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71Y1 -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71Y1
KR950004971Y1 KR92007021U KR920007021U KR950004971Y1 KR 950004971 Y1 KR950004971 Y1 KR 950004971Y1 KR 92007021 U KR92007021 U KR 92007021U KR 920007021 U KR920007021 U KR 920007021U KR 950004971 Y1 KR950004971 Y1 KR 950004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shaft
auxiliary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881U (ko
Inventor
임동희
Original Assignee
임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희 filed Critical 임동희
Priority to KR92007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971Y1/ko
Publication of KR930022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71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의자를 뉘여서 침대로 사용하는 상태도.
제3도는 안락의자의 골격만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절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전방 구동부의 분리사시도.
제6도는 등받이 후레임과 좌판후레임을 연결하는 회전축의 결속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등받이후레임 B : 좌판후레임
C : 보조후레임 D : 지지후레임
1 : 횡봉 2 : 지축
3 : 버팀축 6 : 지축
9,10 : 안내관 11,12 : 지지봉
13,14 : 브라켓트 15 : 연결축
본 고안은 일반가정이나 병원 또는 사무실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안락의자에 있어서, 본 고안의 특징은 안락의자를 별다를 보조장치 없이 쉽게 세우거나 수평상으로 뉘여줄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의자 또는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락의자의 절첩장치를 특징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도 의자를 세우거나 눕혀줄 수 있는 고안 (일본공개실용공보 평4-4841호 및 평4-16937호)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등받이대와 좌판이 계단식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등받이대를 뉘였을 때 좌판과의 수평상태를 이룰 수 없고 계단식으로 뉘여지게 되어 좌판에 높이 조절용 쿠션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며, 발목을 받쳐주는 발판이 복잡한 여러가지 링크에 의해 연결되므로 작동부하와 소음발생의 문제점이 있으며 유압실린더를 등받이대에 연결하여 급격한 회동을 방지하게 하고 있으나 유압실린더는 고가품으로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단순히 완충기능만 가질뿐이다.
특히, 종래의 고안은 좌판이 진퇴됨에 의해서 발판이 승강되도록 링크로 연결하므로써, 연동구동체들의 일률적인 연동작동상에 무리가 발생되고 연결접촉부의 슬라이딩 마모현상도 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간단한 구조로 값싸게 공급할 수 있고 소음발생이나 작동부하없이 절첩 가능한 안락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등받이 후레임(A)과, 좌판후레임(B) 및 보좋레임(C)이 차례로 연결되어 각각의 관절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조립되며 이들 입체 후레임은 하나의 외피(섬유 또는 가죽)로 씌워져 있다.
등받이 후레임(A) 하단부와 좌판후레임(B) 후단부의 체결부는 횡봉(2)으로 끼워서 결속하되, 등받이후레임(A)은 횡봉(1)의 끝단부와 용접하여 일체로 움직이게 하며, 좌판후레임(B)은 헐겁게 끼워져서 자유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좌판후레임(B)의 전단부와 보조후레임(C) 체결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지축(2)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보조후레임(C)의 중간뒷쪽에는 버팀축(3)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조립체후레임에는 다리기능부(4)와 팔받이기능부(5)를 일체로 가진 지지후레임(D)이 연결접속되며 팔받이기능부(5) 단부가 등받이후레임(A) 하단체결부의 윗쪽에 지축(6)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게 하므로서 조립체후레임의 후방은 팔받이 기능부(5)에 의해 매달리듯이 지지된다.
지지후레임(D)에는 그 전단부 양쪽을 마주연결하는 연결판(7)이 횡방향으로 융착되어 있으며, 연결판(7) 상면의 플레이트(8)에는 한쌍의 안내관(9)(10)이 적당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고, 안내관(9)(10)에 관통, 삽입되어 진퇴작동되는 지지봉(11)(12)의 전단부는 보조후레임(C)의 버팀축(3)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후레임(C)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들려질때에는 지지봉(11)(12)이 전방으로 인출되고, 보조후레임(C)이 후진되면서 접혀질때는 지지봉(11)(12)이 하강하게 되며, 조립체후레임의 전단부는 이들 안내관(9)(10)과 지지봉(11)(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있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후레임(A)과 좌판후레임(B)을 체결하는 횡봉(1)의 중간에는 브라켓트(13)가 뒷쪽을 향하는 각도로 고정되어 있고, 보조후레임(C)의 버팀축(3) 중간에도 동일형의 브라켓트(14)가 착설되어 있으며, 이들 전후방 브라켓트(13)(14)는 연결축(15)이 체결되어 있고, 등받이후레임(A)과 함께 회동하도록 고정된 횡봉(1)이 회동하면(제4도 참조) 연결축(15)이 보조후레임(C)을 밀어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쿳션 벨트이고, 제6도의 17은 용접부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양쪽 안내관(9)(10) 내부에는 지지봉(11)(12)의 원활한 진퇴운동을 위해서 윤활성 합성수지 재질의 부싱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평시에는 제1도 및 3도에서처럼 의자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의자에 앉은 사람의 중량이 좌판에 가해지므로 등받이가 뒤로 제쳐질 염려가 없으며, 특히 본 고안의 등받이는 좌판 및 보조판과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이들 모두가 들여지기 전에는 어느 하나도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안락의자로 사용하다가 침대로 변형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먼저 등받이부를 힘껏 뒤로 밀어준다.
그러면 등받이후레임(A)이 지축(6)을 지점으로 하여 상단은 뉘여지는 반면에 하단은 들려지게 되며(제4도좌측 화살표시 참조) 이러한 등받이후레임(A)의 회동작동에 따라 용접으로 일체화된 횡봉(1)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 횡봉(1)에 고정된 브라켓트(13)가 전방쪽으로 회동하면서 연결축(15)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연결축(15)은 전방브라켓트(14)를 통해서 보조후레임(C)을 밀어주게 된다.
그러므로 보조후레임(C)은 그 상단의 지축(2)을 지점으로하여 전단부가 상향회전하여 들리게되는 바, 이때 버팀축(3)에 체결된 지지봉(11)(12)이 직선으로 상승하면서 좌판후레임(B)과 보조후레임(C)의 상승을 허락하게 되어 제4도의 가상선 표시처럼 등받이 후레임(A), 좌판후레임(B), 보조후레임(C)이 수평상으로 일치되게 펼쳐져서 침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등받이쪽의 지축(6)과 지지봉(11)(12)이 전후방 양쪽이 지지점이 되어 침대를 받쳐주고 있으며, 특히 연결축(15)이 보조후레임(C)을 후진(접힘)할 수 없도록 받쳐주고 있으므로 이들 전체적인 펼침상태는 임의 변형(접힘) 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등받이후레임(A)을 다시 세워주기 전에는 침대의 기능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의자로 사용하고져할때는, 등받이후레임(A)을 일으켜 세워주면 지축(6)을 지점으로 하여 앞에서 설명한 반대작동을 하여 브라켓트(B)가 연결축(15)을 당겨주고, 이는 곧 보조후레임(C)을 끌어 내리고, 지지봉(11)(12)이 하강복귀하는 순서로 의자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된 본 고안은 등받이와 좌판, 보조후레임을 연결축(15)과 지지봉(11)(12)에 의해 단일작동을 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어느 한 곳의 개별적인 작동없이 등받이후레임(A)의 작동에 따라 나머지 구성부 전체가 동시에 연동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개별적인 조절레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등받이후레임(A)의 작동만으로 변경설치할 수 있다는 신속, 간편함의 효과를 갖게 하고 별 다른 취급 조작의 요령이나 기술이 필요없이 거의 반자동화의 효과를 갖게하는 것이며, 접힙상태이거나, 펼침상태에서 연결축(15)은 록킹장치기능을 갖게하므로 사용중 돌발적인 임의 변형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일반가정은 물론 각종 장소에서의 의자 및 침대겸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등받이후레임(A)의 단부와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용착된 횡봉(1)에 좌판후레임(B) 후단부를 회전될 수 있게 체결하고, 좌판후레임(B)의 전단부와 보조후레임(C)의 단부를 지축(2)으로 체결하며, 등받이후레임 횡봉(1)과 보조후레임 버팀축(3)의 사이에 연결축(15)을 연결한 것에 있어서, 등받이후레임(A) 하단의 체결단부 윗쪽에 지지후레임(D)의 전단부를 지축(6)으로 결속하고, 지지후레임(D)의 연결판(7)에 용착된 플레이트(8)에 한쌍의 안내관(9)(10)을 경사지게 착설하며, 상기한 안내관(9)(10)에 승강작동될 수 있게 끼워진 지지봉(11)(12)의 상단부를 보조후레임(C)의 버팀축(3)에 회동가능하게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KR92007021U 1992-04-27 1992-04-27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KR950004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021U KR950004971Y1 (ko) 1992-04-27 1992-04-27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021U KR950004971Y1 (ko) 1992-04-27 1992-04-27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81U KR930022881U (ko) 1993-11-25
KR950004971Y1 true KR950004971Y1 (ko) 1995-06-20

Family

ID=1933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021U KR950004971Y1 (ko) 1992-04-27 1992-04-27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49B1 (ko) * 2006-12-18 2007-10-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49B1 (ko) * 2006-12-18 2007-10-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881U (ko)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9823B1 (en) Chaise longue reclining chair
US3869169A (en) Retractable footrest mechanism
FI73873C (fi) Laenstol.
US5354116A (en) Reclining chair with articulating linkage for padded intermediate ottoman
JP3162325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EP0123404A1 (en) Footrest assembly for recliner chairs
JPH0421482B2 (ko)
CN107660910A (zh) 包括具有突出的靠背枢转点的倾斜联动装置的躺椅
GB2028119A (en) Reclining chairs
JP2001524848A (ja) ベッド及びその他リクライニングあるいは着座用家具の構造
US5904401A (en) Recliner chair
US5845961A (en) Dual leg rest assembly having selectable height ottoman
US3862454A (en) Divan having adjustable catenary and horizontal layout positions
US5054850A (en) Shiftable carriage mechanism for incliner chair
EP0680713B1 (en) Relaxation chair
US3536358A (en) Slideable seat construction
US4660883A (en) Safety platform arrangement for recliner
KR950004971Y1 (ko) 안락의자의 절첩장치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US2121456A (en) Collapsible adjustable chair
JP3352255B2 (ja) 支持部が座部と連動する乗物用の折畳式長椅子
CN218141204U (zh) 座椅脚踏伸缩机构
JP3014516B2 (ja) 乗物用座席
CN218141203U (zh) 座椅脚踏翻转机构
CN218127660U (zh) 座椅转动折叠式脚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