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287A -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 Google Patents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287A
KR19980019287A KR1019980006969A KR19980006969A KR19980019287A KR 19980019287 A KR19980019287 A KR 19980019287A KR 1019980006969 A KR1019980006969 A KR 1019980006969A KR 19980006969 A KR19980006969 A KR 19980006969A KR 19980019287 A KR19980019287 A KR 1998001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tape
pinion
cas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101998000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287A/ko
Publication of KR1998001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87A/ko
Priority to KR1019980039685A priority patent/KR100290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정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축간의 간격확보가 어려워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내접판과 피니언을 이용하므로 써 축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공간효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 가이드를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그 조립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자나 탈자 등을 수정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수정테이프
본 발명은 수정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에 잘못 기재된 부분이 있는 경우 수정액이 건조된 상태로 도포 되어 있는 피막테이프를 그 부분에 눌러 잘못 기재된 부분에 수정액이 덮어 씌워지도록 하므로 써 필요한 형태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정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정테이프는 개구를 갖는 소정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롤(roll)과 롤에 감겨져 있는 피막테이프와 개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 되어 피막테이프의 이동을 안내하고 필요한 경우 피막테이프를 지면에 눌러줄 수 있도록 해주는 테이프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정테이프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수정테이프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수정테이프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수정테이프(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테이프(100)는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10)의 앞쪽 끝단과 뒤쪽 끝단에는 개구(111, 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110)의 상면 일측에는 걸림구멍(11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사용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관측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쪽 측면에는 필요에 따라 호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115)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피막 테이프(120)와 각종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여주고, 또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아래쪽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결합되는 몸체(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몸체(130)는 피막 테이프(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31)는 앞쪽으로 길게 돌출 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의 뒤쪽 개구(112)로 삽입되어 앞쪽 개구(111)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 되며 피막 테이프(1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테이프 가이드(131)는 탄성력이 뛰어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테이프 가이드(131) 앞쪽으로 끼움구(13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끼움구(132)는 테이프 가이드(13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33)을 구비하고 있으며, 테이프 가이드(131)에 결합되어 피막테이프(120)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테이프 가이드(131) 뒤쪽으로 롤 설치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 설치부(134)는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둘레로 탄성팔(1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팔(135)은 몸체(130)를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구멍(113)에 걸리는 걸림턱(136)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130)의 양측면으로 제 1롤(140)과 제 2롤(150)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롤(140)과 제 2롤(150)은 몸체(130)의 롤 설치부(134)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롤(140)의 일측면에는 제 1기어(160)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제 1축(1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축(162)을 통해 제 1롤(140)이 설치된다. 제 1롤(140)은 사용되지 않은 피막 테이프(120)가 감기는 부분이다. 또한, 롤 설치부(134)에는 제 2축(1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축(172)을 통해 제 2롤(150)이 롤 설치부(134)의 타측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그 반대편 끝단에 제 2기어(170)가 결합된다. 제 2롤(150)은 사용후의 공 테이프(122)가 감기는 부분이다.
즉, 제 1축(162)에 제 1기어(160)와 제 1롤(140)을, 제 2축(172)에 제 2롤(150)과 제 2기어(170)를 각각 조립 후 피막 테이프(120)를 테이프 가이드(131)의 끝단에 걸고, 끼움구(132)를 끼운 다음 몸체(130)의 탄성팔(135)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케이스(110)에 삽입하면 걸림턱(136)이 걸림구멍(113)에 걸리면서 조립이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 가이드(131)의 끝단은 앞쪽 개구(111)로 돌출 되고 수정 테이프(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앞쪽 끝단을 앞쪽으로 당기면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고 피막테이프(120)는 보호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정 테이프(100)에서는 제 1축(162)과 제 2축(172)간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130)와 케이스(110)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테이프 가이드(131)는 몸체(130)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몸체(130) 전체를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양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지고, 수정 작업이 한 방향으로만 가능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활용도를 높이므로 써 상대적으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고 몸체를 테이프 가이드와는 다른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잡는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수정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수정테이프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수정 테이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1롤과 제 2롤이 결합되어 있는 몸체의 정면도,
도 5는 제 1롤과 제 2롤이 결합되어 있는 몸체의 배면도,
도 6은 몸체를 뒤쪽으로 이동시켜 테이프 가이드의 끝단을 케이스 내부로 숨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피니언에 O-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수정 테이프 210 : 케이스
211, 212 : 개구 213 : 제 1관통홈
214 : 제 2관통홈 215 : 클립
220 : 피막 테이프 222 : 공 테이프
230 : 몸체 231 : 테이프 가이드
232 : 제 1결합부 233 : 제 2결합부
234 : 롤 설치부 235 : 관통공
236 : 탄성팔 237 : 제 1돌기
238 : 제 2돌기 240 : 내접판
242 : 기어이 242a : O-링
245 : 제 1롤 246 : 보조구
250 : 피니언 255 : 제 2롤
262 : 제 1축 264 : 제 2축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테이프가 감길 수 있는 제 1롤과 제 2롤을 구비하는 수정 테이프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태의 케이스, 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롤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제 1롤과 연결되어 롤 설치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반경의 내주면을 갖는 내접판 및 제 2롤에 연결되어 롤 설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내접판에 물려 내접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내접판과 피니언 중 적어도 일측에는 마찰력이 큰 O-링을 설치하거나, 내접판의 내주면과 피니언의 외주면에 기어이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좋다.
위 케이스는 양측의 개구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하고 일측에는 제 1관통홈과 제 2관통홈을 나란하게 형성하며, 몸체에는 제 1관통홈에 걸리 수 있는 제 1돌기와 제 2관통홈에 삽입되는 제 2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팔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몸체가 소정 거리 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롤 설치부 주위의 적어도 일측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을 통해 내접판의 적어도 일측은 타측면으로 개방되게 하며, 피니언은 타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테이프 가이드의 끝단에는 +형태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 1결합부를 형성하고, 몸체에는 +형태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제 2결합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테이프 가이드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수정 테이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1롤과 제 2롤이 결합되어 있는 몸체의 정면도, 도 5는 제 1롤과 제 2롤이 결합되어 있는 몸체의 배면도이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200)는 케이스(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210)의 앞쪽과 뒤쪽에는 개구(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제 1관통홈(213)과 제 2관통홈(21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호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215)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200)는 소정 형상의 몸체(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30)는 뒤쪽 개구(212)를 통해 삽입되어 앞쪽 개구(211)로 그 끝단이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2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231)는 필요에 따라 몸체(230)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 1결합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결합부(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 끝단에 +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되고, 아니면 반대로 +형태의 돌출부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므로 써 테이프 가이드(231)는 필요에 따라 착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0。 회동시킨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한 자세로 케이스(210)를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30)의 일측에는 제 2결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결합부(233)는 제 1결합부(232)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몸체(230)에는 대략 원형을 이루는 롤 설치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롤 설치부(234) 둘레로는 관통공(2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35)은 내접판(240)과 피니언(250)을 롤 설치부(234)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관통공(235)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3∼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롤 설치부(234)의 바깥쪽 일측에는 테이프 가이드(231)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탄성팔(2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팔(236)은 몸체(230)를 용이하게 케이스(2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제 1돌기(237)와 제 2돌기(238)가 소정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돌기(237)는 제 1관통홈(213)에 걸리는 부분으로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이 개구(211)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제 2돌기(238)는 제 2관통홈(214)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몸체(210)의 착탈을 용이케 해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제 1돌기(237)를 제 1관통홈(213)에서 이탈시켜 제 2관통홈(214)에 걸리도록 몸체(230)를 후진시키므로 써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이 케이스(2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준다. 롤 설치부(234)의 일측면에는 제 1축(262)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제 1축(262)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제 2축(2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축(262)과 제 2축(264)의 간격은 종래의 것에 비해 훨씬 짧게할 수 있어 공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종래의 것과 동일한 크기의 것이라면 본 발명의 수정 테이프(200)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피막 테이프(22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200)는 사용되기 전의 피막 테이프(200)가 감기는 제 1롤(245)과 사용된 후의 공 테이프(222)가 감기는 제 2롤(25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롤(245)에는 소정 반경의 내주면을 갖는 내접판(240)이 연결되어 있고, 제 2롤(255)에는 피니언(250)이 연결되어 있다. 내접판(240)의 내주면과 피니언(250)의 외주면에는 기어이(242)를 각각 형성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O-링(242a)을 피니언(250)의 외주면 또는 내접판(240)의 내주면 아니면 양측 모두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내접판(240)은 보조구(246)를 이용해 제 1축(262)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제 1축(262)에 결합되는 내접판(240)의 일측은 관통공(235)을 통해 반대편으로 돌출 되고, 반대편 측면에 제 2축(264)을 통해 설치된 피니언(250)은 내접판(240)에 물리게 된다. 이는 도 5를 보면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축(262)을 통해 롤 설치부(234)의 일측면에 내접판(240)을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동일측면 즉, 내접판(240)과 롤 설치부(234) 사이에 내접판(240)에 물리게 양측으로 모두 돌출된 제 2축을 통해 피니언(2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공(235)은 필요치 않다.
즉, 제 1축(262)에 내접판(240)을, 제 2축(264)에 피니언(250)을 각각 조립하고 테이프 가이드(231)를 설치한 상태에서 몸체(230)의 하부와 상부의 탄성팔(236)을 살짝 누른 상태에서 뒤쪽의 개구(212)를 통해 케이스(210)에 밀어 넣으면 제 1돌기(237)는 제 1관통홈(213)에, 제 2돌기(238)는 제 2관통홈(214)에 각각 결합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정 테이프(200)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을 누르고 이동시키면 수정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수정 테이프(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팔(236)을 누르고 뒤쪽으로 당겨 몸체(230)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제 1걸림턱(237)은 제 1관통홈(213)에서 이탈하여 제 2관통홈(21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도 케이스(2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2롤(255)에 피막 테이프(220)가 감겨있게 하고, 제 1롤(245)에 사용된 후의 공 테이프(222)가 감기게 할 수도 있다.
피막 테이프(220)를 모두 사용 후 피막 테이프(220)를 새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팔(236)을 더 누른 상태에서 뒤쪽으로 당기면 몸체(230)는 케이스(210)에서 완전히 이탈되게 된다. 그런 다음 제 1롤(245)과 제 2롤(255)을 교체하면 된다. 수정 작업시 케이스(210)를 잡는 자세를 바꾸고자하는 경우에는 테이프 가이드(231)를 이탈시켜 90。 회동시킨 다음 다시 조립하면 된다.
도 6은 몸체를 뒤쪽으로 이동시켜 테이프 가이드의 끝단을 케이스 내부로 숨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상태에서 탄성팔(236)의 제 2돌기(238)를 살짝 누른 다음 뒤쪽으로 당기면 제 1돌기(237)는 제 1관통홈(213)에서 이탈하여 제 2관통홈(214)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몸체(230)도 뒤쪽으로 이동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과 거기에 걸려 있던 피막 테이프(220)는 개구(211)를 통해 케이스(210)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피막 테이프(220)에 묻지 않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다시 제 2돌기(238)를 눌러 앞쪽으로 밀어주면 몸체(230)는 전진하고 테이프 가이드(231)의 끝단은 개구(211) 앞쪽으로 돌출 되게 된다.
도 7은 피니언에 O-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접판(240)에 물리는 피니언(250)의 외주면에 O-링(242a)을 설치하여 마찰력으로 회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O-링(242a)은 내접판(240)의 내주면에만 설치하거나 아니면 피니언(250)의 외주면과 내접판(240) 내주면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피니언(250)으로는 고무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무 대신에 마찰력이 큰 다른 재질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도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O-링(242a)을 사용하면 기어이(242)를 형성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롤과 제 2롤간의 부적절한 회전비를 다소 완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정 테이프에서는 내접판과 기어를 이용하여 축간의 거리를 줄임으로 써 그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테이프 가이드를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취향에 따라 잡는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소정 테이프가 감길 수 있는 제 1롤과 제 2롤을 구비하는 수정 테이프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소정 형태의 케이스;
    상기 개구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롤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 1롤과 연결되어 상기 롤 설치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소정 반경의 내주면을 갖는 내접판; 및
    상기 제 2롤에 연결되어 상기 롤 설치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내접판에 물려 상기 내접판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판과 상기 피니언 중 적어도 일측에는 마찰력이 큰 O-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판의 내주면과 상기 피니언의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양측의 개구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고 일측에는 제 1관통홈과 제 2관통홈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 1관통홈에 걸리 수 있는 제 1돌기와 상기 제 2관통홈에 삽입되는 제 2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팔이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는 소정 거리 전후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설치부 주위의 적어도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내접판의 적어도 일측은 타측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 끝단에는 +형태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제 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에는 +형태의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제 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이프 가이드는 소정 각도 회동시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 테이프.
KR1019980006969A 1998-03-03 1998-03-03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KR19980019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69A KR19980019287A (ko) 1998-03-03 1998-03-03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KR1019980039685A KR100290802B1 (ko) 1998-03-03 1998-09-24 수정테이프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69A KR19980019287A (ko) 1998-03-03 1998-03-03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87A true KR19980019287A (ko) 1998-06-05

Family

ID=37525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69A KR19980019287A (ko) 1998-03-03 1998-03-03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KR1019980039685A KR100290802B1 (ko) 1998-03-03 1998-09-24 수정테이프롤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685A KR100290802B1 (ko) 1998-03-03 1998-09-24 수정테이프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19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66B1 (ko) * 2001-12-31 2005-12-20 (주)세줄 재활용이 가능한 수정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350Y2 (ja) * 1992-11-12 1999-08-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JP3572494B2 (ja) * 1995-05-30 2004-10-06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における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装置
KR200150636Y1 (ko) * 1996-02-29 1999-07-01 이문성 오기 수정용 테이프 접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66B1 (ko) * 2001-12-31 2005-12-20 (주)세줄 재활용이 가능한 수정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802B1 (ko)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1327B2 (ja) フェイスマスク
TW522102B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JP4553340B2 (ja) 塗膜転写具
JP4759712B2 (ja) 転写具
JP4457256B2 (ja) 塗膜転写具
JP2005199631A (ja) 転写具
JPS6313656Y2 (ko)
US20030056906A1 (en) Correction tape roll device
KR19980019287A (ko) 수정테이프(Correction tape)
KR100697955B1 (ko) 도막 전사구
JPH03128299A (ja) 手持式転写塗膜転写器
JP2980238B1 (ja) 修正テープの保持器
CN102189745B (zh) 涂覆膜转印具
JP4246370B2 (ja) 塗膜転写具
JP2003523860A (ja) 隣接するベーステープ・リールを備えた、ベーステープから基体上にフィルムを転写するための手持ち型装置
JP4281147B2 (ja) 塗布具
JP2002127682A (ja) 修正テープや粘着テープ等の転写具
JP4098446B2 (ja) 連結装置
KR200225291Y1 (ko) 탄력 가이드 부재를 장착한 수정 테이프용 디스펜서
JP2003127593A (ja) 修正テープ転写具
JPH0233938U (ko)
CN219505747U (zh) 一种修正头及修正带
JP3632148B2 (ja) 塗布具における塗布部
JP4245735B2 (ja) 転写具
KR200239490Y1 (ko) 혁대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