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080B1 -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080B1
KR100359080B1 KR1020000085028A KR20000085028A KR100359080B1 KR 100359080 B1 KR100359080 B1 KR 100359080B1 KR 1020000085028 A KR1020000085028 A KR 1020000085028A KR 20000085028 A KR20000085028 A KR 20000085028A KR 100359080 B1 KR100359080 B1 KR 10035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hassis
shield structure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803A (ko
Inventor
송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0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면에 소정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납 패턴을 통해 접속되며, 하면에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하면에 걸림되도록 일측 외면에 꺽임부가 형성된 레그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섀시의 레그에 형성된 꺽임부와 회로기판의 관통구멍간의 걸림을 통해 섀시와 회로기판이 상호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상호간의 접속시키기 위한 솔더링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섀시의 들뜸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된 쉴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Shield structure of 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기술 발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가 무선통신기기 예컨대 개인휴대 통신의 등장이며, 이러한 개인휴대 통신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및 호출기 그리고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예를들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기기에 있어서,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상에는 많은 회로부품이 설치되고 있는 바, 이 회로부품을 보호하고 특히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회로기판(10)상에 섀시(chassis;20)를 안착시켜 이를 통해 회로부품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로기판(10)상면에는 가장자리면을 따라 소정 패턴 형상으로 납 패턴(11)이 형성되며, 이 납 패턴(11)상에는 즉, 네 모서리부와 인접된 부위에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된다.
이 회로기판(10)상에는 섀시(20)가 안착되어지는 바, 이 섀시(20)는 회로기판(10)상면에 형성된 납 패턴(11)에 의해 회로기판(10)과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섀시(20)상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회로기판(10)의 관통구멍(12)에 끼워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레그(leg;21)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쉴드 구조에 있어서는, 회로기판(10)의 관통구멍(12)에 결합되는 섀시(20)의 레그(21)가 평탄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어서, 상호간의 결합력이 미흡하여 견고한 장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서는, 섀시(20)의 솔더링시 즉, 납 패턴(11)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접속시킬 때 들뜸이 발생됨으로써 섀시(20)와 회로기판(10)간의 접속이 안정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쉴드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섀시와 회로기판간의 장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쉴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쉴드 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쉴드 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과 섀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과 섀시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회로기판 110 : 납 패턴
120 : 관통구멍 200 : 섀시
210 : 레그 211 : 꺽임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는, 상면에 소정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납 패턴을 통해 접속되며, 하면에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하면에 걸림되도록 일측 외면에 꺽임부가 형성된 레그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쉴드 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회로기판과 섀시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는,
회로기판(100)상에 섀시(chassis;200)를 안착시켜 이를 통해 회로부품 및 전자파를 차단하는 쉴드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바, 회로기판(100)상면에는 가장자리면을 따라 소정 패턴 형상으로 납 패턴(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00)의 네 모서리부와 인접된 부분에는 소정 직경의 관통구멍(120)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회로기판(100)상에는 실질적으로 쉴드(shield)를 행하는 것으로서, 섀시(200)가 안착되어지는 바, 이 섀시(200)는 회로기판(100)상면에 형성된 납 패턴(110)에 의해 회로기판(100)과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섀시(200)상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회로기판(100)의 관통구멍(120)에 끼워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레그(leg;210)가 형성되며, 특히 이 레그(210)의 일측 외면에는 회로기판(100)의 관통구멍(120)에 관통된 상태에서 관통구멍(120)의 하면에 걸림될 수 있도록 꺽임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구조는, 섀시(200)가 회로기판(100) 상면에 안착되고 동시에 회로기판(100)에 형성된 납 패턴(110)에 의해 이에 연결되며, 특히 레그(210)가 회로기판(100)의 관통구멍(120)에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외면에 형성된 꺽임부(211)가 관통구멍(120)의 하면에 걸림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으로써, 즉, 섀시(200)가 견고하게 회로기판(100)에 장착된 것이기 때문에 섀시(200)와 회로기판(100)간의 솔더링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섀시(200)의 들뜸이 방지된다.
따라서 안정된 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됨으로써 회로부품의 안정된 보호및 전자파 차폐 효과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에 의하면, 섀시의 레그에 형성된 꺽임부와 회로기판의 관통구멍간의 걸림을 통해 섀시와 회로기판이 상호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상호간의 접속시키기 위한 솔더링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섀시의 들뜸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된 쉴드 기능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면에 소정형상으로 패턴이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상에 안착되어 납 패턴을 통해 접속되며, 하면에는 회로기판의 관통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하면에 걸림되도록 일측 외면에 꺽임부가 형성된 레그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섀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구조.
KR1020000085028A 2000-12-29 2000-12-29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KR10035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28A KR100359080B1 (ko) 2000-12-29 2000-12-29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28A KR100359080B1 (ko) 2000-12-29 2000-12-29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803A KR20020055803A (ko) 2002-07-10
KR100359080B1 true KR100359080B1 (ko) 2002-10-31

Family

ID=2768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028A KR100359080B1 (ko) 2000-12-29 2000-12-29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0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803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387B1 (ko) 격리 커버를 갖는 회로기판 및 그 조립 방법
EP1289353A4 (en) ELECTRONIC COMPONENT FOR SURFACE MOUNTING
JP2004319381A (ja) アース端子
KR100359080B1 (ko)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EP0957665B1 (en) Electronic device
MY128653A (en) Electronic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current suppression type and bonding wire for the same
KR100385073B1 (ko) 무선 통신기기의 쉴드 구조
JPH1075082A (ja) 薄型無線装置
JP2005079458A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モジュール
KR20080067257A (ko) 휴대 단말기
JP4103466B2 (ja) 高周波コネクタの表面実装方法及び高周波コネクタ実装プリント基板並びにプリント基板
KR1004884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쉴드패턴구조
KR100376485B1 (ko) 고주파회로부와 베이스밴드회로부를 포함하는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0229891B1 (ko) 전자파 차폐를 위한 실드 장치
KR200249244Y1 (ko) 소형 이어폰 소켓
KR200210429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접지장치
KR100330584B1 (ko) 플렉서블 회로기판 및 그 설계방법
KR100272999B1 (ko) 튜너의 결합구조
KR200600330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인쇄회로기판
KR200187228Y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장치
GB2395072A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dge mounted test contacts
KR100792719B1 (ko) 패키지의 단자 구조
JPH0682894U (ja) 電磁波シールドケースの取付構造
KR20000011948U (ko) 튜너의 접지구조
JPH1120495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