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149U -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 Google Patents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149U
KR19980016149U KR2019960029445U KR19960029445U KR19980016149U KR 19980016149 U KR19980016149 U KR 19980016149U KR 2019960029445 U KR2019960029445 U KR 2019960029445U KR 19960029445 U KR19960029445 U KR 19960029445U KR 19980016149 U KR19980016149 U KR 199800161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unk room
passenger car
presen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9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149U/ko
Publication of KR19980016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4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승용차의 트렁크룸에 적재되는 화물을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렁크룸(50)의 앞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바(20)와, 상기 횡바(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31)를 마련한 복수 개의 밧줄(30)과, 상기 고리(31)를 걸 수 있도록 트렁크룸(50)의 바깥쪽에 상기 밧줄(30)과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한 걸이(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본 고안은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승용차의 트렁크룸에 적재되는 화물을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뒤쪽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룸이 마련되어 있으며, 차종에 따라 이 트렁크룸의 바닥에는 스페어타이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하고 있다.
스페어타이어가 트렁크룸에 보관될 경우에도 화물을 적재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바닥을 평평하게 설계하고 있으며, 트렁크룸의 바닥에는 스페어타이어를 덮는 평평한 커버와 함께 매트가 커버 위에 깔리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승용차에는 트렁크에 화물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트렁크룸에 깨지기 쉬운 화물을 적재하고 차량을 운행할 경우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많았다.
즉, 종래와 같은 승용차의 트렁크룸에 화물을 싣고 차량을 운행하면 차량의 진동으로 인하여 화물이 충격을 받고 쓰러지게 되므로 깨지기 쉬운 화물은 파손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승용차의 트렁크룸에 적재되는 화물을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화물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라켓 20. 횡바
30. 밧줄 31. 고리
40. 걸이 50. 트렁크룸
본 고안은 트렁크룸(50)의 앞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바(20)와, 상기 횡바(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31)를 마련한 복수 개의 밧줄(30)과, 상기 고리(31)를 걸 수 있도록 트렁크룸(50)의 바깥쪽에 상기 밧줄(30)과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한 걸이(40)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구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고정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라켓(10)은 2개를 마련하여 트렁크룸(50)의 앞쪽 구석에 설치한다. 이 브라켓(10)은 일측 단면으로 볼 때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하여 횡바(20)가 직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횡바(20)는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하여 그 양단을 브라켓(10)에 힌지식으로 연결한다. 이때 횡바(20)는 평상시에는 눕혀놓아 화물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90도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밧줄(30)은 고무재와 같이 신축성 있는 재료로 된 것으로 3개정도 마련하는 것이 적당하며, 그 일단을 일정 간격으로 횡바(20)에 고정한다. 그리고 밧줄(30)의 길이는 걸이(40)에 고리(31)를 걸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걸이(40)는 트렁크룸(50)의 앞쪽에 밧줄(30)의 개수만큼 마련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걸이(40)는 'ㄱ'자형으로 형성하여 트렁크룸(50)의 앞쪽의 수직한 면에 소정 각도로 고정시키는 것이 사용시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설치된 본 고안은 트렁크룸(50)에 화물을 적재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물을 적재할 경우라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횡바(20)를 눕혀 놓아 화물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횡바(20)를 세우고 밧줄(30)을 화물의 상부로 가로지르게 하여 고리(31)를 걸이(40)에 걸어두면 된다.
이와같이 트렁크룸(5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함으로써, 운행중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화물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화물이 쓰러지는 일이 없어지므로 화물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 트렁크룸(50)의 화물 고정구는 승용차의 트렁크룸(50)에 적재되는 화물을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으므로 화물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트렁크룸(50)의 앞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2개의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바(20)와, 상기 횡바(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리(31)를 마련한 복수 개의 밧줄(30)과, 상기 고리(31)를 걸 수 있도록 트렁크룸(50)의 바깥쪽에 상기 밧줄(30)과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한 걸이(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KR2019960029445U 1996-09-16 1996-09-16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KR199800161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45U KR19980016149U (ko) 1996-09-16 1996-09-16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445U KR19980016149U (ko) 1996-09-16 1996-09-16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49U true KR19980016149U (ko) 1998-06-25

Family

ID=5397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445U KR19980016149U (ko) 1996-09-16 1996-09-16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14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836B2 (en) Carrying device for a load space of a motor vehicle
US4810013A (en) Door guard
US6536827B2 (en) Flexible pick-up box liner
US3494658A (en) Tarp fastener
US20140093323A1 (en) Multi-functional box stop device for the trunk of a car
CN108422939A (zh) 将负载固定在车辆的载荷表面上的装置
KR19980016149U (ko)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US4601419A (en) Automobile roof-mounted carrier
US20020040916A1 (en) Carrying rack for vehicle
KR19980043207U (ko) 승용차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KR100478052B1 (ko) 자동차용 화물 고정 네트
KR19980033807U (ko) 차량의 트림보호가 가능한 네트 구조
KR0126234Y1 (ko) 버스 트렁크룸의 화물 고정구
KR200165598Y1 (ko) 자동차 트렁크 룸용 콘솔 매트
KR20028398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20050049056A (ko) 자동차용 화물 고정 네트
JP4217099B2 (ja)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の端末構造
KR19990014532U (ko) 자동차 트렁크의 화물 유동 방지구조
JPH0234996Y2 (ko)
KR0123284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적재물품 고정그물망
KR20070079856A (ko) 화물차량용 호로
KR19980027434U (ko)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화물 고정용 네트 설치구조
KR19980016372U (ko) 자동차용 트렁크 룸의 화물 고정용 네트 설치 구조
KR0124628Y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공급용 보관장치
KR19980039854U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