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085U -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085U
KR19980015085U KR2019960028291U KR19960028291U KR19980015085U KR 19980015085 U KR19980015085 U KR 19980015085U KR 2019960028291 U KR2019960028291 U KR 2019960028291U KR 19960028291 U KR19960028291 U KR 19960028291U KR 19980015085 U KR19980015085 U KR 19980015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turned
light
brake light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8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085U/ko
Publication of KR19980015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8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압력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밝는 답력의 변화에 따라 차동적으로 후미등이 점등되도록 한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80)을 밟으면 스위치가 온된 제동등스위치(10)와 상기 제동등스위치(10)가 온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제동등(20)으로 구성된 제동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80)의 밟는 답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압력의 정도에 따라 다른 전압값을 발생시키는 압력센서(30)와, 상기 압력센서(30)에서 발생된 전압값의 정도에 따라 작동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된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와, 상기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가 작동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다수의 제동등(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압력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밝는 답력의 변화에 따라 차동적으로 후미등이 점등되도록 한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것은 대상물을 잘 보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기능이다.
상기 조명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등화장치는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이 있으며, 상기 신호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등화장치는 방향지시등, 제동등, 비상표시등이 있다.
상기 제동등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차에 제동을 알리는 램프이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따라 불이 켜진다.
종래의 제동등에 대한 회로도를 도1에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동등 점멸장치는 브레이크 페달(80)을 밟으면 스위치가 온되도록 된 제동등스위치(10)와 상기 제동등스위치(10)가 온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제동등(2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동등(20)은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80)에 답력을 가하면 제동등스위치(10)가 온되어 제동등(20)을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페달(80)에 가해지는 답력이 해소되면 제동등(20)은 소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동등 점멸장치는 제동등스위치(10)에 약간의 답력만이라도 가해지면 제동등(20)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경우 앞차가 급격한 제동을 행하고 있는지 완만한 제동을 하고 있는지 구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답력 정도에 따라 차동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동등 점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제동등 점멸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동등 점멸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제동등의 점등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동등스위치 30 : 압력센서
40,50,60 : 제1,2,3릴레이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스위치가 온되도록 된 제동등스위치와 상기 제동등스위치가 온(ON)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제동등으로 구성된 제동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답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압력의 정도에 따라 다른 전압값을 발생시키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발생된 전압값의 정도에 따라 작동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된 다수의 릴레이스위치와, 상기 다수의 릴레이스위치가 작동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된 다수의 제동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완만한 제동을 하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에 발생되는 압력이 작기 때문에 압력센서에서 작은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작은 전압이 발생되었을 때 작동되도록 된 제1릴레이스위치가 작동되어 제동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급제동을 했을 경우에는 큰 전압이 발생되어 제1,2,3릴레이스위치가 모두 동작되어 연결된 전부의 제동등이 점등되도록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동등 점멸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3은 도2의 회로도로 인하여 작동되는 제동등(20)의 점멸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70)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80)을 밟으면 압력의 변화로 스위치가 배터리와 접점을 이루도록 된 제동등스위치(10)는 다수의 제동등(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실린더(70)에 설치되어 마스터 실린더 내의 유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전압의 변화값으로 변환하여 발생시키는 압력센서(30)는 상기 압력센서(30)에서 발생된 전압값에 따라 작동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되어 상기 제동등(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중 완만한 제동을 할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80)에 답력을 가하면 제동등스위치(10)가 온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압력센서(30)에 의해서 가해진 답력의 정도에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발생된 전압값에 따라 제1릴레이스위치(40)가 작동되어 도3의 (가)와 같이 제동등(20)이 점등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강한 답력을 가할 경우 즉, 급제동을 할 경우에는 압력센서(30)에서 발생된 전압값이 크게 되어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가 모두 동작되고, 모든 제동등(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3의 (다)와 같이 제동등(20) 모두 점등된다. 도3의 (다)는 중간정도의 답력을 가해 제동할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답력의 정도에 따라 제동등이 차동적으로 점등되어 후방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제동상태, 즉 완만한 제동상태와 급제동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의 운전자가 앞차의 제동상태에 대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80)을 밟으면 스위치가 온된 제동등스위치(10)와, 상기 제동등스위치(10)가 온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제동등(20)으로 구성된 제동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80)의 밟는 답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압력의 정도에 따라 다른 전압값을 발생시키는 압력센서(30)와, 상기 압력센서(30)에서 발생된 전압값의 정도에 따라 작동되는 시기가 다르도록 된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와, 상기 제1,2,3릴레이스위치(40)(50)(60)가 작동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된 다수의 제동등(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KR2019960028291U 1996-09-05 1996-09-05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KR19980015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1U KR19980015085U (ko) 1996-09-05 1996-09-05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1U KR19980015085U (ko) 1996-09-05 1996-09-05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85U true KR19980015085U (ko) 1998-06-25

Family

ID=5397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91U KR19980015085U (ko) 1996-09-05 1996-09-05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0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664A (ko) * 2014-07-17 2016-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동등 비상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664A (ko) * 2014-07-17 2016-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동등 비상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5085U (ko)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KR018512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순차점등장치
GB2300908A (en) Flashing brake lamps
US7242287B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0138000Y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 점멸 장치
KR100471800B1 (ko) 자동차용비상램프점멸장치
KR0165958B1 (ko) 자동차 제동등의 위험경고 시스템
KR19980035363A (ko) 제동등 시스템
KR200203557Y1 (ko) 자동차의 램프 점검장치
KR970037984A (ko) 급제동시 경음기 자동작동장치
KR0127549Y1 (ko) 브레이크 램프 점멸장치
KR0140585B1 (ko) 자동차의 주차등
JPH07195977A (ja) 車両用緊急後部灯火装置
KR19980042620U (ko) 자동차용 등화장치의 제동등 점멸장치
KR19980049337U (ko) 제동등 시스템
KR19980055250U (ko) 차량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970037717A (ko) 급제동시 비상등 자동작동장치
KR19980061020A (ko) 비상등 자동점등장치
KR19990009842A (ko) 자동차의 점멸장치
KR970000873A (ko) 차량의 급제동용 비상등
JPH0534042U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ツプランプ制御装置
KR970074265A (ko) 자동차의 비상표시등 점멸장치
KR980007488U (ko) 비상등 자동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