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171A - 이득 및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 Google Patents

이득 및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171A
KR19980025171A KR1019970050711A KR19970050711A KR19980025171A KR 19980025171 A KR19980025171 A KR 19980025171A KR 1019970050711 A KR1019970050711 A KR 1019970050711A KR 19970050711 A KR19970050711 A KR 19970050711A KR 19980025171 A KR19980025171 A KR 1998002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stage
electrical signal
feedback
feedback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964B1 (ko
Inventor
유지 가꾸타
야스히로 시라까와
요시아끼 후까사와
요시아끼 와까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2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복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들 (FETs) (11,12) 이 종속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최종-스테이지의 FET (12)의 드레인이,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3)를 통하여 제 1-스테이지의 FET (1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제 1-스테이지의 FET (11)의 드레인은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4)를 통해 제 1-스테이지의 FET (11)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 1-네가티브 피이드백 회로 (13)가 제 1 레지스터 (RF1)에 접속되어 있는 반면,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14)는 제 2 레지스터 (RF2)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득 및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본 발명은,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방식에서 소위 케스코드(cascode) 접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신호를 출력 전기신호로 증폭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티브이(CATV) 시스템 등에서, 최근에 100 개 이상의 많은 회수의 비디오 신호 채널들을 수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행하여져 왔다. 그러한 많은 수의 비디오 채널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광대역에 걸쳐 비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각 비디오 채널은, 일반적으로 6 ㎒ 정도에서 대역폭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광-대역 증폭기는, 최소한 600 ㎒ 의 광대역에 걸쳐 저-왜곡 및 고-이득 증폭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타입의 광-대역 증폭기는, 앞으로의 채널 수에 있어서의 증가를 고려하면서, 1 ㎓ 폭의 대역에 걸쳐 저-왜곡 증폭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JP-A) 제 7-183735 호 (183735/1995) 가 상기 증폭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 증폭기는, 소망의 이득을 달성하기 위한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소위 케스코드 접속으로 복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들 (FETs)을 포함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를 포함한다. 일본국 특개평 (JP-A) 제 3-52407 호 (52407/1991) 는 상기 언급된 FET 대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일 증폭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 은, 그러한 타입의 종래의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를 보여준다. 이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소위 케스코드 접속으로 된 제 1-스테이지 FET (1)와 제 2-스테이지(2), 그리고 제 2 스테이지 FET(2)의 드레인을 제 1 스테이지 FET(1)의 게이트에 접속하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저항(Rf)을 갖는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3)를 포함한다.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제 1 스테이지 FET(1)의 게이트에 접속된 입력 단자(IN) 및 제 2 스테이지 FET(2)의 드레인에 접속된 출력 단자(OUT)를 갖는다.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서, 레지스터(Rf)의 저항 값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이득은 조절 및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입력 단자(IN) 및 출력 단자(OUT) 의 임피던스들이 또한 변경된다. 이는, 입력 단자(IN) 및 출력 단자(OUT)에 접속된 외부 회로와의 임피던스 미스매칭으로 귀결된다. 이는, 이득 및 임피던스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득 및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설명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의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의 회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며,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능동 소자들을 포함한다. 능동 소자들은,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 및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를 포함하는 바, 상기 능동 소자들의 각각은, 소자 입력 단자, 소자 출력 단자, 및 소자 제어 단자를 포함한다.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제어 단자는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다.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출력 단자는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이,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출력 단자와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제어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출력 단자와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소자 제어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또한 적용될 수 있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며,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FET들을 포함한다. FET들은, 제 1 스테이지 FET 및 최종 스테이지 FET를 포함하는 바, 상기 FET들의 각각은, 소오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포함한다. 제 1 스테이지 FET의 게이트는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다. 최종 스테이지 FET의 드레인은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이,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최종 스테이지 FET의 드레인과 제 1 스테이지 FET의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제 1 스테이지 FET의 드레인과 제 1 스테이지 FET의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또한 적용될 수 있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며,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은,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바,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은, 에미터, 콜렉터, 및 베이스를 포함한다.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는다.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이,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2 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상기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며, 능동 소자들로서 제 1 스테이지, 및 최종 스테이지, 즉 제 2 스테이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들(FETs) (11 및 12)을 포함한다.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제 1 스테이지 및 제 2 스테이지 FET들 (11 및 12) 각각은, 소자 제어 단자, 소자 입력 단자, 및 소자 출력 단자로서 각각 언급되는 게이트, 소오스, 및 드레인을 포함한다.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도록 제 1 스테이지 FET (11)의 게이트에 접속된 회로 입력 단자(IN), 및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 2 스테이지 FET(12)의 드레인에 접속된 회로 출력 단자(OUT)를 갖는다. 제 1 스테이지 FET(11)의 드레인은, 제 2 스테이지 FET(12)의 소오스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스테이지 및 제 2 스테이지 FET 들 (11 및 12) 은,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소위 케스코드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스테이지 FET(11)의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제 2 스테이지 FET(12)의 게이트는 접지되어 있다.
더욱이,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제 2 스테이지 FET(12)의 드레인을 제 1 스테이지 FET(11)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3), 및 제 1 스테이지 FET(11)의 드레인을 제 1 스테이지 FET(11)의 게이트에 접속하는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13 및 14) 는, 각각 제 1 및 제 2 저항 (Rf1 및 Rf2)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서, 출력 임피던스는 제 1 저항(Rf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득은, 제 1 및 제 2 저항 (Rf1 및 Rf2) 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Rf1 및 Rf2 에 의해 이득 및 출력 임피던스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이득 및 출력 임피던스는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3 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유사한 부분은 비슷한 참조 부호로서 명명될 것이다.
상기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는,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것이며, 능동 소자들로서, 도 2 에 도시된 FET 11 및 12 에 대신하여, 제 1 스테이지, 및 최종 스테이지, 즉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21 및 22)을 포함한다.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제 1 스테이지 및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11 및 12) 각각은, 소자 제어 단자, 소자 입력 단자, 및 소자 출력 단자로서 각각 언급되는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를 포함한다.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서는, 회로 입력 단자(IN)가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회로 출력 단자(OUT)가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는,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스테이지 및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21 및 22) 은,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소위 케스코드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는 접지되어 있다.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3)는 제 2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를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 접속시킨다.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14)는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를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에 접속시킨다. 제 1 및 제 2 저항 (Rf1 및 Rf2) 이 제 1 및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13 및 14) 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서, 출력 임피던스는 제 1 저항(Rf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득은, 제 1 및 제 2 저항 (Rf1 및 Rf2) 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Rf2 및 Rf1 에 의해 이득 및 출력 임피던스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이득 및 출력 임피던스는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득 및 출력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 기술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들의 각각은,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야기하지 않고서도 이득을 조절할 수 있기 된다.
상기 언급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들의 각각은, 채널 수의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CATV에서 요구되는 광대역 증폭기 등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여태껏 몇몇 실시례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가능하게 될 것이다. 예를들면, 앞서의 설명이 두 개의 능동 소자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로 향하고 있지만, 세 개 혹은 그 이상의 능동 소자들이 본 분야에서 알려진 바대로 케스코드 접속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또한 적용가능하다고 이해되어 질 것이다.

Claims (6)

  1.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 및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능동 소자들의 각각은 소자 입력 단자, 소자 출력 단자, 및 소자 제어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제어 단자는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출력 단자는 상기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능동 소자들;
    상기 최종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제어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상기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스테이지 능동 소자의 상기 소자 제어 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2.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지 FET 및 최종 스테이지 FET를 포함하되, 상기 FET들의 각각은 소오스, 드레인, 및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지 FET의 상기 게이트는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최종 스테이지 FET의 상기 드레인은 상기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FET들;
    상기 최종 스테이지 FET의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 1 스테이지 FET의 상기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상기 제 1 스테이지 FET의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 1 스테이지 FET의 상기 게이트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3. 입력 전기 신호를 출력 전기 신호 내로 증폭시키기 위한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의 각각은 에미터, 콜렉터, 및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콜렉터는 상기 출력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케스코드로 접속된 복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
    상기 최종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콜렉터와 상기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접속된,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및
    상기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콜렉터와 상기 제 1 스테이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접속된,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출력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제 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상기 제 1 저항과 함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출력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제 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상기 제 1 저항과 함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출력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제 1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네가티브-피이드백 회로는 상기 제 1 저항과 함께 이득을 조절하는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피이드백 증폭기 회로.
KR1019970050711A 1996-09-30 1997-09-30 이득및임피던스를독립적으로제어가능한네가티브-피이드백증폭기회로 KR100293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8103 1996-09-30
JP8258103A JP2853739B2 (ja) 1996-09-30 1996-09-30 負帰還増幅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171A true KR19980025171A (ko) 1998-07-06
KR100293964B1 KR100293964B1 (ko) 2001-07-12

Family

ID=1731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711A KR100293964B1 (ko) 1996-09-30 1997-09-30 이득및임피던스를독립적으로제어가능한네가티브-피이드백증폭기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8487A (ko)
EP (1) EP0833441B1 (ko)
JP (1) JP2853739B2 (ko)
KR (1) KR100293964B1 (ko)
DE (1) DE6973480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70B1 (ko) * 2007-03-07 2007-06-27 (주)에프씨아이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저 잡음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3121A1 (en) * 1997-11-27 2001-11-22 Yuji Kakuta Semiconductor circuit with a stabilized gain slope
JP3164151B2 (ja) * 1998-07-06 2001-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器
US6388516B1 (en) * 2000-11-08 2002-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cision high speed magnetic coil driver circuit
EP1391055B1 (en) * 2001-02-01 2006-12-27 Analog Devices, Inc. Line interface with a matching impedance coupled to a feedback path
US6999743B2 (en) * 2001-12-07 2006-02-14 Analog Devices, Inc. Line interface with second order high pass transfer function
JP4273729B2 (ja) * 2002-09-18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
US7949322B2 (en) * 2007-03-09 2011-05-24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elective amplifier with wide-band impedance and noise matching
KR100828187B1 (ko) * 2007-03-16 2008-05-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통 인덕터를 이용하는 증폭기
JP2008236354A (ja) 2007-03-20 2008-10-02 Fujitsu Ltd 増幅器
JP2009207031A (ja) * 2008-02-29 2009-09-10 Hitachi Ltd 増幅回路
JP2013074590A (ja) * 2011-09-29 2013-04-22 Renesas Electronics Corp 増幅器
KR101719313B1 (ko) * 2015-06-19 2017-04-05 (주)에프씨아이 멀티밴드를 위한 고선형 특성을 갖는 저잡음 증폭기
WO2019031184A1 (ja) * 2017-08-10 2019-0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増幅回路
WO2019031553A1 (ja) * 2017-08-10 2019-0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カスコード増幅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685A (en) * 1970-05-21 1972-12-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Q-invariant active filters
US3733514A (en) * 1971-03-19 1973-05-15 Tektronix Inc Wide band amplifier having two separate high and low frequency paths for driving capacitive load with large amplitude signal
US4453132A (en) * 1982-04-21 1984-06-05 Motorola, Inc. Active filter
US4965526A (en) * 1989-07-14 1990-10-23 Motorola Inc. Hybrid amplifier
US4940949A (en) * 1989-11-01 1990-07-10 Avantek, Inc. High efficiency high isolation amplifier
US5049835A (en) * 1990-02-27 1991-09-17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Modified cascode circuit
US5015968A (en) * 1990-07-27 1991-05-14 Pacific Monolithics Feedback cascode amplifier
US5144266A (en) * 1991-02-04 1992-09-01 Motorola, Inc. Broadband high frequency active MMIC circulator
JP2682415B2 (ja) * 1993-12-22 1997-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376899A (en) * 1994-02-04 1994-12-27 Pass Laboratories, Inc. Amplifier with gain stages coupled for differential error cor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70B1 (ko) * 2007-03-07 2007-06-27 (주)에프씨아이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저 잡음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8487A (en) 2000-02-22
EP0833441B1 (en) 2005-12-07
DE69734806T2 (de) 2006-08-31
DE69734806D1 (de) 2006-01-12
KR100293964B1 (ko) 2001-07-12
JPH10107552A (ja) 1998-04-24
EP0833441A1 (en) 1998-04-01
JP2853739B2 (ja) 199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64B1 (ko) 이득및임피던스를독립적으로제어가능한네가티브-피이드백증폭기회로
KR100570135B1 (ko) 선형 가변 이득 증폭기{linear variable gain amplifiers}
US7439805B1 (en) Enhancement-depletion Darlington device
EP1149467B1 (en) Amplifier
JP2003505904A (ja) 改善された線形性を有する可変利得増幅器
EP0448951B1 (en) Low-noise amplifier with high input impedance, particularly for microphones
JPH05259765A (ja) 高周波高出力増幅装置
US6940354B2 (en) Microwave power amplifier
JP4405113B2 (ja) 利得可変増幅回路
US5561396A (en) Rail-to-rail input stages with gm -control by multiple input pairs
KR900019342A (ko) 광대역 ab급 crt캐소드 구동기
US6326842B1 (en) Variable gain amplifying apparatus which can change a gain during an operation
US7142060B1 (en) Active splitter for multiple reception units
US4583052A (en) Amplifier having complete isolation of power sources
US5521562A (en) High isolation switch
USRE38455E1 (en) Controllable integrator
US7221221B2 (en) Power amplifier with pre-distorter
JP3417792B2 (ja) アナログ信号選択回路
JPH0878977A (ja) 高周波増幅回路
JP2594624B2 (ja) 分布型増幅器
US6861903B1 (en) Signal coupling systems with enhanced isolation and dynamic range
JP3280788B2 (ja) 利得制御増幅回路
JPH0213851B2 (ko)
JPH09283710A (ja) Fetのゲートバイアス回路
JPH07273598A (ja) 可変減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