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52B1 -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52B1
KR100731552B1 KR1020000066253A KR20000066253A KR100731552B1 KR 100731552 B1 KR100731552 B1 KR 100731552B1 KR 1020000066253 A KR1020000066253 A KR 1020000066253A KR 20000066253 A KR20000066253 A KR 20000066253A KR 100731552 B1 KR100731552 B1 KR 10073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ower alkyl
acid
ylamino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203A (ko
Inventor
조의환
정순간
이순환
권호석
강동욱
주정호
오정완
Original Assignee
삼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5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 C07D21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cridine or hydrogenated acrid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C07D219/08Nitrogen atoms
    • C07D219/10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I)로 표시되는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항암효과가 탁월하고, 독성이 극히 적은 새로운 항암제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0023554452-pat00001
(I)
상기식에 R', R''는 C1∼C4의 저급알킬기이며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다.
Z는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 ∼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 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항암제, 아미노아크리딘

Description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I)로 표시되는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조식 (I)의 화합물은 항암효과가 탁월하고, 독성이 극히 적은 새로운 항암제이다.
Figure 112000023554452-pat00002
(I)
상기식에 R', R''는 C1∼C4의 저급알킬기이며,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Z는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 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C1 ∼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C1∼C4의 저급알킬기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등과 같은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알콕시기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기를 의미한다.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란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부틸아민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에 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여 왔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 그 산부가염들이 탁월한 항암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극히 적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탁월한 항암효과를 가지며 독성이 적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약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여 여러 종류의 종양 예방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I)과 반응하여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무기, 유기산, 아미노산 또는 설폰산이며,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등과 같은 무기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석신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말론산 등과 같은 유기산;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리진, 아르기닌, 파이로신, 프롤린 등과 같은 아미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탁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트라가칸트 고무, 메틸셀룰로오스, 소디움카르복실메틸셀루로오스, 아가, 알지닌산,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그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오렌지엣센스, 딸기엣센스, 바닐라향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의 상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질병 정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일일 1mg 내지 500mg을 일회 내지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은 다음의 반응식1 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1]
Figure 112000023554452-pat00003
(I)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 R', R'', X, Z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반구조식 (a), (b)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 통상의 유기용매하에서 반응시켜 일반구조식 (I)의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한다.
이 반응은 통상의 유기용매, 예를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피리딘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통상의 유기용매중에서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등과 같은 탈수축합제 및 무기산, 유기산등과 같은 통상의 산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구조식 (a), (b)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J. Med. Chem., 1995, 38, 3226, PCT/KR99/00787)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또한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반응은 3oC 내지 용매의 비점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5oC 내지 50oC에서 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산의 사용량은 1∼1.5당량, 바람직하게는 1∼1.1당량을 사용한다.
[실시예]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번호 R' R'' R1 R2 R3 R4 R5 X Z
1 H CH2CH3 H H H H H O OCH3
2 H CH2CH3 H CH3 H CH3 H O OCH3
3 H CH2CH3 H OCH3 H OCH3 H O OCH3
4 H CH2CH3 H F H F H O OCH3
5 H CH2CH3 H Cl H Cl H O OCH3
6 H CH2CH3 H F H H H O OCH3
7 H CH2CH3 H OH H H H O OCH3
8 H CH2CH3 H OCH3 OCH3 OCH3 H O OCH3
9 H CH2CH2CH3 H OCH3 H OCH3 H O OCH3
10 H CH2CH2CH3 H CH3 H CH3 H O OCH3
11 H CH3 H OCH3 H OCH3 H S OCH3
12 H CH2CH3 H OCH3 H OCH3 H S OCH3
13 H CH2CH2CH3 H OCH3 H OCH3 H S OCH3
14 H CH2CH3 H CH3 H CH3 H S OCH3
15 2-CH3 CH2CH3 H CH3 H CH3 H O OCH3
16 3,4-CH3 CH2CH3 H CH3 H CH3 H O OCH3

실시예 1
4-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 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메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6-메톡시-5-[(4-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니코티닉산(6.48그램, 1.24밀리몰)에 피리딘(30밀리리터) 부가 후, DCC(0.26g, 1.24밀리몰), DMAP(0.15그램, 1.24밀리몰)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 후,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68.2%
융점 : 218∼220℃
1H NMR(DMSO-d6) : 1.20(3H,t), 1.38(3H,d), 2.79(2H,q), 3.19(4H,m), 3.61(4H,m), 3.96(3H,s), 4.45(2H,s), 4.53(1H,m), 6.50(1H,m), 6.85(1H,t), 7.01(4H,d), 7.28(4H,m), 7.62(4H,m), 8.00(3H,d), 8.51(1H,d), 9.97(1H,s)
실시예 2
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52.3%
융점 : 205∼207℃
1H NMR(DMSO-d6) : 1.20(3H,t), 1.38(3H,d), 2.79(2H,q), 3.19(4H,m), 3.59(4H,m), 3.75(6H,s), 3.96(3H,s), 4.45(2H,s), 4.53(1H,m), 5.18(1H,m), 6.03(1H,s), 6.14(2H,s), 6.48(1H,s), 7.01(2H,m), 7.30(3H,m), 7.56(3H,m), 7.96(2H,d), 8.18(1H,m), 8.50(1H,d), 9.95(1H,s)
실시예 3
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9.1%
융점 : 231∼233℃
1H NMR(DMSO-d6) : 1.13(3H,t), 1.38(3H,d), 2.12(1H,s), 2.79(2H,q), 3.19(4H,m), 3.59(4H,m), 3.75(6H,s), 3.96(3H,s), 4.46(2H,s), 4.53(1H,m), 5.19(1H,m), 6.03(1H,s), 6.15(2H,s), 6.50(1H,s), 7.04(2H,m), 7.32(2H,s), 7.60(4H,m), 7.96(1H,s), 8.00(1H,s), 8.25(1H,m), 8.51(1H,d), 9.97(1H,s)
실시예 4
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플로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8.7%
융점 : 202∼204℃
1H NMR(DMSO-d6) : 1.20(3H,t), 1.38(3H,d), 2.78(2H,q), 3.30(4H,m), 3.59(4H,m), 3.96(3H,s), 4.45(2H,s), 4.53(1H,m), 5.20(1H,s), 6.54(2H,m), 6.69(2H,d), 7.09(2H,m), 7.33(2H,s), 7.61(4H,m), 7.94(1H,s), 8.04(1H,s), 8.25(1H,s), 8.51(1H,d), 9.99(1H,s)
실시예 5
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 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7.8%
융점 : 184∼186℃
1H NMR(DMSO-d6) : 1.20(3H,t), 1.38(3H,d), 2.79(2H,q), 3.32(4H,m), 3.59(4H,m), 3.96(3H,s), 4.46(2H,s), 4.54(1H,m), 5.18(1H,s), 6.45(1H,s), 6.92(1H,s), 7.02(3H,s), 7.34(3H,m), 7.50(3H,m), 7.94(1H,s), 8.04(1H,s), 8.22(1H,m), 8.50(1H,m), 9.96(1H,s)
실시예 6
4-(3-플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플로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53.4%
융점 : 208∼210℃
1H NMR(DMSO-d6) : 1.16(3H,t), 1.48(3H,d), 2.80(2H,q), 3.09(4H,s), 3.48(4H,m), 3.96(3H,s), 4.34(2H,s), 4.81(1H,m), 6.41(1H,m), 6.53(3H,m), 6.86(1H,m), 6.98(2H,m), 7.15(1H,m), 7.17(2H,m), 7.38(3H,m), 7.86(3H,m), 8.35(1H,m), 9.49(1H,s)
실시예 7
4-(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1.9%
융점 : 207∼209℃
1H NMR(DMSO-d6) : 1.21(3H,t), 1.49(3H,d), 2.81(2H,q), 3.18(4H,m), 3.60(4H,m), 4.02(3H,s), 4.52(2H,s), 4.75(1H,m), 6.41(3H,m), 6.67(1H,s), 7.06(2H,m), 7.16(2H,m), 7.24(1H,s), 7.35(1H,s), 7.47(1H,d), 7.58(2H,m), 7.86(2H,m), 8.08(2H,d), 8.36(1H,s), 9.55(1H,s)
실시예 8
4-(3,4,5-트리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4,5-트리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4.3%
융점 : 205∼207℃
1H NMR(DMSO-d6) : 1.23(3H,t), 1.50(3H,d), 2.81(2H,q), 3.76(3H,s), 3.83(6H,s), 4.05(3H,s), 4.54(2H,s), 4.73(1H,m), 6.75(2H,m), 7.20(2H,m), 7.37(1H,s), 7.41(1H,s), 7.50(1H,d), 7.66(2H,m), 7.88(2H,m), 8.09(1H,s), 8.14(2H,m), 8.48(1H,s), 9.01(1H,s), 9.77(1H,s)
실시예 9
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2-메톡시-6-프로필피리딘-3-일)-아마이드
2-프로필-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1.2%
융점 : 220∼222℃
1H NMR(DMSO-d6) : 0.88(3H,t), 1.38(3H,d), 1.68(2H,m), 2.76(2H,q), 3.19(4H,m), 3.59(4H,m), 3.75(6H,s), 3.95(3H,s), 4.45(2H,s), 4.54(1H,m), 5.19(1H,s), 6.04(1H,s), 6.15(2H,s), 6.50(1H,s), 7.04(2H,m), 7.31(2H,s), 7.59(4H,m), 7.98(3H,d), 8.25(1H,m), 8.50(1H,d), 9.56(1H,s)
실시예 10
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2-메톡시-6-프로필피리딘-3-일)-아마이드
2-프로필-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2.3%
융점 : 195∼197℃
1H NMR(DMSO-d6) : 0.88(3H,t), 1.38(3H,d), 1.67(2H,m), 2.25(6H,s), 2.76(2H,m), 3.15(4H,m), 3.36(6H,s), 3.59(4H,m), 3.95(3H,s), 4.45(2H,s), 4.54(1H,m), 5.19(1H,m), 6.49(2H,s), 6.62(2H,s), 7.05(2H,m), 7.31(2H,s), 7.58(3H,m), 7.96(3H,d), 8.23(1H,m), 8.50(1H,d), 9.96(1H,s)
실시예 11
N-{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6-메톡시-2-메틸니코딘아마이드
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메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58.2%
융점 : 181∼183℃
1H NMR(DMSO-d6) : 1.40(3H,d), 2.54(3H,s), 3.28(4H,m), 3.75(6H,s), 3.90(3H,s), 4.07(4H,m), 4.45(2H,s), 4.55(1H,m), 5.18(1H,m), 6.03(1H,s), 6.15(2H,s), 6.49(1H,m), 7.03(2H,m), 7.31(3H,m), 7.60(2H,m), 7.67(2H,m), 8.25(2H,m), 8.52(1H,d), 9.08(1H,s), 9.99(1H,s)
실시예 12
N-{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에틸-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에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3.9%
융점 : 177∼179℃
1H NMR(DMSO-d6) : 1.20(3H,t), 1.43(3H,d), 2.82(2H,m), 3.19(2H,m), 3.29(2H,m), 3.79(6H,s), 3.93(3H,s), 4.12(4H,m), 4.38(1H,m), 4.45(1H,m), 4.60(1H,m), 6.25(1H,s), 6.58(3H,d), 7.08(3H,m), 7.45(2H,m), 7.84(6H,m), 8.34(1H,m), 8.72(1H,s), 9.77(1H,s)
실시예 13
N-{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6-메톡시-2-프로필니코틴아미이드
5-{[4-(3,5-다이메톡시-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프로필-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6.5%
융점 : 168∼170℃
1H NMR(DMSO-d6) : 0.90(3H,t), 1.38(3H,d), 1.69(2H,m), 2.83(2H,m), 3.28(4H,m), 3.75(6H,s), 3.91(3H,s), 4.13(4H,m), 4.46(2H,s), 4.55(1H,m), 6.03(1H,s), 6.15(2H,s), 6.53(1H,s), 7.08(3H,m), 7.31(2H,s), 7.60(3H,m), 7.66(2H,m), 7.76 ∼8.35(2H,m), 8.53(1H,d), 9.07(1H,s), 9.99(1H,s)
실시예 14
N-{1-[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에틸-6-메톡시니코틴아마이드
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티오닐]-아미노-2-메틸-6-메톡시-니코티닉산과 N-[3-(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2-아미노프로판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47.7%
융점 : 198∼200℃
1H NMR(DMSO-d6) : 1.21(3H,t), 1.41(3H,d), 2.30(6H,s), 2.82(2H,q), 3.17(2H,m), 3.27(2H,m), 3.90(3H,s), 4.07(4H,m), 4.32(2H,s), 4.45(1H,m), 4.60(1H,m), 6.25(1H,s), 6.58(3H,d), 7.08(3H,m), 7.45(2H,m), 7.84(6H,m), 8.34(1H,m), 8.72(1H,s), 9.77(1H,s)
실시예 15
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6-에틸-5-{1-[3-하이드록시메틸-5-(2-메틸아크리딘-9-일아미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 산과 2-아미노-N-[3-하이드록시메틸-5-(2-메틸-아크리딘-9-일아미노)-페닐]-프 로피온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51.3%
융점 : 164∼166℃
1H NMR(DMSO-d6) : 1.18(3H,t), 1.52(3H,d), 2.05(1H,s), 2.17(2H,m), 2.22(1H,s), 2.28(6H,s), 2.82(2H,m), 3.10(4H,m), 3.63(4H,m), 4.00(3H,s), 4.42(2H,s), 4.85(1H,m), 6.51(3H,m), 6.56(1H,s), 7.00(3H,m), 7.43(2H,m), 7.78(4H,m), 8.48(1H,m), 9.53(1H,s)
실시예 16
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 산 (5-{1-[3-(3,4-다이메틸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카바모일]-에틸카바모일}-6-에틸-2-메톡시피리딘-3-일)아마이드
2-에틸-5-{[4-(3,5-다이메틸페닐)-피페라진-1-카보닐]-아미노}-6-메톡시-니코티닉 산과 2-아미노-N-[3-(3,4-다이메틸-아크리딘-9-일아미노)-5-하이드록시메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상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53.9%
융점 : 176∼178℃
1H NMR(DMSO-d6) : 1.21(3H,t), 1.52(3H,d), 2.28(6H,s), 2.39(3H,s), 2.74(3H,s), 2.83(2H,q), 3.05(4H,m), 3.48(4H,m), 3.99(3H,s), 4.30(2H,s), 4.89(1H,m), 6.41(1H,m), 6.49(2H,s), 6.56(1H,s), 6.85(1H,m), 7.05(4H,m), 7.54(1H,m), 7.73(1H,m), 7.92(2H,m), 8.42(1H,s), 9.31(1H,s)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항암 약리 활성을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암 활성은 시험관 내 (in vitro)법에 의하여 5가지의 인간 종양 세포주(Human tumor cell lines)를 2가지의 P388 쥐 백혈병 종양 세포주(mouse leukemia tumor cell lines)를 사용하여 각각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관 내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시험관 내 항암효과
가. 종양 세포주 : A549 (인간 비소 폐 세포)
SKOV-3 (인간 난소)
HCT-15 (인간 대장)
XF-498 (인간 중추신경계)
SKMEL-2 (인간 흑색종)
나. 실험방법 (SRB Assay Method)
a. 인간 고형 종양 세포주 인 A549(비소 폐 세포), SKMEL-2 (흑색종), HCT-15(대장), SKOV-3(난소), XF-498(중추신경계)등은 10% FBS가 포함된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여 37oC,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계대는 1주일에 1-2회 실시하였다. 세포들은 부착면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0.25% 트립신 및 3mM CDTA PBS(-)에 녹인 용액을 사용하였다.
b. 96 웰 플레이트 (Nunc)의 각 웰에 5×103-2×104 세포수로 가하여 37oC,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 각종 약물들은 소량의 DMSO에 녹여 시험에 원하는 농도까지 실험용 배지로서 희석하여 최종 DMSO 농도는 0.5%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d. 상기 b. 항의 24시간 배양시킨 각 웰의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c. 항에서 제조한 약물들을 각 웰에 200㎕씩 가한 후 48시간 배양하였다. 약물을 가하는 시점에서 Tz(Time zero) 플레이트를 회수하였다.
e. Tz 플레이트 및 각 배양이 끝난 플레이트는 SRB 분석방법에 TCA에 의한 세포혼합, 0.4% SRB 용액으로 염색, 1% 아세트산으로서 세척을 실시한 후 10mM 트리스용액으로 염색시약를 희석시켜 520nM에서 OD 값을 측정하였다.
다. 결과 계산
a. 약물을 가하여 배양을 시작하는 시간에 회수하여 SRB 단백질양의 값을 구하여 초기 시간(Tz)으로 하였다.
b. 약물을 가하지 않고 세포만 있던 웰의 OD 값을 대조값(C)이라 하였다.
c. 약물을 처리한 웰의 OD 값을 시약-처리 시험값(T)이라 하였다.
d. Tz, C와 T로부터 성장촉진, 성장저해 및 사멸 등으로 약물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었다.
e. 만약 T
Figure 112005063339744-pat00004
Tz일 경우에는 그 세포 반응식은 100×(T-Tz)/(C-Tz)이며, T<Tz 일 경우에는 100×(T-Tz)/Tz로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 (1989).
2)L.V.Rubinstein, R.H.Shoemaker, K.D.Paull, R.M.Simon, S.Tosini, P.Skehan, D.Scudiero, A.Monks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13 (1990)
3)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07 (1990)
라. 결과
대조약물인 시스플라틴보다 동등이상의 항암효과가 인체 고형암에서 관찰되었다.
표 1
ED50=㎍/㎖
실시예 번호 A 549 SK-OV-3 SK-MEL-2 XF-498 HCT 15
2 0.12 0.12 0.01 0.18 0.19
3 0.12 0.19 0.03 0.18 0.13
16 0.08 0.14 0.02 0.09 0.07
9 0.24 0.19 0.15 0.15 0.15
시스플라틴 0.81 0.71 0.71 0.77 3.03
실험예 2
* 동물 백혈병 세포에 대한 시험관 내 항암효과
가. 실험재료
종양 세포주 : P388 (쥐의 림프종 세포)
나. 실험방법 (색소 배재법)
1) 10% FBS를 포함한 RPMI 1640배지에서 배양하고 있는 P388 세포를 1×106 세포수/ml의 농도로 조절하였다.
2) 로그 방식으로 희석된 각 농도의 약물을 각각 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48시간에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수는 트립판 블루를 이용하여 색소 배재법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3) 측정된 세포수로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50% 세포 성장 저해를 나타내는 각 화합물의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1)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 (1989).
2)L.V.Rubinstein, R.H.Shoemaker, K.D.Paull, R.M.Simon, S.Tosini, P.Skehan, D.Scudiero, A.Monks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13 (1990)
3)P.Skehan, R.Strong, D.Scudiero, A.Monks, J.B.Mcmahan, D.T.Vistica, J.Warren, H.Bokesch, S.Kenney and M.R.Boyd. ; J. Natl. Cancer Inst., 82, 1107 (1990)
다.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P388 쥐 백혈병 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조약물 미토마이신 C보다 동등이상의 항암효과를 보였다.
표 2
실시예 번호 P388
2 0.3
3 1.0
9 0.4
16 0.3
4 0.9
미토마이신 1.1
실험예 3
1. 마우스 생체내(P388) 항암효과
가. 종양 세포주 : P388 (쥐의 림프종세포)
나. 실험방법 (색소 배재법)
a. 10% FBS를 포함한 RPMI 1640배지에서 배양하고 있는 P388 세포를 1×106 세포수/ml의 농도로 조절하였다.
b. 로그 방식으로 희석된 각 농도의 약물을 각각 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48시간에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수는 트립판블루를 이용하여 색소 배재법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c. 측정된 세포수로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50% 세포 성장 저해를 나타내는 각 화합물의 농도(lC50)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2. 쥐 백혈병 P388에 대한 생체 내 (in vivo)약효검색
1) 실험재료
가. 종양 세포주 : 쥐 백혈병 P388
P388 세포는 DBA/2 쥐의 복강에서 계대 유지하였다.
나. 실험동물 : BDF1 (DBA/2 × C57BL)
DBA/2
2) 실험방법
가. 6주령 BDF1 쥐 8마리를 한군으로 하여 DBA/2 쥐에서 계대중인 P388세포를 각각의 쥐에 1×106세포수/0.1ml씩 복강에 이식하였다.
나. 시험약물은 0.5% 트윈 80에 현탁시켜 1, 5, 9일이나 매일 9일마다 시간별로 각각의 농도로서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다. 쥐를 매일 관찰하면서 생존률을 측정하고 각 실험군의 중간 생존 기간으로부터 대조군에 대한 투여군의 평균 생존일의 증가된 비율(T/C%)을 계산하여 항암효과를 판정하였다.
표 3
실시예 번호 투여량 (㎎/㎏) MST (days) T/C (%)
2 100 50 25 22.0 >60.0 >60.0 200.0 >545.5 >545.5
3 100 50 25 11.0 >60.0 17.0 100.0 >545.5 154.5
P388 마우스 암을 이용한 마우스 생체내 실험에서 본 화합물들의 항암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항암 효과 판단 기준이 T/C(%) 값이 125 이상일 경우를 비교해 보면 SJ-계열의 본 화합물의 우수한 항암 효과가 관찰되었다. 최대 545.5% 이상의 생존율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화합물들은 P388 마우스 종양세포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항암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4
* 급성 독성실험(LD50)
가. 실험방법: 리치필드-윌콕슨 방법
6주령된 ICR 마우스(수컷 30±2.0g)를 구입하여 실험전에 실온 23±1℃, 습도 60±5%의 조건에서 고형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실험동물을 군당 6마리씩 사용하여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4일간 외견상태와 생사여부를 기록하였고, 폐사동물은 부검하여 육안적 병변을 관찰하였다. LD50값을 리치필드-윌콕슨법에 의해 구하였다.
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급성독성에 있어서 대조약물 시스플라틴 보다 안전성이 월등하여 투약량의 제한, 독성에 있어서 선행기술의 화합물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상당한 수준까지 극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실시예 번호 LD50(㎎/㎏)
i.p. i.v.
2 80
3 80
시스플라틴 9.7
본 발명은 항암제인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항암효과가 탁월하고 독성이 극히 적은 항암제이므로, 부작용 및 거부반응이 훨씬 줄어들 것이다.

Claims (2)

  1. 다음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Figure 112006095379418-pat00005
    (I)
    상기식에서 R', R''는 C1∼C4의 저급알킬기이며,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Z는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고,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2. 다음의 일반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다음의 일반구조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수 축합제, 무기산 또는 유기산 존재하에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서 다음 일반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6095379418-pat00006
    Figure 112006095379418-pat00007
    (a) (b)
    Figure 112006095379418-pat00008
    (I)
    상기식에서 R', R''는 C1∼C4의 저급알킬기이며, X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며, Z는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고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C1∼C4의 저급알콕시기, C1∼C4의 저급알킬기, C1∼C4의 저급알킬아민기이다.
KR1020000066253A 2000-11-08 2000-11-08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53A KR100731552B1 (ko) 2000-11-08 2000-11-08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53A KR100731552B1 (ko) 2000-11-08 2000-11-08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03A KR20020036203A (ko) 2002-05-16
KR100731552B1 true KR100731552B1 (ko) 2007-06-22

Family

ID=1969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253A KR100731552B1 (ko) 2000-11-08 2000-11-08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053A (ko) 2022-10-05 2024-04-15 주식회사 딥하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553A (en) 1984-06-18 1986-03-11 Bristol-Myers Company Antitumor m-AMSA analog
JPH02286661A (ja) * 1989-04-25 1990-11-26 Sumitomo Pharmaceut Co Ltd 9―アミノアクリジン誘導体
KR20000040525A (ko) * 1998-12-18 2000-07-05 최승주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553A (en) 1984-06-18 1986-03-11 Bristol-Myers Company Antitumor m-AMSA analog
JPH02286661A (ja) * 1989-04-25 1990-11-26 Sumitomo Pharmaceut Co Ltd 9―アミノアクリジン誘導体
KR20000040525A (ko) * 1998-12-18 2000-07-05 최승주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1060A (ko) * 1998-12-18 2001-05-15 최승주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203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738B1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2978967B2 (ja) 新規ピペラ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BG60531B2 (bg) Специфични алкилиращи средства
SK27598A3 (en) Piperaz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731552B1 (ko)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7230105B2 (en)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9045437B2 (en) 2-aryl-4-quinazolinones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0395143B1 (ko) 9-아미노아크리딘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581B1 (ko)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개선된 신규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RU2269524C2 (ru) Производные 9-аминоакридина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0162710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A2228595C (en) Novel water-soluble c-ring analogues of 20 (s)-camptothecin
KR20000059356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19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18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197111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4320B1 (ko)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22106B1 (ko) 피페라진 n-옥사이드 유도체
KR20000059570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1873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0059A (ko) 피페라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469778B1 (ko) 디스타마이신유도체,이의제조방법,및항종양성및항바이러스성제제로서의이들의용도
US6620936B2 (en)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NZ535791A (en)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