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726U -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726U
KR19980023726U KR2019960037114U KR19960037114U KR19980023726U KR 19980023726 U KR19980023726 U KR 19980023726U KR 2019960037114 U KR2019960037114 U KR 2019960037114U KR 19960037114 U KR19960037114 U KR 19960037114U KR 19980023726 U KR19980023726 U KR 19980023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rake
sensor
controller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37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726U/ko
Publication of KR19980023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72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조향 핸들(17)에 매설된 핸들 파지압 센서(3), 차체 내부 전방의 훼이서 패널(29)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인체감지 센서(5),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7), 상기 파지압 센서(3), 인체감지 센서(5), 차속센서(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수단에 제어명령을 보내는 컨트롤러(9), 이 컨트롤러(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출력부(11) 및, 주차 브레이크(15)의 회전축(33)과 결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31)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3)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주행중 또는 주정차중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또는 졸음운전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못하여 자동차가 경사진 곳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질 때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하여 더 이상의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주행중 또는 주정차중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또는 졸음운전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을 정상적으로 조작하지 못하여 자동차가 경사진 곳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보급 대수는 급속도로 증대되는 반면에 도로 확장율은 답보 상태에 있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에는 자정 이후를 제외한 전시간대에 결쳐 전지역에서 교통체증이 일어나며, 더욱이 출퇴근 시간대의 시내 중심가는 주차장을 방불케할 정도로 차가 밀린다. 또한, 차량폭주로 충분한 주차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이면도로나 주택가 소로할 것없이 도로변에 빈틈없이 자동차가 주차해 있는 것은 이제 당연시 할 정도로 흔한 일이 되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면서 정차 상태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었고, 따라서 주행중일 때보다 졸음에 빠져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주차를 하고자할 때 유료주차장이 없는 경우라면 여유있고 안정적인 주차공간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았으며 따라서, 가파른 언덕길에도 빈 공간이 있다면 주차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통 체증으로 인해 운전자가 자동차 주행중에 언덕길과 같이 경사가 가파른 길에서 자동차를 정지시켰을 때 졸음 운전 상태이거나 또는 부주의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을 불완전하게 조작하게 되면, 자동차는 자체의 중량으로 언덕의 경사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언덕길에 자동차를 주차시켜 놓고 운전자가 차를 떠났을 때 주차 브레이크를 완벽하게 작동시키지 않았거나, 경사도가 매우 가파른데도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과 동시에 차량 바퀴 밑부분에 쐐기를 끼워놓지 않으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언덕길의 경사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자동차가 주정차해있을 때 노면의 경사로 인해 전후방으로 미끄러질 경우 이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제안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자동차가 언덕길에 정차해있을 경우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운전으로 인해 노면의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며, 자동차를 언덕길에 주차시켜 놓은 채로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날 경우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하게 작동시키지 않거나 또는 차륜에 쐐기를 끼워놓지 않아 자동차가 앞뒤로 미끄러질 때에도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차를 정지시켜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조향 핸들에 매설된 핸들 파지압 센서, 차체 내부 전방의 훼이서 패널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인체감지 센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상기 파지압 센서, 인체감지 센서, 차속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수단에 제어명령을 보내는 컨트롤러, 이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출력부 및, 주차 브레이크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파지압 센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지압 센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인체감지 센서의 장착상태를 도시 한 개락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주차 브레이크를 도시한 개략 측면 도.
도 6은 도 5의 주차 브레이크의 기어드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 파지압 센서
5 : 인체감지 센서 7 : 차속센서
9 : 컨트롤러 11 : 경고음 출력부
13 : 기어드 모터 15 : 주차 브레이크
17 : 조향핸들 23 : 압전 센서
31 : 브레이크 케이블 33 : 회전축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차체의 여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단위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단위 부품들로서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향 핸들(17)에 매설된 핸들 파지압 센서(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체 내부 전방의 훼이서 패널(29)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CCD 카메라와 같은 인체감지 센서(5) 및,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속센서(7) 등과 같은 감지수단이 있으며, 이들 감지수단들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통합하여 출력수단으로 제어신호를 보내는 컨트롤러(9)와, 이 컨트롤러(9)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음 출력부(11) 및 도 5에 도시된 주차 브레이크(15) 케이블 권취용 기어드 모터(13)로 이루어진 출력수단이 있다.
이들 단위부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핸들 파지압 센서(3)는 조향핸들(17)의 좌·우측 핸들림(19)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핸들림(19)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파지압 센서(3)는 신축관(21)으로 둘러싸여져 있으며, 그 안쪽에 압전 센서(23)가 내장되어 있다. 이 압전 센서(23)는 신축관(21)의 내주면 상측과 하측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2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압전 센서(23)의 양쪽으로 스프링(27)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인체감지 센서로 사용되는 CCD 카메라(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카메라(5)는 차량의 훼이서 패널(29)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어 차량 내부에 운전자 등 탑승자가 있는 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끝으로, 본 고안의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를 적용한 주차 브레이크(15)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주차 브레이크(15)는 브레이크 케이블(31)이 권취되는 장착핀 자리에 기어드 모터(13)와 결합된 회전축(33)이 끼워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기존에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와 마찬가지로 중앙 하단에 고정 장착된 래칫(37)을 구비한 레버 몸체(35)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레버 몸체(35)가 회전핀(39)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할수 있도록 장착되는 래칫판(41)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가 가파른 언덕길에 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 브레이크 장치(1)의 온 오프 스위치(43)를 온시키면 장치(1)는 작동모드에 있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부주의로 주차 브레이크(15)의 조작을 확실하게 해두지 않았거나 언덕길의 경사도가 심한데도 차륜에 쐐기를 끼워두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로부터 멀어져 관리가 곤란하게 되었을 때 자동차가 자체의 무게로 인해 미끄러지게 되면, 차속 센서(7)에서 CCD 카메라(5)에 의해 탑승자가 없는 주차 상태임을 확인한 컨트롤러(9)에서 릴레이(45)를 통해 주차 브레이크(15)의 기어드 모터(13)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 된다. 이렇게 되면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15)를 조작하지 않아도 회전축(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브레이크 케이블(31)을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후차륜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1)의 온오프 스위치(43)가 온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언덕길에 정차해있을 경우 운전자의 조향핸들(17) 파지력이 부주의나 졸음으로 인해 약해지거나 없어지면 도 3에 도시된 스프링(27)이 반발하면서 압전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9)에 감압신호를 보낸다. 이와 동시에 타이머(47)가 작동하여 감압신호의 발생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게 되며, 신호 출력후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감압신호가 멈추지 않으면 컨트롤러(9)는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고있지 않거나 졸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경보음 출력부(11)에 경보음 발생 신호를 보낸다.
경보음이 발생한 후에도 계속해서 감압신호가 멈추지 않으면 컨트롤러(9)로부터 릴레이(45)를 거쳐 기어드 모터(13)에 작동신호가 입력된다. 이렇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주차상태에서의 미끄럼 방지시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케이블(5)이 끌어당겨져 후차륜의 브레이크가 작동함으로써 자동차가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가 언덕길에 정차해 있을 때 운전자가 졸음 등으로 인해 운전에 집중을 못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정확하게 조작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운전자의 부주의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하거나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며, 자동차를 언덕길에 주차시켜 놓은 채로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날 경우 주차 브레이크가 풀리더라도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 작동함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 및 자동차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수단에 제어명령을 보내는 컨트롤러(9) 및 상기 컨트롤러(9)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조향 핸들(17)에 매설된 핸들 파지압 센서(3), 차체 내부 전방의 훼이서 패널(29)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인체감지 센서(5) 및,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컨트롤러(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출력부(11) 및 주차 브레이크(15)의 회전축(33)과 결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31)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압 센서(3)는 핸들림(19)에 형성된 개구부를 둘러싸는 신축관(21), 상기 신축관(21)의 내부에 브라켓(25)으로 고정되어 있는 압전센서(23) 및, 상기 압전센서(23)의 양쪽에 상하 압축되도록 종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27)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5)는 CCD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자동차에 있어서, 조향 핸들(17)에 매설된 핸들 파지압 센서(3), 차체 내부 전방의 훼이서 패널(29)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인체감지 센서(5),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용 차속센서(7), 상기 파지압 센서(3), 인체감지 센서(5), 차속센서(7)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수단에 제어명령을 보내는 컨트롤러(9), 상기 컨트롤러(9)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출력부(11) 및 주차 브레이크(15)의 회전축(33)과 결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31)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는 기어드 모터(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9960037114U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23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114U KR19980023726U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114U KR19980023726U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726U true KR19980023726U (ko) 1998-07-25

Family

ID=5398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114U KR19980023726U (ko) 1996-10-31 1996-10-31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7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78B1 (ko) * 2002-10-04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비상제동 제어장치
KR2015013760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만도 제동 시스템 및 주차시 제동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78B1 (ko) * 2002-10-04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비상제동 제어장치
KR20150137605A (ko) * 2014-05-30 2015-12-09 주식회사 만도 제동 시스템 및 주차시 제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7282A (en)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946821B2 (ja) 補助ステップの安全装置
KR20130045698A (ko) 경사로 주차 안전장치
KR20140107041A (ko) 경사로 주차 안전을 위한 차량의 자동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23726U (ko) 자동차의 미끄럼 방지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FR278995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autorisation de demarrage d'un vehicule
KR100428091B1 (ko) 자동차용 주차안전시스템
JPH1148819A (ja) 自動車の安全装置
KR100552766B1 (ko) 차량의 자동 조향 시스템
JPS62210161A (ja) 車両用の駐車ブレ−キシステム
FR2945991A1 (fr) Dispositif d'affichage de signaux de securite pour un vehicule et destine au vehicule suiveur.
JPH0521465Y2 (ko)
JP2002178895A (ja) ゴルフカート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960015702B1 (ko) 오르막 내리막길에서의 자동차 안전주차 점검방법 및 장치
KR101221732B1 (ko) 노면의 상태에 따라 주차 보조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187432B1 (ko) 자동차의 접촉사고 방지장치
KR200155440Y1 (ko) 차량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장치
JP2005170134A (ja) 車両の停車支援装置
KR20090010377U (ko) 차량용 주차 안전 장치
JP2517749Y2 (ja) 坂道発進補助装置
KR19980022004A (ko) 자동 파킹 브레이킹 장치
JPH11198780A (ja) 車両用駐車ブレーキの安全装置
JP3505437B2 (ja) ゴルフカート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JPH04114857U (ja) 駐車ブレーキの安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