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0497U -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 Google Patents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0497U
KR19980010497U KR2019960023922U KR19960023922U KR19980010497U KR 19980010497 U KR19980010497 U KR 19980010497U KR 2019960023922 U KR2019960023922 U KR 2019960023922U KR 19960023922 U KR19960023922 U KR 19960023922U KR 19980010497 U KR19980010497 U KR 199800104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door
shock absorbing
panel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철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3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0497U/ko
Publication of KR19980010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49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흡수바를 내장하는 도어가 설치된 승용차의 사이드 프레임 구조로, 측면 충돌시, 충격흡수바가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실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은 채로 충격에 대항하게 하므로써, 실내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이다.
본 고안은, 차체가 형성하는 도어면의 하부 및 후측을 따라 장착되며, 가장자리에는 도어의 단부가 안착되는 사이드 프레임(4)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4)의 수직부 내면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부착되어, 루프 패널에 대한 기중역할을 하는 필라 인너 패널(5)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4) 및 필라 인너 트림(5)은 측면 충돌시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흡수바(1)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필라 인너 패널(5)사이에 강도 보강용 보강부재(6)가 추가로 구비된다.

Description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
본 고안은 충격흡수바를 내장하는 도어가 설치된 승용차의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충돌시 충격흡수바가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실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은 채로 충격에 대항하게 하므로써, 실내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승용차에 있어서,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외부에서 힘을 받지 않으므로 엷은 판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상자 모양으로 결합해서 점용접으로 설치되며, 이는 바닥재인 플로어 패널,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 천정부인 루프 패널, 엔진 룸를 차단시키는 카울 패널 및 도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체는 자동차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충돌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인원을 보호 및 다른 차의 충격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프레임과 적절하게 조립된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된다.
한편,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설치되는 승용차의 도어는 플로어 패널, 사이드 패널 및 루프 패널이 형성하는 차체의 양측면에 여닫이식으로 설치된다.
자동차 도어는 소정 두께를 가진 2개의 강판, 즉,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맞대어지고, 그 상부에 도어 프레임이 장착되어 이 도어 프레임내에서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글래스로 이루어진 윈도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탑승자의 안전을 의하여 어떠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도어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어에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하여 도어의 강성을 크게 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탑승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강판을 두껍게 하는 것은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켜, 그에 따른 주행 연비의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체 중량을 증가시키기 않으면서 도어의 충격 대응강도를 증가시키는 도어 충격 흡수바를 설치하는 차량이 늘고 있다.
도어 충격흡수바(1)는 첨부된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로 제작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2)의 내면에 접한 도어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도면에서 3은 도어 인너 패널이다.
그런데,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바가 내장된 도어를 장착하는 종래의 사이드 프레임 구조는 외부의 충격시 도어 자체가 내측으로 밀려들어와 승객을 다치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충격흡수바(1)를 내장한 도어의 강성은 강화되어 있으나, 사이드 프레임(4) 및 필라 인너 패널(5)이 충격흡수바(1)를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3)의 단부가 변형되면서 충격흡수바를 내장한 도어(2,3) 차체가 내측으로 밀려들어 오면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외부에서 충격이 작용할 경우에 충격흡수바가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실내측으로 밀려 들어오지 않게 하므로써 측면 충돌시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뒷 도어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프레임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프레임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격흡수바2 : 도어 아우터 패널
3 : 도어 인너 패널4 : 사이드 프레임
5 : 필라 인너 패널6 : 보강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는 차체가 형성하는 도어면의 하부 및 후측을 따라 장착되며, 가장자리에는 도어의 단부가 안착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수직부 내면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부착되어, 루프 패널에 대한 기중역할을 하는 필라 인너 패널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필라 인너 트림은 측면 충돌시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흡수바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필라 인너 트림사이에는 중공부를 가로지른는 강도 보강용 보강부재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의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과 필라 인너 패널(5)은 도어의 폐쇄시 도어 내부의 충격흡수바(1)와 겹칠 수 있게 내측으로 연장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두 부재, 즉 사이드 프레임(4)과 필라 인너 패널(5) 사이의 중공부에는 이 공간을 반분하는 격벽의 형태로 보강부재(6)가 설치된다.
이 보강부재(6)는 종래에 비하여 추가된 것으로, 이 사이드 프레임구조의 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도어 충격흡수바(1)는 상기와 같이 종래에 비하여 연장 성형되고, 보강부재(6)에 의하여 더욱 강화된 강성으로, 측면 충돌시 실내측으로 밀리는 충격흡수바(1)를 지지하여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사이드 프레임 구조가 더욱 강화된 강성으로 실내측으로 밀리는 도어 충격흡수바를 직접 지지하게 되므로써, 차체의 변형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한 승객의 안전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차체가 형성하는 도어면의 하부 및 후측을 따라 장착되며, 가장자리에는 도어의 단부가 안착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수직부 내면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부착되어, 루프 패널에 대한 기중역할을 하는 필라 인너 패널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필라 인너 트림은 측면 충돌시 실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충격흡수바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필라 인너 트림사이의 중공에 배치되는 강도 보강용 보강부재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
KR2019960023922U 1996-08-07 1996-08-07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KR199800104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922U KR19980010497U (ko) 1996-08-07 1996-08-07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922U KR19980010497U (ko) 1996-08-07 1996-08-07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497U true KR19980010497U (ko) 1998-05-15

Family

ID=5397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922U KR19980010497U (ko) 1996-08-07 1996-08-07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04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0497U (ko) 사이드 프레임 강성구조(Rigidy structure of side frame)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71867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04510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00262166B1 (ko) 자동차 전면기둥과 프론트판넬의 취부구조
KR200150841Y1 (ko) 승용차량의 리어 도어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100204509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200270846Y1 (ko) 차량용사이드실구조
KR100357401B1 (ko) 자동차용 전면기둥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201345Y1 (ko) 자동차용 플로어 사이드멤버 취부구조
KR200161057Y1 (ko) 리어도어용 글래스가이드 브라켓구조
KR200142663Y1 (ko)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패널 조립구조
KR19990006286U (ko) 도어 임팩트 빔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19980024588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
KR19980037392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