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26A -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26A
KR19980024726A KR1019970047636A KR19970047636A KR19980024726A KR 19980024726 A KR19980024726 A KR 19980024726A KR 1019970047636 A KR1019970047636 A KR 1019970047636A KR 19970047636 A KR19970047636 A KR 19970047636A KR 19980024726 A KR19980024726 A KR 1998002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ye
fiber material
disperse dye
hydroph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돌프 롬멜
피터 존슨
Original Assignee
슈펜글러 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펜글러 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슈펜글러 페
Publication of KR1998002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14Polymers of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o COOH group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06P1/5242Polymers of unsaturated N-containing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5Locally discharging the dyes
    • D06P5/158Locally discharging the dyes with othe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07Nitrogen-containing polyethers or their quaternary derivatives
    • D06P1/6076Nitrogen-containing polyethers or their quaternary derivatives addition products of amines and alkylene oxides or oxir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s
    • D06P1/613Polyethers without nitrogen
    • D06P1/6136Condensation products of esters, acids, oils, oxyacids with oxir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51Compounds without nitrogen
    • D06P1/65106Oxygen-containing compounds
    • D06P1/65131Compounds containing ether or acetal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2Reserving parts of the material before dyeing or printing ; Locally decreasing dye affinity by chem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34Material containing ester groups
    • D06P3/52Polyesters
    • D06P3/54Polyesters using dispersed dye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2Synthetic fiber dyeing
    • Y10S8/922Polyeste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재를 (A)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염색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하는 단계 및 (B) 하나 이상의 분산 염료,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세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A) 및 (B)는 어떠한 순서로도 수행할 수 있고, 단계 (B)는 상이한 염료를 사용하여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런 방법으로 처리된 섬유재를 건조시킨 다음, 염료를 섬유재 상에 열 처리하여 고착시키는 방법을 포함하여,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소수성 섬유재를 날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한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다색 날염물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된다.

Description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본 발명은 방염(resist printing) 방법에 의해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소수성 섬유재를 날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산 염료에 의한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재의 날염은 일반적으로 예비염색된 또는 예비날염된 바탕 염료가, 이들 면적상에 날염된, 방전 내성이어야 하는 강알칼리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염료로 처리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훼손되는 소위 방전 방염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방전제에 의한 처리는 생태적 및 경제적 단점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처리된 섬유재는 강알칼리의 작용에 의해 공격받고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소수성 섬유재, 특히 폴리에스테르 섬유재을 날염하기 위한, 섬유상에 적합한 보다 간단한 방염 방법이 요구된다.
놀랍게도, 소수성 섬유재를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섬유상에 적합한 방식으로 날염하여 전반적인 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열 광에 대한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날염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원은, 섬유재를 (A)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염색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하는 단계 및 (B) 하나 이상의 분산 염료,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세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A) 및 (B)는 어떠한 순서로도 수행할 수 있고, 단계 (B)는 상이한 염료를 사용하여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런 방법으로 처리된 섬유재를 건조시킨 다음, 염료를 섬유재 상에 열 처리하여 고착시키는 방법을 포함하여,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소수성 섬유재를 날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적합한 분산 염료는 문헌[참고: Colour Index, 3rd edition(제85호 이하의 증보판을 포함하는 1987 제3 개정판)]에 분산 염료로 기술된 염료들이다. 예를 들어, 카복실산 및/또는 설폰산 그룹-유리 니트로, 아미노, 아미노케톤, 케톤이민, 메틴, 폴리메틴, 디페닐아민, 퀴놀린, 벤즈이미다졸, 크산텐, 옥사진 또는 쿠마린 염료가 있고, 특히 안트라퀴논 및 모노 또는 디아조 염료와 같은 아조 염료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바람직한 염료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8의 염료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8에서,
R1은 하이드록실 또는 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또는 비치환되거나 C1-C4알킬, C1-C4알콕시, 하이드록시-C1-C4알킬 또는 C1-C4설포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니트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실, 아미노 또는 니트로이고,
R5는 수소, 할로겐 또는 C1-C4알콕시이고,
R6은 수소, 할로겐 또는 -O-(CH2)2-O-COOR7이고, 여기서 R7은 C1-C4-알킬 또는 페닐이며,
R8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H2)2-O-(CH2)2-OX 또는 -(CH2)3-O-(CH2)4-OX이고, 여기서 X는 수소 또는 -COCH3이며,
R10은 (CH2)2-O-COCH3, -(CH2)2-CN, -CH(CH3)-COOCH3또는 -CH2-C(OH)CH3에 의해 일- 또는 이치환된 아미노이고,
R11은 수소, C1-C4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12는 수소 또는 NHCOR15이고, 여기서 R15는 C1-C3알킬이며,
R13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4는 할로겐,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고,
R16은 메틸, 에틸 또는 -(CH2)2-O-C1-C2알킬이다.
염욕에 사용되는 분산 염료 또는 날염 페이스트의 양은 목적한 색상의 짙은 정도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염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용액 1ℓ 당 0.01 내지 15중량%, 특히 0.1 내지 10중량%, 또는 날염 페이스트 1㎏ 당 0.01 내지 400g, 특히 0.2 내지 300g, 특히 0.5 내지 200g의 양으로 변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재가 단계 (A)에서 염색될 경우, 연속 염색 방법, 예를 들어 패딩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필요할 경우, 염색된 재료는 추가로 처리하기 전에 건조시킨다. 염료외에, 염료 용액은 일반적으로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지방족 아민 클로라이드 또는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산 공여체, 무기염 수용액,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클로라이드 또는 알칼리 금속 설페이트,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우레아, 증점제, 예를 들어 알기네이트 증점제, 수용성 셀룰로즈 알킬 에테르 및 균염제, 소포제 및/또는 탈기제, 침투 촉진제, 이동 억제제, 자외선 흡수제 및 습윤제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단계 (A)에 사용되는 날염 페이스트는 염료외에, 통상의 염색 보조제, 예를 들어 유리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원의 증점제, 예를 들어 시판되는 알긴에이트 증점제, 전분 에테르 또는 로커스트 콩가루, 특히 알긴산나트륨을 그 자체로서 또는 개질된 셀룰로즈,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메틸셀룰로즈 20 내지 25중량%와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날염에서의 통상의 날염 페이스트이다. 합성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상기 날염 페이스트에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날염 페이스트는 부티로락톤 또는 인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산 공여체, 보존제, 금속 이온 봉쇄제, 유화제, 수-불용성 용매, 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탈기제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B)에 사용되는 날염 페이스트 중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는, 특히 4급 아민을 함유하는 유기 중합체 화합물 또는 질소 함유 유기 중합체 화합물의 염이다. 특히, 이들은 폴리모노- 및 폴리디알릴아민을 기본으로 하는 유기 중합체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디알릴암모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다. 날염 페이스트는 일반적으로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를 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g 포함한다.
단계 (B)에 사용된 날염 페이스트에 사용된 비이온성 세제는 예를 들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특히, 지방 알콜, 지방 아민, 지방산 또는 알킬아릴, 예를 들어 노닐- 또는 옥틸페놀 상에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4 내지 80을 첨가하여 형성된 화합물들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에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4 내지 6의 세틸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10 내지 14의 세틸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10 내지 25의 탈로우 지방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5 내지 8의 라우로일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3 내지 10의 노닐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36의 아주가리 기름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 5 내지 15의 올레산이 포함된다. 비발포성 또는 저발포성 비이온성 세제는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다. 날염 페이스트는 일반적으로 날염 페이스트 1㎏ 당 비이온성 세제를 1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g 포함한다.
상기한 성분 외에, 단계 (B)에 사용된 날염 페이스트는 통상의 보조제, 예를 들어 유리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원의 증점제, 예를 들어 시판되는 알긴에이트 증점제, 전분 에테르 또는 로우커스트 콩가루 에테르, 특히 알긴산나트륨을 그 자체로 또는 개질된 셀룰로즈,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메틸셀룰로즈 20 내지 25중량%와의 혼합물로서 추가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는 증점제와 같은 합성 증점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날염 페이스트도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날염 페이스트는 부티로락톤 또는 인산수소 나트륨과 같은 산 공여체, 보존제, 금속 이온 봉쇄제, 유화제, 수 불용성 용매, 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탈기제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제는 특히 포름알데히드-방출제, 예를 들어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트리옥산, 특히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약 30 내지 40중량%이고, 자외선 흡수제는, 특히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이며, 금속 이온 봉쇄제는, 예를 들어 나트륨 니트릴로아세테이트,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및 특히 나트륨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및 특히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이며, 유화제는 특히 알킬렌 옥사이드 및 지방 알콜의 부산물, 특히 올레일 알콜 및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산물이고, 수 불용성 용매는 고비점 포화 탄화수소, 특히 비점이 약 160 내지 210℃의 범위 내인 파라핀(소위 백색 스프리트)이고, 산화제는, 예를 들어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경우, 알킬렌 옥사이드 부산물로서 특히 방향족 모노- 또는 디니트로카복실산 또는 -설폰산, 특히 니트로벤젠설폰산이며, 탈기제는, 예를 들어 고비점 용매, 특히 테레빈유, 고급 알콜, 바람직하게는 C8내지 C10알콜, 테르펜 알콜 또는 광물 및/또는 실리콘 오일을 기본으로 하는 탈기제, 특히 광물 및 실리콘 오일 혼합물 약 15 내지 25중량% 및 C8알콜, 예를 들어 2-에틸-n-헥산올 약 75 내지 85중량%의 통상의 배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각종 소수성 섬유재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재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제는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재료이다. 예로서는 셀룰로즈 에스테르 섬유, 예를 들어 셀룰로즈-2½-아세테이트 섬유 및 트리아세테이트 섬유이고, 특히 산 개질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의 축합에 의해 수득된 선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의 공중합체의 섬유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함유 혼방재,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및 다른 섬유와의 혼합물, 특히 면/폴리에스테르 섬유재가 더욱 적합하다. 직포 직물, 편직물 또는 이러한 섬유의 웨브가 주로 사용된다.
소수성 섬유재를 날염하는 경우, 날염 페이스트는 전제 면적에 걸쳐 또는 면적 단위로 통상 설계의 날염기, 예를 들어 요판 날염기, 회전 스크린 날염기 및 평반 날염기를 유리하게 사용하여 섬유재에 직접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문헌[참고: H. W. Dyeing Discharge Printing Line apparatus of Johannes Zimmer, A-9020 Klagenfurt(특허원 제A 468/95호)]의 1단계 반응으로 수행된다.
날염 후에, 섬유재를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다.
섬유재의 후속적인 고착은 일반적으로 건식 가열(열 고착) 또는 대기압하에 과열된 스팀(HT 고착)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고착은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 수행된다:
HT 고착: 170 내지 190℃에서 5 내지 10분
열 고착: 170 내지 220℃에서 1 내지 2분
고착 후에, 일반적으로 날염물은 세척한 다음, 환원 상태하에 알칼리성 매질, 예를 들어 아디티온산나트륨 중에서 세정함으로써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공한다. 세정 후에, 날염물을 다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재 상의 날염물은 우수한 전반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예를 들어 산성 및 염기성 영역 둘 다에서 높은 섬유-염료 결합 안정성 및 세척, 물, 해수 및 땀에 대한 견뢰도와 같은 우수한 습식 견뢰도 특성, 염소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 마찰에 대한 견뢰도, 다림질에 대한 견뢰도 및 플리트에 대한 견뢰도를 갖고, 특히 광 및 열 광에 대하여 견뢰도가 높은 화려한 색조의 확장으로 구별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특별히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온도는 섭씨 온도로 기술되고, 부는 중량부이며 퍼센트 데이터는 중량%를 기준으로 한다. kg 대 l에 대한 관계는 중량부와 용적부의 관계와 같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파일 직물은 시판되는 6% 알긴에이트 120g/l,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30g/l,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l, 인산나트륨 4g/l, 염소산나트륨 8g/l,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l, 화학식 8의 염료 1.62g/l, 화학식 6의 염료 2.37g/l, 화학식 9의 염료 0.8g/l, 화학식 10의 염료 0.61g/l 및 화학식 11의 염료 9.29g/l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패딩화한다(용액 픽업 약 150%).
화학식 6
화학식 8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80에서 건조시킨 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4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의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5g,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g 및 화학식 11의 염료 25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한다. 이후에,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건조시키고 HT 스팀을 사용하여 180℃에서 8분 동안 고착시킨다. 고착 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환원적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한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2색 착색된 회색-청색 방염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파일 직물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시판되는 6% 알긴에이트 256g,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64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화학식 8의 염료 1.62g, 화학식 6의 염료 2.37g, 화학식 9의 염료 0.8g, 화학식 10의 염료 0.61g 및 화학식 11의 염료 9.29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결쳐 날염한다.
이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4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의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5g,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g 및 화학식 6의 염료 12g 및 화학식 9의 염료 4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한다.
이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건조시키고 HT 스팀을 사용하여 180℃에서 8분 동안 고착시킨다. 고착 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환원적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해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2색 착색된 회색-적색 방염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 파일 직물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4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의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5g,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g 및 화학식 10의 염료 8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한 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시판되는 6% 알긴에이트 증점제 256g,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64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화학식 8의 염료 1.62g, 화학식 6의 염료 2.37g, 화학식 9의 염료 0.8g, 화학식 10의 염료 0.61g 및 화학식 11의 염료 9.29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한다.
이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건조시키고 HT 스팀을 사용하여 180℃에서 8분 동안 고착시킨다. 고착 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환원적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해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2색 착색된 회색-보라색 방염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4:
폴리에스테르 파일 직물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시판되는 6% 알긴에이트 256g,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64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화학식 8의 염료 1.62g, 화학식 6의 염료 2.37g, 화학식 9의 염료 0.8g, 화학식 10의 염료 0.61g 및 화학식 11의 염료 9.29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한다.
이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4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의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5g,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g, 화학식 6의 염료 12g 및 화학식 9의 염료 4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한 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10%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4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인산나트륨 4g, 염소산나트륨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4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에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5g, 폴리디알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g 및 화학식 8의 염료 6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그밖의 면적 단위로 날염한다.
이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건조시키고 HT 스팀을 사용하여 180℃에서 8분 동안 고착시킨다. 고착 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환원적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해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3색 착색된 회색-적색-황색 방염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 파일 직물을 시판되는 9% 알긴에이트 150g/l,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6g/l, 인산나트륨 4g/l, 염소산나트륨 8g/l,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0g/l, 시판되는 분산제 5g/l, 화학식 12의 염료 1.54g/l, 화학식 6의 염료 1.39g/l, 화학식 9의 염료 0.51g/l, 화학식 10의 염료 0.28g/l 및 화학식 11의 염료 1.98g/l를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패딩화한다(용액 픽업 약 150%).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80℃에서 건조시킨 후 날염 페이스트 1kg 당 전분 에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9% 증점제를 포함하는 배합물 400g, 지방족 탄화수소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시판되는 탈기제 8g, 약 20%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시판되는 배합물 50g, 아주까리 기름 1mol 상에 36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의 부가 생성물 24g,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0g 및 화학식 12의 염료 28g을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한다.
이후에,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건조시키고 HT 스팀을 사용하여 180℃에서 8분 동안 고착시킨다. 고착 후에, 날염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환원적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뚜렷한 윤곽 및 열 광에 대한 매우 우수한 견뢰도를 갖는 2색 착색된 회색-황색 방염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전반적인 특성이 우수한, 즉 예를 들어 산성 및 염기성 영역 둘 다에서 높은 섬유-염료 결합 안정성 및 세척, 물, 해수 및 땀에 대한 견뢰도와 같은 우수한 습식 견뢰도 특성, 염소에 대한 우수한 견뢰도, 마찰에 대한 견뢰도, 다림질에 대한 견뢰도 및 플리트에 대한 견뢰도를 갖고, 특히 광 및 열 광에 대하여 견뢰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재 상의 날염물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7)

  1. 섬유재를 (A)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염색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하는 단계 및 (B) 하나 이상의 분산 염료,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세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날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A) 및 (B)는 어떠한 순서로도 수행할 수 있고, 단계 (B)는 상이한 염료를 사용하여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런 방법으로 처리된 섬유재를 건조시킨 다음, 염료를 섬유재 상에 열 처리하여 고착시키는 방법을 포함하여,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소수성 섬유재를 날염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재를 우선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염색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한 후에 하나 이상의 분산 염료,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세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1회 또는 수회 날염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재를 우선 하나 이상의 분산 염료,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염색 보조제 및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세제를 포함하는 날염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면적 단위로 1회 또는 수회 날염한 후에 분산 염료를 사용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염색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날염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재를 단계 (A)에서 염색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재를 단계 (A)에서 날염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섬유재를 소수성 섬유재로 사용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처리된 섬유재.
KR1019970047636A 1996-09-20 1997-09-19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KR19980024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310/96 1996-09-20
CH231096 1996-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26A true KR19980024726A (ko) 1998-07-06

Family

ID=423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36A KR19980024726A (ko) 1996-09-20 1997-09-19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7120A (ko)
EP (1) EP0831168A3 (ko)
JP (1) JPH10110393A (ko)
KR (1) KR19980024726A (ko)
BR (1) BR9704753A (ko)
ID (1) ID18306A (ko)
PL (1) PL322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0180A1 (en) * 1998-06-19 2001-04-11 Ciba SC Holding AG Resist printing on hydrophobic fibre materials
US20020124323A1 (en) * 2001-01-09 2002-09-12 Cliver James D. Process for patterning textile materials and fabrics made therefrom
US20040214493A1 (en) * 2001-08-28 2004-10-28 Smith Garnett H. Printable synthetic fabric
US6759354B1 (en) 2001-08-28 2004-07-06 Intex Corporation Printable synthetic fabric
DE102008039500A1 (de) * 2008-08-23 2010-02-25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Deutschland Kg Verfahren zum Färben von textilen Materialien
ITSA20120006A1 (it) * 2012-05-10 2013-11-11 Oz Anadolu Kim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Innovazione nelle paste corrodenti per la stampa tessile.
CN104674568B (zh) * 2015-01-23 2017-01-25 郎溪飞马工业织品有限公司 一种安全织带的染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841169A4 (ko) * 1969-06-03 1973-07-13
US3964862A (en) * 1969-06-03 1976-06-22 Ciba-Geigy Ag Process for dyeing and printing textile materials of synthetic organic fibers
EP0021055B1 (en) * 1979-06-01 1983-12-21 Hoechst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local "white discharging" or "coloured discharging" of dyes on textile materials
CH658565GA3 (ko) * 1980-03-20 1986-11-28
DE3106036A1 (de) * 1981-02-19 1982-09-0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bedrucken von synthesefasern
DE3209327A1 (de) * 1982-03-15 1983-09-15 Cassell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etzreservedrucken auf hydrophoben textilmaterialien
EP0490814A1 (de) * 1990-12-11 1992-06-17 Ciba-Geigy Ag Pastöse bis feste Farbstoff-Schmelzen
DE4310919C2 (de) * 1993-04-02 1999-10-28 Haluk Tincman Verfahren zum Naß-auf-naß, Weiß- oder Buntreservedruck auf modifizierten Polyesterteppichen im Übergießverfahren sowie Reservemittel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4753A (pt) 1998-11-17
EP0831168A2 (de) 1998-03-25
EP0831168A3 (de) 1998-09-02
JPH10110393A (ja) 1998-04-28
US5917120A (en) 1999-06-29
PL322193A1 (en) 1998-03-30
ID18306A (id) 199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5523A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flame-retardant properties of printed shaped articles from aramid fibers
US4455147A (en) Transfer printing
GB2027753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 fibre materials with foams
US4101273A (en) Disperse dyeing with polyglycerine anionic emulsifiers and/or polyaryl polyglycol ethers
CA1103862A (en) Process for dyeing sheet-like structures
KR19980024726A (ko) 소수성 섬유재의 방염 방법
KR20010052889A (ko) 소수성 섬유재료의 방염법
CA1295438C (en) Textile printing and dyeing
US3288551A (en) Process for the coloring of fiber blends of polyester and native or regenerated cellulose
DE2436783B2 (de) Verfahren zum kombinierten faerben oder bedrucken sowie zum ausruesten mit vernetzungsmitteln von ganz oder teilweise aus cellulosefasern bestehenden textilen flaechengebilden
JP3243341B2 (ja) 未染色ならびに染色さ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材料の光化学的および熱的安定化方法
DK150313B (da) Fremgangsmaade til farvning af ikke-forrenset cellulosetekstilmaterialer
CA1053411A (en) Process for printing or pad-dyeing cellulose/polyester mixed fabrics
Yang et al. Cotton fabric inkjet printing with acid dyes
AU3498899A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photo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of dyeings and prints on polyester fibre materials
KR19990013526A (ko) 안료 염색 방법 및 안료 날염 방법
US4032291A (en) Phenyl phthalate carriers in dyeing and printing synthetic fibers
JPH0672368B2 (ja) 染色されたセルロ−ス繊維材料の後処理方法
US432221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serve effects on polyestercellulose mixed fiber textiles
US4279615A (en) Process and agent for the coloring of textiles of polyester fibers
MXPA00011700A (en) Resist printing on hydrophobic fibre materials
CA1095659A (en) Process for the pad-dyeing and printing of textile material made from mixed fibres of cellulose and polyester
KR840000094B1 (ko) 쉬이트상 염색물의 국부적인 발색방법
CA1040359A (en) Process for the printing or pad-dyeing of mixed fabrics
KR810001224B1 (ko) 셀룰로오스섬유및 셀룰로오스섬유를 포함하는 교직물을 전사 날염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