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659A -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659A
KR19980027659A KR1019960046504A KR19960046504A KR19980027659A KR 19980027659 A KR19980027659 A KR 19980027659A KR 1019960046504 A KR1019960046504 A KR 1019960046504A KR 19960046504 A KR19960046504 A KR 19960046504A KR 19980027659 A KR19980027659 A KR 1998002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angle
stopper
vehicle body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659A/ko
Publication of KR199800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659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의 하중 변화나 상,하 진동에 의해 차고에 변위가 발생될 경우, 최대 조향각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상,하 변위에 대하여 조향 너클(1)의 스톱 돌기(6)와 로어 암(2)의 스티어링 스토퍼(8)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스티어링 스토퍼의 접촉면이 오목하게 라운드로 형성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향 너클의 최대 조향각을 제한하는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와 스톱 돌기의 간격을, 차체의 상,하 변위에 대응하여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는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고 동시에 노면에서 발생되는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충하여, 가능한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의 주요 기능은, (A) 자동차의 상하방향의 유연성을 제공하여 노면으로 부터의 압력에 의해 차체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면서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B) 노면에 대하여 최소의 하중변화를 가지도록 적절한 위치 및 상태로 로드(road) 휠을 유지시키는 것과, (C) 타이어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하 및 횡방향의 힘, 그리고 제동 및 구동력에 대응하는 것과, (D) 크게는 차체 진동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구조적으로 차축 일체식 및 독립식으로 특징 지워진다. 여기서, 일반적인 독립식 현가장치가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 너클(1)의 하측에는 차체에 일단이 고정된 로어 암(2)이 볼 조인트에 의해 결합된다. 그 조향 너클(1)의 상측에는 마찬가지로 차체(5)에 일단이 고정된 어퍼 암(3)이 볼 조인트에 의해 결합된다.
쇽 업소버(4)는 하단이 로어 암(2)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되며, 상단이 차체(5)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최대 조향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너클(1)에 형성된 스톱 돌기(6)와 로어 암(2)에 형성된 스티어링 스토퍼(7)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즉, 드라이버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그 조향각이 최대로 될 경우, 조향 너클(1)의 스톱 돌기(6)는 로어 암(2)의 스티어링 스토퍼(7)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상술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최대 조향각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조향 너클의 스톱 돌기와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바, 종래에는 차체의 하중이나 상,하 진동에 의해 로어 암 및 조향 너클의 변위가 발생될 경우, 스톱 돌기와 스티어링 스토퍼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최대 조향각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로어 암(2)의 스티어링 스토퍼(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너클(1)의 스톱 돌기(6)와 접촉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된다.
차체의 하중 변화나 상,하 진동으로 로어 암(2) 및 조향 너클(1)에 상,하측으로의 변위가 발생되면, 스톱 돌기(6)와 스티어링 스토퍼(7) 사이의 간격은 A≠B≠C의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스티어링 휠의 최대 조향각은 증가/축소되며, 조향 너클 및 휠이 차체의 타 부품과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체의 상,하 변위에 의해 로어 암 및 조향 너클이 변화되더라도, 스티어링 휠의 최대 조향각을 항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공지된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공지된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 너클 2-로어 암
6-스톱 돌기 8-스티어링 스토퍼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차체의 상,하 변위에 대하여 조향 너클의 스톱 돌기와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스티어링 스토퍼의 접촉면을 오목하게 라운드로 형성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로어 암과 조향 너클이 최대로 상승된 위치에서의 스톱 돌기와 스티어링 스토퍼의 사이 간격과, 중간 위치에서의 사이 간격 및 최대로 하강된 위치에서의 사이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휠은 차체의 하중 변화나 상,하 진동시에도, 항상 균일한 최대 조향각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 너클, (2)는 로어 암을 지칭한다.
로어 암(2)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이 볼 조인트에 의해 조향 너클(1)에 결합된다. 조향 너클(1)의 상측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어퍼 암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로어 암(2), 어퍼 암 및 조향 너클(1)은 차체의 하중 변화 혹은 상,하 진동에 의해 능동적으로 변화되면서, 차체를 안정되게 유지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한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는 로어 암(2), 어퍼 암 및 조향 너클(1)이 최대로 상승/하강되더라도, 그 최대 조향각을 결정하는 로어 암(2)의 스티어링 스토퍼(8)와 조향 너클(1)의 스톱 돌기(6)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스토퍼(8)는 스톱 돌기(6)가 접촉되는 면이 오목하게 라운드로 형성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로어 암(2)과 조향 너클(1)이 최대로 상승된 위치에서의 스톱 돌기(6)와 스티어링 스토퍼(8)의 사이 간격(B′)과, 중간 위치에서의 사이 간격(A′) 및 최대로 하강된 위치에서의 사이 간격(C′)이 모두 동일하게 된다.
즉, 스티어링 스토퍼(8)와 스톱 돌기(6)의 변위에 따른 사이 간격은 A′= B′= C′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의 최대 조향각은 차체의 하중 변화나 상,하 진동에 무관하게 항상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향 너클 및 휠이 차체의 부품과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가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아울러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조향 너클의 스톱 돌기와 로어 암의 스티어링 스토퍼 사이의 간격에 의해 스티어링 휠의 최대 조향각을 결정하는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상,하 변위에 대하여 스톱 돌기와 스티어링 스토퍼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스티어링 스토퍼의 접촉면이 오목하게 라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KR1019960046504A 1996-10-17 1996-10-17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KR19980027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04A KR19980027659A (ko) 1996-10-17 1996-10-17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504A KR19980027659A (ko) 1996-10-17 1996-10-17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59A true KR19980027659A (ko) 1998-07-15

Family

ID=6628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504A KR19980027659A (ko) 1996-10-17 1996-10-17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6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18B1 (ko) * 2000-12-26 200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의 스톱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18B1 (ko) * 2000-12-26 200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의 스톱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0805B2 (ja)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装置
CA2150718A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9980027659A (ko)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US3988992A (en) High speed railway truck
KR200156275Y1 (ko)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정구조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3130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6754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져
KR200317033Y1 (ko) 차량의수직강성제어가개선된스테빌라이저바
KR20010059131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740210U (ja) ダブルウィシュボーンサスペンションのサブフレーム取付構造
KR100201087B1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너클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10063988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20030006654A (ko) 자동차 현가 장치의 범프 스토퍼
KR20020040218A (ko) 차량용 능동형 스태빌라이저
KR19980035042A (ko) 현가장치의 로어 컨트롤 암
FI67330C (fi) Upphaengning av en bils drivande bakhjul
KR0139750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649964B1 (ko) 지오메트리 컨트롤 조인트
KR0116863Y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253629Y1 (ko)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KR19980085332A (ko)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KR20190068127A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