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420U - 잭 터미널 단자 - Google Patents

잭 터미널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420U
KR19980025420U KR2019960038190U KR19960038190U KR19980025420U KR 19980025420 U KR19980025420 U KR 19980025420U KR 2019960038190 U KR2019960038190 U KR 2019960038190U KR 19960038190 U KR19960038190 U KR 19960038190U KR 19980025420 U KR19980025420 U KR 199800254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ack
leg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8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420U/ko
Publication of KR19980025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2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잭 터미널 단자를 개시한다. 이 터미널 단자는 전원인가부와, 이 전원인가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리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터미널 단자에 가하여지는 인장력에 의해 접합부가 단락되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잭 터미널 단자
본 고안은 잭 터미널 단자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잭 터미널 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디오, 증폭기, 오디오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위하여 전자기기 케이스의 프론트 패널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플러그를 꽂는 구멍(이하 잭(jack)이라 약칭함)이 형성되어 었다.
이러한 잭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직접 형성되어 회로기판(PCB)에 고정된 터미널 단자가 장착된다.
그러나 전자기기 기능의 다양화로 잭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유니트화 되어 전자기기에 장착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잭 터미널 단자 유니트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관통되는 다수의 잭부(12)가 형성된 본체(11)와, 이 본체(11)에 형성된 각 잭부(12)의 배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 잭부(12)에 삽입되는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에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터미널 단자(1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터미널 단자(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부(12)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전원인가부(13a)와, 이 전원인가부(1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13b)와, 이 다리부(13b)의 끝단부에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삽입되는 기부(13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잭 터미널 단자 유니트를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 단자의 기부(13c)가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와 접합되거나 컨넥터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회로기판과 인접된 측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본체(11)의 전면 또는 잭부(12)가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본체(11)를 케이스에 별도의 고정수단인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잭 터미널 단자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13)는 다리부(13b)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에 대한 본체의 고정시 상기 터미널 단자에 인장력이 가하여져 터미널 단자의 기부와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의 접합부가 단락되거나 들뜸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 터미널 단자의 기부(13c)가 회로기판에 납땝되어 접합된 경우 본체의 결합시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터미널 단자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인장력에 의해 절단되거나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와 접합된 부위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잭 터미널 단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잭 터미널 단자 유니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잭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잭 터미널 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잭 터미널 단자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0; 터미널 단자21; 전원인가부
22; 다리부23; 기부
24; 완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인가부와, 이 전원인가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부를 포함하는 잭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완충부는 다리부가 길이 방향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진 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잭 터미널 단자는 주변기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로부터 잭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프러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다수의 잭부(12)가 본체(11)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배면에는 각 잭부(22)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터미널 단자(2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터미널 단자(20)는 잭부(12)에 삽입되는 플러그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전원인가부(21)와, 이 전원인가부(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22)와, 이 다리부(22)의 끝단부에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삽입되는 기부(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리부(22)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길이 방방향으로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완충부(24)가 형성되는데, 이 완충부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파형으로 밴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잭 터미널 단자는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와 접합되거나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11)를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세트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터미널 단자(20)에는 인장력이 가하여지는데, 상기 터미널 단자(20)의 다리부(22)에는 완충부(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완충부(24)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밴딩되거나 파형 또는 톱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위가 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터미널 단자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 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대한 본체의 고정시 상기 터미널 단자에 형성된 완충부에 의해 인장력이 가하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 단자의 기부와 회로기판의 시그널 단자의 접합부가 단락되거나 납땜부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단자에 형성된 완충부는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전자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고안이 속하는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전원인가부와, 이 전원인가부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기부를 포함하는 잭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키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터미널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다리부가 길이 방향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터미널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다리부가 길이 방향으로 파형의 형상으로 밴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터미널 단자.
KR2019960038190U 1996-11-02 1996-11-02 잭 터미널 단자 KR199800254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90U KR19980025420U (ko) 1996-11-02 1996-11-02 잭 터미널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190U KR19980025420U (ko) 1996-11-02 1996-11-02 잭 터미널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20U true KR19980025420U (ko) 1998-08-05

Family

ID=5398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190U KR19980025420U (ko) 1996-11-02 1996-11-02 잭 터미널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42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667B1 (ko) * 1998-09-18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금 장치의 전류 인가부
KR20200055244A (ko) * 2018-11-13 2020-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용 케이블 접속 기구
KR20220095937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667B1 (ko) * 1998-09-18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금 장치의 전류 인가부
KR20200055244A (ko) * 2018-11-13 2020-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용 케이블 접속 기구
KR20220095937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5420U (ko) 잭 터미널 단자
KR950703217A (ko) 잭 커넥터 장치(Jack Connector Device)
KR950035544A (ko) 회로 모듈 제조방법
US6059606A (en) Shelled connector having ground contact
KR100808479B1 (ko) 인쇄회로 기판용 커넥터 핀
JP3500744B2 (ja) 電子機器
KR100201314B1 (ko) 전기 및 전자기기의 입출력단자 취부구조
KR20080055097A (ko) 백라이트 램프 유닛용 소켓
KR200214728Y1 (ko) 비동기식 직렬통신용 모듈러잭의 결합 브라켓
KR19990010248A (ko) 피씨비의 연결코넥터
KR100272999B1 (ko) 튜너의 결합구조
JPH1126047A (ja) 通信機器におけるアンテナ端子接続構造
JPH05135814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のリード構造
KR0116849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점프단자
KR970007194Y1 (ko) 터미날용 잭
KR0113618Y1 (ko) 신호입출력용 콘넥터
JP3751774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
KR100359080B1 (ko)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JPH0729578Y2 (ja) アース端子接続装置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KR200295018Y1 (ko) 모듈러잭용 쉴드케이스
JPH0883968A (ja) 電子部品用ベース
KR20010054784A (ko) 어댑터 플러그
KR19980050208U (ko) 카오디오의 안테나 잭 접지구조
GB2160033A (en) Connector socke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