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332A -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332A
KR19980085332A KR1019970021390A KR19970021390A KR19980085332A KR 19980085332 A KR19980085332 A KR 19980085332A KR 1019970021390 A KR1019970021390 A KR 1019970021390A KR 19970021390 A KR19970021390 A KR 19970021390A KR 19980085332 A KR19980085332 A KR 1998008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ateral
vehicle
frame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2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332A/ko
Publication of KR1998008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332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선회시에 진동을 방지하며, 토우인의 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과, 휠측 사이에 연결된 레터럴 로드를 3등분하여 휠측에 고정되는 로드와,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 로드는 나사식으로 연결시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 로드는 길이 조절시 회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측 로드에 연결된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 레터럴 로드는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토우인이 넓은 범위에서 조절되도록 하여 타이어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레터럴 로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레터럴 로드를 구비하여 토우인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시 노면에서 받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현가장치가 설치되어 차체를 보호함은 물론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가장치 중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현가장치의 경우 상하부측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완충 및 흡수가 가능하나, 차량의 선회시 측방향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대항 능력이 전혀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가장치가 설치된 차량에는 도 1 과 같이 차체와 차축(10) 사이를 연결하는 레터럴 로드(20)가 갖추어져 측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는 바, 이 레터럴 로드(20)는 차체 즉 프레임(11)측에는 편심너트 및 보울트(22)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그 대향측은 보올 조인트(21)에 의해 차축(10)에 취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터럴 로드(20)는 차량의 선회시 타이어 발생하는 하중을 상쇄시키기 위해 편심너트 및 보울트(22)를 이용하여 토우인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 토우인의 조절거리가 한정되어 넓은 범위에서의 조절이 불가능함에 따라 타이어에는 심한 편마모가 발생하고, 직진시 옆으로 미끄러질려 하는 사이드 슬립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레터럴 로드를 구비하여 넓은 범위에서 토우인이 조절되도록 하는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회시에 진동을 방지하며, 토우인의 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과, 휠측 사이에 연결된 레터럴 로드를 3등분하여 휠측에 고정되는 로드와,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 로드는 나사식으로 연결시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 로드는 길이 조절시 회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측 로드에 연결된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 레터럴 로드는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토우인이 넓은 범위에서 조절되도록 하여 타이어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레터럴 로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프레임 200: 레터럴 로드
210: 휠측 로드 211: 나사부
220: 연결 로드 230: 프레임측 로드
231: 브라켓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레터럴 로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노면으로 부터 받는 충격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현가장치의 구성 및 그 조립상태는 종래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차체 즉 프레임(110)과, 차축(100)을 연결하여 선회시 가로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토우인의 자유로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터럴 로드(200)의 구조이다.
상기 레터럴 로드(200)는 도 3 와 같이 3등분으로 분할 구성하여, 이중 차축 즉 휠측(100)에 고정설치되는 로드(210)와, 중앙 부위에서 프레임측 로드(230)를 연결시키는 연결 로드(220)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휠측 로드(210)의 단부에는 암나사부(211)를 형성하고, 이 대향측 연결 로드(22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연결시켜 로드(200)의 길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로드(220)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프레임측 로드(230)는 상호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그 일예로 유니버설 조인트가 있다.
한편, 상기 휠측 로드(210)는 그 단부가 볼 조인트(212)에 의해 휠측(100)에 연결되고, 프레임측 로드(230)는 브라켓트(231)에 의해 프레임(110)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레터럴 로드(200)는 토우인 조절시 연결 로드(220)를 회전시켜 나사부(211)에 의하여 그 길이 줄이거나 혹은 늘려 토우인을 조절한다.
다시말해, 상기 연결로드(220)는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해 프레임측 로드(230)와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데, 이 연결로드(220)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휠측 로드(210)는 나사부(211)를 따라 외측 혹은 내측으로 이동하며 타이어를 당기거나 혹은 밀어 토우인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토우인 조절은 나사부(211)의 형성 범위내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캠버를 보정하며, 사이드 슬립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레터럴 로드에 의해 토우인 조절이 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타이어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동시에 직진시 옆으로 미끄러질려 하는 사이드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선회시에 진동을 방지하며, 토우인의 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과, 휠측 사이에 연결된 자동차의 레터럴 로드에 있어서, 상기 레터럴 로드를 3등분하여 휠측에 고정되는 로드와,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 로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하고, 상기 연결 로드는 길이 조절시 회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측 로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KR1019970021390A 1997-05-28 1997-05-28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KR1998008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390A KR19980085332A (ko) 1997-05-28 1997-05-28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390A KR19980085332A (ko) 1997-05-28 1997-05-28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332A true KR19980085332A (ko) 1998-12-05

Family

ID=6598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390A KR19980085332A (ko) 1997-05-28 1997-05-28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3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8334A (en) Suspens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5421606A (en) Steerable front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US20040262876A1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KR19980085332A (ko) 자동차 레터럴 로드의 구조
KR200156275Y1 (ko)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정구조
KR100261421B1 (ko)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장착구조
KR1004228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100291056B1 (ko) 맥퍼슨식현가장치용인슐레이터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31517U (ko) 캠버 및 캐스터 조절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90024062A (ko) 차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쇽업소바
KR100191612B1 (ko) 앞바퀴 정렬이 가능한 차량의 현가장치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10030915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3201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 장치
KR100452285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
KR19980027659A (ko) 현가장치의 최대 조향각 제한장치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19990019135U (ko) 현가아암의 지지구조
KR200142040Y1 (ko) 조향 너클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20050077057A (ko)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KR19990028172U (ko)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KR0185445B1 (ko) 자동차용 현가시스템
KR0153195B1 (ko) 자동차 현가장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