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216A -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Self cut-off type sense amplifier operable over a wide range of power supply voltages) - Google Patents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Self cut-off type sense amplifier operable over a wide range of power supply volt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216A
KR19980019216A KR1019970045784A KR19970045784A KR19980019216A KR 19980019216 A KR19980019216 A KR 19980019216A KR 1019970045784 A KR1019970045784 A KR 1019970045784A KR 19970045784 A KR19970045784 A KR 19970045784A KR 19980019216 A KR19980019216 A KR 19980019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e
circuit
amplifier
sign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256B1 (ko
Inventor
도시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1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06Sense amplifier related aspects
    • G11C2207/065Sense amplifier drivers

Landscapes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제1 데이터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 사이(D,D)의 전위 차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회로(81,82), 증폭기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개시 신호(7s)를 수신하고,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종료 신호(SE)를 수신하기 위한 증폭기 회로 활성화 회로(85),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1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1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하는 제1 센스 검출 회로(831),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2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2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하는 제2 센스 검출 회로(832), 및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수신하고 제l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수신된 후 소정의 시간(d)이 경과하였을 때 센스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84)를 포함하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에 있어서, 마스킹 회로(86,86')는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와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모두 발생될 때만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
본 발명은 센스 증폭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장치를 위한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RAM 장치에서, 프리차지 동작이 수행된 후, 상보적 데이터가 선택된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센스 증폭기에 의해 감지된다. SRAM 장치의 전력 소실은 프리차지 동작 및 센스 증폭기의 동작에 의해 주로 측정된다.
센스 증폭기의 동작에 의한 전력 소실을 제거하기 위해,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가 개발되어 왔다.
선행 기술의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는 제1 데이터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 사이의 전위 차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회로, 증폭기 회로를 활성화시기기 위한 센스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종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증폭기 회로 활성화 회로,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1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1 센스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스검출 회로,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2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2 센스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센스 검출 회로, 및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수신하고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수신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센스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증폭기 회로는 판독 동작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전력 소실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의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에서, 센스 증폭기에 인가된 전력 공급 전압이 감소할 때,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는 시간이 경과하고, 설상 가상으로 이 증폭기 회로는 출력 데이터가 설정되기 전에 불활성화된다. 또한, 이는 이러한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를 갖는 SRAM 장치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l은 선행 기술의 SRAM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센스 증폭기의 세부 회로도.
도 3 및 4는 도 2의 센스 증폭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스 증폭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6의 센스 증폭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스 증폭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도 5의 센스 증폭기의 변형을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메모리 셀 배열 2 : 어드레스 버퍼
3 : 행 검출기 4 : 열 검출기
5 : 열 선택기 7 : 조절 회로
8 : 센스 증폭기 9 : 기입 증폭기
본 발명에 따라, 제1 데이터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 사이의 전위 차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회로, 증폭기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개시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종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증폭기 회로 활성화 회로,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1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1 센스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스 검출 회로, 증폭기 회로가 그의 제2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2 센스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센스 검출 회로, 및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수신하고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수신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센스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에 있어서, 마스킹 회로는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와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모두 발생될 때만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이 감소될 때, 마스킹 회로는 센스 종료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는 타이밍은 출력 데이터를 설정하는 타이밍 후로 된다.
본 발명은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고,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아래 기재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선행 기술의 센스 증폭기는 도 1,2,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선행 기술의 SRAM을 나타내는 도 1에서, 참조 번호 1은 WL1등의 워드선과 BL1및 BL4등의 비트선의 쌍 사이의 교차점에 있는 메모리 셀(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배열을 나타낸다. 또한, 어드레스 버퍼(2)는 외부 어드레스(ADD)를 수신하고, 내부 어드레스(IADD)를 발생한다. 내부 어드레스(IADD)의 X 소자는 워드선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행 검출기(3)에 공급되고, 내부 어드레스(lADD)의 Y 소자는 열 검출기(4)에 공급됨으로써, 열 선택기(5)는 비트선의 쌍들중의 한 쌍을 선택한다. 따라서, 1개의 메모리 셀이 액세스된다.
또한, 내부 어드레스(IADD)는 ATD 신호(φATD)를 발생하기 위해 내부 어드레스(IADD)의 천이를 검출하는 어드레스 천이 검출(ATD) 회로(6)에 공급된다.
조절 회로(7)는 ATD 신호(φATD) 뿐만 아니라, 프리차지 신호(φPR)를 발생하기 위한 기입 인에이블 신호(WE)의 전환된 신호, 센스 활성화 신호(φs) 및 기입 활성화 신호(φw)를 수신한다. 프리차지 신호(φPR)는 비트선들에 접속된 프리차지 트랜지스터에 공급됨으로써 비트선들을 프리차지시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센스 활성화 신호(φs)는 센스 증폭기(8)에 센스 개시 신호로서 공급됨으로써 센스 증폭기(8)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기입 활성화 신호(φw)는 기입 증폭기(9)에 공급됨으로써 기입 증폭기(9)를 활성화시킨다.
기입 모드(WE=0)에서, 프리차지 신호(φPR)는 ATD 신호(φATD)와 동기되어 조절 회로(7)로부터 발생되고, 이후 1개의 메모리 셀은 내부 어드레스(IADD)를 사용하는 행 검출기(3) 및 열 검출기(4)에 의해 선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입 활성화 신호(φw)가 조절 회로(7)로부터 역시 발생되기 때문에, 기입 증폭기 회로(9)가 활성화됨으로써,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는 입력 데이터(DI)에 따라 변화되고, 그 전위는 선택된 메모리 셀에 기입된다.
다른 한편, 판독 모드(WE=1)에서, 프리차지 신호(φPR)는 ATD 신호(φATD)와 동기되어 조절 회로(7)로부터 역시 발생되고, 이후 1개의 메모리 셀은 내부 어드레스(lADD)를 사용하는 행 검출기(3) 및 열 검출기(4)에 의해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는 선택된 메모리 셀 내의 데이터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센스 활성화 신호(φs)가 조절 회로(7)로부터 역시 발생되기 때문에, 센스 증폭기 회로(8)가 활성화됨으로써,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가 증폭되고, 그에 따라 출력 데이터(DO)가 얻어진다.
도 1의 센스 증폭기의 세부 회로도인 도 2에서, 2 스테이지의 증폭기 회로(81 및 82), 센스 검출 회로(83), 센스 종료 신호 검출 회로(84) 및 센스 증폭기 회로(81 및 82)를 활성화 및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가 제공된다.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를 증폭시키고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를 발생하는 증폭기 회로(81)는 2개의 종료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폭기 회로(81)는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를 수신하기 위한 전류 미러 회로(811),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를 수신하기 위한 전류 미러 회로(812), 전류 미러 회로(811 및 812)를 턴온 및 턴오프시키기 위한 N-채널 MOS 트랜지스터(813) 및 데이터 라인(D 및 D)에서 전위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8l4)에 의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를 증폭시키고 출력 데이터(DO)를 발생하는 증폭기 회로(82)는 단일 종료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증폭기 회로(82)는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를 수신하기 위한 전류 미러 회로(821), 전류 미러 회로(821)를 턴온 및 턴오프시키기 위한 N-채널 MOS 트랜지스터(822) 및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를 끌어 올리기 위한 P-채널 MOS 트랜지스터(823 및 824)에 의해 형성된다.
센스 검출 회로(83)는 데이터 라인(DOI 및 DOL)에서 전위 각각을 수신하는 인버터(831 및 832)에 의해 형성된다. 인버터(831 및 832)는 이 경우 작동점인 공통 임계 전압(Vth)을 갖는다. DOI의 전위가 작동점(Vth)보다 낮은 경우, 인버터(831)는 높은 전위를 갖는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DOI의 전위가 작동점(Vth)보다 낮은 경우, 인버터(832)는 높은 전위를 갖는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한다.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84)는 인버터(831 및 832) 각각에 접속된 지연 회로(841 및 842), 인버터(831)의 센스 검출 신호(N) 및 지연 회로(841)의 출력을 수신하는 NAND 회로(843) 및 인버터(832)의 출력 전위(N) 및 지연 회로(842)의 출력을 수신하는 NAND 회로(844)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NAND 회로(845)는 NAND 회로(843 및 845)의 출력에 접속되고, 센스 종료 신호(SE)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를 발생한다. 즉,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38)는 센스 활성화 신호(φS)의 상승 에지에 의해 설정되고, 센스 종료 신호(SE)의 상승 에지에 의해 리셋된 RS 플립플롭을 포함한다.
증폭기 회로(81)의 트랜지스터(813 및 814) 및 증폭기 회로(82)의 트랜지스터(822,823 및 824)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에 의해 조절된다. 달리 말하자면, 증폭기(81 및 82)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에 의해 턴온 및 턴오프됨으로써, 센스 증폭기(8)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라 칭한다.
도 2의 센스 증폭기(8)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센스 증폭기(8)에 인가된 전력 공급 전압(vcc)은 예를 들면 2.5 내지 5.5V로 높다.
먼저, 시간(t1)에서, 센스 활성화 신호(φS)는 낮은데서 높은데로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38)가 설정됨으로써,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시간(t2)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증폭기 회로(81 및 82)는 모두 활성화된다.
증폭기 회로(81)에서, D와 같은 데이터 라인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높은 레벨이지만, 전류 미러 회로(811 및 812)는 교차 결합되기 때문에, D 등의 다른 데이터 라인에서 전위는 점차로 감소된다. 다른 한편, 증폭기 회로(82)에서,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는 모두 점차로 감소하지만, DOL 등의 비트선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다시 증가된다.
센스 검출 회로(83)에서,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작동점(Vth)보다 작아질 때, NAND 회로(843,844 및 845)는 조합되어 트리거 신호(또)를 발생한다. 즉, 도 3에서, 시간(t3)에서, 데이터 라인(DOI)에서 전위가 작동점(Vth)보다 작아짐으로써, 인버터(831)의 센스 검출 신호(N)가 상승한다. 따라서, 시간(t4)에서, 지연 회로(841)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d)이 경과할때, 센스 종료 신호(SE)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를 리셋하기 위해 상승하고, 따라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증폭기(81 및 82)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하강한다.
도 3에서, 출력 데이터(DO)는 시간(t4)보다 충분히 먼저 시간(t5)에 이미 설정되었으므로, 이는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2의 센스 증폭기(8)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센스 증폭기(8)에 인가된 전력 공급 전압(vcc)은 예를 들면 1.5V로 낮다.
먼저, 시간(t1)에서, 센스 활성화 신호(φS)는 낮은데서 높은데로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가 설정됨으로써,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시간(t2)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증폭기 회로(81 및 82)는 모두 활성화된다.
증폭기 회로(81)에서, D와 같은 데이터 라이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높은 레벨이지만, D 등의 다른 데이터 라인에서 전위는 점차로 감소된다. 다른 한편, 증폭기 회로(82)에서,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는 모두 점차로 감소하지만, DOI 등의 비트선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다시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 전력 공급 전압(Vcc)은 도 3의 시간(t3)보다 먼저인 시간(t3')에서 매우 낮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DOl 및 DOI)에서 전위가 모두 작동점(Vth)보다 낮아짐으로써, 인버터(831)의 센스 검출 신호(N) 및 인버터(832)의 출력(N)에서 전위 모두가 상승한다. 따라서, 도 3의 시간(t4)보다 먼저인 시간(t4')에서, 지연 회로(84l)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d)이 경과할 때, 센스 종료 신호(SE)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를 리셋하기 위해 상승하고, 따라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증폭기(81 및 82)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하강한다.
그러나, 도 4에서, 출력 데이터(DO)는 시간(t4') 후에 충분히 늦은 시간(t5)에 설정될 것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출력 데이터(DO)는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에서, 마스킹 회로(86)는 도 2의 신호 발생 회로(84)와 센스 검출 회로(83) 사이에 개입된다. 즉, 인버터(831 및 832)가 동시에 센스 검출 신호(N 및 N)를 발생할 때, 마스킹 회로(86)가 센스 검출 신호(N 및 N)를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84)는 작동되지 않는다.
마스킹 회로(86)는 마스크 신호(MSK)를 발생하기 위해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 접속된 NOR 회로(861)에 의해 형성된다. NOR 회로(861)는 인버터(831 및 832)와 동일한 작동점(Vth)을 갖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들이 모두 작동점(Vth)보다 낮아질 때만, 마스크 신호(MSK)는 높아진다. 또한, 마스킹 회로(86)는 인버터(831 및 832)에 접속된 2개의 인버터(862 및 863), NOR 회로(861) 및 인버터(862)에 접속된 NOR 회로(864), 및 NOR 회로 (861) 및 인버터(863)에 접속된 NOR 회로(865)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마스크 회로(MSK)가 높을 때, NOR 회로(864 및 865)의 출력은 모두 센스 검출 신호(N 및 N)와 무관하게 낮아진다. 이와 반대로, 마스크 회로(MSK)가 낮을 때, NOR 회로 (864 및 865)의 출력은 인버터(831 및 832) 각각과 동일하므로, 도 5의 센스 증폭기(8)는 도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도 5의 센스 증폭기(8)에 인가된 전력 공급 전압이 높을 때,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는 작동점(Vth)보다 낮지 않기 때문에, 마스킹 회로(86)는 작동하지 않고, 이는 역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2의 센스 증폭기(8)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센스 증폭기(8)에 인가된 전력 공급 전압(Vcc)은 예를 들면 1.5V로 낮다.
먼저, 시간(t1)에서, 센스 활성화 신호(φS)는 낮은데서 높은데로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가 설정됨으로써,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시간(t2)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증폭기 회로(81 및 82)는 모두 활성화된다.
증폭기 회로(81)에서, D와 같은 데이터 라인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높은 레벨이지만, D 등의 다른 데이터 라인에서 전위는 점차로 감소된다. 다른 한편, 증폭기 회로(82)에서,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는 모두 점차로 감소하지만, DOI 등의 비트선들중의 하나에서 전위는 다시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 전력 공급 전압(Vcc)은 시간(t3)에서 매우 낮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DOI 및 DOI)에서 전위가 모두 작동점(Vth)보다 낮아짐으로써, 센스 검출 신호(N 및 N) 모두가 상승하고, 따라서, 인버터(862 및 863)의 출력에서 전위(A 및 A)는 모두 하강한다. 이러한 경우, 마스크 신호(MSK)는 동시에 상승하기 때문에, NOR 회로(864 및 865)의 전위(N1 및 N1)는 모두 전위(A 및 A)와 무관하게 낮아진다.
다음으로, 시간(t4)에서, 데이터 라인(DOI)에서 전위는 작동점(Vth)보다 높아지고, 그동안 데이터 라인(DOI)에서 전위는 작동점(Vth)보다 낮아질 때, 마스크 신호(MSK)는 낮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인버터(862 및 863)의 출력(A 및 A) 및 센스 검출 신호(N 및 N) 역시 변화한다.
따라서, 시간(t5)에서, 지연 회로(841 및 842)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d)이 경과할 때, 센스 종료 신호(SE)는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 발생 회로(85)를 리셋하기 위해 상승하고, 따라서, 내부 센스 활성화 신호(φSI)는 증폭기(81 및 82)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하강한다.
도 6의 경우에도, 출력 데이터(DO)는 시간(t5) 전에 충분히 먼저인 시간(t6)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역시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지연 회로(841 및 842)의 상기 지연 시간은 약 1 내지 2 ns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전력 공급 전압(Vcc)이 낮을 때, 검출 신호(N 및 N)가 모두 발생되는 경우조차, 마스크 신호(MSK)는 센스 종료 신호(SE)의 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해 발생된다. 따라서, 출력 데이터(DO)의 발생 타이밍은 센스 종료 신호(SE)의 발생전에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출력 데이터(DO)를 정상적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7에서, 도 5의 마스킹 회로(86)는 마스킹 회로(86')로 변형된다. 마스킹 회로(86')는 NAND 회로(861'), NAND 회로(862') 및 AND 회로로서 작용하는 인버터(863'), NAND 회로(864'), 및 AND 회로로서 작용하는 인버터(865'), 및 지연 회로(866' 및 867')에 의해 형성된다. 지연 회로(866' 및 867')는 NAND 회로(861')의 작동 시간과 거의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갖는다. 도 7에서도, 센스 검출 신호(N 및 N)가 모두 높을 때, NAND 회로(861')가 마스크 신호(MSK)를 발생함으로써, 인버더(863' 및 865')의 출력(N1 및 N1)은 센스 검출 신호(N 및 N)와 무관하게 낮아진다. 따라서, 도 7의 센스 증폭기(8)는 도 5의 센스 증폭기(8)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은 도 8에 나타낸 단일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증폭기(82)는 데이터 라인(DO 및 DO)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력 공급 전압이 변화될 때조차, 출력 데이터의 타이밍은 센스 증폭기의 타이밍을 차단하기 전에 충분히 소요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출력 데이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는 보다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다.

Claims (7)

  1. 제1 데이터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D, D) 사이의 전위 차를 증폭시키고, 제1 및 제2 출력 전압(DOI, DOI)을 발생하는 증폭기 회로(81,82), 상기 증폭기 회로에 접속되고, 증폭기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개시 신호(φS)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기 회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센스 종료 신호(SE)를 수신하기 위한 증폭기 회로 활성화 회로(85), 상기 증폭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증폭기 회로가 상기 제1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1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하는 제1 센스 검출 회로(831), 상기 증폭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증폭기 회로가 상기 제2 출력 전압에 따라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고 제2 센스 검출 신호(N)를 발생하는 제2 센스 검출 회로(832), 상기 증폭기 회로 활성화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들중의 최소한 하나가 수신된 후 소정의 시간(d)이 경과하였을 때 센스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84) 및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와 상기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모두 발생될 때만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신호가 상기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마스킹 회로(86,86')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D, D) 사이의 전위 차를 감지하는 센스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회로가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에 접속되고, 마스킹 신호(MSK)를 발생하는 NAND 회로(861'),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 각각에 접속되고, 상기 제1 NAND 회로의 작동 시간과 거의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갖는 제1 및 제2 지연 회로(866',867'), 상기 NAND 회로 및 상기 제1 지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마스크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센스 검출 신호를 상기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에 전송하는 제1 AND 회로(862',863') 상기 NAND 회로 및 상기 지연 검출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마스크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스 검출 신호를 상기 센스 종료 신호 발생 회로에 전송하는 제2 AND 회로(864',865')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회로(86)가 상기 증폭기 회로에 추가로 접속된 센스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회로가 상기 증폭기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마스킹 신호(MSK)를 발생하는 제1 NOR 회로(861), 상기 제1 센스 검출 회로에 접속된 제1 인버터(862), 상기 제2 센스 검출 회로에 접속된 제2 인버터(862), 상기 제1 NOR 회로 및 상기 제1 인버터에 접속되고, 상기 마스크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센스 검출 신호를 상기 센스 종료 발생 회로에 전송하는 제2 NOR 회로(864), 상기 제1 NOR 회로 및 상기 제2 인버터에 접속되고, 상기 마스크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스 검출 신호를 상기 센스 종료 발생 회로에 전송하는 제3 NOR 회로(865)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
  5. 제 l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가 상기 전위 차를 증폭시키고, 상기 제l 및 제2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스테이지 차동 증폭기(81) 및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출력 전압과 제2 출력 전압 간의 차이를 발생하는 제2 스테이지 차동 증폭기(82)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회로가 상기 전위 차를 증폭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단일 스테이지 차동 증폭기(82)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스 검출 회로 각각이 인버터를 포함하는 센스 증폭기.
KR1019970045784A 1996-08-28 1997-08-28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 KR100263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27004A JP2845264B2 (ja) 1996-08-28 1996-08-28 セルフカットオフ型センスアンプ回路
JP96-227004 199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16A true KR19980019216A (ko) 1998-06-05
KR100263256B1 KR100263256B1 (ko) 2000-08-01

Family

ID=1685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784A KR100263256B1 (ko) 1996-08-28 1997-08-28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2465A (ko)
EP (1) EP0827151B1 (ko)
JP (1) JP2845264B2 (ko)
KR (1) KR100263256B1 (ko)
DE (1) DE6971737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741A (en) * 1996-12-23 2000-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ditional restore for execution unit
KR100275132B1 (ko) * 1997-06-24 2000-12-15 김영환 전류미러형 감지 증폭기
US6282137B1 (en) * 1999-09-14 2001-08-28 Agere Systems Guardian Corp. SRAM method and apparatus
JP2001101872A (ja) 1999-09-30 2001-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増幅回路
US6304107B1 (en) * 2000-02-25 2001-10-16 Lsi Logic Corporation Comparator metastability performance from an enhanced comparator detection circuit
DE10219649C1 (de) * 2002-05-02 2003-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Differentielle Strombewerterschaltung und Leseverstärkerschaltung zum Bewerten eines Speicherzustands einer SRAM-Halbleiterspeicherzelle
KR100483028B1 (ko) * 2003-03-19 2005-04-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강유전체 메모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EP2124337B1 (en) * 2008-05-23 2016-04-27 Zoran Corporation Latched comparator circuit
US8319526B2 (en) 2009-11-17 2012-11-27 Csr Technology Inc. Latched comparator circuit
KR20130123934A (ko) * 2012-05-04 2013-1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입출력센스앰프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16430102B (zh) * 2023-06-14 2023-08-29 苏州贝克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宽输入电压范围的电压检测电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8022B (it) * 1989-12-22 1993-06-23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Discriminatore differenziale di tensione in tecnologia c-mos.
US4972374A (en) * 1989-12-27 1990-11-20 Motorola, Inc. Output amplifying stage with power saving feature
JPH04278288A (ja) * 1991-03-07 1992-10-0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5325569A (ja) * 1992-05-27 1993-12-10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307009B2 (ja) * 1993-07-21 2002-07-24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737273A (en) * 1995-04-06 1998-04-07 Ricoh Company, Ltd. Sense amplifier and reading circuit with sense amplifier
US5615158A (en) * 1995-11-13 1997-03-25 Micron Technology, Inc. Sense amplifier circuit for detecting degradation of digit line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370D1 (de) 2003-01-09
KR100263256B1 (ko) 2000-08-01
EP0827151A1 (en) 1998-03-04
EP0827151B1 (en) 2002-11-27
JP2845264B2 (ja) 1999-01-13
US5872465A (en) 1999-02-16
JPH1069785A (ja) 199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592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ocal sense amplifier with on/off control
KR0165755B1 (ko) 펄스신호 발생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반도체 기억장치와 동적 기억장치의 동작방법
US638467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ierarchical power supply line structure improved in operating speed
US614791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precharge voltage correction circuit
KR100454259B1 (ko) 모니터링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US5455803A (en) Semiconductor device which operates at a frequency controlled by an external clock signal
US7307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dynamic refresh in a memory device
JPH05325540A (ja) 半導体記憶回路
KR100301036B1 (ko) 데이터입출력마스크입력버퍼의전류소모를감소시키기위한제어부를구비하는동기식반도체메모리장치
KR100263256B1 (ko) 광범위한 범위의 전력 공급 전압에 걸쳐 작동할 수 있는 자체 차단형 센스 증폭기
US20020105847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reference voltage for generating intermediate voltage
US641155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sense amplifier
US480719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detection circuit to detect word line potential
KR100402388B1 (ko) 칩선택 출력 시간이 단축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9306168A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40023300A (ko) 클럭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경로의 리셋 회로,리셋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31477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KR20000065430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JP319270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01820B1 (ko) 센스 앰프
KR20050059790A (ko) 감지증폭기의 오버 드라이빙 제어회로
KR100403318B1 (ko) 센스앰프 전원공급 제어회로
US5578942A (en) Super VCC detection circuit
JPH0660663A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30047023A (ko)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