정화에 의해,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VB)가 안정화한다.
청구항 2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간에, 단자간에 흐르는 전류를 거의 일정하게 하면서 상기 단자간의 전압 변동이 가능한 노레타(norator)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전압치에 의해서는, 제 1 전류 미러 회로(1)의 입출력 특성이 소정 관계가 된다는 이상적 조건이 만족되지 않고, 또한 제 2 전류 미러 회로(2)의 입출력 전위가 소정 관계가 된다는 이상적 조건도 만족되지 않지만, 이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하면, 노레타의 존재에 의해 이 조건이 대략 만족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노레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보정 정확도가 향상함과 함께,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청구항 3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가 제어 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34)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3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3 전류 미러 회로(33)를 포함한다.
청구항 4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가 제어 입력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출력 전위에 따른 전류가 흐르는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34)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쌍이 되어 제 3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31)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간의 전위가 제어 입력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트랜지스터 (32)를 포함한다.
청구항 5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레타는, 예를 들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측 트랜지스터(42)이다.
청구항 6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4 입력측 트랜지스터(41)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12)에 직렬 접속된 상기 노레타로서의 제 4 출력측 트랜지스터(42)를 구비한 제 4 전류 미러 회로(40)를 구비한다.
청구항 7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입력단이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제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입력단이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제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항 8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모두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는 모두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중 다른 한쪽이다.
청구항 9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모두 PNP 트랜지스터와 NPN 트랜지스터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는 모두 PNP 트랜지스터와 NPN 트랜지스터중 다른 한쪽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의 원리 구성의 제 1 실시형태]
도 2a는, 도 1a의 원리 구성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나타낸다.
보정 대상의 전류 미러 회로(10)는, 다이오드 접속된 입력측 nMOS 트랜지스터(11)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12)로 되고, nMOS 트랜지스터(11)의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11 및 12)의 양 소스가 접지 전위의 도체의 접속되어 있다.
보정용 전류 미러 회로(20)는, 출력측 pMOS 트랜지스터(21)와, 다이오드 접속된 입력측 pMOS 트랜지스터(22)로 되고,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이 pMOS 트랜지스터(21)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21 및 22)의 양 소스가 전원 전위(VDD)의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오차 증폭 회로(30)는, 고 입력 임피던스. 전류 출력형이고, 입력측 nMOS 트랜지스터(31)와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32)로 되는, 전류 미러 회로(10)와 동일 접속의 전류 미러 회로(33)와, 오차 검출용 pMOS 트랜지스터(34)로 이루어진다. 오차 검출용 pMOS 트랜지스터(34)는, 그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가 각각 전원 전압(VDD)의 도체, nMOS 트랜지스터(31)의 드레인 및 nMOS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위(VB)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측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공급된다.
전류 미러 회로(10, 20 및 33)를 구성하고 있는 MOS 트랜지스터는 모두,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34)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여도 비포화 영역에서 동작하여도 문제가 없으나, 구성상, 통상은 포화 영역에서 동작한다. 이와 같은 점은,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구성 조건은 아니지만, 간단화를 위해서, 쌍이 되는 nMOS 트랜지스터(11)와 nMOS 트랜지스터(12)의 특성은 서로 등가이고, 쌍이 되는 pMOS 트랜지스터(21)와 pMOS 트랜지스터(22)의 특성은 서로 등가이고, 쌍이 되는 nMOS 트랜지스터(31)와 nMOS 트랜지스터(32)의 특성은 서로 등가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11 및 12)의 드레인 전류(입출력 전류)를 각각 I1 및 I2로 표기하고, 이들 드레인 전위(입출력 전위)를 각각 V1 및 V2로 표기하고, nMOS 트랜지스터(31 및 32)의 드레인 전류를 각각 Im 및 I3으로 표기하고, 이들 드레인 전위를 각각 Vm 및 VB로 표기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nMOS 트랜지스터(11)로 전류(I1)가 공급된다.
(1) V2=V2s인 경우
전류 미러 회로(20) 및 오차 증폭 회로(30)에 의한 후술의 안정화 동작이 작용하지 않아도, 전위(V2)가 이하에 나타낸 의미에서 안정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의 전위(V2)를, V2s로 한다.
제 1 경로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11)로의 입력 전류(I1)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12)에는, 전류(I1)에 대략 같은 전류(I2X)가 흐르도록 한다. 제 2 경로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34) 및 nMOS 트랜지스터(31)에, pMOS 트랜지스터(34)의 게이트로 인가하는 전위(V2)에 따른 전류(Im)가 흐르고, nMOS 트랜지스터(32) 및 pMOS 트랜지스터(22)에는, 전류(Im)에 대략 같은 전류(I3)가 흐르고, 전위(VB)가 pMOS 트랜지스터(21)의 게이트로 전달되어, pMOS 트랜지스터(21)에 전류(I2Y)가 흐르도록 한다. 전위(V2)가 안정하다는 것은, 이 전류(I2X 와 I2Y)가, 서로 같은 값(I2)으로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되도록, 도 2a의 회로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2) V2>V2s인 경우
제조 프로세스의 산포나 전원 전위(VDD) 또는 온도의 변동 등의 원인에 의해, V2>V2s로 된 경우를 고려한다.
상기 (1)의 경우와 비교하면, 전위(V2)의 상승이, pMOS 트랜지스터(34)에 흐르는 전류(Im)를 감소시키므로, nMOS 트랜지스터(31)의 입력 전류가 감소하고, 다음에 nMOS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 전류(I3)가 감소한다. 전류(I3)의 감소는,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 전압(VDD-VB)의 감소, 즉 전위(VB)의 상승을 일으킨다. 이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21)의 내부 저항(드레인. 소스간 저항)이 상승하고,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전위(V2)가 저하한다.
이와 같은 동작 루프가 반복되어 전위(V2)가 저하한다. 전위(V2)의 저하는, 다음에 설명하는 상기와 반대되는 동작에 의해 전위(VB)의 저하를 일으킨다.
(3) V2<V2s인 경우
상기 원인에 의해, V2<V2s로 된 경우를 고려한다.
상기 (1)의 경우와 비교하면, 전위(V2)의 저하는, pMOS 트랜지스터(34)에 흐르는 전류(Im)를 증가시키므로, nMOS 트랜지스터(31)의 입력 전류가 증가하고, 다음에 nMOS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 전류(I3)가 증가한다. 전류(I3)의 증가는,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 전압(VDD-VB)의 증가, 즉 전위(VB)의 저하를 일으킨다. 이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21)의 내부 저항이 저하하고, pMOS 트랜지스터 (21)의 드레인 전위(V2)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동작 루프가 반복되어 전위(V2)가 상승한다. 전위(V2)의 상승은, 상기 (2)의 동작에 의해 전위(VB)의 상승을 일으킨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떤 원인으로 전류 미러 회로(10 또는 20)의 입출력 특성이 소망의 것으로부터 벗어나 전위(V2)가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도, 오차 증폭 회로(30)에 의해, 전위(V2)가 소정치(V2s)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전위(VB)도 소정치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한다. 전위(V2)의 이와 같은 안정화 동작에 의해, 전류(I2 및 I3)도 안정화한다. 환언하면, 전류(I2 및 I3)의 안정화에 의해, 출력 전위(VB)가 안정화한다.
[도 1a의 원리 구성의 제 2 실시 형태]
도 2b는, 도 1a의 원리 구성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나타낸다.
도 2a의 nMOS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의 접속부는 그 자신의 드레인임에 대하여, 도 2b의 회로에서는, 이 접속부가 nMOS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31)는 nMOS 트랜지스터(32)와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지 않고 nMOS 트랜지스터(11)와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nMOS 트랜지스터(32)의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31)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점은, 도 2a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nMOS 트랜지스터(11)에 전류(I1)가 공급된다.
(1) V2=V2t, Vm=Vmt인 경우
전류 미러 회로(20) 및 오차 증폭 회로(30)에 의한 안정화 동작이 작용하지 않아도, 전위(V2 및 Vm)가 이하에 나타낸 의미에서 안정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의 전위(V2 및 Vm)를 각각, 전위(V2t 및 Vmt)로 한다.
제 1 경로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11)로의 입력 전류(I1)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12 및 13)에는 각각 전류(I1)에 대략 같은 전류(I2X 및 ImX)가 흐르도록 한다. 제 2 경로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34)에, 그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위(V2)에 따른 전류(ImY)가 흐르도록 한다. 제 3경로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32)에, 그 게이트 전위(Vm)에 따른 전류(I3)가 흐르고, 이 것이 전류 미러 회로(20)의 pMOS 트랜지스터(22)로의 입력 전류로 되고, 이 경우의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 전위(VB)가 pMOS 트랜지스터(21)의 게이트로 전달되고, pMOS 트랜지스터(21)에, 전류(I3)에 대략 같은 전류(I2Y)가 흐르도록 한다.
전위(V2 및 Vm)가 안정하다고 함은, 이 전류(ImX)와 전류(ImY)가 서로 같은 값(Im)이 되고, 전류(I2X)와 전류(I2Y)가 서로 같은 값(I2)으로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되도록, 도 2b의 회로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설계되어 있다.
(2) V2>V2t 또는 Vm<Vmt인 경우
상기 원인에 의해, V2>V2t로 된 경우를 고려한다.
상기 (1)의 경우와 비교하면, 전위(V2)의 상승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34)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고, 전위(Vm)가 저하한다. 이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32)의 드레인 전류(I3)가 감소한다. 전류(I3)의 감소는,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 전압(VDD-VB)의 감소, 즉 전위(VB)의 상승을 일으킨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21)의 내부 저항이 상승하고,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전위(V2)가 저하한다.
이와 같은 동작 루프가 반복되어 전위(V2)가 저하한다. 전위(V2)의 저하는, 다음에 설명하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의 의해 전위(VB)의 저하를 일으킨다.
Vm<Vmt로 된 경우에는, 상기 전위(Vm)의 저하 이후의 동작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전위(Vm)의 상승을 일으킨다.
V2>V2t와 Vm<Vmt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3) V2<V2t 또는 Vm>Vmt인 경우
상기 원인에 의해, V2<V2t로 된 경우를 고려한다.
상기 (1)의 경우와 비교하면, 전위(V2)의 저하에 의하여, pMOS 트랜지스터 (34)의 내부 저항이 감소하고, 전위(Vm)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 (32)의 드레인 전류(I3)가 증가한다. 전류(I3)의 증가는, pMOS 트랜지스터(22)의 드레인 전압(VDD-VB)의 증가, 즉 전위(VB)의 저하를 일으킨다. 그 결과, pMOS 트랜지스터(21)의 내부 저항이 저하하여,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전위(V2)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동작 루프가 반복되어 전위(V2)가 상승한다. 전위(V2)의 상승은, 상기 (2)의 동작에 의해 전위(VB)의 상승을 일으킨다.
Vm>Vmt로 된 경우에는, 상기 전위(Vm)의 상승 이후의 동작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전위(Vm)의 저하를 일으킨다.
V2<V2t와 Vm>Vmt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떤 원인으로 전류 미러 회로(10 또는 20)의 입출력 특성이 소망의 것으로부터 벗어나 전위(V2 또는 Vm)가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도, 오차 증폭 회로(30A)에 의해, 전위(V2)가 소정치(V2t)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전위(VB)도 소정치에 가까워지도록 동작한다. 전위(V2)의 이와 같은 안정화 동작에 의해, 전류(I2 및 I3)도 안정화한다. 환언하면, 전류(I2 및 I3)의 안정화에 의해, 출력 전위(VB)가 안정화한다.
[도 1b의 원리 구성의 제 1 실시 형태]
종래 기술의 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VDD)이 예를 들어 2V보다 높으면, V2=V1이라고 하는 전류 미러 회로(10)에 있어서의 이상적 조건이 만족되지않는다.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도 2a의 회로에서, VB=V2 라고 하는 전류 미러 회로(20)에 있어서의 이상적 조건도 만족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조건이 대략 만족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3a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는, 도 2a의 회로에 전류 미러 회로(40)가 부가되어 있다. 도 3a의 회로는, 도 1b의 원리 구성의 제 1 실시 형태이다.
전류 미러 회로(40)는, nMOS 트랜지스터(11)의 드레인과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전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 입력측 nMOS 트랜지스터(41)와, nMOS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과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사이에 접속된 출력측 nMOS 트랜지스터(42)로 이루어진다. nMOS 트랜지스터(42)는, 그 전류치가 그 단자간 전압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정해지는 노레타로서 사용되고 있고,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다. 다이오드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41)는, nMOS 트랜지스터(42)가 노레타로서 기능하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을 nMOS 트랜지스터(42)의 게이트로 인가하고 있다.
전류 미러 회로(40)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21)의 드레인 전위(Vu)를 레벨 시프트 다운 시킨 것이 전위(V2)로 되고, 또한 전류(I2)가 레벨 시프트 전압(Vu-V2)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전원 전압(VDD)이 도 2a의 회로에서의 상한 전압, 예를 들어 2V보다 높아도, 상기 이상적 조건을 대략 만족함이 가능하게 된다. 이 조건에서 벗어남에 의한 전위(V2 및 VB)의 벗어남은, 오차 증폭 회로(30) 및 전류 미러 회로(20)의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보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레벨 시프트(Vu-V2)에 의해 상기 V2 및 VB의 벗어남이 작아지므로, 도 2a의 구성인 경우보다도, 보정 정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도 1b의 원리 구성의 제 2 실시 형태]
도 3b는, 도 1b의 원리 구성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를 나타낸다.
이 회로는, 도 3a의 회로의 변형 예로서 nMOS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의 접속부를 nMOS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으로 변경한 것이고, 도 3a의 회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nMOS 트랜지스터(31)는, nMOS 트랜지스터(11)와 실질적으로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이외에도 각종의 변형 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 nMOS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의 접속부를 nMOS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으로 변경하여 nMOS 트랜지스터(31)와 nMOS 트랜지스터(12)로 유사하게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a 또는 도 3b에서, nMOS 트랜지스터(41)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른 회로에서 nMOS 트랜지스터(42)의 게이트로 소정 전위를 인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pMOS 트랜지스터(34)의 게이트의 접속부는, 노레타의 전류 출력단인 nMOS 트랜지스터(42)의 소스이어도 좋다.
도 2 및 도 3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를 역으로 하여(상호 교체하여), 전원 전위(VDD)와 접지 전위를 역으로 하여도, 전류의 방향이 역으로 되도록 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전위(V2)의 소정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과, 전류(I3)의 소정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의 관계가, 도2 및 도 3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의 경우와 역으로 된다.
노레타로서는,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 드레인간 대신에 예를 들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에미터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의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서, pMOS 트랜지스터를 PNP형 트랜지스터로 치환하고, nMOS 트랜지스터를 NPN형 트랜지스터로 치환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를 역으로 한 구성에 대하여, 상기 치환을 행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전류 미러 회로로는 각종의 것이 알려져 있으나, 그 어느 것을 본 발명에 사용하여도 실질적으로 상기와 같은 동작이 행해지므로, 그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하면, 어떤 원인에 의해 전류 미러 회로의 입출력 특성이 소정치로부터 벗어나도, 출력 전위가 안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1 전류 미러 회로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의 변동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가 변경되는 오차 증폭 회로와,
    상기 오차 증폭 회로의 출력 전류가 흐르는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2 전류 미러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위가 제어 입력단에 공급되는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의 직렬 접속된 제 3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3 전류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 사이에, 단자간에 흐르는 전류를 거의 일정하게 하면서 상기 단자간의 전압변동이 가능한 노레타(noretor)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3.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1 전류 미러 회로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위의 변동의 응답하여 출력 전류가 변경되는 오차 증폭 회로와,
    상기 오차 증폭 회로의 출력 전류가 흐르는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2 전류 미러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오차 증폭 회로는,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의 출력전위가 제어 입력단에 공급되고, 상기 출력 전위에 따른 전위가 흐르는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쌍이 되어 제 3 전류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출력측 트랜지스터간의 전위가 제어 입력단에 공급되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레타는, 전류 미러 회로의 출력측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제 4 입력측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에 직렬 접속된 상기 노래타로서의 제 4 출력측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제 4 전류 미리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입력단이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제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그 제어 입력단이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의 제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모두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는 모두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중 다른 한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출력측 트랜지스터는 모두 PNP 트랜지스터와 NPN 트랜지스터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 2 입력측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출력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오차 검출용 트랜지스터는 모두 PNP 트랜지스터와 NPN 트랜지스터중 다른 한 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 전류 미러 회로.
KR1019970059382A 1997-02-13 1997-11-12 안정화전류미러회로 KR100332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21 1987-02-26
JP02932197A JP3618189B2 (ja) 1997-02-13 1997-02-13 安定化カレントミラー回路
JP97-029321 1997-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085A KR19980070085A (ko) 1998-10-26
KR100332508B1 true KR100332508B1 (ko) 2002-08-22

Family

ID=1227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382A KR100332508B1 (ko) 1997-02-13 1997-11-12 안정화전류미러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34518A (ko)
JP (1) JP3618189B2 (ko)
KR (1) KR100332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4886B1 (en) * 1999-10-25 2001-02-27 Analog Devices, Inc. Early voltage and beta compensation circuit for a current mirror
US6489827B1 (en) 2000-10-30 2002-12-03 Marvell International, Ltd. Reduction of offset voltage in current mirror circuit
JP3696590B2 (ja) * 2002-11-25 2005-09-21 東光株式会社 定電圧電源
JP2004187168A (ja) * 2002-12-05 2004-07-02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路構成、光受信器、及び光リンク
US20140225662A1 (en) * 2013-02-11 2014-08-14 Nvidia Corporation Low-voltage, high-accuracy current mirror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160A (en) * 1980-11-13 1983-08-09 Motorola, Inc. Current mirror circuits with field effect transistor feedback
US4814724A (en) * 1986-07-15 1989-03-21 Toko Kabushiki Kaisha Gain control circuit of current mirror circuit type
JPH082010B2 (ja) * 1990-05-10 1996-01-10 株式会社東芝 電流伝達回路
KR0146193B1 (ko) * 1995-05-22 1998-12-01 김광호 정밀 전류 미러 회로
US5801523A (en) * 1997-02-11 1998-09-01 Motorola, Inc. Circuit and method of providing a constant 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085A (ko) 1998-10-26
JPH10229310A (ja) 1998-08-25
US6034518A (en) 2000-03-07
JP3618189B2 (ja)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632A (en) Low-voltage precision current generator
US6998902B2 (en) Bandgap reference voltage circuit
KR100472719B1 (ko) 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 회로
US5061862A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890004647B1 (ko) 정전류원회로 및 이 회로를 사용한 차동증폭기
US6407537B2 (en) Voltage regulator provided with a current limiter
US9372489B2 (en) Voltage regulator having a temperature sensitive leakage current sink circuit
US5045806A (en) Offset compensated amplifier
US5793194A (en) Bias circuit having process variation compensation and power supply variation compensation
US5801523A (en) Circuit and method of providing a constant current
US7443240B2 (en) AM intermediate frequency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variable gain amplifier circuit and it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10574200B2 (en) Transconductance amplifier
US6633198B2 (en) Low headroom current mirror
KR100332508B1 (ko) 안정화전류미러회로
US6118327A (en) Emitter follower circuit having no temperature dependency
JP2000114891A (ja) 電流源回路
US4808909A (en) Bias voltage and constant current supply circuit
US5583425A (en) Voltage comparator with controlled output current proportional to difference voltage
US7109794B2 (en) Differential gain stage for low voltage supply
KR100307835B1 (ko) 정전압회로
US5864230A (en) Variation-compensated bias current generator
US5162671A (en) Schmitt voltage comparator
KR100270581B1 (ko) 바이어스 안정화 회로
US6538496B1 (en) Low voltage, high impedance current mirrors
US4847566A (en) CMOS Amplifier having enhanced current sinking and capacitance load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