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286U - 도어 임팩트 빔 - Google Patents

도어 임팩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286U
KR19990006286U KR2019970019732U KR19970019732U KR19990006286U KR 19990006286 U KR19990006286 U KR 19990006286U KR 2019970019732 U KR2019970019732 U KR 2019970019732U KR 19970019732 U KR19970019732 U KR 19970019732U KR 19990006286 U KR19990006286 U KR 199900062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mpact
impact beam
pane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이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286U/ko
Publication of KR19990006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86U/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강성 및 충격흡수율을 증대시켜 측면충돌시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인 바, 종래의 임팩트 빔은 프레임의 하부와 내측패널의 상부가 상호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커지게 됨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강성을 증대시켜 측면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의 임팩트 빔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임팩트 빔
본 고안은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강성 및 충격흡수율을 증대시켜 측면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도어(Door)가 장착되어 있으며, 통상,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Front Door)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Rear door)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에 백 도어(Back Door)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어에는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시 유리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개방함으로써, 신선한 바람을 차실내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며, 도어가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실내의 환기 등을 위해 도어에 장착된 유리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도어 레귤레이터(Door Regulator)가 설치되어 있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유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어의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의 사이에 임팩트 바(impact bar)를 장착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으로 도어의 구성으로 보인 정면도로써,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100)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아웃핸들이 부착된 외측패널(600)이 구비되고, 이 외측패널(600)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내측패널(800)이 구비된다. 내측패널(800)의 상단에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도어 프레임이 고정되고, 이 내측패널(800)의 측면에는 측면 보강을 위한 보강패널(120)이 고정된다. 외측패널(600)과 내측패널(800)의 사이에는 윈도우 글래스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레귤레이터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의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의 사이에 임팩트 빔(700)을 장착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있는데 상기 임팩트 빔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파이프나 막대형의 바를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종래의 임팩트 빔은 프레임의 하부와 내측패널의 상부가 상호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도어의 변형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승객룸으로 침투되는 범위가 커지게 됨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의 강성을 증대시켜 측면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이 부착된 외측패널과, 외측패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측면 보강을 위한 외측 보강패널 및 내측 보강패널과, 하단이 내측패널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측에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플랜지부를 양끝단에 구비하며 중앙부로 절곡부를 형성하여 공간을 고비한 보강빔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절곡부의 공간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도어 임팩트 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의 구조 및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도어에 충돌이 일어날 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임팩트 빔2:플랜지부
3:절곡부4:공간
5,6:보강빔7;충격흡수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이 부착된 외측패널과, 외측패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측면 보강을 위한 외측 보강패널 및 내측 보강패널과, 하단이 내측패널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측에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본 고안인 도어 임팩트 빔(1)의 구조는 내측패널의 상단에 도어 프레임의 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을 내측패널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즉, 도어 프레임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를 내측패널의 상단 부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의 결합부를 내측패널에 스폿용접하여 고정시킨다. 도어 프레임의 결합부가 내측패널에 고정되면 내측패널의 상단 양측에 양끝단에 용접 및 별도의 체결수단은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용이하도록 플랜지부(2)를 구비하며 중앙에는 외측단으로 절곡되어 절곡부(3)를 형성하여 공간(4)을 구비한 보강빔(5,6)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간은 2개의 보강빔이 맞대어지기 때문에 공간의 크기는 커지게 되고 이 절곡부의 공간에는 측면충돌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7)로 충진되어 이루어진 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도어의 임팩트 빔(1)의 작용은 바디가 섀시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돌했을 때 에너지 흡수가 잘 되는 모노코크 바디(monocock body)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때 측면 충돌이 일어나면 차량의 측면 즉 도어부분에서 대부분 일어나게 된다. 이때 도어의 외측패널은 충돌하는 물체와 직접 접촉하여 차량의 내측으로 들어오면서 그 충격을 실내로 전달하게 되며 1차적으로 어느 일측의 보강빔(5,6)과 충돌하면 공간(4)이 형성된 내측으로 휘게되며 이때 절곡부(3)에 의하여 길이병형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면 상기 보강빔에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하지만 충돌과 동시에 전달된 충격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의 임팩트 빔(1) 내부에 설치된 충격흡수부재(7)에서 흡수하게 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극소화하며 또한 얇은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가 운전석 또는 탑승자 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설치된 임팩트 빔에 의하여 강성이 증대되어 실내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충돌하는 힘이 강하면 외측의 보강부재도 내측으로 휘게되며, 이때에도 충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실내로 전달되는 모든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한편 대응하는 보강부재 즉 내측의 보강부재는 2차로 외측의 보강부재의 파손에 따른 충격을 지지하도록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토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인 도어 임팩트 빔은 프레임의 하부와 내측패널의 상부가 상호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도어의 변형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승객룸으로 침투되는 범위가 커지게 됨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해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는 종래의 임팩트 빔을 개선하여 도어의 강성을 증대시켜 측면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아웃핸들이 부착된 외측패널과, 외측패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측면 보강을 위한 외측 보강패널 및 내측 보강패널과, 하단이 내측패널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측에 윈도우 글래스가 끼워지는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도어에 있어서,
    플랜지부(2)를 양 끝단에 구비하며 일체로 절곡부(3)를 형성하여 공간(4)을 구비한 보강빔(5,6)이 양측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절곡부(8)의 공간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충격흡수부재(7)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임팩트 빔.
KR2019970019732U 1997-07-25 1997-07-25 도어 임팩트 빔 KR199900062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32U KR19990006286U (ko) 1997-07-25 1997-07-25 도어 임팩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32U KR19990006286U (ko) 1997-07-25 1997-07-25 도어 임팩트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86U true KR19990006286U (ko) 1999-02-18

Family

ID=6968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732U KR19990006286U (ko) 1997-07-25 1997-07-25 도어 임팩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28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91A (ko) * 2001-06-14 2002-12-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도어에 구비된 보강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91A (ko) * 2001-06-14 2002-12-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도어에 구비된 보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6286U (ko) 도어 임팩트 빔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00263965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71867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49041Y1 (ko)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임팩트 빔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200179129Y1 (ko) 자동차의 센터 플로워 판넬
KR0140763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 강성 보강구조
KR200147331Y1 (ko) 자동차용 사이드임팩트 보강구조
KR200161057Y1 (ko) 리어도어용 글래스가이드 브라켓구조
KR100204510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19980048017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0132554Y1 (ko) 자동차의 측면 보강구조
KR0137531B1 (ko) 자동차 도어의 내측 보강벨트 취부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0158813Y1 (ko) 측면충돌대비 도어 하방 보강구조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19980049795U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강성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