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392A -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392A
KR19980037392A KR1019960056137A KR19960056137A KR19980037392A KR 19980037392 A KR19980037392 A KR 19980037392A KR 1019960056137 A KR1019960056137 A KR 1019960056137A KR 19960056137 A KR19960056137 A KR 19960056137A KR 19980037392 A KR19980037392 A KR 1998003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outer panel
panel
vehicle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392A/ko
Publication of KR1998003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392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내측판넬(11)과 외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 내부에는 보강판(40)의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취부되며 별도의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외측판넬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이 접하는 일측단부에 취부되는 제2보강판(30)을 취부하고 상기 제2보강판(30)과 보강판(40) 사이에는 충격흡수재인 포옴재(50)가 충진되어, 차량을 운행중 추돌 및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중간기둥(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충격에 의해 발생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함으로서, 중간기둥(10)의 변형이 억제되고, 상기 중간기둥(10)이 파손되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함으로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간기둥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중간기둥의 강성을 향상 시켜 차량의 측부 충돌시, 도어 및 중간기둥이 차실로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하는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면기둥(1:Front pillar)과 중간기둥(2:Center pillar) 및 후면기둥(3:Rear pillar) 사이에 개구부(4)가 형성되어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둥들 상단부에 지붕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루프레일(Roof rail)이 연결되며, 상기 기둥들 하단부에 차량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플로어판넬(Fllor panner)과 사이드실(Side sill)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곡된 내측판넬(11)과 외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 내부에는 보강판(40)의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취부되며, 상기 보강판(40)의 중앙은 절곡되어 외측판넬(12)의 내측면에 취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는, 보강판(40)의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취부되고, 중앙부는 절곡되어 외측판넬(12)의 내측면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중간기둥(10)의 내부에 3개의 폐단면이 형성되어, 차량을 운행중 충돌 사고등이 발생하여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 사이에 설치된 보강판(40)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흡수되어, 측부 구조물인 도어가 실내로 침입되는 것을 억제하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측부 차체의 변형을 억제하여 실내의 승원이 보호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는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 사이에 양측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판(40)이 취부되는 것에 의해 서만 보강 됨으로서,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에너지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외측판넬(12)이 변형되며 차실로 유입되고, 상기 외측판넬(12)이 변형되어 차실로 유입되는 것에 의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안전에 위협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중간기둥의 내부에 일측단부가 외측판넬의 내측면에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외측판넬과 내측판넬이 접하는 일측단부에 취부되는 제2보강판을 취부하고 상기 제2보강판과 보강판 사이에는 충격흡수재인 포옴재를 충진하여, 차량을 운행중 차량의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중간기둥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고, 차실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체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A - A선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중간기둥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간기둥11 : 내측판넬
12 : 외측판넬 30 : 제2보강판
40 : 보강판50 : 포옴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곡된 내측판넬(11)과 외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 내부에는 보강판(40)의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취부되며 별도의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어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외측판넬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이 접하는 일측단부에 취부되는 제2보강판(30)을 취부하고 상기 제2보강판(30)과 보강판(40) 사이에는 충격흡수재인 포옴재(50)가 충진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중앙부가 절곡되어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접하며 보강판(40)이 취부되고, 상기 보강판(40)의 일측부에는 일측단부가 외측판넬(12)에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이 접하는 일측단부에 것에 의해 별도의 폐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40)과 제2보강판(30) 사이에 형성된 폐단면에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포옴재(50)가 충진 됨으로서, 차량을 운행중 측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순차적으로 충격에너지가 흡수 및 분산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추돌 및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중간기둥(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충격에 의해 발생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함으로서, 중간기둥(10)의 변형이 억제되고, 상기 중간기둥(10)이 파손되어 차실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 함으로서, 승원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간기둥의 내부에 폐단면을 증가 시키고, 충격에너지 흡수재인 포옴재를 설치하여, 측면 충돌시에도 측부 차체가 변형되어 차실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충격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완충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절곡된 내측판넬(11)과 외측판넬(12)이 소정의 공간을 두고 폐단면으로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 내부에는 보강판(40)의 양측단부가 내측판넬(11)의 내측면에 취부되며 별도의 폐단면을 형성하며 취부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넬(12)의 내측면에 일측단부가 취부되고 타측단부가 외측판넬(12)과 내측판넬(11)이 접하는 일측단부에 취부되는 제2보강판(30)을 취부하고, 상기 제2보강판(30)과 보강판(40) 사이에는 충격흡수재인 포옴재(50)가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19960056137A 1996-11-21 1996-11-21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37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137A KR19980037392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137A KR19980037392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392A true KR19980037392A (ko) 1998-08-05

Family

ID=6632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137A KR19980037392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3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71867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37392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27074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204510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0133770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19980045300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0133771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29215Y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용 도어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00262165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00357401B1 (ko) 자동차용 전면기둥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19980062299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37656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62300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62272A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