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3816B1 -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Google Patents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3816B1 KR102693816B1 KR1020230109282A KR20230109282A KR102693816B1 KR 102693816 B1 KR102693816 B1 KR 102693816B1 KR 1020230109282 A KR1020230109282 A KR 1020230109282A KR 20230109282 A KR20230109282 A KR 20230109282A KR 102693816 B1 KR102693816 B1 KR 102693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hair
- grip block
- link body
- operating c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11)와 상체부(13)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보강용 수평횡바(15)를 구비하는 제1부재(10); 다리부(21)와 지지부(22)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제1부재(10)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20); 상기 제1부재(10)의 상단에 파지블록(31)을 구비하고, 파지블록(31)의 변위를 조작케이블(38)로 전달하는 레버부재(30); 및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상대운동을 단속하도록 레버부재(30)에 조작케이블(38)로 연결되는 물림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접은 후 자립 상태가 유지되며 접철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접이 의자의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따라, 한 손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접은 후 자립 상태가 유지되며 접철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접이 의자의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편적인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접거나 펼치는 작동의 구현이 가능한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의자는 가정, 직장, 교육시설, 요양시설 등에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이외에도 일상생활의 다양한 장소에서 빈번하게 접하게 되는 생활용품이다. 의자 중에는 보관성,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좌판과 등판을 비롯한 다수의 지점을 접을 수 있는 구조도 사용된다.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접은 후에도 자립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가 선호된다. 이는 의자 접철의 신속/편의성, 의자의 오염을 방지하는 청결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접이 구조의 의자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94275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9180호(선행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3-0005597호(선행문헌 3) 등이 있다.
선행문헌 1은 전면프레임과 배면프레임 및 좌판프레임을 하나의 평평한 판으로 접을 수 있어 컴팩트하고 휴대가 편리하며, 전면프레임과 배면프레임을 펼쳐서 의자 다리로 사용할 때 미끄러짐으로 인한 접힘이나 의자 자체의 넘어짐을 방지하고, 배면프레임과 좌판프레임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고정대로 접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지지막대 유닛 및 연접막대 유닛의 설계에 의해 각 막대부재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접근시켜 접고, 접은 후에 전체 체적이 작아져 수납이 편리하며, 등기둥 유닛을 구비하여 후방에 대한 경사각도를 조정하고 응용성을 높여 사용상 편리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3은 하부에 제1다리부가 구비된 메인프레임; 하부에 제2다리부가 구비되고 메인프레임과 힌지핀으로 연결된 절첩프레임; 시트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끼움홈부; 끼움홈부(33)와 착탈되도록 메인프레임에 구성되는 끼움봉; 등을 포함하여 보관 및 이동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선행문헌 1 및 2는 접을 때 자립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선행문헌 2 및 3은 구조상 양손을 사용하여 접철해야 하며, 어느 선행문헌이나 접철 과정에서 불편과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접은 후 자립 상태가 유지되며 접철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와 상체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보강용 수평횡바를 구비하는 제1부재; 다리부와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제1부재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단에 파지블록을 구비하고, 파지블록의 변위를 조작케이블로 전달하는 레버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상대운동을 단속하도록 레버부재에 조작케이블로 연결되는 물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는 제1부재에 연결되는 일측 힌지부 및 시트부에 연결되는 타측 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시트부는 제2부재의 모션과 연동하도록 링크체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링크체는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턴버클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레버부재는 파지블록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대, 파지블록과 고정대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체, 링크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구동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레버부재는 한 쌍의 구동블록을 개재하여 일측 및 타측 조작케이블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물림부재는 제2부재의 지지부에 섹터기어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섹터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피동블록을 조작케이블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접은 후 자립 상태가 유지되며 접철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아 편리하고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접은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배면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접은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의자에 관하여 제안한다. 사용자가 주요부를 접거나 펼치는 의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원터치 방식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접철하는 작동함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부(11)와 상체부(13)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1부재(10)가 보강용 수평횡바(15)를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부재(10)를 구성하는 다리부(11), 착석부(12), 상체부(13), 수평횡바(15) 등이 나타난다. 제1부재(10)는 의자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다리부(11), 착석부(12), 상체부(13)를 일체로 형성한다. 측면에서 보면 2번 절곡되고 정면/배면에서 보면 역U자 형태를 이룬다. 수평횡바(15)는 제1부재(10)의 강도를 높이도록 수평으로 연결된다. 도시에는 착석부(12)에만 수평횡바(15)를 표시하지만 다리부(11)와 상체부(13)에도 배치할 수 있다. 제1부재(10)는 상체부(13) 상에 등받이(17)와 팔걸이(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부(21)와 지지부(22)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2부재(20)가 제1부재(10)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2부재(20)를 구성하는 다리부(21)와 지지부(22)가 나타난다.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와 더불어 의자의 골격을 이루며 상대운동으로 접철된다. 다리부(21)와 지지부(22)를 얼체로 구비한 제2부재(20)는 측면에서 보면 ㄱ자로 절곡되고 정면/배면에서 보면 역U자 형태를 이룬다. 제2부재(20)도 제1부재(10)처럼 수평횡바(15)를 갖출 수 있다. 제2부재(20)는 지지부(22) 상에 시트부(25)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처럼 의자를 펼친 상태에서 제1부재(10)의 착석부(12)와 제2부재(20)의 지지부(22) 사이에 좌우로 어긋남을 구속하여 의자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보강편(도시 생략)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에 연결되는 일측 힌지부(23) 및 시트부(25)에 연결되는 타측 힌지부(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연결하는 힌지부(23)(26)가 나타난다. 일측 힌지부(23)는 제1부재(10)의 착석부(12)에 고정되고 제2부재(20)의 지지부(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타측 힌지부(26)는 제1부재(10)의 수평횡바(15)에 고정되고 시트부(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측 힌지부(23)를 전방으로 타측 힌지부(26)를 후방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면 접이가 원활하다. 힌지부(23)(26)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하고 대칭적으로 배치한다. 힌지부(23)(26)는 스러스트 요동을 구속하도록 칼라(collar)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시트부(25)는 제2부재(20)의 모션과 연동하도록 링크체(27)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링크체(27)는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턴버클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크체(27)는 상단이 시트부(25)의 후단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지부(22)와 다리부(21)가 만나는 지점에 연결된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링크체(27)의 하단 연결을 위해 제2부재(20)에 수평횡바를 부가한다. 링크체(27)는 힌지부(26)과 더불어 시트부(25)의 임의적 요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2부재(20)와 시트부(25)의 모션을 연동시킨다. 링크체(27)는 길이변동이 가능한 구조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턴버클은 돌리는 정도에 따라 링크체(27)의 상단/하단 길이 변동을 유발한다. 링크체(27)의 길이를 변동하면 시트부(25)의 접철 전후 자세(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부재(10)의 상단에 파지블록(31)을 구비하는 레버부재(30)가 파지블록(31)의 변위를 조작케이블(38)로 전달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버부재(30)를 구성하는 파지블록(31)과 조작케이블(38)이 나타난다. 파지블록(31)은 제1부재(10)의 상체부(13)의 저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파지블록(31)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으로서 도시처럼 배치하면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나 조작하기 편리하다. 즉 파지블록(31)를 다른 위치에 배치하면 방향성 때문에 원터치 조작의 불편이 초래되기도 한다. 조작케이블(38)은 자전거의 변속/제동용 구조처럼 심선과 튜브를 동심으로 갖춘다. 이와 같은 조작케이블(38)은 유연성을 지니므로 제1부재(10)의 내부에 은폐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레버부재(30)는 파지블록(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대(33), 파지블록(31)과 고정대(33)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체(35), 링크체(3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구동블록(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버부재(30)를 구성하는 파지블록(31)과 더불어 안내대(32), 고정대(33), 링크체(35), 구동블록(36) 등이 나타난다. 고정대(33)는 양측의 안내대(32)를 개재하여 파지블록(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지블록(31)과 고정대(33)는 대략 U자형의 중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안내대(32)는 파지블록(31)의 상하운동 과정에서 일측으로 편재되지 않도록 한다. 링크체(35)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구동블록(36)과 연결한다. 링크체(35) 중의 상측은 고정대(33)과 구동블록(36)을 연결하고 링크체(35) 중의 하측은 파지블록(31)과 구동블록(36)을 연결한다. 조작케이블(38)의 튜브는 안내대(32)에 고정하고 심선은 구동블록(36)에 고정한다. 파지블록(31)이 항시 최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대(33)와의 사이에 탄성체(47)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적인 도 3의 상태에서 파지블록(31)를 누르면 도 4처럼 링크체(35)와 구동블록(36)의 변위가 유발되어 조작케이블(38)의 심선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진다. 도 4의 상태에서 파지블록(31)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체(47)에 의하여 파지블록(31), 링크체(35), 구동블록(36)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레버부재(30)는 한 쌍의 구동블록(36)을 개재하여 일측 및 타측 조작케이블(38)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레버부재(30)의 구동블록(36)과 조작케이블(38)가 각각 의자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론 도 3에서 일측 조작케이블(38)만 나타내지만 타측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된다. 일측 조작케이블(38)은 일측의 경로로 일측의 구동블록(36)에 연결되고, 타측 조작케이블(38)은 타측의 경로로 타측의 구동블록(36)에 연결된다. 파지블록(31)의 가압력이 양측으로 전달되는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물림부재(40)의 작동 신뢰성은 물론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림부재(40)가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상대운동을 단속하도록 레버부재(30)에 조작케이블(38)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물림부재(40)가 조작케이블(38)를 통하여 레버부재(30)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림부재(40)도 조작케이블(38)처럼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한다. 물림부재(40)는 의자의 접은 상태 또는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대운동을 구속한다. 물림부재(40)가 상대운동을 구속하는 방식에 의하면 파지블록(31)에 많은 가압력을 요구하지 않아 원터치 작동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물림부재(40)는 제2부재(20)의 지지부(22)에 섹터기어(41)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섹터기어(41)와 맞물림 가능한 피동블록(45)을 조작케이블(38)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물림부재(40)를 구성하는 섹터기어(41), 하우징(43), 피동블록(45) 등이 나타난다. 섹터기어(41)는 제2부재(20)의 지지부(22) 상에 힌지부(23)와 인접하도록 고정된다. 섹터기어(41)는 일정한 각도 영역에 걸쳐 치형을 구비한다. 하우징(43)은 제1부재(10)의 착석부(12) 또는 수평횡바(15)에 고정되고, 피동블록(4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피동블록(45)은 노출된 외면에 섹터기어(41)와 동일한 치형을 구비한다. 조작케이블(38)의 튜브는 하우징(43)에 고정되고 심선은 피동블록(45)에 고정된다. 평상시 피동블록(45)이 섹터기어(4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체(47)를 부가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도 4처럼 사용자가 파지블록(31)를 누르면 조작케이블(38)의 상단이 당겨지고 조작케이블(38)의 하단에서 화살표처럼 피동블록(45)의 이동을 유발하여 섹터기어(41)에 대한 맞물림을 해제한다. 섹터기어(41)와 피동블록(45)의 맞물림 구속력은 의자의 양측으로 분산되므로 파지블록(31)의 가압력도 높게 요구되지 않는다.
도 5에서, 도 4처럼 섹터기어(41)와 피동블록(45)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대운동이 유발되어 다리부(11)(21)가 접근하고 자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체부(13)의 파지블록(31)를 파지ㆍ가압하고 의자를 올리는 동작만으로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접이가 가능하다. 반대로 도 5의 상태에서 상체부(13)의 파지블록(31)를 파지ㆍ가압하면서 일측 다리부(21)를 누르면 도 1의 상태로 펼침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본 발명의 레버부재(30)와 물림부재(40)를 연계하면 제1부재(10)와 제2부재(20)를 도 5가 아닌 임의의 각도로 접을 수 있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손가락 끼임과 같은 사고도 발생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제1부재 11: 다리부
12: 착석부 13: 상체부
15: 수평횡바 17: 등받이
18: 팔걸이 20: 제2부재
21: 다리부 22: 지지부
23: 힌지부 25: 시트부
26: 힌지부 27: 링크체
30: 레버부재 31: 파지블록
32: 안내대 33: 고정대
35: 링크체 36: 구동블록
38: 조작케이블 40: 물림부재
41: 섹터기어 43: 하우징
45: 피동블록 47: 탄성체
12: 착석부 13: 상체부
15: 수평횡바 17: 등받이
18: 팔걸이 20: 제2부재
21: 다리부 22: 지지부
23: 힌지부 25: 시트부
26: 힌지부 27: 링크체
30: 레버부재 31: 파지블록
32: 안내대 33: 고정대
35: 링크체 36: 구동블록
38: 조작케이블 40: 물림부재
41: 섹터기어 43: 하우징
45: 피동블록 47: 탄성체
Claims (6)
-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11)와 상체부(13)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보강용 수평횡바(15)를 구비하는 제1부재(10);
다리부(21)와 지지부(22)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제1부재(10) 상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부재(20);
상기 제1부재(10)의 상단에 파지블록(31)을 구비하고, 파지블록(31)의 변위를 일측과 타측의 조작케이블(38)로 전달하는 레버부재(30); 및
상기 제1부재(10)와 제2부재(20)의 상대운동을 단속하도록 레버부재(30)에 조작케이블(38)로 연결되는 물림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재(20)는 제1부재(10)에 연결되는 일측 힌지부(23) 및 시트부(25)에 연결되는 타측 힌지부(26)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25)는 제2부재(20)의 모션과 연동하도록 링크체(27)를 개재하여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재(30)는 파지블록(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대(33), 일측 및 타측의 조작케이블(38)에 각각 연결되면서 파지블록(31)과 고정대(33) 사이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구동블록(36), 양측 구동블록(36)에서 4개의 링크를 개재하여 파지블록(31)과 고정대(33)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체(35)로 구성하면서, 상기 링크체(35)의 일측 2개의 링크는 일측 구동블록(36)에서 파지블록(31)의 일측과 고정대(33)의 일측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링크체(35)의 타측 2개의 링크는 타측 구동블록(36)에서 파지블록(31)의 타측과 고정대(33)의 타측으로 연결하여, 파지블록(31)에 의한 링크체(35)의 회전운동을 구동블록(36)과 조작케이블(38)의 직선운동으로 변위하고,
상기 물림부재(40)는 제2부재(20)의 지지부(22)에 섹터기어(41)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섹터기어(41)와 맞물림 가능한 피동블록(45)을 조작케이블(38)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27)는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턴버클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9282A KR102693816B1 (ko) | 2023-08-21 | 2023-08-21 |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9282A KR102693816B1 (ko) | 2023-08-21 | 2023-08-21 |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3816B1 true KR102693816B1 (ko) | 2024-08-09 |
Family
ID=9237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9282A KR102693816B1 (ko) | 2023-08-21 | 2023-08-21 |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3816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727U (ko) * | 1994-07-26 | 1996-02-14 | 최희창 | 신발 안창 |
KR200391358Y1 (ko) * | 2005-05-06 | 2005-08-01 | (주)대경산업 | 전신안마의자의 다리안마부 각도조절장치 |
KR101739180B1 (ko) | 2014-11-14 | 2017-05-24 | 테-룽 첸 | 접이식 의자 프레임 |
KR20190094275A (ko) | 2018-02-03 | 2019-08-13 | 주명준 | 접이식 의자 |
JP2022026062A (ja) * | 2020-07-30 | 2022-02-10 | ウチヱ株式会社 | 浴室用椅子 |
KR20230005597A (ko) | 2021-07-01 | 2023-01-10 | 주식회사 에이엠이 | 노약자용 접이식 목욕의자 |
CN115644727A (zh) * | 2022-10-18 | 2023-01-31 | 中山冶琳日用制品有限公司 | 一种新型折叠洗浴马桶椅 |
-
2023
- 2023-08-21 KR KR1020230109282A patent/KR1026938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727U (ko) * | 1994-07-26 | 1996-02-14 | 최희창 | 신발 안창 |
KR200391358Y1 (ko) * | 2005-05-06 | 2005-08-01 | (주)대경산업 | 전신안마의자의 다리안마부 각도조절장치 |
KR101739180B1 (ko) | 2014-11-14 | 2017-05-24 | 테-룽 첸 | 접이식 의자 프레임 |
KR20190094275A (ko) | 2018-02-03 | 2019-08-13 | 주명준 | 접이식 의자 |
JP2022026062A (ja) * | 2020-07-30 | 2022-02-10 | ウチヱ株式会社 | 浴室用椅子 |
KR20230005597A (ko) | 2021-07-01 | 2023-01-10 | 주식회사 에이엠이 | 노약자용 접이식 목욕의자 |
CN115644727A (zh) * | 2022-10-18 | 2023-01-31 | 中山冶琳日用制品有限公司 | 一种新型折叠洗浴马桶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57594B2 (ja) | ベビーカー | |
US4047753A (en) | Foldable chair with rocking means | |
JP2007099000A (ja) | ベビーカー | |
EP2141058A2 (en) | Collapsible support frame | |
GB2125283A (en) | A collapsible chair | |
JP2004508116A (ja) | 後傾機能を備えた縦方向に折畳み可能な車椅子 | |
KR102693816B1 (ko) | 원터치 접이 구조를 지닌 의자 | |
TWI658959B (zh) | 兒童承載裝置 | |
EP3345805B1 (en) | Child support apparatus | |
JP2007319273A (ja) | シンクロニーチルト機構 | |
US7195310B2 (en) | Collapsi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 |
JPS5832067B2 (ja) | 乳母車のハンモツク | |
FR3047661A1 (fr) | Appareil d'assistance sexuelle modulable | |
JP3694644B2 (ja) | 便器用着座補助装置 | |
US6644732B1 (en) |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 |
US4699422A (en) | Reclining and swingable chair | |
US4818018A (en) | Stretchable legless chair | |
KR20070037345A (ko) | 유모차 및 유모차의 가이드 암 | |
JP2812543B2 (ja) | マルチ健康座椅子 | |
JP2001149413A (ja) | 車椅子 | |
JP2002177340A (ja) | 折り畳み電動車椅子 | |
JP2007098999A (ja) |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 |
HK1083710A2 (en) | A foldable chair | |
EP3831353B1 (en) | Backrest assembly and wheelchair therewith | |
KR950004971Y1 (ko) |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