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525A -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525A
KR19980014525A KR1019960033547A KR19960033547A KR19980014525A KR 19980014525 A KR19980014525 A KR 19980014525A KR 1019960033547 A KR1019960033547 A KR 1019960033547A KR 19960033547 A KR19960033547 A KR 19960033547A KR 19980014525 A KR19980014525 A KR 1998001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ending
adjusting
auxiliary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6827B1 (ko
Inventor
다다아끼 야스미
유우지 시모야마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Priority to KR101996003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82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1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cold-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skin pass rolling or temper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02Roll dimensions
    • B21B2267/06Roll di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함석판 원판의 상하 휨 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는 조질(調質)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휨 조정용 보조롤(11), 디플렉터롤(13), 디플렉터롤(14) 및 휨 조정용 보조롤(12)을 함석판 원판(3a)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함석판 원판(3a)의 상하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한다.

Description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본 발명은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함석판 원판(냉연강판)의 조질압연에서는 일반적으로 2스탠드로 구성되는 조질압연기가 사용된다. 그런데, 함석판 원판은, 그 판두께가 0.15 내지 0.60mm로 얇기 때문에, 조질 압연공정에 있어서 휨이 발생하기 쉽다.
이 휨을 조정하는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공평 6-24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탠드(a)의 작업롤(b)과 그 작업롤(b)의 출구측에 배치된 브라이들롤(c)과의 사이에, 냉연강판(α)의 진행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하여 설치된 승강이 가능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e,f)를 갖춘 것으로, 각 휨 조정용 보조롤(e,f)을 승강시켜서 인터메쉬(intermesh)를 변화시키므로서 냉연강판(α)의 L휨(길이방향 휨)이나 c 휨(폭방향 휨)의 상하 휨의 조정을 행한다.
여기서, 예컨대 휨 조정용 보조롤(e)의 인터메쉬란, 강판의 진행방향에서 롤(e)의 전후에 있는 2개의 롤, 즉 작업롤(b)과 휨 조정용 보조롤(f)에 접하여 통과하는 강판을 상정한 경우의 강판의 통과하는 선에 대하여, 롤(e)의 강판과의 접촉부의 정점이 상하 방향으로 침입하여 있는 거리(길이:mm)를 말한다.
그런데, 2개의 휨 조정을 보조롤(e,f)을 작업롤(b)과 브라이들롤(c)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통상, 작업롤(b)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e)을 냉연강판(α)의 하면측에, 브라이들롤(c)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f)을 냉연강판(d)의 상면측에 각각 놓고 냉연강판(d)을 감고 있다.
이러한 휨 조정장치에 있어서는, 휨 조정을 행하고자 작업롤(b)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e)을 승강시켜서, 한쪽의 인터메쉬, 즉 작업롤(b)과 조정용 보조롤(f)에 대한 휨 조정용 보조롤(e)의 인터메쉬를 변경하면, 휨 조정용 보조롤(f)의 냉연강판(d)의 감기 각도가 변하여 다른쪽의 인터메쉬, 즉 휨 조정용 보조롤(e)과 브라이들롤(c)에 대한 휨 조정용 보조롤(f)의 인터메쉬가 변화하여 버린다. 환원하면, 휨 조정용 보조롤(e)의 냉연강판의 감기각도가 변함과 동시에, 휨 조정용 보조롤(f)의 냉연강판의 감기각도가 변한다.
이 결과, 냉연강판(d)의 상하 휨의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얇은 냉연 강판에 있어서는 약간의 휨이 문제가 된다. 예컨대 캔(can)용 강판의 경우, 주석도금이된 강판의 표면에 인쇄가 되기 때문에, 강판의 휨에 대한 허용 범위는 극히 엄격하다. 일예를 들면, 피검체는 길이 80mm 제품, 폭의 시이트로서, 매달린 상태에서 그 휨이 측정되어(시이트를 평편하게 놓는 경우에는, 자중 때문에 휨은 측정 불가능하게 된다) C휨은, 시이트 폭방향에 대하여 폭 중양부가 12mm 오목하게 되어 있으면 불가(不可)라 판단된다. 이와같은 수요에 따르도록 약간의 휨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냉연강판의 상하 휨 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는 냉간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휨 조정장치를 갖춘 냉간조질압연기의 개략 측면도,
도2는, 함석판 원판에 발생하는 한쪽 휨량의 편차(σ)(표준편차)를 종축, L1/D, L5/D의 값을 횡축으로 취한 경우의 양자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3은, L2/D, L4/D의 값을 종축, L1/D, L5/D의 값을 횡축으로 취하여, 1.5D≤L2≤3D, 1.5D≤L4≤3D, L1≤3D, L5≥3D의 관계를 만족하는 범위를 사선(斜線)으로 나타낸 그래프.
도4는, 종래의 냉간조질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질(調質)압연기3a:함석판 원판(냉연강판)
6:작업률7:휨 조정장치
8:브라이들롤(bridle roll)11,12:휨 조정용 보조롤
13,14:디프렉터롤15,16:승강장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태양(청구항 1)에 따른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는, 작업롤과 그 작업롤의 출구측에 배치된 브라이들롤과의 사이에, 강판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설치된 승강 가능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을 갖추어, 각 휨 조정용 보조롤을 승강시킴으로서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감긴 상기 냉연강판의 휨을 조정하도록 한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에 있어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의 사이에 상기 냉연강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복수의 디플렉터롤을 고정하여 설치하고, 또한 각 휨 조정용 보조롤과 각 디플렉터롤을 상기 냉연강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냉연강판의 상하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청구항 2)에 따른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는, 상기 작업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 그 작업롤측의 상기 디플렉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2, 상기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디플렉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4,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의 롤지름을 D로 할 때, 1.5≤L2/D≤3, 1.5≤L4/D≤3의 과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제3태양(청구항 3)에 다른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는, 상기 작업롤과 그 작업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1, 상기 브라이들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5,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의 롤지름을 D로 할 때, L1/D≥3, L5/D≥3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제1태양(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의 사이에 복수의 디플렉터롤을 고정하여 설치하고, 또한 각 롤을 강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강판의 상하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롤측 혹은 브라이들롤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을 승강시켜서, 한쪽의 인터메쉬를 변경하여도 다른쪽의 인터메쉬는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다른쪽의 휨 조정용 보조롤의 냉연강판의 감기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인터메쉬의 변경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플렉터롤은 통상 2개로 충분하나 좀더 많아도 동일한 작용이 발휘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1태양에 따른 발명에 더하여 1.5≤L2/D≤3, 1,5≤L4/D≤3의 관계를 만족하므로써, 작업롤측에 있어서 휨 조정용 보조롤과 디플렉터롤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측에 있어서의 조정용 보조롤과 디플렉터롤과의 간격을 적정한 것으로 한다.
즉, L2/D(L4/D)가 1.5 미만에서는 휨 조정용 보조롤과 디플렉터롤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휨 조정용 보조롤에 그 보조롤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한편, L2/D(L4/D)이 3을 초과하면 휨 조정용 보조롤과 디플렉터롤과의 간격이 넓어져서 각 휨 조정용 보조롤을 상긍시켜, 소정의 인터메쉬를 얻을 때의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 스트로크가 증대하며, 그 결과, 대형의 승강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비용의 폭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태양 또는 제3태양에 따른 발명에 더하여, L1/D≥3의 관계를 만족하므로써, 정기적으로 교환되는 작업롤과 그 작업롤의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직교도(直交度) 및 평행도의 미스 얼라이먼트에 의하여 생기는 냉연강판의 한쪽으로의 휨(휨 조정용 보조롤의 조작측의 L 휨과 구동측의 L 휨과의 차)나 뒤틀림양을 적게하여 그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휨 조정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행한다. 또 L5/D≥3의 관계를 만족하므로써 브라이들롤의 고정 정밀도에 기인하는 브라이들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직교도 및 수평도의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하여 생기는 냉연강판의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의 양을 적게하여 그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휨 조정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한다.
환언하면, L1/D가 3미만에서는 작업롤과 그 작업롤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상기 미스얼라이먼트의 영향이 크게되며, 이 결과, 냉연강판의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의 양이 많게 되어 그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휨 조정작업이 어렵게 된다. 또 L5/D가 3미만에서는 브라이들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상기 미스얼라이먼트의 영향이 크게 되어, 동일하게 냉연강판의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의 양이 많게되어 그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휨 조정작업이 어럽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휨 조정장치를 갖춘 냉간 조질 압연기의 개략측면도, 도 2는 한쪽으로의 휨량(σ)과 L1/D, L5/D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L2/D, L4/D와 L1/D, L5/D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조질 압연기(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오프릴(payoff reel); (2)의 코일로부터 되감은 함석판원판(3)을 탠션롤(2a)을 거쳐 No. 1스탠드(4) 및 No. 2 스탠드(5)에 의하여 냉연하고, 이어서, 냉연된 함석판 원판(3a)(냉연강판)의 상하 휨(L휨, C휨)을 No. 2 스탠드(5)의 작업롤(6)의 출구측에 설치된 휨 조정장치(7)로 조정하여, 휨이 조정된 함석판 원판(3a)을 브라이들롤(8)을 통하여 텐션릴(도시하지 않음)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9,10)은 각각 백업롤이다. 또 밀 구동방식으로서는, 작업롤 구동방식 혹은 백업롤 방식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지인 휨 조정장치(7)에 대하여 설명한다.
휨 조정장치(7)는 No. 2 스탠드(5)의 작업롤(6)과 브라이들롤(8)과의 사이에 함석판 원판(3a)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을 갖는다.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은 공히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롤(6)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11)을 함석판 원판(3a)의 하면측에, 브라이들롤(8)측의 휨 조정용 보조롤(12)을 함석판 원판(3a)의 상면측에 각각 배치하여 함석판 원판(3a)을 휘감고 있다.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는 각각 전동 혹은 유압구동 등의 승강장치(15,16)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승강장치의 구동에 의해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이 개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에 의해 각 휨 조정용 보조 및 (11,12)의 인테메쉬를 변화시켜 함석판 원판(3a)의 L휨이나 C휨(상하 휨)을 조정한다.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사이에는, 함석판 원판(3a)의 진행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2개의 더플렉터롤(13,14)이 함석판 원판(3a)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디플렉터롤(13,14)은 각각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본 실시예에서는 각 디플렉터롤(13,14)의 롤 지름을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롤 지름보다 대 직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롤(6)측의 디플렉터롤(13)은 함석판 원판(3a)의 상면에 그 함석판 원판(3a)과의 접촉 정점을 휨 조정용 보조롤(11)의 그것보다 하방으로 위치시키며, 한편, 브라이들롤(8)측의 디플렉터롤(14)은 함석판 원판(3a)의 하면에 그 함석판 원판(3a)과의 접촉정점을 디플렉터롤(13) 및 휨 조정용 보조롤(12)의 그것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함석판 원판(3)을 휘감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디플렉터롤(13,14)에 의하여 함석판 원판(3a)의 진행방향이 상하로 변경되는 동시에, 휨 조정용 보조롤(11), 디플렉터롤(13), 디플렉터롤(14) 및 휨 조정용 보조롤(12)이 함석판 원판(3a)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함석판 원판(3a)의 상ㅎ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사이에 2개의 디플렉터롤(13,14)을 고정하여 설치하므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서 함석판 원판(3a)의 상하 휨을 조정함에 있어 휨 조정용 보조롤(11) 또는 휨 조정용 보조롤(12)을 승강시켜서 한쪽의 인터메쉬를 변경하여도, 다른쪽의 휨 조정용 보조롤(12) 또는 휨 조정용 보조롤(11)에 대한 함석판(3a)의 감기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한 인터메쉬의 변경을 작업롤(6) 측과 브라이들롤(8) 측에서 독립하여 행할 수가 있으며,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한 상방 및 하방 휨의 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롤(11,13,14,12)을 휨 조정용 보조롤(11)과 디플렉터롤(13)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2, 휨 조정용 보조롤(12)과 디플렉터롤(14)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4,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롤 지름을 D로 할때, 1.5≤L2/D≤3, 1.5≤L4/D≤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배치하여 각 롤(11,13,14,12) 사이의 간격을 적정한 것으로 하고 있다.
즉 L2/D가 1.5 미만에서는 휨 조정용 보조롤(11)에 상기한 승강장치를 부착할 때에 휨 조정용 보조롤(11)과 디플렉터롤(13)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그의 부착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L2/D가 3을 초과하면 휨 조정용 보조롤(11)과 디플렉터롤(13)과의 간격이 넓어져서 휨 조정용 보조롤(11)을 승강시켜 소정의 인터메쉬를 얻는 때의 승강장치의 승강 스트로크가 증대하여 버린다. 이 결과, 대형의 승강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비용의 폭등을 초래한다.
마찬가지로, L4/D가 1.5 미만에서는 휨 조정용 보조롤(12)에 상기한 승강장치를 부착할 때에 휨 조정용 보조롤(12)과 디플렉터롤(14)과의 간격이 좁아져서 그 부착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L4/D가 3을 초과하면 휨 조정용 보조롤(12)과 디플렉터롤(14)과의 간격이 넓어져서 휨 조정용 보조롤(12)을 승강시켜 소정의 인터메쉬를 얻는때의 승강장치의 승강 스트로크가 증대하여 버리고, 이 결과, 대형의 승강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같이 1.5≤L2/D≤3, 1.5≤L4/D≤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각 롤(11,13,14,12)를 배치하므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대한 승강장치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동시에, 소형의 승강 장치로 소정의 인터메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비비용을 낮게 할 수가 있다.
그런데, No. 2 스탠드(5)의 작업롤(6)은 정기적으로 교환이되나, 이 경우, 그 교환시의 부착정확도에 기인하여 그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직교도 및 평행도의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하여 함석판 원판(3a)에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이 생긴다. 한편, 브라이들롤(8)의 고정 정확도에 기인하는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직교도 및 평행도의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하여 함석판 원판(3a)에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이 생긴다.
따라서,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한 미스얼라이먼트의 영향이 크게 되어 그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하여 생기는 휨 조정용 보조롤(11) 측 및 조정용 보조롤(12) 측에서의 함석판 원판(3a)의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 양이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모처럼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한 인터메쉬의 변경을 독립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이러한 한쪽으로의 휨이나 뒤틀림의 양의 증대에 의해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한 함석판 원판(3a)의 상하 휨의 조정이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1, 브라이들롤(8)과의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L5), 휨 조정용 보조롤의 롤지름을 D로 할 때, L1/D≥3, L5/D≥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을 설정하여 작업롤(6) 측 및 브라이들롤(8) 측에서의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한 영향을 될수록 적게 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 데이터이며, 함석판 원판(3a)에 발생하는 한쪽으로의 휨량의 편차(σ)(표준편차)를 종축 L1/D, L5/D값을 횡축으로 취한 경우의 양자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롤지름(D)으로서는, 판두께 0.15 내지 0.60mm의 함석판 원판(3a)을 처리하는 조질압연기에서 가장 일반적인 165mm, 209mm, 200mm의 3타입을 사용하였다.
제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L1/D, L5/D의 값이 3 미만(L1/D, L5/D3)에서는, 어느 타입의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을 사용한 경우도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이 좁게 되어 마스얼라인먼트에 의한 영향이 크게되어 한쪽으로의 휨량이 편차(σ)가 3mm를 초과하여 버린다.
한편, L1/D, L5/D의 값이 3 이상(L1/D, L5/D≥3)에서는, 어느 타입의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을 사용한 경우도 작업롤(6)과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이 적정한 것으로 되어 미스얼라이먼트에 의한 영향이 적게되어 한쪽으로의 휨량의 편차(σ)가 2mm 미만으로 되었다. 따라서, 이와같이 하여 L1/D≥3, L5/D≥3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작업롤(6)과의 휨 조정용 보조롤(11)과의 간격 및, 브라이들롤(8)과 휨 조정용 보조롤(12)과의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하여 함석판 원판(3a)의 상하 휨을 조정함에 있어, 상기한 미스얼라인먼트의 영향이 적게되어 각 휨 조정용 보조롤(11,12)에 의한 함석판 원판(3a)의 상하의 휨 조정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3도는 L2/D, L4/D의 값을 종축, L1/D, L5/D의 값을 횡축에 취하고, 1.5D≤L2≤3D, 1.5D≤L4≤3D, L1≥3D, L5≥3D의 관계를 만족하는 범위를 사선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에서는 휨 조정용 보조롤(11,12)의 롤 지름을 200mm, 디플렉터롤(13,14)의 롤지름을 300mm로 하고, L1=800mm, L2=500mm, L3(디플렉터롤(13)과 디플렉터롤(14)과의 중심간 수평거리)=350mm, L4=400mm, L5=2600mm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태양(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인터메쉬의 변경을 독립하여 행할 수가 있으므로,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냉연강판의 상하 휨의 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2태양(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태양의 발명에 더하여, 1.5≤L2/D≤3, 1.5≤L4/D≤3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대한 승강장치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의 승강장치에서 소정의 인터메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비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3태양(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태양의 발명에 더하여, L1≥3, L5/D≥3의 관계를 만족하므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하여 냉연강판의 상하 휨을 조정할 때에 작업롤 및 브라이들롤의 부착 정확도 등에 기인하는 미스얼라이먼트의 영향을 경감하여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의한 냉연강판의 상하의 휨 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3)

  1. 작업롤과 그 작업롤의 출구측에 배치된 브라이들롤과의 사이에, 냉연강판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설치된 승강 가능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을 갖추어, 각 휨 조정용 보조롤을 승강시킴으로써 각 휨 조정용 보조롤에 휘감긴 상기 냉연강판의 휨을 조정하는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에 있어서,
    2개의 휨 조정용 보조롤의 사이에 냉연강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복수의 디플렉터롤을 고정하여 설치하고, 또한 각 휨 조정용 보조롤과 각 디플렉터롤과를 상기 냉연강판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 냉연강판의 상하면에 서로 번갈아 배치하여 이루어진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 그 작업롤측의 상기 디플렉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2, 상기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디플렉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4, 각 휨 조정용 보조롤의 롤 지름을 D로 할 때, 1.5≤L2/D≤3, 1.4≤L4/D≤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롤과 그 작업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1, 상기 브라이들롤과 그 브라이들롤측의 상기 휨 조정용 보조롤과의 중심간 수평거리를 L5, 각 휨 조정용 보조롤의 롤지름을 D로 할 때, L1/D≥3, L5/D≥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KR1019960033547A 1996-08-13 1996-08-13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KR10024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47A KR100246827B1 (ko) 1996-08-13 1996-08-13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47A KR100246827B1 (ko) 1996-08-13 1996-08-13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25A true KR19980014525A (ko) 1998-05-25
KR100246827B1 KR100246827B1 (ko) 2000-04-01

Family

ID=1946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547A KR100246827B1 (ko) 1996-08-13 1996-08-13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05B1 (ko) * 2012-12-21 201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05B1 (ko) * 2012-12-21 201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6827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487B1 (ko) 휨 발생된 압연소재 유도장치
US5680785A (en) Metal strip planishing installation
US4898013A (en) Installation for levelling a metal strip
US5758533A (en) Imbricated roll planisher and process for its use
KR101187221B1 (ko) 스트리퍼 치즐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19980014525A (ko) 조질 압연기의 휨 조정장치
JP2524022B2 (ja) ロ―ルピッチ可変ロ―ラレベラ
EP2697003B1 (en) Feed ro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feed roll assembly
JP2859552B2 (ja) 冷間調質圧延機の反り調整装置
KR100829026B1 (ko) 금속 연속 주조 장치, 특히 강 연속 주조 장치
EP0824046B1 (en) Bowing correction apparatus for temper rolling mill
JPS62156013A (ja) 連続圧延機におけるル−パの制御方法
JP2016016416A (ja) 鋼板の圧延方法
JPS6328688B2 (ko)
CN114602997B (zh) 地下卷取机摇臂式夹送辊快速机械调平装置及其实施方法
JPH0615086B2 (ja) 形鋼の誘導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ユニバーサル圧延機
JPS62199220A (ja) ロ−ラレベラ
JP4159456B2 (ja) 形状制御性及び通板性に優れた板圧延機
JP2010247178A (ja) 金属板の圧延反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JPS6356145B2 (ko)
JPH06245B2 (ja) 冷間調質圧延機の片反り修正装置
JP2003136120A (ja) 鋼帯の幅反りおよび光沢むらを防止する調質圧延機および調質圧延方法
JPH08290217A (ja) 形鋼のローラ矯正方法及び装置
KR200242528Y1 (ko) 압연기용 스트립반곡 보정장치
AU714204B2 (en) Bowing correction apparatus for temper rolling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