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312A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2312A KR19980022312A KR1019960041418A KR19960041418A KR19980022312A KR 19980022312 A KR19980022312 A KR 19980022312A KR 1019960041418 A KR1019960041418 A KR 1019960041418A KR 19960041418 A KR19960041418 A KR 19960041418A KR 19980022312 A KR19980022312 A KR 199800223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ircase
- unit steel
- steel
- stair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로서 시공되는 건출물의 상하층 수직동선을 연결하여 주는 철골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측단에 대향되는 1쌍의 경사측벽판(10a)들을 가지며 그 경사측벽판(10a)들 사이에 직각을 이루는 단(10b)이 상하로 연속 형성되는 계단장(10)과, 상기 계단장(10) 양측의 경사측벽판(10a)들 상하부 끝부분에서 각기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측벽판(20a)(30a)들과 그 수평측벽판(20a)(30a)들과 직각으로 맞대어지는 수평막이판(20b)(30b)의 내부에 바닥판(20c)(30c)들을 형성하여서 된 상,하부계단참(20)(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 들의 양측 끝부분에서 각기 일직선상의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에 단차지는 걸침부(22)(32)을 형성하여서 된 거치판(21)(31)들을 부착 고정하며,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판(21)(31)들의 내면 일정위치에 결착고정되는 브라켓(23)(33)에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24)(34)들을 구비하여서 되는 유니트 철골계단 및, a) 계단받침 설치단계과, b) 유니트 철골계단 양중단계와, c) 유니트 철골계단의 거치단계와, d) 유니트 철골계단의 위치조정단계와, e) 유니트 철골계단 고정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되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설치방법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 유니트 철골계단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니트 철골계단의 거치부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판이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판이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유니트 철골계단의 단계별 설치공정을 예시한 사시도
도 6a는 유니트 철골계단을 지지하는 계단받침 설치단계의 사시도
도 6b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양중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거치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d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위치조정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e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고정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유니트 철골계단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계단장 20,30 : 상,하부 계단참 21,31 : 거치판
22,32 : 걸침부 22,32 : 브라켓 22a,32a : 걸림고리
22b,32b : 미끄럼방지턱 24,34 : 높이조절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로서 시공되는 건출물의 상하층 수직동선을 연결하여 주는 철골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골계단의 설치시에 요구되는 부속수단을 구비하여서 설치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에는 상하층 수직동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계단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계단은 좁은 공간내에서 상하층 슬라브와 연결되도록 시공되어야 하는 관계로 슬라브나 벽체와 같은 구조물과는 달리 작업조건이 까다로운 구조물로서 인식되어 있다.
최근에 신축되는 대부분의 고층건축물은 철골구조물로서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 시공상의 변화에 부응하여 슬라브의 수직동선을 연결하여 주는 계단을 철골로서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도록 제작조립된 유니트 철골계단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유니트 철골계단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양측단에 대향되는 1쌍의 경사측벽판들을 가지며 그 경사측벽판들 사이에 직각을 이루는 단이 상하로 연속형성되는 계단장과, 상기 계단장 양측 경사측벽판들의 상하부 끝부분에서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측벽판들과 그 각각의 수평측벽판들과 직각으로 맞대어지는 수평막이판의 내부에 바닥판들을 형성하여서 되는 상,하부계단참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유니트 철골계단을 타워크레인과 같은 양중장비로서 양중시켜서 기시공된 슬라브에 확보된 계단통으로 이동시킨 후에, 유니트 철골계단의 상부계단참부분은 상부 층간슬라브를 받쳐주는 철골보의 상부면에 수평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하부계단참 부분은 상하층 슬라브 사이의 계단통에 조립 설치된 계단받침에 수평으로 고정시켜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니트 철골계단은 계단장과 상,하부계단참을 하나의 단위체로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전의 철근콘크리트 계단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은 사실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리나, 이러한 종래의 유니트 철골계단은 그 자체에 설치작업시 요구되는 부속수단이 배려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그 유니트 철골계단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즉, 첫째, 유니트 철골계단을 양중장비로서 양중시켜서 슬라브의 철골보와 상하층 슬라브 사이의 계단통에 설치되는 계단받침에 위치시킨 후에, 가접합작업과 고정작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양중장비를 지원하게 되어 고가인 양중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둘째, 유니트 철골계단은 정밀하게 설치되지 못하면 이후의 후속공정을 수행하는데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정밀한 위치고정작업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슬라브의 철골보와 상하층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보는 정확한 수평상태를 기대할 수 없어, 유니트 철골계단의 높이 및 수평상태를 정밀하게 맞추어 고정하는데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요구되는 만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셋째, 유니트 철골계단을 양중장비로서 양중한 상태로 그 유니트 철골계단의 위치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에서 양중장비와 작업자 상호간의 유기적인 협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작업인윈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은 유니트 철골계단의 상,하계단참에 거치판과 함께 높이조절구를 구비하여서, 첫째, 양중장비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여서 양중장비 운영상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며, 둘째, 유니트 철골계단을 미세조정하여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시공을 보장하여 주며, 셋째, 계속적인 양중장비의 지원없이 인력으로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넷째, 유니트 철골계단 설치에 따른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꾀하여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주는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측단에 대향되는 1쌍의 경사측벽판(10a)들을 가지며 그 경사측벽판(10a)들 사이에 직각을 이루는 단(10b)이 상하로 연속 형성되는 계단장(10)과, 상기 계단장(10) 양측의 경사측벽판(10a)들 상하부 끝부분에서 각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측벽판(20a)(30a)들과 그 수평측벽판(20a)(30a)들과 직각으로 맞대어지는 수평막이판(20b)(30b)의 내부에 바닥판(20c)(30c)들을 형성하여서 된 상,하부계단참(20)(30)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니트 철골계단(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들의 양측 끝부분에서 각기 일직선상의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에 단차지는 걸침부(22)(32)를 형성하여서 된 거치판(21)(31)들을 부착 고정하며,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판(21)(31)들의 내면 일정위치에 걸착고정되는 브라켓(23)(33)에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24)(34)들을 구비하여서 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유니트 철골계단(1)의 설치작업시에 요구되는 부속수단들이 배려되어 있지 못하여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유니트 철골계단(1)은 도 6에 도시되는 양중장치(6)로서 양중시켜서 그 상부계단참(20)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거치판(21)으로는 상층 슬라브(2)의 철골보(3)에 얹혀지도록 하고, 그 하부계단참(3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거치판(31)으로는 상하층 슬라브(2) 사이의 계단통(4)에 설치되는 계단받침(5)의 계단보(5b)에 얹혀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니트 철골계단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니트 철골계단(1)이 안치된 후에는 상,하부계단참(20)(30) 각각의 거치판(21)(31) 내측의 브라켓(23)(33)에 결착되는 높이조절구(24)(34)를 조절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1)의 높이와 수평상태를 미세하게 조정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1)을 보다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니트 철골계단(1)을 이루는 계단장(10)과, 그 계단장(10)의 상하부에 수평하게 연결 형성되는 상,하부계단참(20)(30)들의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예를 적용한 것이며, 이러한 계단장(10)과 상,하부계단참(20)(30)들의 구성은 다른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의 양측단에 각기 부착 고정되는 거치판(21)(31)들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서 연장되는 하단을 단차지도록 하여서 걸침부(22)(32)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거치판(21)(31)들은 상,하부계단참(20)(30)의 양측단에 각기 용접접합으로 부착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볼트접합으로 고정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거치판(21)(31)들의 내면에 각기 부착 고정되는 브라켓(23)(33)들은 대략 L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형강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23)(33)들은 거치판(21)(31)에 직각으로 대접시켜 부착 고정하여 돌출된 수평면의 중앙에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높이조절구(24)(34)들로서 유니트 철골계단(1)의 높이와 수평상태를 미세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각기 부착 고정되는 거치판(21)(31)들 각각의 걸침부(22)(32) 하단의 끝부분에서 직각으로 하향절곡 형성되는 걸림고리(22a)(32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니트 철골계단(1)이 거치된 상태에서 완전하게 정착 고정되기 이전에 돌발적인 충격이나 하중에 의하여 거치판(21)(31)들이 철골보(3)나 계단받침(5)의 계단보(5a)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각기 부착고정되는 거치판(21)(31)들 각각의 걸침부(22)(32)의 내측 꺾임부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턱(22b)(32b)을 형성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1)이 안치된 상태에서 완전하게 정착 고정되기 이전에 돌발적인 충격이나 하중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리면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본 발명의 유니트 철골계단(1)의 설치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유니트 철골계단을 지지하는 계단받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것으로, 먼저 상층 슬라브(2)는 유니트 철골계단(1)이 설치되는 위치의 계단통(4)상의 철골보(3)부분이 노출되도록 선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시공된 상하층 슬라브(2) 사이에 지지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1쌍의 계단기둥(5a)과 그 계단기둥(5a)의 중간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한 계단보(5b)로서 조립되는 계단받침(5)을 설치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계단받침(5)의 상부는 철근콘크리트타설된 상층 슬라브(2)에 접지되도록 하되 그 계단받침(5)의 하부는 하층슬라브(2)의 상부면에 접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도 6b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양중단계를 나타낸 것이며, 제작된 유니트 철골계단(1)을 경인와이어로서 양중장치(6)에 연결 결박하고, 양중장치(6)를 작동하여서 설정된 상층 슬라브(2) 사이의 계단통(4)으로 양중시켜 준다.
도 6c는 유니트 철골 거치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양중장치(5)로서 상하층 슬라브(2) 사이의 계단통(4)에 위치된 상태인 유니트 철골계단(1)의 상부계단참(20)은 상하층 슬라브(2)에 노츨된 철골보(3)예 거치판(21)으로서 거치시키고, 그 하부계단참(30)은 슬라브(2) 사이의 계단통(4)에 설치된 계단받침(5)의 계단보(5b)에 거치판(31)으로서 거치시켜서 된다.
이때, 양중장비(6)는 유니트 철골계단(1)이 거치되는 것과 동시에 지원을 종료하고 다른 양중작업을 지원하게 되어 양중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6d는 유니트 철골계단(1)의 위치조정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니트 철골계단(1)이 상층 슬라브(2)의 철골보(3)와 상하층 슬라브(2) 사이의 계단통(4)에 설치된 계단받침(5)에 수평하게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계단참(20)의 거치판(21)에 브라켓(23)으로서 결착된 높이조절구(24)와, 그 하부계단참(30)의 거치판(31)에 브라켓(33)으로서 결착된 높이조절구(34)를 각기 상하로 조절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1) 전체의 높이와 수평상태를 정밀하게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유니트 철골계단(1)의 위치조정단계를 수행할 때에, 상,하부계단참(20)(30)에 구비된 높이조절구(24)(34)로서 양중장비의 지원없이도 인력으로 미세조정이 가능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1)을 보다 정밀하게 위치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e는 유니트 철골계단(1)의 고정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유니트 철골계단(1)을 위치조정한 상태에서, 상부계단참(20) 양측단의 거치판(21)들과 상층 슬라브(Z)의 철골보(3) 상호간을 정착철물(A)로서 연결 접합하여서 고정시키고, 그 하부계단참(30) 양측단의 거치판(31)들과 슬라브(2)들 사이에 설치된 계단받침(5)의 계단보(5b) 상호간을 정착철물(A)로서 연결 접합하여 고정시켜서 유니트 철골계단(1)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유니트 철골계단(1)은 계단통(4)을 기준으로 상향되게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후에 다른 유니트 철골계단(1)을 하향지게 설치하여서 전체적으로 U턴형의 건축물 계단으로서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계단받침(5)은 슬라브(2)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1쌍의 계단기둥(5a)과 그 계단기둥(5a)의 중간부를 횡방향으로 연결한 계단보(5b)로서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니트 철골계단(1)이 설치될 위치에 상층 슬라브(2)를 받쳐주는 큰크리트기둥(7)이 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니트 철골계단(1)을 받쳐 주는 계단받침(5)은 그 계단보(5b)의 일측을 상층 슬라브(2)를 받쳐 주는 큰크리트기둥(7)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고정시키고, 그 계단보(5b)의 타측은 상하층 슬라브(2)에 접지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계단기둥(5a)에 수평으로 연결 조립하여서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 유니트 철골계단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첫째, 상,하부계단참에 각기 거치판들을 구비하여서 유니트 철골계단을 단순히 설치위치로 양중시켜 거치함으로써 양중장비의 지원을 종료하게 되어 양중장치를 다른 작업에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둘째, 상,하부계단참에 구비된 높이조절구들에 상하높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슬라브의 철골보와 상하층 층간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계단받침의 수평상태와 관계없이 유니트 철골계단의 정밀한 시공을 보장하여 주며, 셋째, 유니트 철골계단을 위치조정하고 정착 고정시키는 작업을 인력으로서도 가능하게 함으로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넷째, 유니트 철골계단이 거치된 상태에서 양중장비와의 유기적인 지원없이도 이후의 모든 작업을 인력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만큼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정적인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 양측단에 대향되는 1쌍의 경사측벽판(10a)들을 가지며 그 경사측벽판(10a)들 사이에 직각을 이루는 단(10b)이 상하로 연속형성되는 계단장(10)과, 상기 계단장(10) 양측의 경사측벽판(10a)들 상하부 끝부문에서 각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측벽판(20a)(30a)들과 그 수평측벽판(20a)(30a)들과 직각으로 맞대어지는 수평막이판(20b)(30b)의 내부예 바닥판(20c)(30c)들을 형성하여서 된 상,하부계단참(20)(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 들의 양측 끝부분에서 각기 일직선상의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에 단차지는 걸침부(22)(32)을 형성하여서 된 거치판(21)(31)들을 부착 고정하며,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일체로 형성된 거치판(21)(31)들의 내면 일정위치에 결착고정되는 브라켓(23)(33)에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24)(34)들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각기 부착 고정되는 거치판(21)(31)들 각각의 걸침부(22)(32) 하단의 끝부분에서 직각으로 하향절곡 헝성되는 걸림고리(22a)(32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계단참(20)(30)에 각기 부착 고정되는 거치판(21)(31)들 각각의 걸침부(22)(32)의 내측 꺾임부위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턱(22b)(32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
- a) 기시공된 상하층 슬라브(2) 사이에 지지되도록 계단받침(5)을 조립하여서 설치하는 계단받침 설치단계와, b) 양중장치(6)로서 완성된 유니트 철골계단(1)을 설치위치로 양중시켜 주는 유니트 철골계단 양중단계와, c) 양중된 유니트 철골계단(1)을 상,하부계단참(20)(30) 각각의 거치판(끄)(31)들로서 계단받침(5)과 상층 슬라브(2)의 철골보(3)에 각기 거치시키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거치단계와, d) 거치된 유니트 철골계단(1)을 상,하부계단참(20)(30) 각각의 높이조절구(24)(34)들을 조절하여 상하높이와 수평을 맞추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위치 조정단계와, e) 위치조정된 유니트 철골계단(1)을 상,하부계단참(20)(30) 각각의 거치판(21)(31)들을 계단받침(5)과 상층 슬라브(2)의 철골보(3)에 각각 정착철물(A)로서 완전하게 고정시키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고정단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설치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철골계단(1)을 받쳐 주는 계단받침(5)은 그 계단보(5b)의 일측을 상층 슬라브(2)를 받쳐 주는 콘크리트기둥(7)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고정시키고, 그 계단보(5b)의 타측은 상하층 슬라브(2)에 접지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계단기둥(5a) 수평하게 연결 조립하여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철골계단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1418A KR100201539B1 (ko) | 1996-09-21 | 1996-09-21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1418A KR100201539B1 (ko) | 1996-09-21 | 1996-09-21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2312A true KR19980022312A (ko) | 1998-07-06 |
KR100201539B1 KR100201539B1 (ko) | 1999-06-15 |
Family
ID=1947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1418A KR100201539B1 (ko) | 1996-09-21 | 1996-09-21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015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16130B2 (ja) | 2002-04-02 | 2007-12-05 | 株式会社横森製作所 | 階段構造及び階段の構築方法 |
CN106988529B (zh) * | 2017-05-02 | 2018-12-25 | 闫相明 | 一种楼梯模板结构及采用该模板结构的楼梯施工方法 |
JP7329992B2 (ja) * | 2019-07-01 | 2023-08-21 | 株式会社横森製作所 | 鉄骨階段 |
-
1996
- 1996-09-21 KR KR1019960041418A patent/KR1002015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01539B1 (ko) | 199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22312A (ko)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
JPH1171897A (ja) |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 |
EP1181423B1 (en) |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 |
KR200394640Y1 (ko)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
JPH0673243U (ja) | 鋼管足場用階段枠 | |
JPH1088786A (ja) | 柱状構造物用足場 | |
JPH11148213A (ja) | 曲がり階段の段板装置 | |
JP4518765B2 (ja) | 階段の取付け構造 | |
KR102524591B1 (ko)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
KR100260674B1 (ko) | 사장교식 낙하물 방지망 | |
JPH06305657A (ja) | エレベーターとその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 | |
JPH11200478A (ja) | ベランダ手摺壁の取付け構造 | |
JP3395087B2 (ja) | 階段の構築方法 | |
JP2886507B2 (ja) |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 | |
JPH07324449A (ja) | 階段の取り付け構造 | |
KR100683506B1 (ko) |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
JPH1162077A (ja) | 壁板の取付施工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取付具 | |
JPH11200480A (ja) | ベランダ手摺壁の取付け構造 | |
JP2000230314A (ja) | 足場装置 | |
JP2003193675A (ja) | 仮設足場の階段及び階段開口部取付け用一体型手摺枠 | |
JPH06305656A (ja) | 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の施工法 | |
JP4321947B2 (ja) | はしご装置 | |
JP2997449B1 (ja) | 鉄筋組立作業足場とこの作業足場を用いた鉄筋構造物の施工方法 | |
JPH0237466B2 (ko) | ||
JP2612646B2 (ja) | 階段部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