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396A -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396A
KR19980018396A KR1019970037401A KR19970037401A KR19980018396A KR 19980018396 A KR19980018396 A KR 19980018396A KR 1019970037401 A KR1019970037401 A KR 1019970037401A KR 19970037401 A KR19970037401 A KR 19970037401A KR 19980018396 A KR19980018396 A KR 1998001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nit
engine control
register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가와
아츠시 오카미츠
히로시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헨리. 디. 지. 월레스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리. 디. 지. 월레스,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헨리. 디. 지. 월레스
Publication of KR1998001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3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immobiliz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D코드등록을 위한 전용테스터가 필요없어지고, 방범성을 유지하면서 공장라인뿐만 아니라 판매점이나 수리공장에서도 ID코드나 CW의 등록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IM유닛 및 EGI유닛의 신품시와 같이, IM유닛 및 EGI유닛의 각 EEPROM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ID코드 혹은 CW의 조합(照合)을 행하지 않고 ID코드, CW를 등록하고, EGI유닛으로부터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에 이행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외국에 있어서 차량의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이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가 많이 제안되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제안된 일본국 특원평6-181146호(특개평8-40206호)에는 키에 고유의 ID코드를 기억시키고, 이 키에 탑재하는 송신기로부터 ID코드를 송신하여 이모벌라이저유닛(immobilizer unit)에 판독시킴과 동시에, 이모벌라이저유닛에서 키에 고유의 ID코드를 조합(照合)시키고, 조합한 결과가 불일치할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해도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EGI유닛에 있어서 엔진시동할 수 없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난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의 앞선 제안인 일본국 특원평6-297086(특개평8-150899호)에는 이모벌라이저유닛에서 트랜스폰더로부터 판독한 고유의 ID코드와 이모벌라이저에 등록된 ID코드를 조합하여, 양 ID코드가 일치하면 ID코드와 다른 형태의 코드워드를 EGI유닛에 대해 출력하고, EGI유닛에서는 이모벌라이저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코드워드와 EGI유닛에 기억한 코드워드를 조합하여, 양 코드워드가 일치하면 이모벌라이저유닛으로부터 EGI유닛에 엔진 시동을 허가하는 신호가 송신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난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의 앞선 제안인 일본국 특원평6-324472호에는 이모벌라이저유닛에 있어서, 트랜스폰더로부터 판독한 고유의 ID코드와, 이모벌라이저유닛에 등록된 ID코드를 조합하여, 양 ID코드가 일치하면 ID코드와 다른 형태의 코드워드를 EGI유닛에 송신하고, EGI유닛에 있어서, 이모벌라이저유닛으로부터 판독한 코드워드와 EGI유닛에 기억한 코드워드를 조합하여, 양 코드워드가 일치하면 이모벌라이저유닛으로부터 EGI유닛에 엔진 시동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 관하여, 공장라인에 있어서의 부착시나 수리 등에 있어서 이모벌라이저유닛이나 EGI유닛을 신폼으로 교환할 경우, ID코드를 이모벌라이저유닛에 등록하거나 혹은 ID코드와 코드워드를 EGI유닛에 등록하기 위해 공장라인 등에 있어서 전용테스터를 사용해서 EGI유닛에 대해 엔진시동상태를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모벌라이저유닛과 EGI유닛사이에서의 상호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IM유닛이나 EGI유닛에 대한 ID코드나 코드워드의 초기등록을 쉽게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이모벌라이저유닛이나 EGI유닛의 부착시나 신품 교환시에 공장라인 등에 있어서 전용테스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ID코드나 코드워드의 등록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코드등록을 위한 전용테스터가 필요없어지고, 방범성을 유지하면서 공장라인뿐만 아니라 판매점이나 수리공장에서도 ID코드나 코드워드의 등록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전체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트랜스폰더, IM유닛, EGI유닛 사이에서의 각종 데이터의 수수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5는 IM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6은 EGI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7은 EGI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8은 EGI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9는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10은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1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1은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2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2은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3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3은 차량이 주행중인지 아닌지의 판단처리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14는 IM유닛의 통상동작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15는 EGI유닛의 통상동작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16은 통상동작모드에 있어서의 IG스위치의 조작 및 IM유닛, EGI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17은 IM유닛(4)이 검출하는 TP, 코일안테나, IM유닛의 각 고장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EGI유닛(9)에 관한 고장모드와 고장코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IM유닛의 2키 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20는 IM유닛의 2키 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21는 IM유닛의 CW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22는 IM유닛의 CW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
도 23은 CW엔트리조작중의 IG스위치조작과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24는 CW를 입력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
도 25는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26은 EGI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27은 EGI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28은 IM유닛의 IM유닛 교환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29는 EGI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0는 EGI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1은 IM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2은 IM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3은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의 통지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4는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의 통지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5는 ID코드수를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
도 36은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를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
도 37은 EGI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8은 EGI유닛에 있어서의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
도 39는 도 41의 구성에서 프리앰프를 폐지하고, 코일안테나와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41의 구성에서 프리앰프를 폐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종래의 코일안테나와 프리앰프의 구성을 두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랜스폰더2 : 이그니션 코일 안테나
3 : 앰프4 : 이모벌라이저(immobilizer) 유닛
5 : 이모벌라이저유닛의 EEPROM6 : 이모벌라이저유닛의 RAM
7 : 이모벌라이저유닛의 타이머8 : 이모벌라이저유닛의 CPU
9 : EGI유닛10 : EGI유닛의 EEPROM
11 : EGI유닛의 RAM12 : EGI유닛의 타이머
13 : EGI유닛의 CPU14 : 배터리전원
15 : 이그니션 스위치전원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송신기를 구비한 키에 고유의 제1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키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제2코드와 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를 엔진제어부로 송신하는 코드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엔진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제2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코드조합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맨드에 따라서 엔진을 작동시키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지 않고,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하는 코드등록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은 이하의 특징을 구비한다. 즉, 송신기를 구비한 키에 고유의 제1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키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제2코드와 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를 엔진제어부로 송신하는 코드조합부(照合部)를 가지며, 상기 엔진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제2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코드조합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맨드에 따라서 엔진을 작동시키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서의 코드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지 않고,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 전체의 구성]
먼저, 도 1, 도 2를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전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의 일형태를 도시한 차량용 도난방지장치는 트랜스폰더(1)와, 트랜스폰더(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코일안테나(2)와, 코일안테나(2)에 의해 받아들인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3)와, 앰프(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이모벌라이저유닛(4)과, 엔진제어를 담당하는 EGI유닛(9)를 구비한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랜스폰더(1)는 자동차의 이그니션 스위치(이하, IG스위치라 약칭)의 온, 오프를 운전자측에서 행하는 이그니션 키(이하, IG키라 약칭)에 내장되어 있다. 또, 코일안테나(2)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오프에 연동해서 작동하는 이그니션 코일안테나이다. 앰프(3)는 이 코일 안테나(2)가 작동하여 전압이 부여될 때, 고전압을 얻기 위해 전압을 일정치로 증폭시킨다.
이모벌라이저유닛(immobilizer unit, 이하 IM유닛이라 약칭)(4)은 최근 유럽에서 차량의 도난방지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엔진제어를 담당하는 EGI유닛(9)에 의한 엔진시동을 금지하는 컨트롤러로서, 차량의 하차시 등에 IG스위치를 오프하거나 혹은 트랜스폰더(1)로부터 판독한 ID데이터의 조합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엔진 시동을 금지하는 로크기능이 세트된다.
IM유닛(4)은 배터리전원(+B)(14) 및 IG스위치전원(IG)(15)에 접속되고, IG스위치의 온, 오프조작에 연동하여 온, 오프된다. 또, IM유닛(4)은 앰프(3)에서 증폭되는 전압치에 의거해서 트랜스폰더(1)로부터 ID데이터를 판독하여, 소정의 제어코맨드를 EGI유닛(9)에 송신한다. 또, IM유닛(4)은 배터리전원(14)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예를들면 엔진을 정지하기 위해 IG스위치를 오프해도 배터리전원(1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 IM유닛(4)은 LED 등의 인디케이터(16)에 접속되고, 트랜스폰더(1)로부터 판독한 ID데이터의 조합결과에 의거해서 점등, 점멸, 소등을 제어한다. 인디케이터(16)는 차내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이 탑승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IM유닛(4)의 회로구성은 미리 제어프로그램 등이나 ID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는 EEPROM(5), 트랜스폰더(1)나 EGI유닛(9)의 ID데이터 등의 수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격납하는 RAM(6), 이들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ID데이터 등의 수수타이밍을 계시하는 타이머(7), 타이머(7)로부터의 계시데이터에 의거해서 트랜스폰더(1)나 EGI유닛(9)의 데이터 수수를 제어하는 CPU(8)로 구성된다.
EGI유닛(9)은 엔진의 회전수나 연료분사량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또, EGI유닛(9)은 IM유닛(4)의 회로구성과 같이 미리 엔진제어 프로그램이나 ID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는 EEPROM(10), IM유닛(4)의 ID데이터 등의 수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격납하는 RAM(11), 이들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수수의 타이밍을 계시하는 타이머(12), 타이머(12)로부터의 계시데이터에 의거해서 IM유닛(4)과의 데이터 수수를 제어하는 CPU(13)로 구성된다.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소정의 제어코맨드를 수신하고, ①후술하는 코맨드 unlock를 수신한 경우, 통상의 엔진제어를 실행하고, ②후술하는 코맨드 lock를 수신한 경우, 연료분사커트, 점화커트 등에 의해 엔진을 정화시킨다. 또, EGI유닛(9)은 IM유닛(4)의 경우와는 달리, IG스위치(15)의 온, 오프에 연동해서 동작하므로, 예를 들면 엔진을 정지하고, 이그니션 스위치를 오프하면, 전원은 끊어지게 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해서 트랜스폰더(1), IM유닛(4), EGI유닛(9) 사이에서의 각종 데이터의 수수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트랜스폰더(1), IM유닛(4), EGI유닛(9) 사이에서의 각종 데이터의 수수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IM유닛(4)은 트랜스폰더(1)로부터 IG키마다 부여된 고유의 ID코드를 판독하고, IM유닛(4)으로부터 EGI유닛(9)으로는 소정의 제어코맨드와, ID코드와, 코드워드(이하, CW라 약칭한다)라 불리우는 ID코드와는 다른 형태의 패스워드를 송신한다. IM유닛(4)의 EEPROM(5)과, EGI유닛(9)의 EEPROM(10)에는 최대 8개(ID1~ID8)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IM유닛(4)은 ID코드를 EGI유닛(9)에 송신할 경우, IM유닛(4)에 등록된 ID코드의 어드레스와 동일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EGI유닛(9)에 ID코드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지정된 어드레스에 ID코드를 등록한다. 또, CW는 IM유닛(4)과 EGI유닛(9)에 각 1개 등록되고, 각 유닛의 각각의 EEPROM(5)(10)에 동일한 CW가 등록되어 있다.
[코맨드에 대해]
여기서, IM유닛으로부터 EGI유닛에 송신되는 제어코맨드 혹은 EGI유닛으로부터 IM유닛에 송신되는 제어코맨드에 대해 설명한다.
[IM유닛으로부터 EGI유닛(9)에 송신되는 제어코맨드]
lock : EGI유닛(9)에 엔진 작동을 금지하는 코맨드이다.
unlock : EGI유닛(9)에 엔진 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이다.
ADX(AD1~AD8) : EGI유닛을 코드추가모드나 IM유닛 EGI유닛교환모드로 이행시키는 코맨드이며, 코맨드(AD1~AD8)로 지정한 EGI유닛의 EEPROM의 어드레스에 ID코드를 등록시킨다.
IE : IM유닛에 ID코드가 미등록인 경우에 EGI유닛을 IM유닛 교환모드로 이행시키는 코맨드이다.
RG : IM유닛에 ID코드가 미등록이고, EGI유닛으로부터 후술하는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EGI유닛을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시키는 코맨드이다.
[EGI유닛으로부터 IM유닛에 송신되는 제어코맨드]
req : IM유닛에 대해 코멘드, CW, ID코드 등의 송신을 요구하는 코맨드이다.
SR : IM유닛에 대해 코맨드, CW, ID코드 등의 송신을 요구하거나 혹은 EGI유닛의 EEPROM에 ID코드가 미등록인 경우에 IM유닛을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시키는 코맨드이다.
confirm lock : IM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코맨드 lock에 대해 로크했음을 확인하는 회답코맨드이다.
confirm unlock : IM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코맨드 unlock에 대해 언로크한 것을 확인하는 회답코맨드이다.
replaced CW : IM유닛 교환모드에 있어서, EGI유닛에 CW를 신규 또는 변경등록했음을 확인하는 회답코맨드이다.
ID stored : 코맨드ADX나 코맨드IE에 대해 EGI유닛에 CW, ID코드를 신규 또는 표서등록한 것을 확인하는 회답코맨드이다.
[코맨드req, SR의 통신조건]
EGI유닛이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req 또는 SR을 재송신할 수 있는 최대송신회수는 5회까지로 하고, 6회째의 코맨드req 또는 SR을 송신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 고장코드X1을 세트하고, 엔진을 정지시켜 현재의 모드를 종료한다. 또, 고장코드X7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최대송신회수를 해제한다.
코맨드req의 통신 조건
여기서, EGI유닛이 IM유닛에 대해 코맨드req를 송신하는 조건 혹은 정지하는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①통신개시조건
EGI유닛이 IM유닛에 대해 코맨드req를 송신하는 조건은 통신카운더(N)의 값이 제로가 아닐 때에는 엔진회전수가 500rpm이상이고, 또 IG스위치 온후 500미리초 경과했을 때, 통신카운터(N)의 값이 제로일 때에는 IG스위치 온 후, 1000미리초 경과했을 때 통신개시조건이 성립된다.
②통신정지조건
통신카운터(N)의 값이 제로가 아닐 때, 엔진회전수가 312.5rpm 이하일 때 통신정지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EGI유닛의 최저보증전압 6V를 하회하면 통신을 정지한다.
코맨드SR의 통신조건
①통신개시조건
IG스위치 온 후, 1000미리초 경과했을 때 통신개시조건이 성립한다.
②통신정지조건은 특별히 설정되어 있지 않다. 또, EGI유닛의 최저보증전압 6V를 하회하면 통신을 정지한다.
[시스템 전체의 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전체의 동작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4에 있어서, IM유닛(4) 및 EGI유닛(9)은 탑승자에 의해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됨으로써, 후술하는 각 모드의 제어를 개시한다(스텝S2). IM유닛(4) 및 EGI유닛(9)은 탑승자의 IG키를 사용한 소정의 조작에 의거해서 통상동작모드(스텝S6). 코드추가모드(스텝S8), IM유닛 교환모드(스템S10),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12),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14)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로 이행한다(스텝S4).
[시스템 전체의 공통동작]
이하에 IM유닛(4)의 동작과 EGI유닛(9)의 상기 각 제어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M유닛 전체의 공통동작]
먼저, 도 2, 도 5을 참조해서 IM유닛 전체에 공통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IM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이 공통동작에서는 IM유닛(4)은 IG키에 의해 IG스위치(15)가 온된 후, 그 EEPROM(5)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오프에 의한 소정 조작, 또는 ID코드의 조합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20에서 IG키를 키구멍에 끼워넣고 IG스위치(15)를 온시키면(스텝S20에서 Yes) 스텝S22에서는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텝S22에서 EEPROM(5)에 1개 이상의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22에서 Yes) 스텝S24로 진행한다. 스텝S24에서는 IG키에 의해 IG스위치(15)의 온/오프조작이 5회 연속해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24에서 IG스위치(15)가 5회 연속해서 조작되었을 경우(스텝S24에서 Yes) 스텝S26으로 진행한다. 즉, 스텝S24에서 IG스위치(15)의 온/오프조작이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후술하는 통상동작모드 혹은 2키 엔트리모드나 CW 엔트리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또, 스텝S24의 IG스위치(15)의 온/오프조작(온/오프조작의 시간 간격(t1)은 예를 들면 300~2000미리초로 설정된다)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IG스위치(15)가 온/오프조작되는 동안 인디케이터(16)는 점등하지 않고, IG스위치(15)의 온/오프조작후, 소정 시간(t2)(예를들면, 30초) 이내에 IG스위치(15)가 온조작되면 후술하는 2키 엔트리모드, CW엔트리모드로 이행하여 인디케이터(16)를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스텝S26에서는 IM유닛(4)은 IG스위치(15)을 온한 IG키의 트랜스폰더(이하, TP라 약칭)으로부터 ID코드를 판독한다. 스텝S28에서는 TP로부터 판독한 ID코드와 EEPROM(5)에 등록된 ID코드를 조합한다. 여기서, ID코드를 조합하는 경우, 1회여도 EEPROM의 ID코드와 일치하면 ID코드는 바르다고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 3회까지 TP로부터 ID코드를 판독하여 조합한다(이하에서도 동일). 스텝S30에서 양 ID코드가 일치한 경우(스텝S30에서 Yes), 후술하는 2키 엔트리모드(스텝S200)로 이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양 ID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스텝S30에서 No), 후술하는 CW엔트리모드(스텝S300)로 이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스텝S30에 있어서 트랜스폰더(1)로부터 ID코드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00에서 2키 엔트리모드로 이행하거나 혹은 스텝S300에서 CW엔트리모드로 이행한 경우에는 스텝S32로 진행한다. 스텝S32에서 IG스위치(15)가 오프되는 것을 기다리고, 다음 스텝S34에서 IG스위치(15)가 다시 한번 온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34에서 IG스위치(15)가 온되면 후술하는 코드추가모드(스텝S400)로 이행한다.
상술한 스텝S22에 있어서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S36으로 진행하고,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의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36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리퀘스트 코맨드req(IM유닛(4)에 대한 통상의 코맨드 송신요구, 이하 코맨드req라 약칭)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IM유닛 교환모드(스텝S5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36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스페셜 리퀘스트 코맨드SR(IM유닛(4)에 대한 특별한 코맨드 송신요구, 이하 코맨드SR이라 약칭)을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600)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36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36에서 No)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38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코맨드(SR)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서 설명한다.
상술한 스텝S24에서 IG스위치가 조작되지 않을 경우(스텝S24에서 No) 스텝S40으로 진행한다. 스텝S4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의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40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통상동작모드(스텝S120)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4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40에서 No)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42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IM유닛(4)은 통상동작모드의 종료후, 소정 상태가 3초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슬립모드로 이행한다(스텝S44).
[EGI유닛 전체의 공통동작]
다음에, 도 2, 도 6~도 8을 참조해서 EGI유닛 전체에 공통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도 8은 EGI유닛의 각 제어모드에 공통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EGI유닛 전체의 공통동작은 도 5에 도시한 IM유닛 전체의 공통동작에 대응하고 있다. EGI유닛(9)은 IG키에 의해 IG스위치(15)가 온된 후, 그 EEPROM(10)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 레지스터 플래그(RG)(후술함)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 차량의 주행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코맨드에 의거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6~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50에서 IG키를 키구멍에 끼워넣고, IG스위치(15)를 온시키면(스텝S50에서 Yes) 스텝S52에서는 EGI유닛(9)의 EEPROM(10)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52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52에서 Yes) 스텝S54로 진행하고, ID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52에서 No), 도 7에서 후술하는 스텝S88로 진행한다. 스텝S54에서는 EGI유닛(9)이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RG플래그는 어셈블리전의 신품시에는 리셋상태이고, 어셈블리후에 EGI유닛(9)의 EEPROM(10)에 세트 가능해진다. 스텝S54에서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54에서 No) 스텝S56으로 진행한다. 즉, 스텝S54에서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 혹은 통상동작모드, IM유닛 교환모드,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한편, 스텝S54에서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스텝S54에서 Yes) 스텝S80으로 진행한다.
스텝S56에서는 차량이 주행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56에서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스텝S56에서 Yes) 도 8에서 후술하는 스텝S100으로 진행하고, 주행중이 아닌 경우(스텝S56에서 No) 스텝S58로 진행한다.
스텝S58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판단한다. 이 통신카운터(N)는 IG스위치(15)가 온된 후, IM유닛(4)에 대한 코맨드req 또는 SR의 송신회수를 나타낸다. 스텝S58에서 통신카운터(N)가 1~6인 경우 스텝S60으로 진행하고, 엔진을 스타트시켜서 스텝S66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58에서 통신카운터(N)가 1~6 이외인 경우 스텝S62로 진행하고, 통신카운터(N)의 값을 리셋(N→0)함과 동시에, 스텝S64에서 엔진을 스톱시키며 스텝S66으로 진행한다.
스텝S66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req를 송신한다. 스텝S68에서는 EGI유닛(9)는 IM유닛(4)으로부터 회답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6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언로크 코맨드unlock(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와 CW, 또는 로크코맨드lock(엔진작동을 금지하는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통상 동작모드(스텝S11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68에서 EGI유닛(9)는 IM유닛(4)으로부터 추가등록코맨드ADX(EGI유닛에 ID코드를 추가등록하는 코맨드)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코드추가모드(스텝S14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6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ID미등록 코맨드IE(IM유닛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코맨드)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IM유닛교환모드(스텝S1500)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68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그 후, 스텝S70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판단한다. 스텝S70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이 1~6인 경우 스텝S72로 진행하고, 통신카운터(N)가 제로의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코드X7를 클리어하고, 스텝S74에서 IG스위치(15)가 오프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74에서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한편, 스텝S70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이 제로인 경우 스텝S76으로 진행하고, 통신카운터(N)가 제로의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코드X7를 세트하여 스텝S78로 진행하고, ID코드 및/또는 CW의 기록 혹은 판독의 실패를 나타내는 고장코드X4가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78에 있어서 고장코드X4가 세트된 경우(스텝S78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한편, 스텝S78에 있어서 고장코드X4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78에서 No), 상술한 스텝S66으로 리턴하여 스텝S66부터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스텝S54에 있어서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스텝S54에서 Yes) 스텝S80으로 진행하고, 엔진을 스톱한다. 그 후 스텝S82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스텝S84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회답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84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언로크 코맨드 unlock와 CW, 또는 로크코맨드lock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통상동작모드(스텝S11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6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와 레지스터 코맨드RG(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하는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1600)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84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86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도 7에 도시한 처리]
도 6에서 설명한 처리에 있어서, 스텝S52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52에서 No), 도 7에 도시한 스텝S88로 진행한다. 스텝S88에서는 EGI유닛(9)의 EEPROM(10)에 ID코드가 미등록임을 나타내는 고장코드X5를 세트한다. 스텝S90에서는 EGI유닛(9)의 EEPROM(10)에 CW가 등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90에서 CW가 등록된 경우(스텝S90에서 Yes) 스텝S92로 진행하여 엔진을 스톱한다. 한편, 스텝S90에서 CW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90에서 No), EEPROM(10)에 CW가 미등록임을 나타내는 고장코드X6를 세트하고 스텝S92로 진행한다. 그 후, 스텝S94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6에 세트하고, 스텝S96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스텝S98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회답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9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언로크 코맨드unlock와 CW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17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9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와 레지스터 코맨드RG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스텝S1600)로 이행한다. 또, 스텝S9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코드추가모드(스텝S1400)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S98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도 8에 도시한 처리]
도 6에서 설명한 처리에 있어서, 스텝S56에서 차량이 주행중이 아닌 경우(스텝S56에서 No), 도 8에 도시한 스텝S100으로 진행한다. 스텝S100에서는 IG스위치(15)의 온후에 엔진을 계속 작동시킨다. 스텝S102에서는 EGI유닛에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고장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02에서 고장이 검출되었을 경우(스텝S1020에서 Yes) 스텝S104로 진행하고, 항상 엔진시동이 가능해지는 플래그(F)를 세트한다(F→1). 이 스텝S104에서는 플래그(F)를 세트함으로써 다시 한번 IG스위치(15)를 온했을 때 IM유닛(4)으로부터 송신되는 CW의 조합처리르 캔슬시킨다. 그 후, 스텝S106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IM유닛(4)에 고장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IM유닛(4)을 통해 탑승자에게 고장검출을 알리기 위해 인디케이터(16)를 점등 혹은 점멸한다.
[주행중인지 아닌지의 판단처리]
도 6의 스텝S56에 있어서의 판단순서는 도 13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10에서 엔진회전수가 1000rpm 이상인 경우(스텝S110에서 Yes) 스텝S112에서 스타터모터의 구동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112에서 Yes) 스텝S114에서 속도센서VSP값이 30km이상인 경우(스텝S114에서 Yes) 스텝S116에서 전회 처리에 있어서 CW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스텝S116에서 Yes)에는 주행중이라 판단되고, 그 이외의 경우(스텝S110~스텝S116에서 No)에는 주행중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고장코드에 대해]
도 18은 EGI유닛(9)에 관한 고장모드와 고장코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IM유닛(4)과 EGI유닛(9) 사이의 통신라인의 고장(고장코드X1)은 통신라인의 단선 등에 의해 소정시간내에 IM유닛으로부터 제어코맨드의 회답이 없는 경우,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ID코드/CW가 불일치할 경우, 코맨드req이ㅡ 송신회수가 오버된 경우, 즉 EGI유닛이 코맨드req를 송신한 후, ①IM유닛으로부터 회답이 없는 경우, 혹은 ②코맨드lock가 회답되었을 경우에 통신카운터(N)의 값이 초기치의 6에서 1씩 감소되고(N=N-1), 그리고 최종적으로 0이 되었을 때 발생한다. CW불일치의 고장(고장코드X2)은 노이즈 등에 의해 EEPROM(10)에 등록한 CW와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가 불일치가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ID코드 불일치의 고장(고장코드X3)은 통신이상이나 EEPROM고장 등에 의해 EEPROM(10)에 등록한 ID코드와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ID코드가 불일치가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CW/ID코드의 기록/판독 실패의 고장(고장코드X4)은 회로고장 등에 의해 EEPROM(10)에 CW/ID코드를 기록/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하고, 정상적으로 기록할 수 있을 때까지 3회 행하고, 3회 시도해도 기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등록실패라 판단한다. ID미등록의 고장(고장코드X5) 및 CW미등록의 고장(고장코드X6)은 어떤 이유로 등록한 ID코드나 CW가 소거된 경우에 발생한다. 통신카운터(N)가 제로인 고장(고장코드X7)은 EGI유닛이 코맨드req를 송신한 후, ①IM유닛으로부터 회답이 없는 경우 혹은 ②코맨드lock가 회답되었을 경우에 통신카운터(N)의 값이 초기치의 6에서 1씩 감소된다(N=N-1). 그리고, 최종적으로 0이 되었을 때 고장코드X7가 세트된다.
[시스템의 통상동작모드]
다음에, IM유닛(4)의 동작과 EGI유닛(9)의 통상동작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M유닛의 통상동작모드]
먼저, IM유닛(4)의 통상동작모드(EGI유닛 교환모드포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IM유닛의 통상동작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이 통상동작모드에서는 IM유닛(4)은 TP1으로부터 ID코드를 판독하고, IM유닛(4)의 EEPROM(5)에 등록되어 있는 ID코드와 TP1으로부터 판독한 ID코드를 CPU(8)에서 조합한다. IM유닛(4)은 ID코드의 조합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면 EGI유닛(9)에 코맨드unlock(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와 CW를 송신한다. 또, ID코드의 조합결과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코맨드lock(엔진작동을 금지하는 코맨드)를 송신한다. EGI유닛(9)은 어느 하나의 코맨드를 받아서 엔진작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킨다.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의 CW를 RAM(11)내에 격납하고, IM유닛(4)으로부터 CW와 EGI유닛(9)내의 EEPROM(10)에 등록된 CW를 조합하고, 일치하면 엔진을 계속해서 운전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엔진을 정지시킨다.
도 14에 있어서, 처리가 개시되고, 스텝S122에서는 IG스위치(15)가 온된 후, 한번 IG키로부터 판독한 ID코드가 정류 ID코드임을 확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22에서 정류ID코드임을 확인한 경우(스텝S122에서 Yes) 후술하는 스텝S138로 진행한다. 또, 이 통상동작모드에서는 IG스위치의 온후에 정규ID코드임을 확인한 경우(스텝S122에서 Yes)에는 ID코드의 조합은 다시 하지 않는다. 또, 어떤 원인으로 인해 EGI유닛으로부터 코맨드req 가 송신되었을 경우에는 EGI유닛(9)에 대해 IG스위치(15)가 오프되기까지 코맨드unlock와 CW를 송신한다.
스텝S122에 있어서 정규ID코드임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스텝S122에서 No) 스텝S124로 진행하고, TP1으로부터 ID코드를 판독한다. 스텝S126에서는 인디케이터(16)를 온하고 점등시킨다. 여기서, 탑승자는 인디케이터(16)의 점등중 IM유닛(4)이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실행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S128에서는 IM유닛(4)에 등록된 ID코드와 TP1으로부터 판독한 ID코드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30에서 일치하는 경우(스텝S128에서 Yes) 스텝S132로 진행하고, EGI유닛(9)에 대해 코맨드unlock와 CW를 송신한다. 스텝S134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의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34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스텝S132로 리턴하여 다시 한번 EGI유닛(9)에 대한 코맨드unlock와 CW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S134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언로크확인코맨드confirm unlock를 수신한 경우 스텝S136으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를 오프하여 소등한다. 또, 스텝S134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134에서 No)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152에서 Yes)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인디케이터(16)의 소등에 의해 IM유닛(4)에서의 ID코드의 조합처리가 종료하고, ID코드가 일치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스텝S130에 있어서 IM유닛(4)에 등록된 ID코드와 TP1으로부터 판독한 ID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스텝S128에서 No) 스텝S148로 진행하고, EGI유닛(9)에 대해 코맨드lock를 송신한다. 스텝S15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의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50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스텝S124로 리턴하고, 다시 TP1의 ID코드를 판독하여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S152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로크확인코맨드confirm lock를 수신한 경우, 스텝S154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16)를 점멸한다. 또, 인디케이터의 점멸방법에 의해 고장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스텝S15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150에서 No)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152에서 Yes)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공통동작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인디케이터(16)의 점멸에 의해 IM유닛(4)에서의 ID코드의 조합처리가 종료되어 ID코드가 불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도둑에 대한 경보가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16)의 점멸에 맞춰서 소리를 내면 경보 및 방범효과는 더욱더 증대한다. 또, EGI유닛 교환모드(이것은 EGI유닛으로부터 SR신호를 받았을 때)에는 금후 IM유닛(4)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 대비해서, S132에 있어서 EGI유닛에 현재 IM유닛(4)의 EEPROM(5)에 기억하고 있는 ID코드도 동시에 송신한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EGI유닛(9)에 있어서는 수신한 ID코드도 CW와 동시에 EEPROM(10)에 기억한다).
[EG1유닛의 통상동작모드]
다음에, EGI유닛(9)의 통상동작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EGI유닛의 통상 동작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이 통상동작모드에서는, EGI유닛(9)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와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되어 있는 CW를 CPU(13)에서 조합한다. EGI유닛(9)은 CW의 조합결과가 일치하고 있으면 엔진스타트를 허가하고, IM유닛(4)에 코맨드confirm unlock를 송신한다. 또, CW의 조합결과가 불일치할 경우에는 엔진을 정지시킨다.
도 15에 있어서, 처리가 개시되고, 스텝S1102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코맨드를 판단하고, 코맨드unlock와 CW를 수신한 경우 스텝S1104로 진행하고, 코맨드lock를 수신한 경우 후술하는 스텝S1118로 진행한다.
스텝S1104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와 EEPROM(10)에 등록된 CW를 조합한다. 스텝S1106에서 양 CW가 일치한 경우(스텝S1106에서 Yes) 스텝S1108로 진행하고, 불일치한 경우(스텝S1106에서 No)에는 후술하는 스텝S1126으로 진행한다.
스텝S1108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제어코맨드confirm lock를 송신하고, 스텝S1110에서 엔진을 시동시킨다. 그 후, 스텝S1112에서는 고장코드X2, X3를 클리어하고, 스텝S1114에서 통신카운터(N)를 6에 세트하고, 스텝S1116에서 RG플래그를 리셋한다.
스텝S1102에서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lock를 수신한 경우, 스텝S1118로 진행한다. 스텝S1118에서는 코맨드lock를 수신한 2회 연속해서 수신했는지를 판단하고, 2회 연속해서 수신한 경우(스텝S1118에서 Yes) 스텝S1119로 진행한다. 스텝S1119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판단한다. 스텝S1119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이 1~6인 경우 스텝S1120으로 진행하고, 통신카운터(N)의 값이 제로인 경우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스텝S50부터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S1118에서 코맨드lock를 수신한 2회 연속해서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S1118에서 No) 스텝S1123에서 다시 한번 코맨드req 또는 SR을 송신하고, 스텝S84, S1102, S1118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120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confirm lock를 송신하고, 스텝S1121에서는 엔진을 정지하고, 스텝S1122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을 하나 줄인다. 그 후,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스텝S50부터 처리를 개시한다.
또, 스텝S1106에서 IM유닛(4)으로부터 송신한 CW와 EEPROM(10)에 등록된 CW가 불일치한 경우(스텝S1106에서 No) 스텝S1126으로 진행한다. 스텝S1126에서는 CW가 2회 불일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2회 불일치가 되지 않은 경우(스텝S1126에서 No) 스텝S1128에서 다시 한번 코맨드req 또는 SR을 송신하고, 스텝S84, S1102~S1126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S1126에서 CW가 2회 불일치가 되었을 경우(스텝S1126에서 Yes) 스텝S1130에서 고장코드X2를 세트하여 스텝1132에서 엔진을 정지시키고, 스텝S1134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을 하나 줄인다. 그 후,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스텝S50부터 처리를 개시한다.
도 16은 통상동작모드에 있어서의 IG스위치(15)의 조작 및 IM유닛(4), EGI유닛(9)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6에 있어서, IG스위치가 온된 후 IM유닛(4)이 입상하고, EGI유닛(9)으로부터 리퀘스트 코맨드req 혹은 스페셜 리퀘스트 코맨드SR를 수신하면, IM유닛(4)은 TP1의 ID코드를 판독하여 EEPROM(5)에 등록된 ID코드와 조합한다. 그리고, 조합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언로크 코맨드unlock와 데이터(CW)를 송신하고, 불일치한 경우에는 로크코맨드lock만을 송신한다.
한편,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unlock와 CW 또는 코맨드lock만을 수신하면 언로크확인코맨드confirm unlock 또는 로크확인코맨드confirm lock를 IM유닛(4)에 대해 송신한다.
[고장검출모드]
[IM유닛의 고장 검출]
다음에, IM유닛(4)의 고장검출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IM유닛(4)은 도 14에서 설명한 플로챠트의 스텝S122에서 정규ID코드를 확인한 후, 엔진작동중에 어떤 트러블에 의해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고장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IG스위치(15)를 오프해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캔슬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어떤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 대해 인디케이터(16)를 이용해서 알린다.
또, IM유닛(4)은 EGI유닛(9)에 코맨드unlock를 송신후, 1분간격으로 주기적으로 고장검출처리를 실행하여 같은 고장이 소정 회수(예를 들면 64회) 검출되면, 인디케이터(16)를 점멸시켜서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알린다. 또한, EGI유닛(9)에 코맨드unlock를 송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같은 고장이 연속해서 소정 회수(예를들면 5회) 검출되면, 인디케이터(16)를 점멸시켜서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중에 주기적으로 고장을 진단함으로써, 고장발생시에 재빨리 탑승자에 알릴 수 있어서, 차량(엔진)을 정지시키기 전에 수리공장 등에 가지고 가서 수리할 수 있다.
또, 같은 고장을 소정 회수만큼 검출시킴으로써 차량이 최악의 환경에서 전파장해 등의 영향으로 인한 고장의 오검출을 없앨 수 있으므로, 무의미한 인디케이터의 점등, 점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IM유닛(4)이 검출하는 TP, 코일안테나, IM유닛의 각 고장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M유닛(4)은 TP1에 관한 고장으로서, TP1이 미등록의 ID코드를 가지는 경우나 TP1의 파괴, 코일안테나의 고장(코일안테나(2)와 IM유닛(4) 사이의 하니스단선을 포함한다), IM유닛에 관한 고장으로서 EEPROM(5)의 이상, IM유닛(4)과 배터리전원(14) 또는 IG전원(15) 사이의 단선(배터리 미접속), IM유닛(4)과 EGI유닛(9) 사이의 통신라인의 고장 등을 검출한다.
또, IM유닛(4)은 정규ID코드를 확인한 후 엔진작동중인 것을 조건으로 해서 고장을 검출한 경우만 IG스위치(15)를 오프하더라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거나 혹은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캔슬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엔진정지중에 같은 고장검출을 하였다면, 예를들면 도둑이 TP1이나 코일안테나를 파괴해 버리면 엔진을 간단히 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를 참조해서 고장검출모드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고장검출모드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4의 스텝S138~스텝S14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 스텝S122에서 정규ID코드임을 확인한 경우(스텝S122에서 Yes) 스텝S138로 진행한다. 스텝S138에서는 상술한 시스템에 관한 고장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38에서 고장이 검출되었을 경우(스텝S138에서 Yes) 스텝S140으로 진행하고, 항상 엔진시동이 가능해지는 플래그(F)를 세트한다(F→1). 스텝S140에서는 플래그(F)를 세트함으로써, 다시 한번 IG스위치(15)를 온했을 때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캔슬시킨다. 그 후, 스텝S142에서 탑승자에게 고장검출을 알리기 위해 인디케이터(16)를 점등 혹은 점멸한다. 또, 스텝S142에서는 검출된 고장의 종류 혹은 정도에 의해 인디케이터(16)의 표시방법을 변화시키면, 수리시에 어떠한 고장인지를 판별할 수있기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한편, 스텝S138에서 고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스텝S138에서 No) 스텝S144로 진행하고, 플래그(F)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플래그(F)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S144에서 No) 스텝S146으로 진행한다. 또, 스텝S144에서 플래그(F)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스텝S144에서 Yes) 스텝S146으로 진행하여 플래그(F)를 해제하고(F→0) 스텝S136으로 진행한다.
또, IG스위치(15)를 오프해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는 예에서는, 상술한 스텝S120에서 EGI유닛(9)에 대해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는 특별한 코맨드를 송신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IM유닛(4)은 정규ID코드를 확인한 후, 엔진작동중임을 조건으로해서 고장을 검출한 경우만 IG스위치(15)를 오프하더라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ID코드의 조합처리를 캔슬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IM유닛(4)에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IG스위치를 오프해도 엔진의 재시동이 가능해지므로, 수리를 위해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모비유닛은 통신라인의 단선 또는 쇼트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EGI유닛의 고장검출]
다음에, EGI유닛(9)의 고장검출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EGI유닛(9)은 도 6에서 설명한 스텝S56에서 차량이 주행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GI유닛(9)에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고장이 검출되었을 경우, IG스위치(15)를 오프하더라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CW의 조합처리를 캔슬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어떤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 대해 인디케이터(16)를 이용해서 알린다. 단, IM유닛(4)과 EGI유닛(9) 사이의 통신라인이 단선되었을 경우에는 EGI유닛(9)으로부터 IM유닛(4)에 고장발생을 알릴 수 없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6)를 점등 혹은 점멸하지 않고 고장코드만을 그 EEPROM(10)에 세트하여, 후일 수리공장 등에서 고장진단시일을 사용해서 점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EGI유닛(9)의 고장모드는 상술한 도 18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이상과 같이, EGI유닛(9)은 차량이 주행중(엔진작동중인)인 것을 조건으로 해서 고장을 검출한 경우만 EG스위치(15)를 오프하더라도 엔진을 정지시키지 못하거나 혹은 CW의 조합처리를 캔슬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EGI유닛(9)에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 IG스위치를 오프해도 엔진의 재시동이 가능해지므로, 수리를 위해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EGI유닛(9)의 전원라인 등 단선으로 인한 고장을 검출하여 알림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고장대책]
다음에, 도10~도12를 참조해서 IM유닛(4)의 고장대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1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1은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2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2는 IM유닛의 슬립모드에 있어서의 제3고장대책으로서 IM유닛, IG스위치, 통신라인, 인디케이터의 각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IM유닛(4)은 도 5에 도시한 스텝S44에 있어서 통상동작모드의 종료후 소정상태가 3초를 넘으면 슬립모드로 이행한다.
소정 상태란, 「IG스위치가 오프 또는 open(단선)」 또 「통신라인이 low 또는 open(단선)」의 상태이다. 또, 슬립의 상태에서 「IG스위치가 온 또는 통신라인이 high」가 되면,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슬립모드는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한 후에 이행하기 때문에 IM유닛(4)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대상으로 하는 고장에 대해]
대상으로 하는 고장으로는 이하의 ①~③이 고려된다. 즉,
①통신라인 또는 EGI유닛의 고장에 의해 IG스위치전원이 온되어도 코맨드req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②어떤 원인에 의해 IM유닛의 IG스위치전원을 접속하는 부분에 배터리전원이 접속되어 버리거나 혹은 IG스위치가 단락되어 버리는 경우.
③IM유닛은 커넥터의 감합불량 등에 의해 IM유닛(4)의 IG스위치의 전원라인이 단선되었을 경우, IG스위치가 온되어도 IM유닛(4)은 웨이크업하지 않기 때문에, EGI유닛(9) 사이의 통신라인이 high가 되어도 EGI유닛(9)과의 통신이 불가능해지므로 엔진시동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제1고장대책
상기 ①, ②에 대한 제1고장대책으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IM유닛(4)이 웨이크업된 후(즉, IG스위치가 온된 후), 소정 시간t3(예를들면 2분) 경과해도 통신라인이 low인 경우에는, 인디케이터(16)를 점멸시켜서 어떤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다. 또, 인디케이터(16)의 점멸은 그 후 IG스위치가 오프되면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어떤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알림으로써, 고장검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고장대책
상기 ①, ②에 대한 제2고장대책으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M유닛(4)이 웨이크업된 후(즉, IG스위치가 온된 후), 소정 시간t3(예를들면 2분) 경과해도 통신라인이 low인 경우에는, 그 후 처음으로 탑승자에 의해 IG스위치가 온되어 통신라인이 high가 되었을 때, 인디케이터(16)의 점멸을 개시시켜서 어떤 고장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다. 또, 인디케이터(16)의 점멸은 그 후 IG스위치가 오프되면 종료한다.
제1고장대책에서는 탑승자가 차량에 올라타지 않는 한 인디케이터의 점멸을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제2고장대책에서는 탑승자가 차량에 올라타서 IG스위치를 온한 후에 인디케이터를 점멸하므로, 인디케이터의 점멸에 요하는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3고장대책
상기 ③에 대한 고장대책으로서 엔진시동이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G스위치가 오프되더라도 IM유닛(4)과 EGI유닛(9) 사이의 통신라인이 high가 되면, IM유닛(4)을 웨이크업시키고, 웨이크업후 IG스위치의 오프상태가 소정 시간t3(예를들면 2분) 경과한 경우에는 탑승자에게 고장을 알리기 위해 인디케이터(16)를 점멸시킨다.
이상과 같이, 커넥터의 감합불량 등에 의해 IM유닛(4)의 IG스위치의 전원라인이 단선되었을 경우라도 통신라인이 high가 됨으로써 IM유닛(4)은 웨이크업하기 때문에, 정규ID코드를 사용해서 IG스위치를 온하면 IM유닛(4)에서 ID코드의 조합을 행하여 엔진시동이 가능해 진다.
또, IM유닛의 웨이크업 조건을 「IG스위치가 온 또는 통신라인이 high」로 하면, 통상은 통신라인이 high가 되는 타이밍보다 IG스위치가 온되는 타이밍쪽이 빠르므로, 통신라인 high에 의한 웨이크업에 비해 ID코드의 조합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라인 high로 인한 웨이크업에 의해 대처할 수 있다.
또, IM유닛(4)은 IG스위치가 온이어도 소정 시간 계속해서 통신라인이 low인 상태, 혹은 IG스위치가 오프이고 소정시간 계속해서 통신라인이 high인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슬립모드로 이행한 후에도 IG스위치의 전원라인 등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IM유닛의 2키 앤트리모드]
다음에, IM유닛(4)의 2키 엔트리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도 20은 IM유닛의 2키 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이 2키 엔트리모드는 IM유닛(4) 또는 EGI유닛(9)에 ID코드를 추가등록가능하게 하는 코드추가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전단단계의 처리로서, 다른 ID코드를 가진 정규 키 2개를 사용해서 행한다. 이것은 예를들면 주차장 등에서 정규 키와 차량을 타인에게 맡겼을 경우, 타인에게 맡긴 정규 키 1개가 코드추가모드로 설정되어 제멋대로 제3자가 소유하는 다른 키의 ID코드를 등록받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정규키 1개는 코드추가모드로 들어가지 못하게 대책을 세우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이 2키 엔트리모드에서는 IM유닛(4)은 먼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S24에서 1개째의 정규 키(ID1)를 키구멍에 끼워넣고 IG스위치가 5회 온, 오프되었는지의여부를 판단하고, 다음에 스텝S30에서 키(ID1)의 ID코드가 정규코드인지를 판단한다(정규 키를 사용하고 있으면 당연히 정규ID코드라고 판단된다).
스텝S30에서 키(ID1)가 정규ID코드라고 판단되면 2키 엔트리모드로 이행한다. 2키 엔트리모드로 이행한 후 또 하나의 정규 키(ID2)를 키구멍에 삽입하여 IG스위치를 온시켜서 키(ID2)의 ID코드를 조합하여 일치시키고, 또 1개째 키(ID1)와 2개째 키(ID2)의 ID코드가 불일치할 때, IM유닛(4)은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째와 2개째의 키(ID1, ID2)의 ID코드를 IM유닛 및 EGI유닛의 EEPROM에 등록하고, 그 밖의 것은 클리어한다. 그 후, 후술하는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하여 차례로 등록하고 싶은 다른 키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2키 엔트리모드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9,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텝S20~스텝S30까지의 처리는 동일하며, 스텝S30에서 1개째의 키(1)(이하, 설명의 편의상 1개째 키(1)의 ID코드를 ID1이라 한다)가 바르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30에서 판단이 Yes), 도 19에 도시한 스텝S202로 진행한다. 스텝S202에서는 ID1을 IM유닛(4)의 RAM(6)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스텝S204에서 인디케이터(16)를 점등시킨다. 스텝S206에서는 1개째의 키(1)에서 IG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기다리고, 스텝S206에서 IG스위치가 오프되면, 스텝S208에서 인디케이터(16)를 일단 소등한다. 그 후, 스텝S210에서는 2개째의 키(2)(이하, 설명의 편의상 2개째 키(2)의 ID코드를 ID2라 한다)를 키구멍에 삽입하고, IG스위치가 온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210에서 IG스위치가 온되면 스텝S212에서 키(2)의 ID코드를 판독하고, 스텝S214에서 ID2와 IM유닛(4)에 등록되어 있는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216에서 ID2와 IM유닛에 등록되어 있는 ID코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216에서 판단이 Yes) 스텝S218로 진행하고, ID코드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216에서 판단이 No)는 2키엔트리 불가로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18에서는 1개째의 키(1)와 2개째의 ID2가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220에서 ID1과 ID2가 불일치할 경우(스텝S220에서 판단 No) 스텝S222로 진행하고, ID1과 ID2가 일치할 경우(스텝S220에서 판단 Yes), 같은 정규 키를 사용해서 조작하게 되고, 2키 엔트리모드에 있어서의 조작과는 다르기 때문에, 2키 엔트리불가라 해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2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처음부터 조작을 다시 함으로써 2키 엔트리모드를 다시 한번 실행하게 된다.
그 후 스텝S222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등하고, 도 20에 도시한 스텝S224로 진행한다. 스텝S224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224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228로 진행하고, EGI유닛(9)에 대해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1, ID2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S224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226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3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230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228로 리턴하고, 다시 한번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또, 스텝S230에서 ID코드등록의 확인코맨드ID stored를 수신한 경우, 스텝S23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23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232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34에서는 IM유닛(4)은 1개째와 2개째의 키(ID1, ID2)의 ID코드를 IM유닛 및 EGI유닛의 EEPROM에 등록하고, 그밖의 ID코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그것을 클리어한다. 그 후, 스텝S236에서 인디케이터를 소등하며, 2키 엔트리 성공으로 하고,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하여 차례로 등록하고 싶은 다른 키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스텝S206에서 IG스위치가 온된 채, 스텝S240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244로 진행하고, EGI유닛(9)에 대해 코맨드unlock와 CW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S24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240에서 No)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면(스텝S242에서 Yes), 통상 동작모드를 종료하고, 공통동작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46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의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246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244로 리턴하고, 다시 한번 EGI유닛(9)에 대해 코맨드unlock와 CW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S246에서 IM유닛(4)이 EGI유닛(9)으로부터 언로크확인코맨드confirm unlock를 수신한 경우 스텝S250으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16)를 오프하여 소등하고, 2키 엔트리모드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S246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스텝S246에서 No)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248에서 Yes) 통상동작모드를 종료하고,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인디케이터(16)의 소등에 의해 IM유닛(4)에서의 ID코드의 조합처리가 종료되어 ID코드가 일치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IM유닛의 2키 엔트리모드에서는 IG스위치의 온상태가 소정시간(예를들면 60초) 경과, 또는 오프상태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30초) 경과하면, 2키 엔트리 불가로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IM유닛의 CW엔트리모드]
다음에 IM유닛(4)의 CW 엔트리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도 22는 IM유닛의 CW엔트리모드를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이 CW엔트리모드는 2키 엔트리모드와 마찬가지로, IM유닛(4) 또는 EGI유닛(9)에 ID코드를 추가등록 가능하게 하는 코드추가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전단단계의 처리로서, ID코드가 등록되어 있는 키의 전부 혹은 하나를 남긴 나머지 전부를 분실한 경우에 새로 등록하는 키를 사용해서 행한다. 이 CW엔트리모드에서는 IM유닛(4)은 머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S24에서 미등록키를 키구멍에 끼워넣고 IG스위치가 5회 온,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에 스텝S30에서 키의 ID코드가 정규코드인지를 판단한다(미등록키르 사용하고 있으므로 당연 정규ID코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스텝S30에서 키가 정규ID코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CW엔트리모드로 이행한다. CW엔트리모드로 이행한 후 인디케이터(16)를 점멸시키고, 이 인디케이터(16)의 점멸에 맞춰서 미등록 키에 의한 IG스위치의 온, 오프조작을 행하고, 수동으로 CW를 입력함에 따라, IM유닛(4)은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그리고, 미등록 키의 ID코드를 IM유닛 및 EGI유닛의 EEPROM에 등록한다. 그 후, 후술하는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하여 차례로 등록하고 싶은 다른 키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텝S20~스텝S30까지의 처리는 동일하며, 스텝S30에서 키의 ID코드가 바르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30에서 판단이 No) 도 21에 도시한 스텝S302로 진행한다. 스텝S302에서는 CW엔트리모드의 처리를 개시한다고 판단하고, 인디케이터를 점멸한다. 스텝S304에서는 인디케이터 점멸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간) 경과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304에서는 무동작모드로 들어가서 소정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EGI유닛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접수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 이 무동작모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의 점멸간격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0미리초 간격으로 점멸된다. 이 무동작모드가 종료되면 스텝S306으로 진행하고, 미등록 키를 사용한 IG스위치의 소정 조작에 의해 CW입력조작을 실행한다. 스텝S308에서는 IM유닛(4)내의 EEPROM(5)에 등록되어 있는 CW와 소정 조작에 의해 입력된 CW를 조합한다. 그리고, 스텝S310에서 CW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S310에서 판단이 Yes) 스텝S312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16)를 점등시킨다.
스텝S314에서는 미등록 키를 키 구멍에 삽입하고, IG스위치가 온되기를 기다린다. 스텝S314에서 IG스위치가 온되면 도 22에 도시한 스텝S320으로 진행한다. 한편, IG스위치의 오프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스텝S316에서 Yes)되면, CW엔트리불가라 해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32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320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324로 진행하고,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한편, 스텝S32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322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326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326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324로 리턴하고, 다시 한번 추가등록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또, 스텝S326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ID stored를 수신한 경우, 스텝S3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326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328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330에서는 IM유닛(4)은 그 EEPROM(5)에 ID코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그 ID코드를 클리어한다. 그 후, 스텝S332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느 ID코드를 코맨드ADX에서 지정한 IM유닛(4)의 EEPROM(5)의 어드레스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334에서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CW엔트리성공으로서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하여 차례로 등록하고 싶은 다른 키의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IM유닛의 CW엔트리모드에서는 IG스위치의 온상태가 소정시간(예를들면 60초) 계속 또는 오프상태가 소정시간(예를들면 30초) 계속되면 CW엔트리불가라 해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CW엔트리모드의 조작]
다음에 상술한 CW엔트리모드에 있어서의 IG스위치조작과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CW엔트리 조작중인 IG스위치조작과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304의 무동작모드에 있어서,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키고, 그 후 IG스위치가 오프되면, 인디케이터의 점멸간격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동작모드시보다 천천히 점멸된다. 이 무동작모드가 종료되면, CW의 입력 접수상태가 되어 미등록 키의 소정조작에 의해 CW의 입력조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수동입력한 CW가 일치하면 인디케어터를 점등하고, CW입력조작후 30초 이내에 IG스위치를 온함에 따라 미등록 키의 ID코드가 EEPROM(5)에 등록된다. 또, IG스위치의 온후 60초 이내에 오프조작됨으로써 추가모드로 이행된다.
[CW입력조작]
다음에, 도 21에 도시한 스텝S306에서의 CW입력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CW를 입력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의 점멸 간격은 약 1.2초로 하고, CW의 입력은 IG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인디케이터를 2회 점멸시키고, 30초 이내에 IG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1회 점멸시키고, 또 30초 이내에 IG스위치를 온시킨 상태에서 인디케이터를 3회 점멸시킨다.
이상과 같이 키를 전부 분실했을 때 키보드 등의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미등록키를 이용해서 ID코드의 추가등록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코드추가모드]
이하에 IM유닛(4) 및 EGI유닛(9)의 코드추가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코드추가모드는 상술한 2키 엔트리모드 혹은 CW엔트리모드에서 2키 또는 CW엔트리에 성공한 경우만 이행할 수 있다.
코드추가모드는 키를 도난 혹은 분실하여, 제3자에게 분실한 키를 이용해서 자동차를 도난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키를 준비하고, IM유닛(4) 및 EGI유닛(9)의 각 EEPROM(5)(10)에 등록된 ID코드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이용되며, 각 EEPROM(5)(10)에는 최대 8개까지 ID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
먼저, 도 2, 도 25를 참조해서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는 상술한 2키 엔트리모드 혹은 CW엔트리모드에서 2키 엔트리 또는 CW엔트리에 성공하고, 도 5에 도시한 스텝S32, S34에서 IG스위치를 오프한 후 다시 한번 온하면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텝S34에 있어서 IG키를 키구멍에 끼워넣고 IG스위치(15)를 온시키면 스텝S402로 진행한다. 스텝S402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402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404로 진행하고,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403에서 Yes) 스텝S426으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404에서는 IM유닛(4)은 TP의 ID코드를 판독하고, 스텝S406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등한다. 스텝S408에서는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TP의 ID코드를 3회 판독하고, 이 3회의 ID코드가 전부 일치한 경우에만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스텝S408에서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 경우(스텝S408에서 Yes) 스텝S410으로 진행하고,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지 않은 경우(스텝S408에서 No) 스텝S424로 진행하여 EGI유닛(9)에 코맨드lock를 송신하고, 다음 스텝S426에서 인디케이터를 소등하여 코드추가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41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에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스텝S412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412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 또는 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410으로 리턴하고, 다시 한번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또, 스텝S412에서 EGI유닛(9)로부터 코맨드ID stored를 수신한 경우 스텝S41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412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413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414에서는 IM유닛(4)은 판독한 ID코드를 코맨드ADX로 지정한 IM유닛(4)의 EEPROM(5)의 어드레스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416에서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스텝S418에서 IM유닛(4)의 EEPROM(5)에 등록된 ID코드수를 판단한다. 스텝S418에서 등록된 ID코드수가 8개 미만인 경우, 아직 빈 영역이 있으므로, 등록조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스텝S420으로 진행하고, 8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빈 영역이 없으므로 스텝S426으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를 소등하여 코드추가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420에서 IG스위치가 일단 오프되고, 스텝S422에서 다시 한번 다른 키로 온되면, 스텝S402로 리턴하여 같은 코드추가처리를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에서는 IG스위치의 온상태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60초) 계속, 또는 오프상태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30초) 계속되면, 2키 엔트리 불가로서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EGI유닛의 코드추가모드]
다음에 도 2, 도 26, 도 27을 참조하여 IM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 도 27은 EGI유닛의 코드추가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EGI유닛(90은 IM유닛이 상술한 2키 엔트리모드 혹은 CW엔트리모드에서 2키엔트리 또는 CW엔트리에 성공하고, IM유닛으로부터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코드추가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26,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스텝S68 혹은 도 7에 도시한 스텝S98에 있어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하면 스텝S1402로 진행한다. 스텝S1402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 ID코드를 EGI유닛(9)에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스텝S1404에서는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된 ID코드수를 판단한다. 스텝S1404에서 등록된 ID코드수가 1개 이상인 경우 스텝S1408로 진행하여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req를 송신하고,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을 송신한다. 그 후, 스텝S1410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410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하면 스텝S141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41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1412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고, 도 6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1414에서는 스텝S1402에서 일실적으로 격납한 CW, ID코드와 스텝S1410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1416에서 CW, ID코드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스텝S1416에서 Yes), 도 27에 도시한 스텝S1420으로 진행하고, 어느 한쪽 또는 모두 불일치한 경우(스텝S1416에서 No) 스텝S1418로 진행하고, 스텝S1410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스텝S1404로 리턴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420에서는 수신한 CW와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된 CW를 조합한다. 스텝S1422에서 양 CW가 일치한 경우(스텝S1422에서 Yes) 스텝S1424로 진행하고, 수신한 ID코드를 코맨트ADX로 지정된 EGI유닛(9)의 EEPROM(10)의 어드레스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1426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ID코드가 확실하게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확실하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1426에서 Yes) 스텝S1428로 진행하고, IM유닛(4)에 코맨드ID stored를 송신한다. 여기서, ID코드의 EEPROM에 대한 등록은 정상적으로 기록되기까지 3회 행하고, 3회 시도해도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실패라고 판단한다.
스텝S1430에서는 엔진의 계속작동을 허가하고, 스텝S1432에서는 고장코드X2, X3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들을 클리어한다. 그 후, 스텝S1434에서 통신카운터(N)의 값을 6에 세트하고, 스텝S1436에서는 고장코드X5가 세트되어 있으면 클리어하고, EGI유닛(9)에 있어서의 코드추가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상술한 스텝S1422에서 CW가 불일치할 경우(스텝S1422에서 No) 스텝S1438로 진행하여 고장코드X2를 세트하고, 스텝S1440에서 엔진을 스톱한 후, 스텝S1446으로 진행한다. 스텝S1446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1개 줄인다(N=N-1).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코드추가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상술한 스텝S1426에 있어서, ID코드의 등록이 실패한 경우(스텝S1426에서 No) 스텝S1442로 진행하여 고장코드X4를 세트하고, 스텝S1444에서 엔진을 정지시킨 후, 스텝S1446으로 진행한다.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코드추가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IM유닛 교환모드]
이하에, IM유닛을 신품으로 교환한 경우의 IM유닛(4)과 EGI유닛(9)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M유닛 교환모드는 도 5에 도시한 스텝S22에서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아,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를 수신한 경우에만 이행할 수 있다. 또, IM유닛은 제조업체로부터 납입받은 시점에서 CW가 등록되어 있다.
IM유닛 교환모드에서는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를 등록함과 동시에, EGI유닛(9)의 EEPROM(10)에 CW, ID코드를 재등록한다.
[IM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
먼저, 도 2, 도 28을 참조해서 IM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IM유닛은 IM유닛 교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2,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텝S36에 있어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를 수신하면 스텝S502로 진행한다. 스텝S502에서는, IM유닛(4)은 TP의 ID코드를 판독하고, 스텝S504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등한다. 스텝S506에서는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TP의 ID코드를 3회 판독하고, 이 3회의 ID코드가 거의 일치한 경우에만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스텝S506에서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 경우(스텝S506에서 Yes) 스텝S508로 진행하고,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지 않은 경우(스텝S506에서 No) 스텝S516으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IM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508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에 ID코드 미등록 코맨드IE와 ID코드를 송신한다. 스텝S51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51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req를 수신한 경우, 스텝S508로 리턴하여 다시 한번 코맨드IE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또, 스텝S510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CW변경등록확인코맨드replaced CW를 수신한 경우 스텝S512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51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 스텝S516으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함과 동시에,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502에서는, IM유닛(4)은 TP의 ID코드를 판독하고, 스텝S504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등한다. 스텝S506에서는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TP의 ID코드를 3회 판독하고, 이 3회의 ID코드가 거의 일치한 경우에만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스텝S506에서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 경우(스텝S506에서 Yes) 스텝S508로 진행하고,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지 않은 경우(스텝S506에서 No) 스텝S516으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IM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640에서는 일시 격납된 ID코드와 금회의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642에서 양 ID코드가 일치한 경우(스텝S642에서 Yes) 스텝S618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그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스텝S642에서 양 ID코드가 불일치할 경우(스텝S642에서 No) 스텝S644로 진행하여 RAM(6)에 일시 격납된 금회의 ID코드를 EEPROM(5)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646에서 RAM(6)에 일시 격납된 ID코드를 클리어하고, 스텝S618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그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EGI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
다음에, 도 2, 도 29, 도 30을 참조해서 EGI유닛이 IM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 도 30은 EGI유닛의 IM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EGI유닛은 IM유닛으로부터 코맨드IE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유닛교환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스텝S68에 있어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IE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하면 스텝S1502로 진행한다. 스텝S1502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 ID코드를 EGI유닛(9)의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스텝S1504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req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S1506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506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IE와 CW와 ID코드를 수신하면 스텝S15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506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1508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6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1510에서는 스텝S1502에서 일시적으로 격납한 CW, ID코드와 스텝S1506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11512에서 CW, ID코드가 모두 일치한 경우 (스텝S1512에서 Yes) 도 30에 도시한 스텝S1516으로 진행하고, 어느 한쪽 또는 모두 불일치할 경우(스텝S1512에서 No) 스텝S1514로 진행하고, 스텝S1506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스텝S1504로 리턴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516에서는 수신한 ID코드와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된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1518에서 양 ID코드가 일치한 경우(스텝S1518에서 Yes), 스텝S1520으로 진행하고, 수신한 CW를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1522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CW가 확실하게 등록되었는지 판단하여, 확실하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1522에서 Yes) 스텝S1524로 진행하고, IM유닛(4)에 코맨드replaced CW를 송신한다. 여기서, CW의 EEPROM에 대한 등록은 정상적으로 기록할 수 있기까지 3회 행하고, 3회 시도해도 기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등록실패라고 판단한다.
스텝S1526에서는 엔진의 계속작동을 허가하고, 스텝S1528에서 고장코드X2, X3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들을 클리어하여 EGI유닛(9)에 있어서의 IM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상술한 스텝S1518에 있어서 ID코드가 불일치할 경우(스텝S1518에서 No) 스텝S1530으로 진행하고, 고장코드X3를 세트하고, 스텝S1532에서 엔진을 정지시킨 후 스텝S1538으로 진행한다. 스텝S1538에서는 통신카운터(N)의 값을 한 개 줄인다(N=N-1).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IM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상술한 스텝S1534에 있어서 CW의 등록이 실패한 경우(스텝S11522에서 No) 스텝S1534로 진행하여 고장코드X4를 세트하고, 스텝S1536에서 엔진을 정지시킨 후, 스텝S1538로 진행한다.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IM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
이하에, IM유닛(4) 및 EGI유닛(9)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는 IM유닛 및 EGI유닛의 신품시(예를 들면, 초기 출하시 혹은 동시 교환시)와 같이, IM유닛(4) 및 EGI유닛(9)의 각 EEPROM(5)(10)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ID코드 혹은 CW의 조합을 행하지 않고 ID코드, CW를 등록할 수 있는 모드로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에만 이행할 수 있다. 또, IM유닛은 제조업체로부터 납입받은 시점에서 CW가 등록되어 있다. 또, CW를 EGI유닛이나 양 유닛에 미리 등록시켜 둘 수도 있다.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서는 IM유닛(4)의 EEPROM(5)에 신규로 ID코드를 등록함과 동시에, EGI유닛(9)의 EEPROM(10)에 CW, ID코드를 신규로 등록한다. 또, ID코드는 키를 1개 분실 혹은 파손한 경우를 고려하여 최저 3개의 다른 ID코드가 등록된다.
[IM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
먼저, 도 2, 도 31, 도 32를 참조해서 IM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 도 32는 IM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프롤챠트이다.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 있어서, IM유닛은 도 5에 도시한 스텝S22에서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고, 다음의 스텝S36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SR를 수신했을 때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한다. 또, 스텝S22에서 IM유닛(4)과 EGI유닛(9)의 어느 한쪽에 CW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스텝S36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IM유닛(4)과 EGI유닛(9)의 어느 한쪽에 ID코드 미등록을 표시하는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 스텝S36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스텝S22에서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할 때 스텝S36으로 진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2, 도 31,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스텝S22에서 IM유닛(4)의 EEPROM(5)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고, 다음의 스텝S36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스텝S602로 진행한다. 스텝S602에서는 IM유닛(4)은 TP의 ID코드를 판독하고, 스텝S640에서 인디케어터를 점등한다. 스텝S606에서는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ID코드가 바른 데이타 프레임인지 아닌지의 판단은 TP의 ID코드를 3회 판독하고, 이 3회의 ID코드가 전부 일치한 경우에만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스텝S606에서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 경우(스텝S606에서 Yes) 스텝S608로 진행하고, 판독한 ID코드가 바른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지 않은 경우(스텝S606에서 No) 스텝S632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다음의 스텝S634에서 RAM(6)에 일시적으로 격납한 ID코드를 클리어하고,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608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에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스텝S61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610에서는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SR을 수신한 경우 스텝S608로 리턴하여 다시 한번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를 송신한다. 또, 스텝S610에서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ID stored를 수신한 경우 스텝S61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610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612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614에서는 EEPROM(5)에 이미 등록이 끝난 ID코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이 끝난 ID코드가 있는 경우(스텝S614에서 Yes) 스텝S616으로 진행하고, IM유닛(4)은 금회의 ID코드를 코맨드ADX에서 지정한 유닛(4)의 EEPROM(5)의 어드레스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618에서 인디커에터를 소등하고, 도 32에 도시한 스텝S620에서 IM유닛(4)의 EEPROM(5)에 등록된 ID코드수를 판단한다. 스텝S620에서 등록된 ID코드수가 8개 미만인 경우 아직 빈 영역이 있으므로, 등록조작을 계속할 수 있도록 스텝S622으로 진행하고, 8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빈 영역이 없으므로 스텝S634로 리턴하고, RAM(6)에 일시적으로 격납한 ID코드를 클리어하여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622에서 IG스위치가 일단 오프되면, 스텝S624에서 RAM(5)에 일시 격납된 ID코드수 혹은 EEPROM(5)에 등록된 ID코드수를 인플레이터(51)를 점멸시켜서 알린다. 그 후, 스텝S626에서 다시 한번 다른 키로 IG스위치가 온되면 스텝S628로 진행하여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628에서 IM유닛(4)은 EGI유닛(9)으로부터 코맨드SR를 수신한 경우 스텝S602로 리턴하고, TP의 ID코드를 판독하여 스텝S604 이후의 처리를 다시 한번 실행한다. 한편, 스텝S628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630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상술한 스텝S614에 있어서 EEPROM(5)에 이미 등록이 끝난 ID코드가 없는 경우(스텝S614에서 Yes), 이것은 IM유닛(4)에 대한 최초의 ID코드등록작업에 상당하고, 스텝S636으로 진행한다. 스텝S636에서는 RAM(6)에 이미 일시 격납된 ID코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일시 격납된 ID코드가 있는 경우(스텝S636에서 Yes) 스텝S640으로 진행하고, 일시 격납된 ID코드가 없는 경우, 스텝S638에서 금회의 ID코드를 RAM(6)에 일시 격납한다.
스텝S640에서는 일시 격납된 ID코드와 금회의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642에서 양 ID코드가 일치한 경우(스텝S642에서 Yes) 스텝S618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그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스텝S642에서 양 ID코드가 불일치할 경우(스텝S642에서 No) 스텝S644로 진행하여 RAM(6)에 일시 격납된 금회의 ID코드를 EEPROM(5)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646에서 RAM(6)에 일시 격납된 ID코드를 클리어하고, 스텝S618로 진행하여 인디케이터를 소등하고, 그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서는 IG스위치의 온상태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60초) 계속 또는 오프상태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30초) 계속되면, 이 모드를 종료하고, 도 5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2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본 모드에서는 IM유닛에 있어서 ID코드를 RAM에 일시적으로 격납하도록 하고 있으나, EGI유닛에 같은 사양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모드에서는 2개의 키의 ID코드를 다 등록할 때까지는 판독한 ID코드를 RAM에 일시적으로 격납해 두도록 설정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키의 ID코드를 등록할 때까지 판독한 ID코드를 RAM에 격납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 판독한 전체의 ID코드를 RAM에 일시 격납해 두고,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한 시점에서 한번에 전체의 ID코드를 EEPROM에 등록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공장라인에서 ID코드의 등록작업을 할 경우, 예를들면 IM유닛이나 EGI유닛에 ID코드를 신규로 등록할 때, 그 등록작업중에 어떤 요인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나중에 등록작업을 재개할 때에는, 2키 엔트리모드에서 ID코드의 추가, 변경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업시간이 엄격한 공장라인 등에 있어서 조작이 복잡한 CW엔트리모드에서 작업하는 것은 작업효율을 고려할 때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IM유닛이나 EGI유닛에 ID코드를 신규로 등록할 때 그 등록작업중에 어떤 요인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어 버려 1종류의 ID코드만 등록하고 작업을 종료했다면 하면, 2키 엔트리모드로 이행할 수 없게 된다.
이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서는 1개째의 키ID1의 등록작업시에 ID코드를 등록하지 않은 채 작업을 중단해도 ID코드가 다른 2개째의 키ID2에서 등록작업이 재개되어 1개째, 2개째의 키ID1, ID2의 ID코드를 다 등록할 때까지는 1개째의 ID코드를 RAM에 일시적으로 격납해 두므로, 작업재개후 적어도 2종류의 ID코드는 등록되게 되므로, 2키 엔트리모드로 이행할 수 없다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실시형태의 ID코드수 통지]
다음에, 제1실시형태로서 상술한 스텝S624에서의 ID코드수의 통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RAM에 일시 격납된 ID코드수 혹은 EEPROM에 등록된 ID코드수를 통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째 키의 ID코드를 등록하여 IG스위치를 오프한 후, 3개째의 키로 IG스위치를 온할 때까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인디케이터를 2회 연속해서 점멸시켜서 일림으로써, 2개의 다른 ID코드가 등록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ID코드를 등록하는 경우에 현재의 ID코드수를 쉽게 알 수 있고, 또 같은 키를 계속해서 등록하는 것을 인디케이터의 점멸에 의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만일 같은 ID코드를 중복해서 등록하더라도 인디케이터의 점멸회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중복해서 작업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ID코드수의 통지는 인디케이터를 유용하고 있으므로, 그밖에 표시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코스트적으로도 유리하다.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 통지]
다음에,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의 통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 도 34는 제2실시형태의 ID코드수의 통지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36은 제2실시형태로서 RAM에 일시 격납된 ID코드수 혹은 EEPROM에 등록된 ID코드수를 통지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점멸타이밍과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또, 도 33, 도 34에 있어서 도 31, 도 32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스텝만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ID코드를 등록하여 IG스위치를 오프한 후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ID코드를 등록한 시점에서 인디케이터의점멸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도 33, 도 34에서는 도 31에 도시한 스텝S604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등하지 않고, 스텝S624에서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키지 않으며, 스텝S616에서의 ID코드후에 인디케이터를 점멸시키고 있다(스텝S618').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2개째 키의 ID코드를 등록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인디케이터를 2회 연속해서 점멸시키고, IG스위치를 오프한 후에도 계속해서 점멸시킨다. 그리고, 3개째 키의 ID코드를 등록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인디케이터를 3회 연속해서 점멸시키며 알린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도 등록된 ID코드수를 인식할 수 있다. 또, ID코드의 등록 작업중 인디케이터가 점멸하게 되므로 항상 ID코드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인디케이터가 소등함으로써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가 종료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ID코드를 등록하는 경우에 현재의 ID코드수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또 같은 키를 계속해서 등록하는 것을 인디케이터의 점멸에 의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만일 같은 ID코드를 중복해서 등록하더라도 인디케이터이 점멸회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중복해서 작업했음을 알 수 있어서, 작업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ID코드수의 통지는 인디케이터를 유용하고 있으므로, 그밖에 표시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코스트적으로 유리하다.
[EGI유닛이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
다음에, 도 2, 도 37을 참조해서 EGI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은 EGI유닛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에 있어서, EGI유닛은 도 6에 도시한 스텝S52에서 그 EEPROM(10)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스텝S54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RG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며,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와 레지스터 코맨드RG를 수신했을 때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스텝S84 또는 스텝S98에 있어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고맨드ADX와 CW와 ID코드와 코맨드RG를 수신하면 스텝S1602로 진행한다. 스텝S1602에서는 EGI유닛(9)의 EEPROM(10)에 RG플래그를 세트한다. RG플래그는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했음을 나타낸다. 스텝S1604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 ID코드를 EGI유닛(9)의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스텝S1606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S1608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608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ADX와 CW와 ID코드와 레지스터 코맨드RG를 수신하면 스텝S1612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608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1610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6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1612에서는 스텝S1604에서 일실적으로 격납한 CW, ID코드와 스텝S1608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1614에서 CW, ID코드가 모두 일치한 경우(스텝S1614에서 Yes) 스텝S1618로 진행하고, 어느 한쪽 또는 모두 불일치할 경우(스텝S1614에서 No) 스텝S1616로 진행하고, 스텝S1608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스텝S1606으로 리턴한다.
스텝S1618에서는 CW, ID코드를 2회 조합하고, 2회 모두 CW, ID코드가 모두 일치한 경우(스텝S1618에서 Yes) 스텝S1620으로 진행하고, 2회 조합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S1618에서 No) 스텝S1616으로 리턴하여 다시 한번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스텝S1620에서는 수신한 CW를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1622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CW, ID코드가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확실하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1612에서 Yes) 스텝S1624로 진행하고, IM유닛(4)에 코맨드ID stored를 송신하여 EGI유닛(9)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스텝S1622에서, CW, ID코드의 등록이 실패한 경우(스텝S1622에서 No) 스텝S1626으로 진행하여 고장코드X4를 세트하고,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IM유닛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EGI유닛 교환모드]
다음에, 도 2, 도 38을 참조해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은 EGI유닛에 있어서의 EGI유닛 교환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EGI유닛 교환모드에 있어서, EGI유닛은 IM유닛에 이미 등록된 CW와 ID를 EEPROM(10)에 등록한다. 따라서, IM유닛은 도 14에 도시한 통상동작모드에서 동작한다. EGI유닛은 도 6에 도시한 스텝S52에서 그 EEPROM(10)에 ID코드가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98에서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unlock와 CW와 ID를 수신했을 때 EGI유닛 교환모드로 이행한다.
도 2,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스텝S98에 있어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unlock와 CW와 ID를 수신하면 스텝S1702로 진행한다. 스텝S1702에서는 IM유닛(4)으로부터 수신한 CW와 ID를 EGI유닛(9)의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스텝S1704에서는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그 후, 스텝S1706에서는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코맨드를 기다린다. 스텝S1706에서 EGI유닛(9)은 IM유닛(4)으로부터 코맨드unlock와 CW와 ID를 수신하면 스텝S171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706에서 제어코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거나 혹은 IG스위치(15)가 오프되면(스텝S1708에서 Yes), 이 플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도 6에 도시한 공통동작 플로챠트의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1710에서는 스텝S1702에서 일시적으로 격납한 CW, ID코드와 스텝S1706에서 수신한 CW, ID코드를 조합한다. 스텝S1712에서 양 CW가 일치할 경우(스텝S1712에서 Yes) 스텝S1716으로 진행하고, 불일치한 경우(스텝S1712에서 No) 스텝S1714로 진행하여 스텝S1716에서 수신한 CW와 ID를 RAM(11)에 일시적으로 격납하고, 스텝S1704로 리턴한다.
스텝S1716에서는 EGI유닛(9)이 IM유닛(4)에 대해 2회 코맨드SR를 송신하여 CW를 2회 조합했는지를 판단하고, 2회 모두 일치한 경우(스텝S1716에서 Yes) 스텝S1718로 진행하고, 2회 조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S1716에서 No) 스텝S1704로 리턴하여 다시 한번 IM유닛(4)에 대해 코맨드SR를 송신한다.
스텝S1718에서는 수신한 CW 및 IM유닛(4)의 EEPROM(5)내의 모든 ID코드를 EGI유닛(9)의 EEPROM(10)에 등록한다. 그 후, 스텝S1720에서 EGI유닛(9)의 EEPROM(10)에 CW가 확실하게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확실하게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S1720에서 Yes) 스텝S1722로 진행하고, IM유닛(4)에 코맨드confirm unlock를 송신하여 EGI유닛(9)에 있어서의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프로챠트의 스타트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스텝S1720에 있어서 CW의 등록이 실패한 경우(스텝S1720에서 No) 스텝S1724로 진행하여 고장코드X4를 세트하고, 그 후 EGI유닛(9)에 있어서의 EGI유닛 교환모드를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한 플로챠트의 스타트 시점으로 리턴하여 스텝S50부터 제어를 개시한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를 수정 또는 변형한 것에 적용가능하다.
예를들면, 본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IM유닛과 EGI유닛의 양쪽 장치로 실현하는 것이지만, 어느 한쪽의 장치로 처리를 하도록 한 시스템을 구축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ID코드, CW의 조합이나 각 제어모드에 있어서의 IG스위치조작이나 인디케이터 점멸타이밍 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장래에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안테나(2)와 앰프(3)는 리드선(18)에 의해 접속되고, 앰프(3)와 커넥터(17)는 리드선(19)에 의해 접속되어 있던 것을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앰프(3)만 폐지하고 코일안테나(2)와 커넥터(17)를 리드선(20)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단선이나 접속불량 등 리드선으로 인한 고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0에 도시한 리드선(20)을 두껍게 하면 강도를 좀더 높일 수 있다.
또,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18)(19) 및 앰프(3)를 폐지하고, 코일안테나(2)와 커넥터(18)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둔다. 즉,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제1코드를 조합하지 않고, 제2코드를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켜서 등록함에 따라, ID코드등록을 위한 전용테스터가 필요없게 되므로, 방범성을 유지하면서, 공장라인뿐만 아니라 판매점이나 수리공장에서도 ID코드나 CW의 등록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제2코드를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등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도둑이 신품의 코드조합부나 엔진제어부를 입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방범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중 적어도 한쪽에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코드조합부 혹은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신품의 판단을 쉽게 할 수 있다.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엔진제어부와 코드조합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신품의 판단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그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된 코드조합부 혹은 엔진제어부의 양쪽을 신품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신품의 판단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엔진제어부는 코드조합부에 대해 소정코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코드의 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제1코드 및 제2코드의 등록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된 후,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동기하여 행해짐으로써, 코드 등록을 효율화시킬 수 있다.
또,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인 경우, 코드조합부와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서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 제1코드와 제2코드를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켜서 등록함으로써, 방범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1코드는 적어도 2개 이상 등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격납됨으로써 코드조합부나 엔진제어부에 제1코드를 신규로 등록할 때 등록작업중에 어떤 요인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고, 적어도 2개의 제1코드를 등록하지 않은 채 등록작업을 종료해 버려도 다시 한번 처음부터 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18)

  1. 송신기를 구비한 키에 고유의 제1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키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에 제2코드와 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를 엔진제어부로 송신하는 코드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엔진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제2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에 상기 코드조합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맨드에 따라서 엔진을 작동시키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지 않고,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하는 코드등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등록수단은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코드조합부 혹은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엔진제어부와 상기 코드조합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은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된 상기 코드조합부 혹은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엔진제어부는 상기 코드조합부에 대해 소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 및 상기 제2코드의 등록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된 후,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동기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 제1코드와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는 적어도 2개 이상 등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10. 송신기를 구비한 키에 고유의 제1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키로부터 판독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 제2코드와 엔진작동을 허가하는 코맨드를 엔진제어부로 송신하는 코드조합부를 가지며, 상기 엔진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제2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한 경우에 상기 코드조합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코맨드에 따라서 엔진을 작동시키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에서의 코드등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지 않고,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양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제1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코드조합부 혹은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코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기 엔진제어부와 상기 코드조합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소정의 식별정보가 등록된 상기 코드조합부 혹은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부가 신품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엔진제어부는 상기 코드조합부에 대해 소정 코멘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 및 상기 제2코드의 등록은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된 후,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동기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이 신품인 경우,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의 어느 한쪽에서 상기 제1코드를 조합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코드와 제2코드를 상기 코드조합부와 상기 엔진제어부 사이에서 일치시키며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는 적어도 2개 이상 등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난방지장치의 코드등록방법.
KR1019970037401A 1996-08-08 1997-08-05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KR19980018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9964 1996-08-08
JP20996496A JPH1053106A (ja) 1996-08-08 1996-08-08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そのコード登録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96A true KR19980018396A (ko) 1998-06-05

Family

ID=1658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401A KR19980018396A (ko) 1996-08-08 1997-08-05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82292A (ko)
JP (1) JPH1053106A (ko)
KR (1) KR19980018396A (ko)
DE (1) DE19734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63A (ja) * 1998-08-24 2000-02-2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DE19908216C2 (de) * 1999-02-25 2001-09-06 Siemens Ag Verfahren zum Starten eines Kraftfahrzeugs und Zündstartvorrichtung
US6777826B2 (en) 2000-09-13 2004-08-17 Mazda Motor Corporatio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JP3917496B2 (ja) * 2002-10-09 2007-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制御装置
WO2004074042A2 (en) * 2003-02-20 2004-09-02 Aviad Moran Battery immobilizing system
JP4476062B2 (ja) 2004-07-23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
JP5207433B2 (ja) 2007-02-21 2013-06-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
JP4268199B2 (ja) * 2007-05-14 2009-05-2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始動制御装置および始動制御方法
US8525644B1 (en) * 2007-08-23 2013-09-03 George Susumu Yonekura Driver's license detector
US11338769B2 (en) * 2020-05-21 2022-05-24 Verizon Connect Development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mobilizing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756A (en) * 1994-02-17 1995-12-12 At&T Corp. Method of authenticating a terminal in a transaction execution system
JP3441177B2 (ja) * 1994-08-02 2003-08-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H08150899A (ja) * 1994-11-30 1996-06-11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446191B2 (ja) * 1994-12-27 2003-09-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の初期設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3106A (ja) 1998-02-24
US5982292A (en) 1999-11-09
DE19734430A1 (de) 199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4792B1 (en) Abnormality detection and vehicle tracking device
US7656278B2 (en) Theft prevention apparatus of leisure vehicle
US20060163947A1 (en) Theft prevention apparatus of leisure vehicle
US7498928B2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JPH0747910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ドアロツク装置
US5767588A (en)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KR19980018396A (ko) 차량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코드등록방법
US7034658B2 (en) Starting controller
US20080100417A1 (en) Vehicle antitheft system and vehicle antitheft method
JP3666700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そのコード登録方法
US20060028210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monitoring device for a vehicle
JP2007076415A (ja) 車両制御装置
US7423353B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US690055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and stopping of engine
US5703414A (en) Anti-theft apparatus which permits the engine to start prior to ID signal discrimination
JP2006315582A (ja) 車両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US20040198255A1 (en) In-vehicle wireless device, management center, and operating-state notification system
US7564146B2 (en) Moving body starting system
JP3627227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56267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562680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EP1081002A2 (en) Method of preventing car thefts
US7489232B2 (en)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or the like
JP2006096297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342666B2 (ja) 盗難通報装置及び盗難通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