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599A -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599A
KR19980022599A KR1019960041785A KR19960041785A KR19980022599A KR 19980022599 A KR19980022599 A KR 19980022599A KR 1019960041785 A KR1019960041785 A KR 1019960041785A KR 19960041785 A KR19960041785 A KR 19960041785A KR 19980022599 A KR19980022599 A KR 1998002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elay unit
air
air pressu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599A/ko
Publication of KR1998002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99A/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가 펑크를 조기에 발견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타이어(T)에 주입된 공기와 접촉되는 지점에 소정의 홈부(1)가 형성된 휠(W)과;각 휠(W)에 형성된 홈부(1) 내에 장착되며, 각 타이어(T)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공기압 센서(10)(20)(30)(40)와; 각 공기압 센서(10)(20)(30)(40)에 접속되며, 각 공기압 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릴레이부(200)와; 릴레이부(200)에 접속되며, 릴레이부(20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B)이 연결되어 점등되는 경보 표시등(100)을 구비함으로써, 펑크난 타이어를 조기에 발견하여, 타이어 표면의 과다한 마모현상을 방지하고, 펑크난 타이어에 의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될 경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경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타이어의 펑크 알려주는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Sensing Device of Flat Tire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는 휠과 함께 차의 전중량을 분담 지지하고, 구동 및 제동시의 토오크, 노면으로 부터의 충격 및 선회할 때의 원심력 등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은 타이어는 크게 타이어의 내부에 튜브가 있는 타이어와, 튜브가 없는 타이어로 나눌 수 있는데, 근래에는 주로 튜브없는 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튜브없는 타이어가 튜브있는 타이어보다 못 등에 찔려도 공기가 급격히 새지 않으며, 펑크가 났을 경우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튜브없는 타이어를 사용할 경우, 타이어와 결합되는 휠에 변형이 발생되면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새어 나갈 수 있는데, 이때, 공기의 누출이 서서히 진행될 경우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자동차를 계속 운행하여 타이어 표면에 심한 마모를 야기시키고, 나아가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누출되면 자동으로 경보 표시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타이어가 펑크를 조기에 발견하여 펑크난 타이어에 의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중 공기압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공기압 센서, 11: 탄성부재, 12: 뜨개, 13: 리미트 스위치, 100: 릴레이부, 200:경보 표시등, T: 타이어, W: 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타이어에 주입된 공기와 접촉되는 지점에 소정의 홈부가 형성된 휠과;상기 각 휠에 형성된 홈부 내에 장착되며, 각 타이어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공기압 센서와; 상기 각 공기압 센서에 접속되며, 각 공기압 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에 접속되며, 릴레이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어 점등되는 경보 표시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펑크난 타이어가 없을 경우에는 공기압 센서로 부터 릴레이부의 코일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없고, 따라서, 릴레이부의 스위치단자가 오프 상태이므로 경보 표시등은 소등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공기압 센서가 장착된 타이어에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면, 그 공기압 센서로 부터 릴레이부의 코일측으로 전압이 인가되고, 따라서, 상기 전원의 전압이 릴레이부의 스위치단자를 통하여 경보 표시등에 연결됨으로써, 경보 표시등을 점등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의 블럭 구성도로서, 공기압 센서(10)(20)(30)(40), 릴레이부(200), 경보 표시등(100) 및 전원(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공기압 센서(10)(20)(30)(40)는 4륜의 승용차의 각 휠(W)에 결합된 타이어(T) 내부에 각각 장착되며, 각 타이어(T) 내부의 공기압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센서이다.
이러한 공기압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타이어(T)에 주입된 공기와 접촉되는 휠(W)의 표면에 홈부(1)를 형성시키고, 이 홈부(1)의 내부에 탄성부재(11), 뜨개(12) 및 리미트 스위치(13)를 장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뜨개(12)는 상기 홈부(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부(1)의 내부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1)는 상기 홈부(1)의 하부와 상기 뜨개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뜨개(12)에 홈부(1)의 외부로 향하는 탄성력을 인가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11)는, 정상적으로 일정공기가 주입된 타이어내부의 공기에 의해 상기 뜨개에 인가되는 압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탄성부재(11)에 의한 탄성력과 타이어(T) 내부의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뜨개가 홈부(1)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플로팅(floating)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3)는, 상기 홈부(1)의 상단면, 즉 플로팅 되는 상기 뜨개(12)의 상부에 장착되는데, 이 리미트 스위치(13)의 입력단에는 전원(도시생략)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뜨개(12)가 홈부(1)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면 이 리미트 스위치(13)에 접촉되어, 리미트 스위치(13)의 출력단에 입력단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는 1개의 타이어(T)내에 장착된 공기압 센서(1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4륜 구동 자동차의 경우, 나머지 3개의 타이어(T) 내에도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는 공기압 센서(20)(30)(40)가 장착된다.
상기 릴레이부(20)의 코일측에는 상기 공기압 센서(10)(20)(30)(40)내의 각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되며, 릴레이부(200)의 스위치단자의 일단은 전원(B)에 접속되며, 타단은 상기 경보 표시등(100)에 접속되어진다. 따라서, 릴레이부(200)의 코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B)의 전압이 스위치단자를 통하여 상기 경보 표시등(100)에 인가됨으로써, 경보 표시등(100)을 점등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타이어(T) 내부의 공기압이 정상상태일 때에는, 상기 각 타이어내의 각 뜨개에 인가되는 탄성력과 공기압이 평형상태를 이룸으로 각 뜨개는 홈부(1)의 내부에서 플로팅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각 리미트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가 지속되어 릴레이부(200)의 코일측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없음으로 경보 표시등(100)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리고, 공기압 센서(10)가 장착된 타이어(T)에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면, 뜨개(12)에 인가되는 공기압이 탄성력보다 작아짐으로,뜨개(12)가 공기압에 대항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리미트 스위치(13)와 접촉하게된다. 이 리미트 스위치(13)의 접촉에 의하여 리미트 스위치(13)의 입력단에 연결된 전원의 전압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릴레이부(200)의 코일측에 인가된다. 따라서, 전원(B)의 전압이 릴레이부(200)의 스위치단자를 통하여 경보 표시등(100)에 연결됨으로써, 경보 표시등(100)을 점등시킨다. 이러한 경보 표시등(100)은 운전자가 용이하게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인스트러먼트 판넬상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공기압 센서(10)가 장착된 타이어(T)에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그 외의 공기압 센서(20)(30)(40)가 장착된 타이어(T)에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상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경보 표시등(100)이 점등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에 의하여 펑크난 타이어를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타이어 표면의 과다한 마모현상을 방지하고, 펑크난 타이어에 의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각 타이어에 주입된 공기와 접촉되는 지점에 소정의 홈부가 형성된 휠과;상기 각 휠에 형성된 홈부 내에 장착되며, 각 타이어 내부 공기의 압력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공기압 센서와; 상기 각 공기압 센서에 접속되며, 각 공기압 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에 접속되며, 릴레이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이 연결되어 점등되는 경보 표시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센서는,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뜨개와; 상기 홈부의 하부와 뜨개 사이에 장착되며, 정상인 타이어내의 공기에 의해 상기 뜨개에 인가되는 공기압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탄성력을 상기 뜨개에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릴레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홈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
KR1019960041785A 1996-09-23 1996-09-23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KR1998002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85A KR19980022599A (ko) 1996-09-23 1996-09-23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85A KR19980022599A (ko) 1996-09-23 1996-09-23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99A true KR19980022599A (ko) 1998-07-06

Family

ID=6652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785A KR19980022599A (ko) 1996-09-23 1996-09-23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1880A1 (en) Automobile flat tires/blowout alert system
KR19980022599A (ko) 시트 벨트 강제 이동장치
KR100331421B1 (ko) 차량의 타이어 상태 표시장치
KR20070110573A (ko)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타이어 결함 감지방법 및 그감지장치
KR100521173B1 (ko)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장치
KR19980044914U (ko) 타이어 압력감지장치
KR19990052349A (ko)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KR20000001076U (ko) 자동차의 타이어 상태 검출장치
KR19980063413U (ko) 차량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 검사장치
KR19980047437U (ko) 차량용 타이어의 교체시기 알림장치
KR20030028261A (ko) 주행중 타이어 펑크시 안전장치
KR19980039100U (ko) 자동차 타이어압 감지장치
KR19980056284A (ko) 자동차의 타이어 펑크 경고 장치
KR19980027146A (ko) 자동차용 타이어펑크 알림장치
KR19980031878U (ko) 타이어상태 표시장치
KR19980013949U (ko) 자동차용 타이어 자동 공기주입장치
KR980007115U (ko) 자동차 타이어 마모 검출장치
KR0146585B1 (ko) 자동차타이어의 펑크감지장치
KR19990027794A (ko) 차량의 타이어압력 검출장치
KR19980030071A (ko)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압 검출장치
KR970034026A (ko)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상태 경고 장치
KR19980074743A (ko) 차량의 타이어 마모 경보장치
KR19980067490U (ko) 타이어 공기압 검사 장치
KR19980039431U (ko) 센서를 이용한 타이어 공기압 표시장치
KR19990001407U (ko) 자동차 타이어 펑크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