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842B1 -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842B1
KR102678842B1 KR1020210052225A KR20210052225A KR102678842B1 KR 102678842 B1 KR102678842 B1 KR 102678842B1 KR 1020210052225 A KR1020210052225 A KR 1020210052225A KR 20210052225 A KR20210052225 A KR 20210052225A KR 102678842 B1 KR102678842 B1 KR 10267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aronia
mixture
mix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975A (ko
Inventor
김점선
Original Assignee
김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선 filed Critical 김점선
Priority to KR102021005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8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8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6Bilberries, blueber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4Ag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천과 아로니아의 약리학적 효능과 더불어 각종 약초 성분도 발효를 통해서 추출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한천분말 10g과 아로니아분말3g과 레몬즙 5~10㎖를 물 1.5~2ℓ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10)와; 중간 정도 세기의 불(중간 불)로 혼합물이 끓고 난 후 20~30초가 될 때까지 끓이는 혼합물 가열단계(S20)와; 가열된 혼합물을 식혀 우무를 수득하는 냉각단계(S30)와; 수득된 우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S40)와; 분쇄된 우무를 엿기름 10~20g과 설탕1kg과 벌꿀1kg과 자일리톨1kg을 약초달인물 3~4ℓ에 넣고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50)와; 제2혼합단계(S50)를 거친 혼합물을 30~55도 온도 하에서 10~15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60)와; 발효단계(S60)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0~10도 온도 하에서 6~12개월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S70)를 포함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발효음료 조성물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ermented 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agar and aronia as main ingredi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천과 아로니아의 약리학적 효능과 더불어 각종 약초 성분도 발효를 통해서 추출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면역성 개선, 염증 완화, 눈 건강 증진, 신장 기능 개선, 심혈관 개선, 항암 적용, 치매예방, 간 기능 향상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조리, 요리, 음료, 건강식품 등의 먹거리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한천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천은 원 소재인 우뭇가사리를 채취 후 자숙 및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천은 식이섬유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고식이섬유, 저당, 저지방이라는 특징을 가져 최근 웰빙, 다이어트 등과 관련된 가공식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로 개발 내지 활용되고 있다. 다른 한편, 한천은 우무요리 및, 양갱, 잼, 푸딩, 젤리 등의 제과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유제품 및 미생물용 배지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천의 제조방법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원래 한천이라고 하면 자연적으로 만드는 자연한천(自然寒天)을 지칭했으나 요즘은 기계적으로 제조하는 공업한천(工業寒天)도 있다. 자연한천은 원조를 고아서 만든 우무를 묵통(응고상자)에 넣어 응고시킨 뒤 이를 잘라 추운 겨울 옥외에서 야간에는 -5∼-10℃의 한기로 동결시키고, 주간에는 5∼10℃의 저온에서 건조시키는 일을 일정 기간 예를 들면, 약 보름간 반복적으로 건조하여 제조한다.
한편 상온에서 젤처럼 결정상태인 한천을 이용한 음료조성물들도 일부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431511호(2014.08.20.)의 한천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수득한 한천 올리고당을 함유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한천에 증류수를 넣어 0.5~1.5% 농도의 한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한천 용액에 마이크로브르비파 속(Microbulbifer sp.) 유래의 한천분해효소(agarase)를 넣고, 42~48℃에서 18~30시간 반응시키는 단계; (c) 반응액을 동결시켜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를 함유하는 네오아가로올리고당(neoagaro-oligosaccharide)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를 함유하는 네오아가로올리고당에 정제수, 과실농축액, 트레할로스,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당을 첨가하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2070153호(2020.01.28.)의 상온 융해성과 무응고성을 갖는 한천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로 그 구성은, 한천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에 있어서, 원료를 수세하고 이물을 제거한 후 수세한 원료의 15 ~ 25배의 정제수를 원료에 투입하는 (1)과정과; 1차 산처리 하는 (2)과정과; 여과하여 여과액을 중화하여 건조, 분쇄하는 (3)과정;를 포함하고, 상기 (2) 산처리과정에서 산은 염산을 포함하되, 산의 양은 상기 원료의 수용액 100wt%에 대하여 4wt% ~ 8wt%범위이며, 처리 시간은 8시간 ~16시간 사이이고, 처리 온도는 60~70℃ 범위에서 제조된 한천을 상온(15~25℃ 범위)의 정제수 100wt%에 대하여 1 ~ 3wt% 범위로, 상기 정제수 100wt%에 대하여 레몬과즙 분말 0.04wt% ~ 0.10wt% 범위로, 에리스리톨(Erythlitol)을 4.90wt% ~5.90wt% 범위로,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효소처리스테비아(Enzymatically Modified Stevi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0.01wt ~ 0.05wt 범위로, 비타민C, 구연산으로 구성된 산도조절제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0.01wt~ 0.10wt 범위로 더 포함하여 상기 한천은 용해되면서(용해도 78.0 ㅁ 4.0wt% 범위) 응고되지 않는 음료조성물을 제공한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아로니아 나무(Aronia mandschurica)는 북미가 원산지인 관목으로서 장미과에 속하며 작고 신맛과 떫은맛이 나는 열매가 열리는데, 열매의 색깔은 검은 적자색으로 과육부위도 강한 적자색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아로니아 나무의 열매를 의미하는 아로니아는 아로니아베리, 블랙초크베리 또는 쵸크베리라고도 불리우며, 아로니아에는 다량의 당류와 안토시아닌(Antocyanin), 폴리페놀(Polyphenol), 비타민 B1, B2, 판토텐산, 플라보노이드, 탄닌, 베타카로틴 등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자연계에 있는 식물들 중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아로니아를 이용한 음료 기술들도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718520호(2017.03.21.)의 아로니아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아로니아 열매를 일정 입경으로 파쇄처리한 아로니아파쇄물을 중탕기의 내부용기에 넣고 내부용기의 내부온도를 80 ~ 95℃로 유지한 상태로 1 ~ 3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중탕으로 추출하되 외부용기의 물이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스팀이 내부용기와 뚜껑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면서 아로니아파쇄물이 쪄지도록 한 다음 추출 및 찜처리된 아로니아파쇄물을 압착기로 착즙하고 살균처리하여 아로니아추출액을 제조하는 아로니아추출액제조단계와, 아로니아 열매와 설탕을 1 : 0.9 ~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용기에 넣고 15 ~ 25℃에서 4 ~ 6개월 동안 1차발효시킨 다음 발효용기 내의 건더기를 걸러내고 액상부분만 다시 15 ~ 25℃에서 4 ~ 6개월 동안 2차발효하여 아로니아발효액을 제조하는 아로니아발효액제조단계와, 건조처리된 아로니아 열매를 분쇄처리하여 아로니아분말을 제조하는 아로니아분말제조단계와, 상기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로니아발효액 3 ~ 8중량부와 아로니아분말 0.2 ~ 0.8중량부를 혼합하여 아로니아음료를 완성하는 아로니아음료완성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일부 음료조성물로 개발되고 있는 한천과, 탄닌 성분이 높아 떫은맛이 강하여 먹기를 꺼리며 쉽게 변질되는 등으로 인해 취급성이 나쁜 아로니아가 음료로 제공되고 있으나, 아로니아 특유의 강한 떫은맛과 신맛, 쓴맛이 그대로 남아 있어 전체적인 취식감이 매우 떨어졌는 바, 모든 연령층에서 음료로 쉽게 음용할 수 있는 발효음료가 요구되고 있었다.
KR 101431511 B1 2014.08.20. KR 102070153 B1 2020.01.28. KR 101718520 B1 2017.03.21.
이에 본 발명자는 우무로 만들어 먹는 한천과, 탄닌 성분이 높아 떫은맛이 강하여 먹기를 꺼리며 쉽게 변질되는 취급성이 나쁜 아로니아를 쉽게 음용할 수 있는 발효음료 조성물로 제공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한천과 아로니아 및 레몬즙을 혼합한 혼합물에 약초 달인물을 엿기름 및 설탕을 투입하여 발효시키고, 이를 장시간 숙성시켜 한천과 아로니아의 약리학적 효능과 더불어 각종 약초 성분도 발효를 통해서 추출하여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면역성 개선, 염증 완화, 눈 건강 증진, 신장 기능 개선, 심혈관 개선, 항암 적용, 치매예방, 간 기능 향상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한천분말 10g과 아로니아분말3g과 레몬즙 5~10㎖를 물 1.5~2ℓ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와; 중간 정도 세기의 불(중간 불)로 혼합물이 끓고 난 후 20~30초가 될 때까지 끓이는 혼합물 가열단계와; 가열된 혼합물을 식혀 우무를 수득하는 냉각단계와; 수득된 우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된 우무를 엿기름 10~20g과 설탕1kg과 벌꿀1kg과 자일리톨1kg을 약초달인물 3~4ℓ에 넣고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와; 제2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30~55도 온도 하에서 10~15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발효단계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0~10도 온도 하에서 6~12개월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약초달인물은, 건약초인 민들레, 쑥, 우슬, 오미자, 산수유, 구기자, 개다래나무, 복분자, 까마중, 어성초, 삼백초, 엉겅퀴, 대추, 커피, 가시오갈피, 꾸지뽕나무, 개똥쑥, 우엉 중 세 가지 이상으로 혼합한 것으로 약초 130g~200g을 물 5~6ℓ에 넣고 3~4ℓ가 되도록 끓여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건약초를 세 가지 이상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약초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저온숙성단계에서 최초 10~15일간 12시간 간격으로 발효물을 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주로 무침 등으로 사용하는 우무 재료인 한천과, 탄닌 성분이 높아 떫은맛이 강하여 먹기를 꺼리며 쉽게 변질하여 상하는 취급성이 나쁜 아로니아를 쉽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효음료를 장복할 경우 한천과 아로니아 및 약초들에 함유되어 있는 유익한 성분들에 의해 면역력 향상과, 신체에 발생하는 염증등을 완화하며, 눈 건강 증진과 함께 신장 기능 개선, 심혈관 개선, 항암 적용, 치매예방, 간 기능 향상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단계에서 수득한 우무를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분쇄단계에서 분쇄한 상태의 우무를 보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발효단계에서 발효 중인 상태를 보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저온숙성단계에서 숙성 중인 상태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경우 한천분말과, 아로니아와, 레몬즙 및 약초 달인물을 포함하여 발효 숙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료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한천-
한천은 주성분이 탄수화물이며, 한천 100g에는 탄수화물 당질이 75g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원료가 해조류인 우뭇가사리로 칼슘·나트륨·칼륨·마그네슘 등 미네랄 등이 많은 양을 포함하며, 철과 구리, 아연 등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한천은 성장기의 어린이부터 나이 많은 성인에 이르기까지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한천의 식이섬유 함유량이 80%가 넘을 정도로 많으며, 완졸작용, 정장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천은 물을 흡수 작용이 특히 강하고, 위나 장 등의 소화기관에서도 매우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배설 시간이 단축되어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되며 또,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로니아-
아로니아는 바로 수확한 상태에서는 껍질에 함유된 탄닌 성분이 높아 떫은맛이 더 강하게 느껴져 단맛을 느끼기가 어려우나 보관하였다 먹을 경우 떫은맛이 줄어들어 요리에 활용하기에 좋다. 아로니아는 생과일이나 냉동과일, 농축액,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는 식재료이며, 아로니아를 잼이나 주스 등으로 먹거나 건조하여 차로도 마시기도 한다.
아로니아는 엘더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와 같은 베리류 중에서도 안토시아닌 함량이 가장 높은 종으로, 미국 농무부(USDA)의 '베리류 별 안토시아닌 함량 비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로니아는 100g 당 1480mg의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라즈베리의 100g 당 92mg, 블루베리의 100g 당 386mg 보다 높은 수치로, 높은 안토시아닌 성분 함유량으로 인해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항암효과가 뛰어나며, 당뇨병 예방, 체중 감량, 간 손상 예방, 염증 완화, 눈의 피로 해소 등의 효과뿐 아니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어 심혈관계 질환과 뇌졸중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레몬즙-
비타민C와 구연산이 많기 때문에 신맛이 강하다.
래몬은 정신을 고무시키고 정신적 피로를 극복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정신을 명료하게 만들고, 정신을 지나치게 자극하지 않으면서 결정력을 높여 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레몬즙은 감정적으로 지나치게 긴장된 사람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순환계 강화 효과도 뛰어나며, 혈액의 점성률을 낮추고, 동맥 내 혈소판 침적물의 분쇄를 도우며,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또한 레몬 오일의 항미생물 특성은 감기, 인플루엔자, 기관지염, 그리고 천식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초 달인물-
본 발명에서의 약초 달인물은 (1)민들레, (2)쑥, (3)우슬, (4)오미자, (5)산수유, (6)구기자, (7)개다래나무, (8)복분자, (9)까마중, (10)어성초, (11)삼백초, (12)엉겅퀴, (13)대추, (14)커피, (15)가시오갈피, (16)꾸지뽕나무, (17)개똥쑥, (18)우엉 중 세 가지 이상으로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1)민들레
민들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한방에서는 뿌리와 꽃피기 전의 전초(全草)를 포공영(蒲公英)이라 하며 해열·소염·이뇨·건위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감모발열(感冒發熱)·인후염·기관지염·임파선염·안질·유선염·간염·담낭염·소화불량·소변불리·변비·정창의 치료제로 이용한다.
(2)쑥은 특유의 향을 내는 정유 성분인 '시네올'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의 유해 세균 성장을 억제하고 면역과 해독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3)우슬
우슬은 식물 줄기에 있는 마디의 형상이 소의 무릎과 유사하다고 하여 쇠무릎이라 호칭되기도 하며 뿌리가 약재이다.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자궁의 수축을 증강시키며 약한 이뇨 작용이 있고, 혈관을 확장시켜 일시적인 혈압강하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형태가 무릎을 닮은 것과 같이 무릎의 질환(관절염·류머티스성관절염·타박으로 인한 염증)을 치료하는 데 현저한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4)오미자
오미자는 여러 종류의 약리적 작용을 하는 물질이 들어 있어서 천식 치료에 효능이 탁월하고, 강장제로 이용되며, 눈을 밝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장을 따뜻하게 해 준다고 한다.
(5)산수유
산수유의 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모로니사이드(Morroniside)·로가닌(Loganin)· 타닌(tannin)·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사과산·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으며, 성분 중 코르닌은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으며, 다.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 의하면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두통·이명(耳鳴)·해수병, 해열·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식은땀· 야뇨증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된다. 차나 술로도 장복하며, 지한(止汗)· 보음(補陰)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구기자
구기자의 성분은 베타인(betaine)·제아잔틴(zeazanthin)·카로틴(carotene)·티아민(thiamine), 비타민 A·B1·B2·C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간장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며, 혈압을 내려주는 작용도 하며, 약성(藥性)은 평범하고 독이 없다.
만성간염·간경변증 등에 복용하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생식기능이 허약해서 허리·무릎이 저리고 아프고, 유정(遺精)·대하(帶下) 등의 증상에 유효하며, 안과질환으로 인한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있고, 노인의 백내장 초기증상에 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구기자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력이 왕성해지며, 다리·허리 등의 힘이 강해지고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7)개다래나무
개다래나무는 목천요(木天蓼). 천요(天蓼)라고도 한다.
벌레가 붙어서 이상한 모양으로 부풀어 오른 열매를 약재로 쓰며, 초가을에 채취하여 끓는 물을 끼얹은 다음 햇볕에 말려서 그대로 쓴다.
악티니딘(Actinidine), 마타타빌락톤(Matatabi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보온, 강장, 거풍 등의 효능이 있다. 적용 질환은 요통, 류머티스, 복통, 월경불순, 중풍, 안면신경마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복분자
복분자는 성질은 평하며(약간 열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다. 남자의 신기(腎氣)가 허하고 정(精)이 고갈된 것과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남자의 음위를 낫게 하고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도와 몸을 가쁜 하게 하며 머리털이 하얘지지 않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9)까마중
까마중에는 주로 스테로이드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사포닌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까마중에는 항종양, 항산화, 항궤양 및 항흡혈충 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한의학에서 용규(龍葵)는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소종(活血消腫)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0)어성초
어성초는 성질은 차며 맛은 맵다. 청열해독, 이뇨소종하는 효능이 있다. 폐농양, 담열해수, 폐렴, 수종, 각기, 요로감염, 백대하, 과다, 옹종, 창독에 외용한다.
(11)삼백초
삼백초는 열량이 거의 없어 비만인 사람에게 적합하다. 삼백초에 들어 있는 성분이 변통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말려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쓰고, 각기, 황달, 간염 등에도 처방한다.
(12)엉겅퀴
엉겅퀴는 연한 식물을 나물로 식용한다. 곤드레 나물도 엉겅퀴의 한 종류이다. 꽃 핀 후 성숙한 개체를 말려서 약용한다. 전초 또는 뿌리를 대계라고 하며 한방에 쓰인다. 혈액응고 및 간해독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3)대추
대추의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능금산·주석산 등도 들어 있으며, 씨에는 베툴린·베투릭산·지방 등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는 이뇨강장·건위진정·건위자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14)커피
커피나무의 열매를 볶아서 간 가루이며,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향기가 있어 차의 원료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커피는 적당량 섭취할 경우 심혈관 질환 예방, 신경 보호 및 파킨슨 알츠하이머 예방, 일부 암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가시오갈피
가시오갈피는 민간이나 한방에서 중풍이나 허약체질을 치료하는 약으로 써왔다. 나무의 껍질을 벗겨 담근 오가피주는 요통, 손발저림, 반신불수 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꾸지뽕나무
꾸지뽕나무는 나무껍질과 뿌리는 말려서 약으로 썼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몸이 허하여 귀먹은 것과 학질을 낫게 한다."라고 했다.
민간에서는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혈당 조절과 노화 억제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꾸지뽕나무
개똥쑥은 주로 정유, 세스퀴테르펜락톤,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등 다양한 성분이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똥쑥은 해열, 항염, 진통, 항말라리아, 항혈흡충(抗血吸蟲), 면역조절,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의학에서 청호는 청열해서(淸熱解暑), 제증(除蒸), 절학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8)개똥쑥
우엉에 함유된 이눌린은 신장의 기능을 향상시켜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식이섬유소는 정장 작용과 배변 촉진 효과를 나타내고, 리그닌은 항균 작용이 있어 비만 예방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는 나열되지 않았지만 당귀, 계피, 생강, 곰보배추, 박하, 치자, 접골목, 쇠비름, 꼭두서니, 익모초, 찔레순, 토사자, 감태나무, 인진쑥, 결명자, 야관문 등 다양한 약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료들을 발효 및 숙성시켜 음료조성물로 제공한 것으로, 한천분말 10g과 아로니아분말3g과 레몬즙 5~10㎖를 물 1.5~2ℓ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중간 정도 세기의 불(중간 불)로 가열하여 끓고 난 후 20~30초가 될 때까지 끓인 후 식혀 우무를 수득한 후 수득된 우무를 분쇄하고, 분쇄한 우무와 엿기름10~20g과 설탕1kg과 벌꿀1kg과 자일리톨1kg을 약초달인물3~4ℓ와 혼합한 후 30~55도 온도하에서 10~15일 동안 발효시키고, 발효물을 0~10도 온도하에서 6~12개월 저온숙성시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약초달인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민들레, 쑥, 우슬, 오미자, 산수유, 구기자, 개다래나무, 복분자, 까마중, 어성초, 삼백초, 엉겅퀴, 대추, 커피, 가시오갈피, 꾸지뽕나무, 개똥쑥, 우엉 중 세 가지 이상으로 혼합한 것으로 약초 130g~200g을 물 5~6ℓ에 넣고 3~4ℓ가 되도록 끓여 제공한다. 또한 2개 이상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약초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저온숙성의 경우 최초 10~15일간은 12시간 간격으로 발효물을 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1)제1혼합단계(S10)와, 2)혼합물 가열단계(S20)와, 3)냉각단계(S30)와, 4)분쇄단계(S40)와, 5)제2혼합단계(S50)와, 6)발효단계(S60)와, 7)저온숙성단계(S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한천분말과, 아로니아분말과, 약초달인물을 위한 약초들은 건조된 것을 사용하며,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제1혼합단계(S10)
제1혼합단계(S10)는 한천분말과 아로니아분말과 레몬즙을 물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한천분말 10g과 아로니아분말3g과 레몬즙 5~10㎖를 물 1.5~2ℓ에 투입하여 혼합토록 한다. 혼합은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재료가 충분히 썩어지도록 한다.
2)혼합물 가열단계(S20)
혼합물 가열단계(S20)는 상기 제1혼합단계(S10)에서의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끓이는 것으로, 중간 정도 세기의 불(중간 불)로 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에 넣어 혼합물을 끓이면 죽처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상태가 끓는 시점이며, 끓고 난 후 20~30초 정도 지날 때까지 가열한다.
3)냉각단계(S30)
냉각단계(S30)는 혼합물 가열단계(S20)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식혀 우무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이때 수득한 우무은 겔 상태이며, 아로이나로 인해 짙은 보라색으로 보인다.(도 2참조)
4)분쇄단계(S40)
분쇄단계(S40)는 상기에서 수득된 우무를 분쇄기 등으로 분쇄하는 공정으로 후술한 발효단계(S60)에서 발효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우무를 분쇄기(믹스기)로 분쇄하여 마치 죽처럼 분쇄하며, 큰 덩어리 형태로 분쇄할 경우 발효성이 떨어지거나 발효 중 부패할 수 있다.
우무를 분쇄기로 분쇄할 경우 도 3과 같다.
5)제2혼합단계(S50)
제2혼합단계(S50)는 상기와 같이 분쇄단계(S40)에서 분쇄된 우무를 엿기름 10~20g과 설탕1kg과 벌꿀1kg과 자일리톨1kg와 함께 약초달인물 3~4ℓ에 함께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혼합은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재료가 충분히 썩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혼합물의 경우 겔 상태에서 뻑뻑한 죽처럼 분쇄된 우무 사이로 엿기름과 설탕 및 약초달인물이 혼입된다.
상기 약초달인물은, 건약초인 민들레, 쑥, 우슬, 오미자, 산수유, 구기자, 개다래나무, 복분자, 까마중, 어성초, 삼백초, 엉겅퀴, 대추, 커피, 가시오갈피, 꾸지뽕나무, 개똥쑥, 우엉을 달여 사용한다.
상기 건약초는 세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토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약초 130g~200g을 물 5~6ℓ에 넣고 3~4ℓ가 되도록 중간불로 끓여 제공토록 한다.
건약초를 세 가지 이상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약초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다. 예를 들어 민들레와 오미자와 대추를 사용할 경우 민들레 60g, 오미자 60g, 대추 60g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약초달인물은 후술할 발효에 적합한 온도로 식힌 후 사용한다. 발효 조건보다 낮은 온도로 식힐 경우 제2혼합물을 발효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한편 엿기름의 경우 약초달인물을 우려내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6)발효단계(S60)
발효단계(S60)는, 제2혼합단계(S50)를 거친 혼합물을 30~55도 온도하에서 10~15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발효는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발효통을 이용할 수 있다.
발효온도가 30도 이하일 경우 발효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55도 이상인 경우 혼합물 내의 미생물 증식이 어려워 발효가 되지 않는다.
발효되는 과정에서 도 4와 같이 끓어 거품이 형성된다.
7)저온숙성단계(S70)
저온숙성단계(S70)는 발효단계(S60)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항아리와 같은 용기에 넣고 0~10도 온도하에서 6~12개월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저온숙성단계(S70)에서 최초 10~15일간 12시간 간격으로 발효물을 저어주도록 한다. 이때 성상은 도 5와 같이 주황색을 띠며, 묽은 죽과 같은 점성을 가진다.
숙성단계에서 0도 이하일 경우 발효물이 동결되어 숙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10도 이상에서는 미생물이 급격히 증가하여 끓어오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초 10~15일간 12시간 간격으로 발효물을 저어주는 것은 발효물 내에 잔존하는 열기를 배출하며, 아울러 발효물을 서로 교반하여 발효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15일이 경과되면 발효물은 숙성기에 접어들게 되어 발효물이 부패하는 등의 염려가 없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은 기호에 따라 물과 혼합하여 발효음료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장복할 경우 한천과 아로니아 및 약초들에 함유되어 있는 유익한 성분들에 의해 면역성 개선과, 신체에 발생하는 염증 등을 완화하며, 눈 건강 증진과 함께 신장 기능 개선, 염증 완화, 눈 건강 증진, 신장 기능 개선, 심혈관 개선, 항암 적용, 치매예방, 간 기능 향상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10:제1혼합단계
S20:혼합물 가열단계
S30:냉각단계
S40:분쇄단계
S50:제2혼합단계
S60:발효단계
S70:저온숙성단계

Claims (5)

  1. 한천분말 10g과 아로니아분말3g과 레몬즙 5~10 를 물 1.5~2ℓ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10)와;
    중간 정도 세기의 불(중간 불)로 혼합물이 끓고 난 후 20~30초가 될 때까지 끓이는 혼합물 가열단계(S20)와;
    가열된 혼합물을 식혀 우무를 수득하는 냉각단계(S30)와; 수득된 우무를 분쇄하는 분쇄단계(S40)와;
    분쇄된 우무를 엿기름 10~20g과 설탕1kg과 벌꿀1kg과 자일리톨1kg을 약초달인물 3~4ℓ에 넣고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50)와;
    제2혼합단계(S50)를 거친 혼합물을 30~55도 온도 하에서 10~15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60)와;
    발효단계(S60)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0~10도 온도 하에서 6~12개월 숙성시키는 저온숙성단계(S70)를 포함하되;
    상기 약초달인물은, 건약초인 민들레, 쑥, 우슬, 오미자, 산수유, 구기자, 개다래나무, 복분자, 까마중, 어성초, 삼백초, 엉겅퀴, 대추, 커피, 가시오갈피, 꾸지뽕나무, 개똥쑥, 우엉 중 적어도 세 가지 이상 혼합한 것으로 약초 130g~200g을 물 5~6ℓ에 넣고 3~4ℓ가 되도록 끓여 제공하며;
    상기 건약초를 세 가지 이상 혼합하는 경우 각각의 약초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며;
    상기 저온숙성단계(S70)에서 최초 10~15일간 12시간 간격으로 발효물을 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기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KR1020210052225A 2021-04-22 2021-04-22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67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25A KR102678842B1 (ko) 2021-04-22 2021-04-22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25A KR102678842B1 (ko) 2021-04-22 2021-04-22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975A KR20220145975A (ko) 2022-11-01
KR102678842B1 true KR102678842B1 (ko) 2024-06-28

Family

ID=8404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25A Active KR102678842B1 (ko) 2021-04-22 2021-04-22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30602A (ko) * 2023-08-25 2025-03-05 윤지요 가시복분자 발효원액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99B1 (ko) * 2006-02-28 2007-12-28 한일인삼산업 주식회사 다시마, 우뭇가사리 및 지누아리 추출물이 함유된건강음료 조성물
KR101431511B1 (ko) 2013-12-10 2014-08-20 (사)제주우뭇가사리사업단 한천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수득된 한천 올리고당을 함유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2583A (ko) * 2015-11-27 2017-06-08 예랑영농조합법인 천연 생약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718520B1 (ko) 2016-10-21 2017-03-21 김영돈 아로니아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153B1 (ko) 2017-12-20 2020-01-28 (주)밀양한천 상온 용해성과 무응고성을 갖는 한천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KR102071140B1 (ko) * 2018-06-28 2020-03-02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떫은 맛이 감소된 아로니아 곤약젤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975A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1715A (zh) 一种鹿胶糕及其制备方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20220059078A (ko) 식품첨가제
KR102678842B1 (ko) 한천과 아로니아를 주재료로 하는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538908A (zh) 一种改善睡眠的葡萄饮品及制作方法
CN106107304A (zh) 一种清火明目铁皮石斛荸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192235A (zh) 一种罗汉果薄荷糖及其制作方法
CN105325827A (zh) 柑橘属植物果粉饮料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CN111249410A (zh) 一种保肝解毒排脂防治肝损伤恢复肝功能的药膳饮料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CN101352253B (zh) 羽衣甘蓝红枣山楂菊花复合饮料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1058422B1 (ko)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15507B (zh) 一种艾叶饮料及其生产工艺
CN108741046B (zh) 一种酸角水晶啤酒糕及其制备方法
CN113875918A (zh) 一种酸木瓜饮品及其制备方法
CN106635631A (zh) 一种保健果酒
CN105995304A (zh) 一种含山竹葡萄菊花饮料及其生产方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20100007569A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먹는 피부개선용화장품
CN105614633A (zh) 一种蕨菜魔芋罗汉果复合颗粒饮料
CN105362132A (zh) 一种保健洗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