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043A - 신규 피레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피레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043A
KR19980024043A KR1019970023193A KR19970023193A KR19980024043A KR 19980024043 A KR19980024043 A KR 19980024043A KR 1019970023193 A KR1019970023193 A KR 1019970023193A KR 19970023193 A KR19970023193 A KR 19970023193A KR 19980024043 A KR19980024043 A KR 19980024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piperazine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7111B1 (ko
Inventor
조의환
정순간
김중영
이순환
권호석
이재웅
강동욱
주정호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최승주
삼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7002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111B1/ko
Application filed by 최승주, 삼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승주
Priority to NZ329847A priority patent/NZ329847A/xx
Priority to AT97930868T priority patent/ATE241600T1/de
Priority to CNB971908001A priority patent/CN1152015C/zh
Priority to US09/029,660 priority patent/US6028195A/en
Priority to PL97325341A priority patent/PL325341A1/xx
Priority to CZ98593A priority patent/CZ59398A3/cs
Priority to PCT/KR1997/000128 priority patent/WO1998000402A1/en
Priority to SK275-98A priority patent/SK27598A3/sk
Priority to DE69722360T priority patent/DE69722360T2/de
Priority to EP97930868A priority patent/EP0850222B1/en
Priority to CA002230960A priority patent/CA2230960C/en
Priority to HU9903870A priority patent/HUP9903870A3/hu
Priority to RU98105684A priority patent/RU2146254C1/ru
Priority to AU34642/97A priority patent/AU713171B2/en
Priority to TR1998/00371T priority patent/TR199800371T1/xx
Priority to JP10504004A priority patent/JP3032303B2/ja
Priority to IN2140DE1997 priority patent/IN187298B/en
Priority to NO19980856A priority patent/NO311616B1/no
Priority to BG102286A priority patent/BG102286A/xx
Publication of KR1998002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43A/ko
Publication of KR10019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nic acid,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205Radicals derived from carbo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nic acid,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21Radicals derived from sulfur analogues of carbonic ac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활성이 우수하며, 독성이 극히 적은 다음의 일반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식중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8의 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원-6원의 사이클릭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8의 불포화알킬기, 케톤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티오에스테르기, 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르복시기, 에폭시드, 또는 R1및 R2가 함께 탄소수 3-4의 불포화 또는 포화된 환을 형성하며,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6원의 사이클로알킬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저급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저급알킬아미노기, 또는 저급알킬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바메이트기이며 또는 R3, R4, R5, R6및 R7중 두개의 인접한 그룹이 서로 결합하여 페닐렌환 또는 나프틸렌환이 형성되며,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이며,
Z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2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 질소원자 1 내지 5개까지를 함유할 수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환상아민기이다.

Description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구조식 (I)로 표시되는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중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8의 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원-6원의 사이클릭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8의 불포화알킬기, 케톤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티오에스테르기, 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르복시기, 에폭시드, 또는 R1및 R2가 함께 탄소수 3-4의 불포화 또는 포화된 환을 형성하며,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6원의 사이클로알킬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저급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저급알킬아미노기, 또는 저급알킬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바메이트기이며 또는 R3, R4, R5, R6및 R7중 두개의 인접한 그룹이 서로 결합하여 페닐렌환 또는 나프틸렌환이 형성되며,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이며,
Z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2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 질소원자 1 내지 5개까지를 함유할 수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환상아민기이다.
C1-C8의 알킬기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헥실, 헵틸, 옥실, 2-메틸펜틸 등과 같은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알킬기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을 의미한다.
C1-C4의 저급티오알킬기란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부틸티오기, 이소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란 카르복실기가 저급알킬기에 의하여 에스테르화된 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알콕시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란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부틸티오기, 이소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를 의미한다.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기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메틸사이클프로필, 메틸사이클로부틸, 메틸사이클로펜틸를 의미하며, 치환된 아릴기란 페닐, 벤질, 톨루일, 벤조일, 파라메톡시벤질, 파라니트로벤질를 의미한다.
치환된 아릴옥시기란 페녹시기, 치환페녹시기, 나프틸옥시기 또는 치환나프틸 옥시기를 의미한다.
질소원자 1 내지 5개까지를 함유할 수 있는 환상아민기란 피롤리딘닐기, 피롤리닐기, 이미다졸릴기, 이미다졸리디닐기, 피라졸기, 피라졸리닐기, 피라졸리디닐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피페라지닐기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에 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여 왔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 그 산부가염들이 탁월한 항암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극히 적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탁월한 항암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적은 일반구조식(I)의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구조식 (I)의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등과 혼합하여 약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여 여러 종류의 종양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I)과 반응하여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무기 또는 유기산이며,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등과 같은 무기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석신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말론산등과 같은 유기산: 세린, 시스테린, 시스틴,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진, 아르기닌, 파이로신, 프롤린 등과 같은 아미노산; 메타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등과 같은 설폰산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융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택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미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트라가칸트 고무, 메틸셀룰로오스, 소디움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가, 알지닌산,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의 상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질병의 정도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일일 1mg 내지 5000mg을 일회 내지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은 다음의 스킴 I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스킴 I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X, Z은 전술한 바와 같다.
먼저 출발물질(1)을 산 촉매하에서 아질산 나트륨과 반응시켜 니트로기를 도입한 물질(2)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였고, 연속적으로 이 물질을 환원하여 물질(3)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물질(3)과 공여시약을 사용하여 물질(4)을 제조하여, 물질(5)와 염기하에서 반응시켜 일반구조식(6)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였다. 일반구조식(6)에 알킬, 아릴화제를 염기하에서 사용하여 최종적인 일반구조식 (I)을 제조하였다.
출발물질(1)에서 니트로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산 즉, 초산, 염산, 황산, 질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설폰산 등을 용매로 사용하고, 아질산나트륨과 아질산칼륨을 2당량에서 4당량까지 사용한다. 그리고 반응시간은 상온에서 2시간에서 4시간 반응시켜, 니트로기가 도입된 중간물질(2)을 효과적으로 제조한다.
중간물질(2)의 니트로기를 아미노기로 환원하기 위하여 팔라디윰, 백금, 니켈등과 같은 중금속을 촉매량으로 사용하고, 수소와 함께 40psi에서부터 100psi사이 압력에서 반응시켜, 중간물질(3)을 제조한다. 또한 산촉매하에서 철과 주석의 중금속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중간물질(2)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중간물질(3)을 제조할 수 있다.
중간물질(4)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시간은 4시간에서 8시간 정도이고 반응온도는 상온에서 반응시키며, 사용된 -C(=X)-기 공여시약으로는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1,1-카르보닐티오디이미다졸, 포스겐, 티오포스겐, 카르보닐디페녹시드, 페닐클로로포메이트등이다.
이 반응은 통상의 유기용매,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응은 결합 시약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반응은 결합시약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이 바람직하며, 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시약으로는 통상의 무기 또는 유기염기를 사용한다.
이 반응은 3℃ 내지 용매의 비점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50℃에서 100℃에서 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0-24시간 반응시키며, -C(=X)-기 공여시약의 사용량은 1-1.5당량, 바람직하게는 1-1.1당량을 사용한다.
일반구조식(6) 화합물을 알킬, 아릴화제를 염기하에서 반응시켜 일반구조식(I)을 효과적으로 제조한다.
이 반응의 알킬, 아릴화제는 C1-C8의 저급알킬할로겐, C1-C8의 저급알킬 설포네이트,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할로겐, 아릴할로겐,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 설포네이트와 아릴 설포네이트등이 사용된다. C1-C8의 저급알킬할로겐이란 염화메탄, 브롬화메탄, 요오드화메탄, 염화에탄, 브롬화에탄, 요오드화에탄, 염화프로판, 브롬화프로판, 요오드화프로판, 염화부탄, 브롬화부탄, 요오드화부탄, 염화펜탄, 브롬화펜탄, 요오드화펜탄기,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등을 말한다.
C1-C8의 저급알킬 설포네이트이란 메틸설포네이트, 에틸설포네이트, 프로필설포네이트, 부틸설포네이트, 펜틸설포네이트등을 말한다.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할로겐이란 염화사이클로프로판, 브롬화사이클로프로판, 요오드화사이클로프로판, 염화사이클로부탄, 브롬화사이클로부탄, 요오드화사이클로부탄, 염화사이클로펜탄, 브롬화사이클로펜탄, 요오드화사이클로펜탄, 염화사이클로헥산, 브롬화사이클로헥산, 요오드화사이클로헥산, 염화메틸사이클로프로판, 브롬화메틸사이클로프로판, 요오드화메틸사이클로프로판, 염화메틸사이클로부탄, 브롬화메틸사이클로부탄, 요오드화메틸사이클로부탄, 염화메틸사이클로펜탄, 브롬화메틸사이클로펜탄, 요오드화메틸사이클로펜탄, 염화메틸사이클로헥산, 브롬화메틸사이클로헥산, 요오드화메틸사이클로헥산등을 말한다.
아릴할로겐이란 벤질클로라이드, 벤질브로마이드, 벤질이오다이드, 벤조일클로라이드, 벤조일브로마이드, 벤조일이오다이드, 톨루일클로라이드, 톨루일브로마이드, 톨루일이오다이드등을 말한다.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 사이클로알킬설포네이트이란 사이클로프로필 설포네이트, 사이클로부틸 설포네이트, 사이클로펜틸 설포네이트, 사이클로헥실 설포네이트, 메틸사이클로프로필 설포네이트, 메틸사이클로부틸 설포네이트, 메틸사이클로펜틸 설포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 설포네이트 등을 말한다.
아릴설포네이트이란 벤질설포네이트, 벤조일설포네이트, 톨루일설포네이트등을 말한다.
구조식 (6)의 화합물과 알킬, 아릴화제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등과 같은 용매하에서 통상의 염기를 사용하여 25℃-8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내지 20시간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인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효과적인 알킬, 아릴화제는 1.0당량에서 1.5당량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통상의 유기용매, 예를들면 테트라히아드로퓨란,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설폭시드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의 통상의 염기는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시윰,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DBU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1당량에서 5당량이다.
상기의 반응물들중에서 반응시에 산성물질을 부생하는 반응의 경우에는 이들 물질들을 반응계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염기성물질 첨가한 후 반응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성물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등과 같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및 유기아민 계통의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이 바람직하다.
일반 구조식 (6)의 화합물들은 공지의 화합물, PCT, 출원 ICR 96-00005 등에 기술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상기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다음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X, Z은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1)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페닐피페라진
1-a) 3,4-다이메틸 아니솔
3,4-다이메틸페놀(19.3그램, 0.16몰)에 메탄올(150밀리리터)를 가하고, 수산화칼륨(9.65그램, 0.25몰)을 가하고, 두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요오드메탄(36.5그램, 0.25몰)을 가하고, 3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물(150밀리리터)를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1%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3.77(3H,s), 6.71(2H,m), 6.97(1H,s)
1-b) 4,5-디아메틸-2-니트로 아니솔
3,4-다이메틸아니솔(17.1그램, 0.13몰)에 트리플로로초산(250밀리리터)를 가하고, 수조에서 아질산 나트륨(16.6그램, 0.24몰)을 서서히 가한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다. 트리플로로초산을 제거하고, 물(150밀리리터)를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5%
1H NMR(500MHz, CDCl3): δ 2.25(3H,s), 2.32(3H,s), 3.94(3H,s), 6.85(1H,s), 7.70(1H,s)
1-c) 4.5-디아메틸-2-메톡시 아닐린
4,5-다이메틸-2-니트로아니솔(7.80그램, 0.043몰)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 밀리리터)와 에탄올(40밀리리터)를 가하고, 10% 팔라듐/활성카본(0.57그램)을 서서히 가하여, 5시간동안 수소화 반응을 시킨다.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종결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2%
1H NMR(500MHz, CDCl3): δ 2.23(3H,s), 2.27(3H,s), 3.90(3H,s), 6.80(2H,s), 7.68(1H,s)
1-d)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
4,5-다이메틸-2-메톡시아닐린(4.50그램, 0.03몰)에 메틸렌클로라이드(100밀리리터)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페닐클로로포메이트(4.80그램, 0.03몰)을 서서히 가한다. 2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150밀리리터)를 가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8%
1H NMR(500MHz, CDCl3): δ 2.24(3H,s), 2.27(3H,s), 3.89(3H,s), 6.85(1H,s), 7.20(5H,m), 7.90(1H,s)
1-e)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5.422그램, 0.02몰)와 1-페닐피페라진(3.44그램, 0.02몰)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DBU(3.04그램, 0.02몰)를 가하여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5%
융점: 143-144℃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3.25(4H,t), 3.67(4H,t), 3.85(3H,s), 6.64(1H,s), 6.94(3H,m), 6.99(1H,s), 7.29(1H,t), 7.91(1H,s)
실시예 2)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5%
융점: 119-120℃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3.27(4H,t), 3.70(4H,t), 3.79(6H,s), 3.85(1H,s), 6.17(2H,m), 6.65(1H,s), 6.98(1H,s), 7.90(1H,s)
Mass(EI) m/z : 399.2168 (MH, C22H29N3O4계산치 : 399.2158)
실시예 3)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 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8%
융점: 177-178℃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29(6H,s), 3.23(4H,t), 3.66(4H,t), 3.85(3H,s), 6.58(2H,m), 6.65(1H,s), 6.99(1H,s), 7.90(1H,s)
Mass(EI) m/z : 367.2290 (MH, C22H29N3O4계산치 : 367.2259)
실시예 4)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3-다이메틸페닐) 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3-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5%
융점: 140-142℃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2(3H,s), 3.27(3H,s), 2.29(3H,s), 2.95(4H,t), 3.67(4H,t), 3.85(3H,s), 6.65(1H,s), 7.01(3H,s), 7.93(1H,s)
실시예 5)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3,,5,6-테트라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베메이트와 1,(2,3,5,6-테트라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2.20(9H,s), 2.21(9H,s), 3.17(4H,t), 3.63(4H,t), 3.84(3H,s), 6.64(1H,s), 6.85(1H,s), 7.95(1H,s)
실시예 6)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페닐-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9%
융점: 102-103℃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2(3H,s), 3.29(4H,t), 3.68(4H,t), 3.85(3H,s), 6.65(1H,s), 6.97(3H,m), 7.89(1H,s)
실시예 7)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76-177℃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2(3H,s), 3.10(4H,t,J=5.0Hz), 3.69(4H,tJ=5.0Hz), 3.85(3H,s), 6.65(1H,s),7.02(2H,m), 7.24(1H,m), 7.39(1H,d,J=4.0Hz), 7.92(1H,s)
실시예 8)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75-76℃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2(3H,s), 3.27(4H,tJ=5.0Hz), 3.68(4H,t,J=5.0Hz), 3.85(3H,s), 6.65(1H,s), 6.90(3H,m), 7.21(1H,t), 7.90(1H,s)
Mass(EI) m/z : 373.1590 (MH, C20H24N3O2Cl1계산치 : 373.1557)
실시예 9)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하이드록시페닐)피레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197-199℃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98(4H,t), 3.72(4H,t), 3.84(3H,s), 6.65(1H,s), 6.89(1H,t), 7.00(2H,m), 7.13(2H,m), 7.89(1H,s)
실시예 10)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8%
융점: 177-178℃
1H NMR(500MHz, CDCl3): δ 2.19(3H,s), 2.21(3H,s), 3.24(4H,t), 3.68(4H,t), 3.85(3H,s), 6.61(3H,m), 6.65(1H,s), 6.98(1H,s), 7.13(1H,t), 7.88(1H,s)
실시예 11)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티오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티오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9%
융점: 108-110℃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3.26(4H,t), 3.65(4H,t), 3.84(3H,s), 6.64(1H,s), 6.97(4H,m), 7.05(1H,s),7.89(1H,s)
실시예 12)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아세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아세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129-131℃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32(3H,s), 3.05(4H,t), 3.63(4H,t), 3.85(3H,s), 6.64(1H,s), 6.99(1H,s), 7.04(1H,m), 7.17(2H,m), 7.22(1H,m), 7.90(1H,s)
실시예 13)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아세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3-아세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154-156℃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29(3H,s), 3.27(4H,t), 3.68(4H,t), 3.85(3H,s), 6.64(1H,s), 6.66(2H,m), 6.82(1H,m), 6.98(1H,s), 7.90(1H,s)
실시예 14)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메톡시페닐)피레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44-145℃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2(3H,s), 2.26(3H,s), 2.95(4H,t, J=5.0Hz), 3.65(4H,t,J=5.0Hz), 3.78(3H,s), 3.85(3H,s), 6.59(1H,s), 6.65(1H,s), 7.00(1H,s), 7.11(1H,s), 7.93(1H,s)
실시예 15)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5-메톡시-2-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마에트와 1-(5-메톡시-2-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8%
융점: 140-141℃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2(3H,s), 2.26(3H,s), 2.95(4H,t, J=5.0Hz), 3.65(4H,t,J=5.0Hz), 3.78(3H,s), 3.85(3H,s), 6.59(1H,s), 6.65(1H,s), 7.00(1H,s), 7.11(1H,s), 7.93(1H,s)
실시예 16)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5-메톡시-2-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메톡시-5-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융점: 107-108℃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29(3H,s), 3.10(4H,t, J=5.0Hz), 3.65(4H,t,J=5.0Hz), 3.85(3H,s), 3.86(3H,s), 6.59(1H,s), 6.55(2H,m), 7.01(1H,s), 9.94(1H,s)
실시예 17)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메톡시-5-페닐 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메톡시-5-페닐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1%
융점: 139-140℃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2(3H,s), 3.20(4H,t), 3.74(4H,t), 3.85(3H,s), 3.94(3H,s), 6.65(1H,s), 7.02(2H,m), 7.32(2H,m), 7.42(2H,t), 7.55(2H,d), 7.93(1H,s)
실시예 18) 1-[(4,5-다이페닐-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2-이소프로펜일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2-이소프로펜일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융점: 134-135℃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6H,s), 3.10(4H,t), 3.64(4H,t), 3.85(3H,s), 5.08(1H,s), 5.14(1H,s), 6.64(1H,s), 7.05(3H,m), 7.70(1H,m), 7.92(1H,s)
실시예 19)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1-나프틸)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1-나프틸)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2%
융점: 160-162℃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3.31(4H,t,J=5.0Hz), 3.83(3H,s), 4.04(4H,t), 6.39(2H,m), 6.69(1H,s), 7.13(1H,t), 7.30(2H,s), 7.46(1H,s)
실시예 20)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1-안트라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와 1-(1-안트라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41%
융점: 74-75℃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2(3H,s), 3.24(4H,t), 3.70(4H,t), 3.86(3H,s), 6.70(1H,s), 7.05(3H,m), 7.45(5H,m), 8.00(2H,m)
실시예 21)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 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2그램, 0.5밀리몰)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5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소디움하이드라이드(12밀리그램, 0.5밀리몰)을 서서히 가한 다음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요오드메탄(71밀리그램, 0.5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 건조, 여과한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2%
융점: 86-88℃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4(3H,s), 2.92(4H,t), 3.06(3H,s), 3.31(4H,t), 3.75(6H,s), 3.83(3H,s), 6.00(3H,m), 6.71(1H,s), 6.83(1H,s)
Mass(EI) m/z : 413.2293 (MH, C23H31N3O4계산치 : 413.2314)
실시예 22)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1-[(4,5-다이페닐-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37-138℃
1H NMR(500MHz, CDCl3): δ 2.15(3H,s), 2.24(9H,s), 2.88(4H,t), 3.06(3H,s), 3.29(4H,t), 3.83(3H,s), 6.45(3H,m), 6.71(1H,s), 6.83(1H,s)
Mass(EI) m/z : 381.2436 (MH, C23H29N3O2계산치 : 381.2416)
실시예 23)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98-100℃
1H NMR(500MHz, CDCl3): δ 2.16(3H,s), 2.25(3H,s), 2.92(4H,t), 3.06(3H,s), 3.29(4H,t), 3.83(3H,s), 6.23(3H,m), 6.72(1H,s), 6.83(1H,s)
실시예 24) 1-[N-에틸-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2그램, 0.5밀리몰)을 다이메틸포름아미드(15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소디움하이드라이드(12밀리그램, 0.5밀리몰)을 서서히 가한 다음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요오드에탄(78밀리그램, 0.5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 건조, 여과한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9%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1.09(3H,t), 2.16(3H,s), 2.24(3H,s), 2.75(4H,t), 3.28(4H,t), 3.52(2H,q), 3.75(6H,s), 3.81(3H,s), 5.98(3H,m), 6.70(1H,s), 6.80(1H,s)
실시예 25)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에틸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80-82℃
1H NMR(500MHz, CDCl3): δ 1.21(3H,t), 2.15(3H,s), 2.23(9H,s), 2.90(4H,t), 3.25(4H,t), 3.59(2H,q), 3.81(3H,s), 6.45(3H,m), 6.69(1H,s), 6.81(1H,s)
실시예 26)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에틸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1.09(3H,t), 2.16(3H,s), 2.25(3H,s), 2.90(4H,t), 3.27(4H,t), 3.52(2H,q), 3.81(3H,s), 6.45(3H,m), 6.70(1H,s), 6.81(1H,s)
실시예 27) 1-[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N-이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0.2그램, 0.52밀리몰)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5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소디움 하이드라이드(12.48밀리그램, 0.52밀리몰)을 서서히 가한 다음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요오드이소프로판(87.88밀리그램, 0.52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 건조, 여과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1.10(3H,s), 1.26(3H,s), 2.20(3H,s), 2.25(3H,s), 2.86(4H,t), 3.26(4H,t), 3.77(3H,s), 4.25(1H,m), 6.17(3H,m), 6.68(1H,s), 6.82(1H,s)
실시예 28)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28-a)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
4,5-다이메틸-2-메톡시아닐린(4.50그램, 0.03몰)에 메틸렌클로라이드(100밀리리터)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페닐클로로티오포메이트(5.16그램, 0.03몰)을 서서히 가한다. 2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150밀리리터)를 가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2%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5(3H,s), 3.85(3H,s), 6.80(1H,s), 6.93(5H,m), 7.31(1H,s)
28-b)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0.2그램, 0.7밀리몰)와 1-(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16그램, 0.7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DBU(0.11그램, 0.7밀리몰)를 가하여 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128-129℃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2.32(6H,s), 3.37(4H,t), 3.83(3H,s), 4.08(4H,t), 6.69(3H,m), 7.39(1H,m), 7.47(1H,s)
Mass(EI) m/z : 415.1912 (MH, C22H29N3O3S1계산치 : 415.1929)
실시예 29)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164-165℃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2.32(6H,s), 3.37(4H,t), 3.83(3H,s), 4.08(4H,t), 6.69(3H,m), 7.39(1H,m), 7.47(1H,s)
Mass(EI) m/z : 383.2086 (MH, C22H29N3O1S1계산치 : 383.2031)
실시예 30)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3-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3-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9%
융점: 151-152℃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4(3H,s), 2.29(6H,s), 3.03(4H,t), 3.83(3H,s), 4.10(4H,t), 6.69(1H,s), 6.97(2H,m), 7.11(1H,t)
실시예 31)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2%
융점: 167-168℃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2.27(3H,s), 2.32(3H,s), 3.39(4H,t,J=5.0Hz), 3.83(3H,s), 4.14(4H,t), 6.70(1H,s), 6.80(2H,m), 7.36(1H,s), 7.44(1H,s)
실시예 32)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페닐-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5%
융점: 188-189℃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4(3H,s), 3.35(4H,t,J=5.0Hz), 3.83(3H,s), 4.04(4H,t,J=5.0Hz), 6.70(2H,m), 6.83(1H,s), 7.30(1H,s), 7.48(1H,s)
Mass(EI) m/z : 423.0956 (MH, C20H24N3O2S1계산치 : 423.0938)
실시예 33)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플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139-140℃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4(3H,s), 3.40(4H,t), 3.83(3H,s), 4.25(4H,t), 6.70(1H,s), 7.13(3H,m), 7.37(2H,m)
실시예 34)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5%
융점: 115-116℃
1H NMR(500MHz, CDCl3): δ 2.21(3H,s), 2.24(3H,s), 3.18(4H,t), 3.83(3H,s), 4.09(4H,t), 6.69(1H,s), 7.05(2H,m), 7.33(1H,s), 7.41(2H,m)
실시예 35)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3(3H,s), 3.14(4H,t,J=5.0Hz), 3.82(3H,s), 3.88(3H,s), 4.06(4H,tJ=5.0Hz), 6.69(1H,s), 6.94(3H,m), 7.30(1H,s), 7.40(1H,s)
실시예 36) 1-[(4,5-다이페닐-2-메톡시메틸)아미노티오카르보닐)-4-(2-메틸티오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메틸티오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136-137℃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6(3H,s), 2.45(3H,s), 3.33(4H,t), 3.82(3H,s), 4.39(4H,t), 6.74(1H,s), 7.16(3H,m), 7.47(2H,m)
실시예 37)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7%
융점: Decomposed(200℃)
1H NMR(500MHz, CDCl3): δ 2.17(3H,s), 2.23(3H,s), 3.14(4H,t), 3.82(3H,s), 4.03(3H,t), 6.37(2H,m), 6.47(1H,d), 6.69(1H,s), 7.13(1H,t), 7.45(1H,s)
실시예 38)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페녹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페녹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6%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2.17(3H,s), 2.24(3H,s), 3.19(4H,t), 3.80(3H,s), 3.85(4H,t), 6.66(1H,s), 6.91(2H,m), 6.98(1H,m), 7.05(3H,m), 7.13(1H,m), 7.23(1H,m), 7.31(2H,m), 7.36(1H,s)
실시예 39)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이소프로펜일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이소프로펜일페닐) 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5%
융점: 157-158℃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1(3H,s), 2.24(3H,s), 3.19(4H,t), 3.82(3H,s), 4.05(4H,t), 5.07(1H,s), 5.16(1H,s), 6.69(1H,s), 7.11(3H,m), 7.33(1H,s), 7.45(1H,s)
실시예 40)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2-메톡시-5-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2-메톡시-5-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23(3H,s), 2.29(3H,s), 3.13(4H,t), 3.83(3H,s), 3.85(3H,s), 4.05(4H,t), 6.69(1H,s), 6.83(2H,m), 7.30(1H,s), 7.40(1H,s)
실시예 41)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1-나프틸)피페라진
페닐 N-(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1-나프틸)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융점: 139-140℃
1H NMR(500MHz, CDCl3): δ 2.23(3H,s), 2.24(3H,s), 3.21(4H,t), 3.84(3H,s), 4.09(4H,t), 6.70(1H,s), 7.10(1H,d), 7.48(5H,m), 7.85(1H,m), 8.22(1H,d)
실시예 42)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1%
융점: 103-105℃
1H NMR(500MHz, CDCl3): δ 2.54(3H,s), 2.59(3H,s), 3.27(4H,t), 3.70(4H,t), 3.79(6H,s), 3.94(3H,s), 6.13(3H,m), 6.70(1H,s), 7.05(1H,s), 8.72(1H,s)
실시예 43)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8%
융점: 140-142℃
1H NMR(500MHz, CDCl3): δ 2.30(3H,s), 2.54(3H,s), 2.59(3H,s), 3.26(4H,t), 3.70(4H,t), 3.97(3H,s), 6.61(3H,m), 6.70(1H,s), 7.06(1H,s), 8.72(1H,s)
실시예 44)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8%
융점: 170-172℃
1H NMR(500MHz, CDCl3): δ 2.54(3H,s), 2.59(3H,s), 3.32(4H,t), 3.74(4H,t), 3.94(3H,s), 6.69(1H,s), 6.86(3H,m), 7.04(1H,s), 8.69(1H,s)
실시예 45)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2그램, 0.47밀리몰)을 무수 에탄올(15밀리리터)에 녹이고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17.3밀리그램)을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6%
융점: 152-154℃
1H NMR(500MHz, CDCl3): δ 1.41(3H,d), 2.32(3H,s), 3.27(4H,t), 3.71(4H,t), 3.79(6H,s), 3.87(3H,s), 5.04(1H,q), 6.10(3H,m), 6.63(1H,s), 7.01(1H,s), 8.22(1H,s)
실시예 46)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6%
융점: 140-142℃
1H NMR(500MHz, CDCl3): δ 1.48(3H,d), 2.33(3H,s), 3.26(4H,t), 3.68(4H,t), 3.87(3H,s), 5.06(1H,q), 6.61(3H,m), 6.64(1H,s), 7.01(1H,s), 8.22(1H,s)
실시예 47) 1-[(2-메톡시-4-메틸-5-바이닐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2그램, 0.47밀리몰)을 클로로포름(15밀리리터)에 녹이고 피리디움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0.12그램, 0.47밀리몰)을 가하고 1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다.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하고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융점: 163-165℃
1H NMR(500MHz, CDCl3): δ 2.31(3H,s), 3.23(4H,t), 3.58(4H,t), 3.77(6H,s), 3.87(3H,s), 5.20(1H,d), 5.62(1H,d), 6.59(3H,m), 6.63(1H,s), 6.88(1H,t), 6.99(1H,s), 8.32(1H,s)
실시예 48) 1-[(2-메톡시-4-메틸-5-바이닐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4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2%
융점: 201-203℃
1H NMR(500MHz, CDCl3): δ 2.29(6H,s), 2.34(3H,s), 3.24(4H,t), 3.68(4H,t), 3.87(3H,s), 5.22(1H,d), 5.66(1H,d), 6.59(3H,m), 6.63(1H,s), 6.86(1H,t), 7.02(1H,s), 8.32(1H,s)
실시예 49)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2%
융점: 163-165℃
1H NMR(500MHz, CDCl3): δ 2.16(3H,s), 2.56(3H,s), 3.35(4H,t), 3.91(6H,s), 4.03(3H,s), 4.13(4H,t), 6.06(3H,m), 6.73(1H,s), 8.62(1H,s)
실시예 50)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9%
융점: 180-182℃
1H NMR(500MHz, CDCl3): δ 2.29(6H,s), 2.57(6H,s), 3.32(4H,t), 3.92(3H,s), 4.12(4H,t), 6.56(3H,m), 6.72(1H,s), 7.39(1H,s), 8.63(1H,s)
실시예 51)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티오카바메이트와 1-(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9%
융점: 201-203℃
1H NMR(500MHz, CDCl3): δ 2.20(3H,s), 2.57(3H,s), 3.46(4H,t), 3.92(3H,s), 4.25(4H,t), 6.64(1H,s), 6.88(3H,m), 7.72(1H,s), 8.57(1H,s)
실시예 52)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4%
융점: 146-148℃
1H NMR(500MHz, CDCl3): δ 1.44(3H,d), 2.32(3H,s), 3.35(4H,t), 3.78(6H,s), 3.84(3H,s), 4.11(4H,t), 5.06(1H,q), 6.13(3H,m), 6.66(1H,s), 7.41(1H,s), 7.77(1H,s)
실시예 53)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3%
융점: 150-152℃
1H NMR(500MHz, CDCl3): δ 1.44(3H,d), 2.29(6H,s), 2.32(3H,s), 3.30(4H,t), 3.84(3H,s), 4.07(4H,t), 5.06(1H,q), 6.61(3H,m), 6.66(1H,s), 7.38(1H,s), 7.79(1H,s)
실시예 54) 1-{[5-(1-하이드록시에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
1-[(5-아세틸-2-메톡시-4-메틸페닐)아미노티오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7%
융점: 166-168℃
1H NMR(500MHz, CDCl3): δ 1.45(3H,d), 2.33(3H,s), 3.35(4H,t), 3.84(3H,s), 4.03(4H,t), 5.07(1H,q), 6.68(3H,m), 6.83(1H,s), 7.37(1H,s), 7.82(1H,s)
실시예 55) 에틸 2-({[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테이트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2그램, 0.5밀리몰)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15밀리리터)에 녹이고 소디움하이드 라이드(18.5밀리그램, 0.5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83.5밀리그램, 0.5밀리몰)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9%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1.36(3H,t), 2.15(3H,s), 2.23(3H,s), 2.91(4H,t), 3.22(4H,t), 3.82(6H,s), 4.12(3H,s), 4.18(2H,s), 5.98(3H,m), 6.69(1H,s), 7.03(1H,s)
실시예 56) 에틸 2-({[4-(3,50다이메틸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테이트
1-[(4,5-다이메틸-2-메톡시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5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8%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1.26(3H,t), 1.56(6H,s), 2.17(3H,s), 2.24(3H,s), 3.32(4H,t), 3.52(4H,t), 3.82(3H,s), 4.15(2H,q), 4.18(2H,s), 6.70(3H,m), 6.94(1H,s), 7.46(1H,s)
실시예 57) 2-({[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트산
에틸 2-({[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테이트(200밀리그램, 0.41밀리몰)을 다이옥산:증류수=4:1(15밀리리터)에 녹이고, 리튬하이드록사이드 수화물(50.7밀리그램, 1.23밀리몰)을 가한 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노르말-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건조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관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2)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융점: 188-189℃
1H NMR(500MHz, CDCl3): δ 2.14(3H,s), 2.23(3H,s), 2.93(4H,t), 3.35(4H,t), 3.75(6H,s), 3.87(3H,s), 4.18(2H,s), 5.96(3H,m), 6.71(1H,s), 7.71(1H,s)
실시예 58) 2-({[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트산
에틸 2-({[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지노]카르보닐}-2-메톡시-4,5-다이메틸아닐리노)아세테이트를 실시예 5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8%
융점: 170-171℃
1H NMR(500MHz, CDCl3): δ 2.13(3H,s), 2.24(9H,s), 2.91(4H,t), 3.35(4H,t), 3.83(3H,s), 4.18(2H,s), 6.45(3H,m), 6.70(2H,s), 6.80(1H,s)
실시예 59) 1-[(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59-a) 4,5-다이메틸-2-니트로페놀
3,4-다이메틸페닐(12.1그램, 0.1몰)에 트리플로로아세트산(250밀리리터)를 가하고, 수조에서 아질산나트륨(12.4그램, 0.18몰)을 서서히 가한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다. 감압 농축하여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제거하고, 물(150밀리리터)를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관 크로마트그래피의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1H NMR(500MHz, CDCl3): δ 2.23(3H,s), 2.29(3H,s), 6.93(1H,s), 7.84(1H,s)
(59-b) 4,5-다이메틸-2-하이드록시아닐린
4,5-다이메틸-2-니트로페놀(11.7그램, 0.07몰)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밀리리터)와 에탄올(40밀리리터)를 가하고, 10%, 팔라듐/활성탄소(0.57그램)을 서서히 가하여, 5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을 시킨다. 같은 방법으로 반응을 종결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77%
1H NMR(500MHz, CDCl3): δ 2.11(6H,s), 6.56(2H,s)
(59-c) 페닐 N-(4,5-다이메틸-2-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4,5-다이메틸-2-하이드록시아닐린(6.80그램, 0.05몰)에 메틸렌클로라이드(100밀리리터)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페닐클로로포메이트(8.0그램, 0.05몰)를 서서히 가한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150밀리리터)를 가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92%
1H NMR(500MHz, CDCl3): δ 2.17(6H,s), 6.74(1H,s), 7.15(5H,m), 7.31(1H,s)
(59-d) 페닐 N-[2-(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4,5-다이메틸페닐]카바메이트
페닐 N-(4,5-다이메틸-2-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7.72그램, 0.03몰)와 이미다졸(2.2그램, 33밀리몰)에 메틸렌클로라이드(100밀리리터)를 가하고, 교반하면서 t-부틸다이메틸실릴클로라이드(5.0그램, 33밀리몰)을 서서히 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한다. 물(150밀리리터)를 가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83%
1H NMR(500MHz, CDCl3): δ 0.27(6H,s), 0.98(9H,s), 2.17(6H,s), 7.12(5H,m), 7.30(2H,s)
(59-e) 1-[(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
페닐 N-[2-(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4,5-다이메틸페닐]카바메이트(0.17그램, 0.5밀리몰)와 1-(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0.13그램, 0.6밀리몰)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DBU(0.09그램, 0.6밀리몰)를 가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으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87%
융점: 145-146℃
1H NMR(500MHz, CDCl3): δ 2.14(3H,s), 2.18(3H,s), 3.26(4H,t), 3.67(4H,t), 3.79(6H,s), 6.07(3H,m), 6.40(3H,m), 6.67(1H,s), 6.82(1H,s), 8.87(1H,s)
실시예 60) 1-[(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
페닐 N-(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59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84%
융점: 160-162℃
1H NMR(500MHz, CDCl3): δ 2.13(3H,s), 2.17(3H,s), 2.31(6H,s), 3.26(4H,t), 3.75(4H,t), 6.73(3H,m), 6.81(1H,s), 8.86(1H,s)
실시예 61) 1-[(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59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80%
융점: 152-154℃
1H NMR(500MHz, CDCl3): δ 2.17(3H,s), 2.20(3H,s), 3.30(4H,t), 3.70(4H,t), 6.40(3H,m), 6.70(1H,s), 6.82(1H,s), 6.98(1H,s)
실시예 62) 1-[(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
페닐 N-(2-하이드록시-4,5-다이메틸페닐)카바메이트와 1-(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을 실시예 59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77%
융점: 오일상
1H NMR(500MHz, CDCl3): δ 2.15(3H,s), 2.20(3H,s), 3.32(4H,t), 3.69(4H,t), 6.29(3H,m), 6.69(1H,s), 6.81(1H,s), 8.65(1H,s)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항암 약리 활성을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암 활성은 in vitro 법에 의하여 5가지의 Human tumor cell line와 2가지의 leukemia tumor cell line을 사용하여 각각 시험하는데,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in vitro test 방법은 다음과 같다.
*Human tumor cell lines에 대한 in vitro 항암효과
가. Tumor cell line : A549 (human non-small lung cell)
SOV-3 (human ovarian)
HCT-15 (human colon)
XF-498 (human CNS)
SKMEL-2 (human melanoma)
나. 실험방법 (SRB Assay Method)
a. Human solid tumor cell lines 인 A549(non-small lung cell), SKMEL-2(melanoma), HCT-15(colon), SKOV-3(ovarian), XF-498(CNS)등은 10% FBS가 포함된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incubator에서 배양 하였으며 계대는 1주일에 1-2회 실시하였다. 세포들은 부착면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0.25% Trysin 및 3mM CDTA PBS(-)에 녹인 용액을 사용하였다.
b. 96 well plate(Nunc)의 각 well에 5×103-2×104cells을 가하여 37℃, 5% CO2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 각종 약물들은 소량의 DMSO에 녹여 시험에 원하는 농도까지 실험용 배지로서 희석하여 최종 DMSO 농도는 0.5%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d. 상기 b. 항의 24시간 배양시킨 각 well의 배지를 모두 aspiration하여 제거한 후, c. 항에서 제조한 약물들을 각 well에 200㎕씩 가한 후 48시간 배양하였다. 약물을 가하는 시점에서 Tz(Time zero) plate를 Collection하였다.
e. Tz plates 및 각 배양이 끝난 plate는 SRB assay방법에 TCA에 의한 cell fixing, 0.4%, SRB 용욕으로 staining, 1% acetic acid로써 washing을 실시한 후 10mM Tris용액으로 dye를 elution시켜 520nM에서 OD 값을 측정하였다.
다. 결과 계산
a. 약물을 가하여 배양을 시작하는 시간에 collection하여 SRB protein양의 값을 구하여 Time zero(Tz)로 하였다.
b. 약물을 가하지 않고 세포만 있던 well의 OD 값을 control value(C)라 하였다.
c. 약물을 처리한 well의 OD 값을 drug-treated test value(T)라 하였다.
d. Tz, C와 T로부터 growth stimulation, net growth inhibition 및 net killing 등으로 약물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었다.
e. 만약 T≥Tz일 경우에는 그 cellular response function은 100×(T-Tz)/(C-Tz)이며, TTz 일 경우에는 100×(T-Tz)/Tz로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1989).
2)L.V.Rubinstein, R.H.Shoemaker, K.D.Paull, R.M.Simon, S.Tosini, P.Skehan
D.Scudiero, A.Monks and M.R.Boyd. ; J.Natl. Cancer Inst., 82, 1113 (1990)
3)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07 (1990)
라. 결과
본 발명의 모든 화합물들은 in vitro 실험에서 대조약물인 Cisplatin과 Adriamyci n보다 5개의 고형암세포실험에서 월등한 항암효과가 관찰되었다.
[표 1]
실험예 2)
* 동물 leukemia cell에 대한 in vitro 항암효과
가. 실험재료
Tumor Cell Lines : Ll210 (mouse leukemia cell)
P388 (mouse의 lymphoid neoplasma cell)
나. 실험방법 (Dye Exclusion Assay)
1) 10% FBS를 포함한 RPMI 1640배지에서 배양하고 있는 L1210 및 P388 cells를 1×106cells/ml의 농도로 조절하였다.
2) Log dose로 희석된 각 농도의 약물을 각각 가하고 37℃, 5%, CO2incubator에서 배양하여 48시간에 viable cell number를 측정하였다. viable cell number는 typan blue를 이용하여 dye execlusion test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3) 측정된 cell number로부터 control에 비하여 50% cell growth inhibition을 나타내는 각 compound의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1989).
2)L.V.Rubinstein, R.H.Sheomaker, K.D.Paull, R.M.Simon, S.Tosini, P.Skehan
D.Scudiero, A.Monks and M.R.Boyd. ; J.Natl. Cancer Inst., 82, 1113 (1990)
3)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07 (1990)
다.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L1210, P.388 mouse leukemia cell에 대한 항암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실시예에서 대조약물 Mitomycin C보다 동등이상의 항암효과를 보였다.
[표2]
실험예 3)
* Mouse P388세포에 대한 in vivo 항암 효과 실험
가. 실험재료
BDF1 mouse를 사용하였다.
나. 실험방법
1) 6주령 BDF1 mouse 8마리를 한군으로 하여 DBA/2 mouse에서 계대중인 P388세포를 각각의 mouse에 1×106cell/0.1ml씩 복강에 이식하였다.
2) 시험약물은 0.5% Tween 80에 현탁시켜 day 1, 4, 8의 시간별로 각각의 농도로서 복강내의 주사하였다.
3) Mouse를 매일 관찰하면서 생존률을 측정하고 각 실험군의 median survival time으로부터 대조군에 대한 투여군의 평균 생존일의 증가된 비율(T/C%)을 계산하여 항암효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표에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A. Goldin et al: Europ. J. Cancer, 17, 129(1981)
다. 결과
P388 mouse cancer cell을 이용한 in vivo실험을 통하여 2번 3번등의 발명물질들의 항암효과 유의성이(T/C125%)이 관찰되었다.
[표 3]
실험예 4)
* 급성 독성실험(LD50)
가. 실험방법: 리치필드-윌콕슨 방법
6주령된 ICR 마우스(수컷 30±2.0g)을 구입하여 실험전에 실온 23±1℃, 습도 60±5%의 조건에서 고형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 시켰다. 실험동물을 군당 6마리씩 사용하여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4일간 외견상태와 생사여부를 기록하였고, 폐사동물은 부검하여 육안적으로 병변을 관찰하였다. LD50값을 리치필드-윌콕슨법에 의해 구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급성독성에 있어서 Cisplatin이나 Adriamycin보다 안전성이 월등하여 투약량의 제한, 독성에 있어서 선행기술의 화합물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상당한 수준까지 극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Claims (2)

  1. 다음의 일반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식중 R1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8의 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원-6원의 사이클릭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8의 불포화알킬기, 케톤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티오에스테르기, 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르복시기, 에폭시드, 또는 R1및 R2가 함께 탄소수 3-4의 불포화 또는 포화된 환을 형성하며,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C1-C4의 저급에스테르기, C1-C4의 저급알킬기, C3-C8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3-6원의 사이클로알킬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저급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저급알킬아미노기, 또는 저급알킬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바메이트기이며 또는 R3, R4, R5, R6및 R7중 두개의 인접한 그룹이 서로 결합하여 페닐렌환 또는 나프틸렌환이 형성되며,
    X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민기이며,
    Z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시기, C1-C2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티오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 질소원자 1 내지 5개까지를 함유할 수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환상아민기이다.
  2. 다음의 일반구조식 (6)의 화합물에 R8을 도입하는 알킬, 아릴화제와 반응시켜서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X, Z은 전술한 바와 같다.
KR1019970023193A 1996-06-29 1997-06-04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19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193A KR100197111B1 (ko) 1996-09-18 1997-06-04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HU9903870A HUP9903870A3 (en) 1997-06-04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T97930868T ATE241600T1 (de) 1996-06-29 1997-06-28 Piperaz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09/029,660 US6028195A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L97325341A PL325341A1 (en) 1996-06-29 1997-06-28 Derivatives od piperazine and method of obtaining them
CZ98593A CZ59398A3 (cs) 1996-06-29 1997-06-28 Piperazinové deriváty a způsob jejich přípravy
PCT/KR1997/000128 WO1998000402A1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SK275-98A SK27598A3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RU98105684A RU2146254C1 (ru) 1996-06-29 1997-06-28 Производные пиперазина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EP97930868A EP0850222B1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NZ329847A NZ329847A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B971908001A CN1152015C (zh) 1996-06-29 1997-06-28 新哌嗪衍生物及其制造方法
DE69722360T DE69722360T2 (de) 1996-06-29 1997-06-28 Piperaz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U34642/97A AU713171B2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R1998/00371T TR199800371T1 (xx)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t�revleri ve bunlar�n haz�rlanma prosesi.
JP10504004A JP3032303B2 (ja) 1996-06-29 1997-06-28 ピペラ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CA002230960A CA2230960C (en) 1996-06-29 1997-06-28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IN2140DE1997 IN187298B (ko) 1996-09-18 1997-07-31
NO19980856A NO311616B1 (no) 1996-06-29 1998-02-27 Piperazinderivater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derav
BG102286A BG102286A (en) 1996-06-29 1998-02-27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60040596 1996-09-18
KR101996040596 1996-09-18
KR96-40596 1996-09-18
KR1019970023193A KR100197111B1 (ko) 1996-09-18 1997-06-04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43A true KR19980024043A (ko) 1998-07-06
KR100197111B1 KR100197111B1 (ko) 1999-06-15

Family

ID=2663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193A KR100197111B1 (ko) 1996-06-29 1997-06-04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841A (ko) * 2000-06-15 2001-12-22 주정호 항암제로서 유용한 n-치환된 피페라지닐우레아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KR100342947B1 (ko) * 1997-04-30 2002-08-22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제초활성 아릴피페라진아미드 유도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947B1 (ko) * 1997-04-30 2002-08-22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제초활성 아릴피페라진아미드 유도체
KR20010112841A (ko) * 2000-06-15 2001-12-22 주정호 항암제로서 유용한 n-치환된 피페라지닐우레아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711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738B1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U699619B2 (en) New piperazine derivativ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0850222B1 (en)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197111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20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143B1 (ko)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19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18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9356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7230105B2 (en)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000059570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22106B1 (ko) 피페라진 n-옥사이드 유도체
KR0162710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RU212600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перазин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KR20000060059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1873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552B1 (ko)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U2002238760B2 (en) Antiproliferative agents
TW575564B (en)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020111491A1 (en)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U191585B (en) Process for producing tetramethyl-proline-3-carboxamide derivatives and new cardiotherapeu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XPA98001658A (en) Derivatives of piperazin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m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