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340A -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회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회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340A
KR19980018340A KR1019970037164A KR19970037164A KR19980018340A KR 19980018340 A KR19980018340 A KR 19980018340A KR 1019970037164 A KR1019970037164 A KR 1019970037164A KR 19970037164 A KR19970037164 A KR 19970037164A KR 19980018340 A KR19980018340 A KR 1998001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otary connector
switch
side hous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040B1 (ko
Inventor
겐 미즈타
사토시 데라시타
히로노리 가토
기미히로 후루이치
가츠야 미츠즈카
유카리 사노
가츠토시 우치다
히로시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다오카 마사다카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604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6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17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164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565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192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카 마사다카,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카 마사다카
Publication of KR1998001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한정된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스내에 회전 커넥터를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1)의 상판(1a)에 개구(2)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1)의 하부 개방단에 복수의 커넥터(9a, 9b, 9c)가 실장된 프린트기판(7)을 고정한다. 또 케이싱(1)의 좌우로 스톡 스위치(5, 6)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고, 이들 스톡 스위치(5, 6)의 커넥터(5a, 6a)를 프린트기판(7)의 커넥터(9a, 9b)에 각각 접속한다. 한편, 회전 커넥터의 외곽을 이루는 고정측 하우징(11)과 가동측 하우징(12)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고정측 하우징(11)에 설치된 바깥 몸통부(11b)의 상단부에 복수의 설치조각(11c)을 형성한다. 그리고 컬럼커버 등에 고정된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1)에 대하여 회전 커넥터의 대부분을 개구(2)내로 집어 넣은 형태로 각 설치조각(11c)을 상판(1a)에 나사(17)로 고정하고, 고정측 하우징(11)의 바닥면에 설치한 고정측 커넥터(15)를 프린트기판(7)상의 커넥터(9c)에 접속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회전 커넥터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에어백 인플레이터 등의 전기 부품을 차체측으로 전달하는 접속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회전 커넥터와, 전조등 스위치나 와이퍼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 유닛이 조립된 콤비네이션 스위치와의 설치구조 및 이 설치구조를 구비한 스티어링 유닛 및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에어백 인플레이터나 경음기 스위치 등의 전베이스부품을 차체측으로 전달하는 접속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커넥터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양 하우징간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수납공간 내에 감겨진 가요성 케이블로 개략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케이블에 설치된 도체의 양단은 양 하우징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도출되고, 그 도출단에 커넥터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양 하우징의 한쪽은 가동측 하우징, 다른 쪽은 고정측 하우징으로서 이용되고, 가동측 하우징을 정, 역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가용성 케이블이 수납공간 내에서 단단히 감기거나 또는 풀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전 커넥터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되고, 컬럼측과 스티어링 휠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나, 이 경우,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을 컬럼측 스테이터 부재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와같은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로서는 전조등 스위치나 와이퍼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 유닛(스톡 스위치라 불림)이 조립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미리 컬럼측에 고정하고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평탄한 상면에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을 나사 등으로 부착하도록 한 (스티어링 유닛이라 불림)것이 채용되고 있다. 이때 가동측 하우징은 연결핀 등을 이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뒷면에 걸어 고정하고, 또 가요성 케이블 양쪽 끝단에 설치된 커넥터 단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에 각각 접속된다. 이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에 연동하여 가동측 하우징이 정, 역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에어백 인플레이터나 경음기스위치 등의 전기 부품이 회전 커넥터의 가요성 케이블을 개재하여 컬럼측에 항시 접속되게 된다.
또 이때, 회전 커넥터내의 가요성 케이블의 양단은 와이어 하네스를 거쳐 양 하우징으로부터 도출되고, 와이어 하네스의 선단에 설치되는 전용 커넥터가 핸들측과 콤비네이션 스위치순으로 각각 커넥터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스톡 스위치로부터도 선단에 전용 커넥터를 설치한 와이어 하네스가 도출되고, 이 전용 커넥터가 콤비네이션 스위치내에서 커넥터 접속되고, 또한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가 차체측으로 커넥터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회전 커넥터의 높이 치수는 이용되는 가요성 케이블의 폭치수에 크게 의존하고, 예를 들어 스테이링 휠에 상기한 에어백 인플레이터나 경음기스위치 등에 더하여 오디오용 스위치류를 탑재하는 경우, 이들 다수의 전기 부품을 접속하기 위하여 가요성 케이블의 도체의 개수를 증가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것에 따라 회전 커넥터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최근, 스티어링휠의 조타 각도와 조타 방향을 조타 센서로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서스펜션의 감쇠력 제어나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포지션 제어 등을 행하는 자동차가 개발되어 있고, 이 조타각 센서를 회전 커넥터와 함께 콤비네이션 스위치상에 조립하는 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 기술과 같이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 상면에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을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를 상기 스페이스내에 조립할 수 없게 되고 특히 커넥터와 조타각 센서의 양쪽을 상기 스페이스내에 조립할 경우, 회전 커넥터에 굉장히 박형화가 요구되고 도체 개수가 많은 다회로 대응의 회전 커넥터를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차체측에 접속하는 데 많은 와이어 하네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유닛 전체의 중량이 무거워 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톡스위치를 수리, 교환할 경우, 스티어링 휠과 회전 커넥터를 동시에 벗겨낸 후,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수리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 천정면에 회전 커넥터가 침입가능한 개구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 천정면에 형성한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면,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유효 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고,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뿐만 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각각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내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에 다이렉트 커플링함과 동시에 이들 각 커넥터를 외부커넥터에서 한 개소로 집약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콤비네이션 스위치내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에 다이렉트 커플링하면, 커넥터 접속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유닛의 경량화와 저 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 스티어링 유닛과 차체측의 접속 개소가 한개소로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에 받이부를 설치하고, 이 받이부에 스위치 유닛으로서의 스톡 스위치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 자체에 스톡 스위치의 받이부를 설치하면,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선 방향의 유효 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고,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 뿐만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수 있고, 또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스톡 스위치를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서 간단하게 수리,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설치한 상태의 스티어링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회전 커넥터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 커넥터에 스톡 스위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스티어링 유닛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입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커넥터의 설치 구조에서는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전기 부품을 차체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와, 복수의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의 천정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과 고정측 하우징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 하우징을 케이싱의 임의 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나, 고정측 하우징에 형성된 설치조각을 상기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면, 케이싱 천정면의 개구부근이 회전 커넥터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콤비네이션 스위치 케이싱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닛은 전조등 스위치나 와이퍼 스위치 등의 스톡 스위치라 불리우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스톡 스위치를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배치하면,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스톡 스위치를 간단하게 수리, 교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유닛에서는 핸들에 탑재된 전기 부품을 차체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가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의 내부에 기판을 설치하고, 이 기판에 상기 회전 커넥터와 상기 스톡 스위치에 각각 다이렉트 커플링되는 커넥터를 실장함과 동시에 이들 각 커넥터를 한 개소에 집약하여 출력하는 외부 커넥터를 실장하였다.
또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전 커넥터간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스톡 스위치간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가동기구를 설치하면,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대응하는 커넥터에 다이렉트 커플링할 때, 설치 위치에 다소의 불균형이 있었다고 하여도 그 불균형이 가동 기구에 의하여 흡수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싱의 천정면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면,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핸들간의 유효 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뿐만 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향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커넥터에서는 바깥쪽 몸통부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바깥쪽 몸통부에 고리모양의 수납공간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안쪽 몸통부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감겨지고, 그의 양쪽 끝단이 상기한 바깥쪽 몸통부와 상기한 안쪽 몸통부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받이부를 마련하고, 이 받이부에 스위치 유닛인 스톡 스위치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받이부는 별도의 부재를 고정측 하우징에 나중에 설치하는 것이라도 상관 없으나, 고정측 하우징에 일체 성형한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한 고정측 하우징에 프린트기판을 고정하고, 이 프린트 기판에 상기 스톡 스위치의 장착에 의하여 접속되는 커넥터를 실장하면, 스톡 스위치를 받이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한 시점에서 상기 스톡 스위치를 회전 커넥터에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또 고정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일체형 커넥터를 설치하고, 이 일체형 커넥터를 개재하여 가요성 케이블의 바깥쪽 끝과 스톡 스위치가 차체측의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하면, 외부 커넥터와의 접속이 한 개소로 되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의 조립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제 1실시예로서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설치한 상태의 스티어링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스티어링 유닛에 구비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실시예에서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1)은 상판(1a)과 한쌍의 측벽(1b)으로 역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은 도시 생략한 컬럼 커버 등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판(1a)에는 원형의 개구(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2)주위에는 복수의 삽입 가이드(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상판(1a)과 양쪽 벽(1b)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홈(4)은 케이싱(1)의 좌우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의 좌우에 장착되는 한쌍의 스톡 스위치(5, 6)는 커넥터(5a, 6a)를 가지며 각각의 베이스부에는 가이드홈(4)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5b, 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톡 스위치(5, 6)는 가이드돌기(5b, 6b)를 가이드 홈(4)을 따라 케이싱(1)내로 삽입한 후, 나사 고정이나 스냅인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케이싱(1)의 하부 개방끝단에는 프린트기판(7)이 나사 고정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 프린트기판(7)에는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 샤프트에 끼워 통하게 되는 관통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7)의 표면에는 복수의 커넥터(9a, 9b, 9c)나 도시 생략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프린트기판(7)의 이면에는 외부 출력 커넥터(10)가 실장되어 있다. 가 커넥터(9a, 9b, 9c)는 도시 생략한 둘러쳐진 패턴을 개재하여 한 개의 외부 출력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각 커넥터(9a ~ 9c)에는 후기하는 가동 기구가 부설 되어 있고 커넥터(9a)에는 스톡 스위치(5)의 커넥터(5a)가, 커넥터(9b)에는 스톡 스위치(6)의 커넥터(6a)가 각각 접속되고, 나머지 커넥터(9c)에는 후기하는 회전 커넥터의 커넥터가 다이렉트 커플링되어 접속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9a)는 복수개의 단자(19)를 유지하는 제 1 이동체(50)와 제 1이동체(50)를 X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2이동체(51)와 제 2이동체(51)를 Y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지지대(5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이동체(50, 51)와 지지대(52)로 상기한 가동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19)의 도중에는 굴곡부(1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19a)에 의하여 단자(19)에 충분한 가요성이 부여되어 있다. 각 단자(19)를 지지대(52)의 하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7)의 도시 생략한 랜드에 납땜되어 있다. 도시 생략하였으나, 다른 커넥터(9b, 9c)에도 동일한 가동 기구가 부설되어 있다.
한편, 회전 커넥터의 외곽은 고정측 하우징(11)과 가동측 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양 하우징(11, 12)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11)은 링모양의 바닥판(11a)과 통모양의 바깥 몸통부(11b)를 가지며, 바깥 몸통부(11b)의 위쪽 끝부에는 복수의 설치조각(11c)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하우징(12)은 링모양의 천정판(12a)과 통모양의 안쪽 몸통부(12b)를 가지며, 안쪽 몸통부(12b)에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끼워 통하게 되는 센서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 하우징(11, 12)의 바닥판(11a)과 바깥 몸통부(11b)와 천정판(12a)및 안쪽 몸통부(12b)에 의하여 고리모양의 수납 공간이 구획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가요성 케이블으로서의 플랫케이블(14)이, 예를 들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이 플랫 케이블(14)은 서로 평행하게 뻗는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며, 그 바깥쪽 끝은 바깥쪽 몸통부(11b)에 고정되고, 바닥판(11a)에 설치한 다이렉트 커플링 타입의 고정측 커넥터(1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고정측 커넥터(15)는 프린트 기판(7)상의 커넥터(9c)에 다이렉트 커플링된다. 또 플랫 케이블(14)의 안쪽 끝은 안쪽 몸통부(12b)에 고정되고, 천정판(12a)에 설치한 다이렉트 커플링 타입의 가동측 커넥터(16)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커넥터를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경우는 먼저 컬럼 커버 등에 고정된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1)에 대하여 고정측 하우징(11)의 각 설치조각(11c)을 나사(17)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그때 고정측 하우징(11)을 상판(1a)의 개구(2)내로 삽입하면서 각 설치조작(11c)을 대응하는 삽입 가이드(3)를 따라 상판(1a)에 맞대면, 고정측 커넥터(15)가 프린트기판(7)상의 커넥터(9c)에 자동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회전 커넥터의 설치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1)의 위쪽으로 거의 돌출하지 않고, 이들 회전 커넥터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합체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선방향으로 소형화 되어 있다. 그후,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샤프트에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이면의 걸어 맞춤 구멍을 가동측 하우징(12)의 연결 핀(18)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에 부설된 도시생략한 커넥터를 가동측 커넥터(16)에 접속한다. 그 결과,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에어 백 인플레이터 등의 전기 부품이 회전 커넥터의 플랫 케이블(14)을 개재하여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프린트기판(7)에 접속되고, 상기 프린트 기판(7)은 외부 출력 커넥터(10)를 개재하여 차체측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제어부에 접속된다.
상기 스톡 스위치(5, 6)와 회전 커넥터는 미리 케이싱(1)에 각각 설치되고, 이들 회전 커넥터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합체에 의하여 스티어링 유닛이 구성된다. 이 경우,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11)을 상판(1a)의 개구(2)내로 삽입하여 가면, 각 설치조각(11c)이 대응하는 삽입 가이드(3)로 안내되어 상판(1a)에 닿고, 고정측 커넥터(15)가 프린트 기판(7)상의 커넥터(9c)에 자동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고정측 하우징(11)의 각 설치조각(11c)이 나사(17)를 이용하여 케이싱(1)에 설치된다. 그때 고정측 커넥터(15)와 커넥터(9c)의 상대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었다고 하여도 이 어긋남은 커넥터(9c)에 부설된 가동 기구에 의하여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2이동체(50, 51)가 지지대(52)에 대하여 X-Y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수되기 때문에, 고정측 커넥터(15)와 커넥터(9c)를 확실하게 다이렉트 커플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부에 이와 같은 불필요한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각 스톡 스위치(5, 6)의 가이드 돌기(5b, 6b)를 가이드 홈(4)을 따라 케이싱(1)내로 삽입하면, 각 스톡 스위치(5, 6)의 커넥터(5a, 6a)가 프린트 기판(7)상의 커넥터(9a, 9b)에 각각 자동적으로 접속되고, 이 상태에서 스톡 스위치(5, 6)가 나사 고정이나 스냅인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싱(1)에 설치된다. 이 경우도 커넥터(5a)와 커넥터(9a)간 및 커넥터(6a)와 커넥터(9b)간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은 각각 커넥터(9a, 9b)에 부설된 가동 기구에 의하여 흡수된다.
상기 스티어링 유닛을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하는 경우는 프린트 기판(7)의 관통구멍(8)과 회전 커넥터의 센터 구멍(13)을 각각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 샤프트에 삽입한 후, 케이싱(1)을 칼럼 커버 등의 스테이터부재에 나사 고정 등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때 프린트 기판(7)의 이면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10)와 차체측에 설치된 도시 생략한 제어부가 다이렉트 커플링된다. 이어서 핸들을 스티어링 샤프트에 고정하고, 상기 핸들 이면의 걸어 맞춤 구멍을 가동측 하우징(12)의 연결 핀(18)에 걸어 고정함과 동시에 핸들에 부설된 도시 생략한 커넥터를 가동측 커넥터(16)에 접속한다. 그 결과, 핸들에 탑재된 에어백, 인프레이터 등의 전기 부품이 회전 커넥터를 개재하여 프린트 기판(7)에 접속되고, 회전 커넥터와 각 스톡 스위치(5, 6)가 프린트 기판(7)의 외부 커넥터(10)를 개재하여 차체측의 제어부에 접속된다.
사용할 때에는, 스티어링 휠을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연결핀(18)을 개재하여 가동측 하우징(12)에 전달되고, 가동측 하우징(1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을 그 회동 중립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가동측 하우징(1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랫케이블(14)은 안쪽 몸통부(12b)의 바깥 둘레 면에 단단히 감긴다. 반대로 스티어링 휠을 회동 중립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가동측 하우징(1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랫케이블(14)은 바깥 몸통부(11b)의 안쪽 둘레 면에 대해 감김이 풀리고 어느 상태에서나 양 하우징(11, 12)간의 전기적 접속은 플랫케이블(14)을 개재하여 유지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회전 커넥터의 양 하우징(11, 12)의 대부분이 케이싱(1)의 천정면에 형성된 개구(2)내로 들어간 상태로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조합체의 높이 치수(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선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회전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다회로화에 대응하여 커지거나 회전 커넥터에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을 일체화한 경우에도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간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회전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또 고정측 하우징(11)의 바깥 몸통부(11b)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설치조작(11c)을 개구(2)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판(1a)에 나사(17)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개구(2)를 개설함으로써 저하하는 상판(1a)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회전 커넥터에 의하여 보강되고,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1)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톡 스위치(5, 6)를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스톡 스위치(5, 6)를 수리,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옆쪽으로부터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커넥터(15)와 프린트 기판(7)상의 커넥터(9c) 및 스톡 스위치(5, 6)의 커넥터(5a, 6a)와 프린트 기판(7)상의 커넥터(9a, 9b)가 각각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1)내에서 다이렉트 커플링에 의하여 접속되기 때문에 커넥터 접속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스티어링 유닛의 경량화와 저 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9a ~ 9c)가 외부 커넥터(10)로 집약디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유닛과 차체측의 접속개소가 한 개소로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9a ~ 9c)에 가동 기구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커넥터(15)와 스톡 스위치(5, 6)의 커넥터(5a, 6a)를 대응하는 커넥터(9a ~ 9c)에 다이렉트 커플링할 때, 각 부품간에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있었다고 하여도 그 어긋남을 가동 기구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하단을 개방한 역 오목상의 케이싱(1)을 이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케이싱(1)의 형상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디자인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가능하고, 예를 들어 하부를 덮개로 덮고 좌우를 개방한 박스모양의 케이싱(1)내에 프린트기판(7)을 배치하여도 되고,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케이싱(1)의 강성이 높아져 베이스부에 부하가 인가되는 스톡 스위치를 설치하는 데 적합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기판(7)상의 각 커넥터(9a ~ 9c)측에 가동 기구를 부설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커넥터(15)나 스톡 스위치(5, 6)의 커넥터(5a, 6a)측에 가동 기구를 부설하여도 되고 그 가동 기구도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은 제 2실시예에 관한 회전 커넥터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전 커넥터에 스위치 유닛인 스톡 스위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21)과 이 고정측 하우징(2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22)과, 이들 양 하우징(21, 22)내부에 수납된 가요성 케이블(23)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제 2실시예에서 고정측 하우징(21)은 센서구멍(24a)이 개설된 바닥판(24)과 이 바닥판(24)의 바깥쪽 둘레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된 통모양의 바깥 몸통부(25)와, 이 바깥 몸통부(25)로부터 좌우 양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지지벽(26, 27)을 가지며, 이들은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각 지지벽(26, 27)은 후기하는 스톡 스위치의 받이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바깥 몸통부(25)와 반대측 끝면을 개방하는 박스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벽(26, 27)의 상면에는 걸어멈춤 돌기(26a, 27a)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26b, 2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깥 몸통부(25)의 하단에는 일체형의 고정측 커넥터(28)가 설치됨과 동시에 바깥 몸통부(25)의 하단과 각 지지벽(26, 27)의 바닥면이 연속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설치조작(2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측 하우징(22)은 끼워 통하는 구멍(30a)이 개설된 통모양의 안쪽 몸통부(30)와 이들 안쪽 몸통부(30)의 상단으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뻗는 링모양의 천정판(31)을 가지며, 이들도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천정판(31)에는 가동측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측 하우징(21)과 가동측 하우징(22)은 스냅 액션 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 양 하우징(21, 22)의 바닥판(24)과 바깥 몸통부(25)와 안쪽 몸통부(30) 및 천정판(31)에 의하여 고리모양의 수납 공간(33)이 획성되어 있고, 이 수납공간(33)의 내부에 가요성 케이블(23)이 예를 들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이 가요성 케이블(23)은 플랫케이블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도시생략한 띠모양의 베이스 필름에 복수개의 도체가 유지되어 있다. 가요성 케이블(23)의 바깥쪽 끝은 바깥 몸통부(25)에 고정되고, 각 도체는 상기한 고정측 커넥터(28)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가요성 케이블(23)의 안쪽 끝은 안쪽 몸통부(30)에 고정되고, 각 도체는 상기한 가동측 커넥터(32)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고정측 하우징(21)의 바닥판(24)에는 프린트 기판(34)이 나사 고정되어 있고, 이 프린트 기판(34)에는 관통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34)의 이면에는 한쌍의 커넥터(35, 36)나 다른 회로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이들은 고정측 커넥터(28)의 나머지 단자에 결선되고, 각 커넥터(35, 36)는 각각 지지벽(26, 27)의 내부에 대향하고 있다.
스톡 스위치(37, 38)는 전조등 스위치나 와이퍼 스위치 등을 내장한 레버모양의 스위치 유닛이고, 각각 각 컬럼모양의 베이스부(39, 40)를 가진다. 각 베이스부(39, 40)의 상면에는 록 포올(39a, 40a)이, 양쪽 면에는 가이드 돌기(39b, 40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 각 베이스부(39, 40)의 앞면에는 커넥터 핀(41, 4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스톡 스위치(37)는 왼쪽의 지지벽(2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그 가이드 돌기(39b)를 가이드 홈(26b)을 따라 지지벽(26)내로 삽입하면, 록 포올(39a)이 걸어멈춤 돌기(26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베이스부(39)가 지지벽(26)내에 고정된다. 그때 커넥터핀(41)이 프린트기판(34)의 커넥터(35)에 삽입됨으로써 스톡 스위치(37)는 커넥터(35)를 개재하여 고정측 커넥터(28)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스톡 스위치(38)는 오른 쪽의 지지벽(2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그 가이드 돌기(40b)를 가이드 홈(27b)을 따라 지지벽(27)내로 삽입하면, 록 포올(40a)이 걸어멈춤 돌기(27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베이스부(40)가 지지벽(27)내에 고정된다. 그때 커넥터핀(42)이 프린트기판(34)의 커넥터(36)에 삽입됨으로써 스톡 스위치(38)는 커넥터(36)를 개재하여 고정측 커넥터(28)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의 회전 커넥터를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경우는 먼저 도시생략한 스티어링 샤프트에 프린트기판(34)의 관통구멍(34a)과 가동측 하우징(22)의 끼워 통하는 구멍(30a)을 각각 삽입하고, 컬럼커버 등의 설치부재상에 고정측 하우징(21)의 각 설치조각(29)를 나사고정한다. 그때 설치 부재에 도시생략한 다이렉트 커플링 타입의 외부 커넥터를 설치하여 두면, 고정측 하우징(21)의 설치와 동시에 고정측 커넥터(28)를 외부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단, 리드선이 부착된 외부 커넥터를 이용하여 고정측 하우징(21)의 설치작업과 외부 커넥터의 접속작업을 따로따로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도시생략한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샤프트에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이면을 가동측 하우징(22)의 천정면(31)에 연결핀 등을 이용하여 걸어멈춤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에 부설된 도시 생략한 외부 커넥터를 가동측 커넥터(32)에 접속한다. 그 결과,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에어백 인플레터 등의 전베이스부품이 가동측 커넥터(32)와 가요성 케이블(33)및 고정측 커넥터(8)를 개재하여 차체측의 도시생략한 제어부에 접속된다.
다음에 각 스톡 스위치(37, 38)를 대응하는 지지벽(26, 27)에 삽입하고, 각 스톡 스위치(37, 38)를 지지벽(26, 27)에 기계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각각의 커넥터 핀(41, 42)을 대응하는 커넥터(35, 3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결과, 각 스톡 스위치(37, 38)가 커넥터(35, 36)와 고정측 커넥터(28)를 개재하여 차체측의 도시 생략한 제어부에 접속된다. 또한 각 스톡 스위치(37, 38)를 지지벽(26, 27)에 장착하는 작업은 상기와 같이 회전 커넥터를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한 후에 행하여도 상관없으나, 회전 커넥터를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하기 전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할 때에는 스티어링 휠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가동측 하우징(22)에 전달되고, 가동측 하우징(2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을 그 회동중립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가동측 하우징(2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용성 케이블(23)은 안쪽 몸통부(30)의 바깥 둘레 면에 단단히 감겨진다. 반대로 스티어링 휠을 회동 중립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가동측 하우징(2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요성 케이블(23)은 바깥 몸통부(25)의 안쪽 둘레 면에 대해 감김이 풀리어 어느 상태에서도 스티어링 휠과 차체간의 전기적 접속이 가요성 케이블(23)을 개재하여 유지됨과 동시에 각 스톡 스위치(37, 38)와 차체간의 전기적 접속도 유지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21)에 각 스톡 스위치(37, 38)의 받이부로서의 지지벽(26, 27)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벽(26, 27)은 가요성 케이블(23)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3)의 대략 지름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고정측 하우징(21)과 각 스톡 스위치(37, 38)를 적층한 회전 커넥터전체의 높이 치수(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선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회전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다회로화에 대응하여 커지거나 회전 커넥터에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을 일체화한 경우에도 스티어링 휠 아래쪽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회전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또 각 스톡 스위치(37, 38)를 지지벽(26, 27)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스톡 스위치(37, 38)를 수리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회전 커넥터의 옆쪽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고정측 하우징(21)에 프린트기판(34)을 고정하고, 이 프린트기판(34)에 각 스톡 스위치(37, 38)의 장착에 의하여 접속되는 커넥터(35, 36)를 실장하였기 때문에 스톡 스위치(37, 38)를 지지벽(26, 27)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스톡 스위치(37, 38)를 회전 커넥터에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고정측 하우징(21)의 바닥면에 일체형의 고정측 커넥터(28)를 설치하고, 이 고정측 커넥터(28)에 가요성 케이블(23)의 바깥 쪽 끝단과, 프린트 기판(34)상의 커넥터(35, 36)를 각각 결선하였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에 스톡 스위치(37, 38)를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회전 커넥터와 차체측의 외부 커넥터와의 접속이 고정측 커넥터(28)의 한 개소로 되어, 회전 커넥터의 조립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2실시예에서는 고정측 하우징(21)의 바닥면에 일체형의 고정측 커넥터(28)를 설치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요성 케이블(23)의 바깥쪽 끝을 외부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측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37, 38)를 외부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측 커넥터를 따로 따로 설치하여도 된다.
제 1의 발명은 이상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 천정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면,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사이의 유효 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고,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 뿐만 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커넥터의 고정측 하우징에 형성된 설치조각을 상기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면, 케이싱 천정면의 개구부근이 회전 커넥터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위치 유닛을 회전 커넥터의 옆쪽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면,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스위치 유닛을 간단하게 수리 교환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은 이상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각각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케이싱내에서 대응하는 커넥터에 다이렉트 커플링함과 동시에 이들 각 커넥터를 외부 커넥터에서 한 개소로 집약하여 출력하면 커넥터접속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스티어링 유닛의 경량화와 저 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티어링 유닛과 차체측의 접속개소가 한 개소로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전 커넥터간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스톡 스위치간의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가동 기구를 설치하면,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를 대응하는 커넥터에 다이렉트 커플링할 때, 설치 위치에 다소의 불균형이 있었다고 하여도 그 불균형이 가동 기구에 의하여 흡수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싱의 천정면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면,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핸들간의 유효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 뿐만 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향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은 이상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같은 효과를 갖는다.
바깥 몸통부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바깥 몸통부에 고리모양의 수납공간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안쪽 몸통부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감기게 되고 양끝이 상기 바깥 몸통부와 상기 안쪽 몸통부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전기적으로 도출하는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상기 수납공간의 대략 지름 방향으로 뻗는 받이부를 설치하고, 이 받이부에 스톡 스위치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선방향의 유효 스페이스가 실질적으로 넓어지고, 높이 치수가 큰 회전 커넥터 뿐만 아니라 회전 커넥터를 조타각 센서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할 수 있고, 또 스티어링 휠이나 회전 커넥터를 일부러 벗겨내지 않고도 스톡 스위치를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서 간단하게 수리 교환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프린트 기판을 고정하고, 이 프린트 기판에 상기 스톡 스위치의 장착에 의하여 접속되는 커넥터를 실장하면, 스톡 스위치를 받이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한 시점에서 상기 스톡 스위치를 회전 커넥터에 전기적으로도 접속할 수 있다.
또 고정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일체형 커넥터를 설치하고, 이 일체형 커넥터를 개재하여 가요성 케이블의 바깥쪽 끝단과, 스톡 스위치가 차체측의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게 구성하면, 외부 커넥터와의 접속이 한 개소로 되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의 조립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전기 부품을 차체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와, 복수의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한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의 천정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에 삽입한 상태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과 고정측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형성된 설치조각을 상기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이 상기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이 상기 회전 커넥터의 옆쪽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와 복수의 스위치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 상면에 커넥터를 개재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는 차체측의 제어부에 접속되는 한 개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와 복수의 스위치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된 프린트 기판 상면에 커넥터를 개재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는 차체측의 제어부에 접속되는 한 개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의 설치구조.
  7. 스티어링 휠에 탑재된 전기 부품을 차체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 커넥터와 스톡 스위치가 장착된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싱의 내부에 기판을 배치하고, 이 기판에 상기 회전 커넥터와 상기 스톡 스위치에 각각 다이렉트 커플링되는 커넥터를 실장함과 동시에 이들 각 커넥터를 한 개소로 집약하여 출력하는 외부 커넥터를 실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전 커넥터사이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스톡 스위치간의 상대위치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가동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유닛.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천정면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커넥터를 이 개구내로 삽입한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유닛.
  10. 바깥 몸통부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자유롭게 회전 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바깥 몸통부에 고리모양의 수납공간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안쪽 몸통부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감겨지고, 그의 양 끝단이 상기한 바깥 몸통부와 상기한 안쪽 몸통부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받이부를 마련하고, 이 받이부에 스위치 유닛을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하우징에 프린트 기판을 고정하고, 이 프린트 기판에 상기 스위치 유닛의 장착에 의하여 접속되는 커넥터를 실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일체형 커넥터를 설치하고, 이 일체형 커넥터를 개재하여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바깥쪽 끝단과 상기 스위치 유닛이 차체측의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하우징의 바닥면에 일체형 커넥터를 설치하고, 이 일체형 커넥터를 개재하여 상기 가요성 케이블의 바깥쪽 끝단과 상기 스위치 유닛이 차체측의 외부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KR1019970037164A 1996-08-05 1997-08-04 회전커넥터의설치구조와회전커넥터및이를사용한스티어링유닛 KR100318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04096A JP3416411B2 (ja) 1996-08-05 1996-08-05 回転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8-206040 1996-08-05
JP8-232174 1996-09-02
JP23217496A JP3416416B2 (ja) 1996-09-02 1996-09-02 回転コネクタ
JP33565896A JP3301929B2 (ja) 1996-12-16 1996-12-16 ハンドルユニット
JP8-335658 199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340A true KR19980018340A (ko) 1998-06-05
KR100318040B1 KR100318040B1 (ko) 2002-04-22

Family

ID=2732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164A KR100318040B1 (ko) 1996-08-05 1997-08-04 회전커넥터의설치구조와회전커넥터및이를사용한스티어링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0823352B1 (ko)
KR (1) KR100318040B1 (ko)
DE (2) DE69704238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483B1 (ko) * 1999-12-15 2002-01-05 박재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립체
KR20030050252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스위치조립체
KR100786282B1 (ko) * 2005-06-06 2007-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와 조타각 센서의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3991A (en) * 1996-02-09 1998-03-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aveform synthesis
JPH10241504A (ja) * 1997-02-24 1998-09-11 Yazaki Corp ステアリング用信号伝達装置
JP2000003638A (ja) * 1998-06-15 2000-0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との取付構造
JP2001294104A (ja) * 2000-04-11 2001-10-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とコンビスイッチとの一体型電装品
DE20303388U1 (de) * 2003-03-03 2003-07-1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eneratorträger für ein Fahrergassackmodul, Funktionsmodul für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s, Baugruppe aus einem Generatorträger und einem Funktionsmodul sowie Lenkrad für ein Kraftfahrzeug
FR2984818B1 (fr) * 2011-12-23 2015-12-11 Sc2N Sa Module de communication de colonne de direction
WO2017208521A1 (ja) * 2016-05-31 2017-1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971A (en) * 1978-03-28 1981-06-16 Lucas Industries Limited Electrical switch having rotatable and pivotable lever
JPS58150230A (ja) * 1982-03-03 1983-09-06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コラムスイツチの取付装置
JPS58163353U (ja) * 1982-04-27 1983-10-31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リップリングの構造
DE3427588A1 (de) * 1984-07-26 1986-02-06 Franz Kirsten Elektrotechnische Spezialfabrik, 6530 Bingen Einrichtung zur stromuebertragung zwischen einem feststehenden und einem verdrehbaren teil
EP0482234A1 (en) * 1990-10-24 1992-04-29 ROBOMATIC S.a.s. Electromagnetic signal transmission system on a road vehicle
GB9105837D0 (en) 1991-03-19 1991-05-01 Lucas Ind Plc Electrical switch assembly
FR2710597B1 (fr) * 1993-10-01 1995-11-24 Valeo Electronique Contacteur tourn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18095B1 (fr) 1994-03-31 1996-05-15 Valeo Electronique Support de commutateurs pour colonne de direc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DE19511693A1 (de) * 1994-05-26 1995-11-30 Teves Gmbh Alfred Lenkstockschalter mit Wickelfeder
JP3637120B2 (ja) * 1995-11-01 2005-04-13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を備えた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483B1 (ko) * 1999-12-15 2002-01-05 박재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조립체
KR20030050252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스위치조립체
KR100786282B1 (ko) * 2005-06-06 2007-12-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와 조타각 센서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8075D1 (de) 2001-12-13
DE69708075T2 (de) 2002-06-06
EP0823352B1 (en) 2001-03-14
EP0823352A1 (en) 1998-02-11
DE69704238D1 (de) 2001-04-19
EP0890486B1 (en) 2001-11-07
EP0890486A1 (en) 1999-01-13
DE69704238T2 (de) 2001-08-09
KR100318040B1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451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built-in steering angle sensor
KR100318040B1 (ko) 회전커넥터의설치구조와회전커넥터및이를사용한스티어링유닛
KR20000068343A (ko) 전기 구동 유니트
JP3416413B2 (ja) 回転コネクタ
US6390838B1 (en) Rotary connector for effect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ic devices provided in steering wheel and vehicle body
JP2009158170A (ja) 回転コネクタ
US5800191A (en) Rotar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H11152046A (ja)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WO2019181049A1 (ja) 回転コネクタ
JP3503875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3416416B2 (ja) 回転コネクタ
JP2011016498A (ja)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JP371861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への回転コネクタの取り付け構造
KR200438157Y1 (ko) 차량용 정션박스
JP3416411B2 (ja) 回転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3301929B2 (ja) ハンドルユニット
US6201198B1 (en) Rotary connector
EP0880205A2 (en) Rotar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EP1247697A2 (en) Rotary loop back connector
JP4093508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構造体の組み付け構造
US20030008540A1 (en) Rotary loop back connector
JP2011148366A (ja) 回転コネクタ
KR200465066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KR0143926B1 (ko) 회전콘넥터
JPH09207787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718

Effective date: 2001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