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925B1 - 경계석용 차수판 - Google Patents

경계석용 차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925B1
KR102677925B1 KR1020230179715A KR20230179715A KR102677925B1 KR 102677925 B1 KR102677925 B1 KR 102677925B1 KR 1020230179715 A KR1020230179715 A KR 1020230179715A KR 20230179715 A KR20230179715 A KR 20230179715A KR 102677925 B1 KR102677925 B1 KR 10267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undary
floor
wal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라
Original Assignee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리스앤코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용 차수판으로서,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벽면판을 포함하는 기본 차수판들이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차수판의 바닥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바닥판과; 상기 경계바닥판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본 차수판의 벽면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벽면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 경계바닥면에 안착되는 경계막음판;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계바닥면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수평이 아닌 전후 경사 또는 좌우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석용 차수판{Waterproof plate for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용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계석 등으로 인한 단차진 부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계석용 차수판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또한, 도시화에 따른 도로나 지면의 포장율이 높아짐에 따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지대 지역, 지하주차장, 지하철, 지하상가, 지하건물 등의 침수로 인한 재산상, 인명상 손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는, 예측이 어려울뿐더러, 홍수도달시간이 짧아 피해가 급격하게 발생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98870 '이동식 돌발침수대용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지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하여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는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가이드가 구비되는 바닥판재; 및 상기 바닥판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아치형상부를 구비하는 벽면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치형상부는, 상기 벽면판재의 좌우 중심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벽면판재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 크기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는, 상기 바닥판재 내에서 상기 벽면판재 쪽으로 갈수록 상향 돌출된 크기가 증가하는 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각각의 말단은 상기 아치형상부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로부터 V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청구항 1)"으로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하고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물의 흐름을 좌우로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수 개의 연결 시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의 아치를 이루어 수압을 견디는 힘을 증가시키고 수압을 집중 분산시킬 수 있고, 물이 안정적으로 빠르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압을 가장 안쪽 깊은 곳으로 유도하여 무게중심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 측면에 단차진 부분이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98870 B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9-007131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계석용 차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수평이 아닌 전후 경사 또는 좌우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계석용 차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경계석용 차수판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벽면판을 포함하는 기본 차수판들이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차수판의 바닥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바닥판과; 상기 경계바닥판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본 차수판의 벽면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벽면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 경계바닥면에 안착되는 경계막음판;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계바닥면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한 쌍의 바닥돌출부와,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나란한 벽면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돌출부는 상기 바닥돌출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의 상단을 좌우로 연결하는 상부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의 하부를 좌우로 연결하는 하부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닥돌출부 사이에 상기 바닥판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바닥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전단에 결합되는 틈새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틈새막음판은 상기 바닥면이 경사져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계막음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을 결합하는 각도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높이조절부는 상기 경계벽면판의 단부에 형성된 호형의 요홈과, 상기 경계막음판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의 돌부는 상기 호형의 요홈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상하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측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돌부는 상기 요홈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경계바닥면의 높이와 폭의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경계바닥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계측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측면판은 전면 상측이 절취 제거되어 상기 경계측면판 외측으로 유입된 물과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잘 유동하여 수압의 차이를 신속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호형의 요홈 중앙부 일부는 상기 경계측면판과 경계벽면판 사이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막음판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막음판은 상기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측면 등에 경계석 등에 의한 단차진 부분이 수평이 아닌 전후 경사 또는 좌우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경계석용 차수판과 기본 차수판들이 지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의 사시도
도 2b, 2c는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의 전단에 구비된 틈새막음판 및 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경계막음판이 경계벽면판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경계석용 차수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경계석용 차수판과 기본 차수판들이 지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의 사시도이고, 도 2b, 2c는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의 전단에 구비된 틈새막음판 및 그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차수판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경계석용 차수판의 경계막음판이 경계벽면판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경계석용 차수판(20)은, 바닥면(40)에 안착되는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벽면판(14)을 포함하는 기본 차수판(10)들이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40)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차수판(10)의 바닥판(12)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바닥판(22)과; 상기 경계바닥판(22)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본 차수판(10)의 벽면판(14)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벽면판(24)과; 상기 경계벽면판(24)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면(40)의 측면 단부에 바닥면(40)보다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 경계바닥면(50)에 안착되는 경계막음판(26);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40)의 측면 단부에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계바닥면(50)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차수판(10)은 바닥판(12)과 벽면판(14)을 포함하는 것으로,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 설치되어 차수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수벽체는 후면쪽으로 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차수벽체는 지하 주차장, 지하 도로, 지하 상가, 지하 건물 등의 입구에 설치되어 후면쪽인 지하 공간 등으로 물의 유출을 차단하여 침수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차수판(10)의 바닥판(12)은 지하 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 등의 바닥면(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은 차수벽체를 전방쪽 또는 후방쪽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설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벽면판(14)은 바닥판(1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연직 상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전면쪽으로 좀 기울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연직 상향 또는 전면으로 기울어진 형상은 기본 차수판(10)이 후면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벽면판(14)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면판(14)과 바닥판(12)의 연결 부위는 직각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차수판(10)들의 연결 설치는 서로 겹쳐 설치하거나, 고리, 끈 등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도 2, 3을 참조하면, 기본 차수판(10)의 일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바닥판(12)의 일측 전단에 하부삽입구(122), 벽면판(14)의 일측 상단에 상부삽입구(142)가 형성되고, 바닥판(12)의 타측 전단에 하부삽입돌기(123), 벽면판(14)의 타측 상단에 상부삽입돌기(143)가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삽입구(122)와 상부삽입구(142)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할 수 있다. 폭이 넓은 하부삽입구(122)와 상부삽입구(142)는 기본 차수판(10)들의 겹침 정도를 조정하여 차수벽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2)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한 쌍의 바닥돌출부(124)와, 상기 벽면판(14)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나란한 벽면돌출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돌출부(144)는 상기 바닥돌출부(12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닥돌출부(124)는 바닥판(12)의 전단에서 일정 거리 후면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후부로 갈수록 점차 높이, 폭 등이 증가할 수 있다. 한 쌍의 바닥돌출부(124)는 바닥판(12)이 사각형 형상인 경우 나란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12)이 사다리꼴인 경우 전방이 넓거나 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벽면돌출부(144)는 나란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돌출부(124)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벽면돌출부(144)는 한 쌍의 바닥돌출부(124)에서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거나, 또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벽면판(14)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144)의 상단을 좌우로 연결하는 상부돌출부(145)와, 상기 상부돌출부(145)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구멍(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구멍(146)은 기본 차수판(10)의 이동, 설치 등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본 차수판(10)들을 사용한 후 겹쳐 적층한 상태에서 손잡이구멍(146)을 통해 끈, 철사 등으로 묶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묶은 끈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본 차수판(10)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벽면판(14)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144)의 하부를 좌우로 연결하는 하부돌출부(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닥돌출부(124) 사이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바닥돌출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바닥돌출부(125)는 바닥판(12)의 전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후부쪽으로 갈수록 높이, 폭 등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보조바닥돌출부(125)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부(145)와 하부돌출부(147) 사이에 양측의 벽면돌출부(144)를 연결하는 보조벽면돌출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벽면돌출부(148)는 상부돌출부(145)와 하부돌출부(147) 보다 돌출 높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벽면돌출부(144) 양측에는 아령 형상으로 돌출된 보강돌출부(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차수판(10)은 이웃하는 기본 차수판(10)과 겹치는 부위, 경계석용 차수판(20)과 겹치는 부위, 또는 바닥면(40)과 접하는 부위에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부직포, 직포 등의 띠 형상으로 부착된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는 기본 차수판(10)과 기본 차수판(10), 기본 차수판(10)과 경계석용 차수판(20), 기본 차수판(10)과 바닥면(40)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여 누수를 차단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호 잘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돌출부(124), 벽면돌출부(144), 상부돌출부(145), 하부돌출부(147), 보조바닥돌출부(125) 등은 기본 차수판(10)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켜, 적은 재료로도 수압에 잘 견디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2)의 전단에 결합되는 틈새막음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틈새막음판(127)은 상기 바닥면(40)이 경사져 상기 바닥판(12)의 전단부와 상기 바닥면(4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즉, 바닥면(40)이 곡면 형상으로 경사진 경우 바닥판(12)의 전단부가 들리게 되는데, 이 경우 틈새막음판(127)이 상기 틈새를 막아 물이 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틈새막음판(127)은 바닥판(1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하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됨으로써 틈새를 잘 막을 수 있다. 또한 틈새막음판(127)은 바닥판(12)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완전히 결합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경계막음판(26)과 경계벽면판(24)을 결합하는 각도높이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높이조절부(30)는 경계벽면판(24)의 단부에 형성된 호형의 요홈(32)과, 상기 경계막음판(26)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돌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형의 돌부(34)는 호형의 요홈(32)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경계막음판(26)의 삽입의 정도에 따라 상하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측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돌부(34)는 요홈(32)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경계바닥면(50)의 높이와 폭의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호형의 요홈(32)은 경계벽면판(24)의 단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과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호형의 요홈(32)은 경계벽면판(24)의 단부 상하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일부에만 형성하는 경우, 경계바닥면(50)의 최소 높이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의 돌부(34)는 경계막음판(26)의 측면 단부에 상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형의 돌부(34)는 호형의 요홈(32)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으로, 경계바닥면(50)까지 내려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돌부(34)는 효홈내에서 적절히 회전하여 경계바닥면(50)의 폭에 맞게 설치하여 측면에 유출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경계바닥판(22)과 경계벽면판(24)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계측면판(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측면판(28)은 전면 상측이 절취 제거되어 경계측면판(28) 외측으로 유입된 물과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좌우로 잘 유동하여 수압의 차이를 신속이 제거할 수 있다. 경계측면판(28)은 경계바닥판(22)과 경계벽면판(24)을 결합하여 경계석용 차수판(20)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호형의 요홈(32) 중앙부 일부는 상기 경계측면판(28)과 경계벽면판(24) 사이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경계측면판(28)과 경계벽면판(24) 사이의 개방은 금형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상기 경계막음판(26)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단부에 플렌지가 구비될 수 있다. 호 형상과 상하 단부의 플렌지는 경계막음판(26)의 강성을 증대시켜 큰 수압에도 잘 대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경계막음판(26)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막음판(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막음판(29)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하부막음판(29)은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 재질인 하부막음판(29)은 경계바닥면(50)의 전후 또는 좌우 경사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유연 재질은 고무, 실리콘,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을 포하할 수 있다. 또한, 경계막음판(26)은 유연성이 없는 철재, 플라스틱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막음판(29)은 경계막음판(26)의 하단에 접착제로 일체로 결합되거나,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식의 경우, 경계막음판(26) 하단과 하부막음판(29)의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호형의 오목부와 타측에 형성된 구형의 볼록부에 의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끼움식은 하부막음판(29)이 불필요한 경우 제거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용 차수판(20)과 기본 차수판(10)은 서로 겹쳐 설치하거나, 고리, 끈 등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삽입 결합은 도 2, 3의 기본 차수판(10)의 삽입 결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기본 차수판(10) 또는 경계석용 차수판(20)의 어느 일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경계석용 차수판(20)과 기본 차수판(10)의 삽입 결합은 전술한 기본 차수판(10) 상호간의 삽입 결합과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다.
경계석용 차수판(20)은 이웃하는 기본 차수판(10)과 겹치는 부위, 또는 바닥면(40)과 접하는 부위에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부직포, 직포 등의 띠 형상으로 부착된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는 경계석용 차수판(20)과 기본 차수판(10), 경계석용 차수판(20)과 바닥면(40)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여 누수를 차단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호 잘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경계석용 차수판(20)과 기본 차수판(10)을 단순히 겹쳐 설치하는 방식은, 차수벽체 단부에 형성되는 경계석용 차수판(20)의 설치 폭의 크기에 잘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본 차수판
12: 바닥판
122: 하부삽입구
123: 하부삽입돌기
124: 바닥돌출부
125: 보조바닥돌출부
127: 틈새막음판
14: 벽면판
142: 상부삽입구
143: 상부삽입돌기
144: 벽면돌출부
145: 상부돌출부
146: 손잡이구멍
147: 하부돌출부
148: 보조벽면돌출부
149: 보강돌출부
20: 경계석용 차수판
22: 경계바닥판
24: 경계벽면판
26: 경계막음판
28: 경계측면판
29: 하부막음판
30: 각도높이조절부
32: 요홈
34: 돌부
40: 바닥면
50; 경계바닥면

Claims (10)

  1.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벽면판을 포함하는 기본 차수판들이 좌우로 연속으로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는 차수벽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기본 차수판의 바닥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바닥판과; 상기 경계바닥판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본 차수판의 벽면판에 연결 설치되는 경계벽면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바닥면보다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 경계바닥면에 안착되는 경계막음판;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면의 측면 단부에 상측으로 높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계바닥면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상기 경계막음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을 결합하는 각도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높이조절부는 상기 경계벽면판의 단부에 형성된 호형의 요홈과, 상기 경계막음판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형의 돌부는 상기 호형의 요홈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상하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측면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돌부는 상기 요홈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경계바닥면의 높이와 폭의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 경계석용 차수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한 쌍의 바닥돌출부와,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나란한 벽면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면돌출부는 상기 바닥돌출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의 상단을 좌우로 연결하는 상부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면판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벽면돌출부의 하부를 좌우로 연결하는 하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전단에 결합되는 틈새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틈새막음판은 상기 바닥면이 경사져 상기 바닥판의 전단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경계석용 차수판.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바닥판과 상기 경계벽면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계측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측면판은 전면 상측이 절취 제거되어 상기 경계측면판 외측으로 유입된 물과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잘 유동하여 수압의 차이를 신속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호형의 요홈 중앙부 일부는 상기 경계측면판과 경계벽면판 사이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막음판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막음판은 상기 경계막음판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차수판.
KR1020230179715A 2023-12-12 경계석용 차수판 KR102677925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925B1 true KR102677925B1 (ko) 2024-06-24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3895A (ja) * 2020-12-28 2022-07-08 株式会社ニッケンフェンスアンドメタル 止水装置
JP2023001017A (ja) * 2021-06-17 2023-01-04 フジ鋼業株式会社 止水機構に挟設する隙間縮小装具
KR102489960B1 (ko) * 2015-03-31 2023-01-19 아이엘씨 도버 엘피 연장 가능한 플렉서블 범람 장벽
JP2023034169A (ja) * 2021-08-30 2023-03-13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止水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960B1 (ko) * 2015-03-31 2023-01-19 아이엘씨 도버 엘피 연장 가능한 플렉서블 범람 장벽
JP2022103895A (ja) * 2020-12-28 2022-07-08 株式会社ニッケンフェンスアンドメタル 止水装置
JP2023001017A (ja) * 2021-06-17 2023-01-04 フジ鋼業株式会社 止水機構に挟設する隙間縮小装具
JP2023034169A (ja) * 2021-08-30 2023-03-13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止水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42B1 (ko)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KR102118165B1 (ko)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2677925B1 (ko) 경계석용 차수판
JP2003027855A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JP2002250024A (ja) 水 門
KR102114494B1 (ko) 보행이 편리하고 수로의 물을 지중으로 침투가 용이하며 결합이 용이한 수로와 수로의 시공 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0699328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KR101158809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JP3877223B2 (ja) 道路境界ブロックを装備した側溝蓋と側溝及びその施工方法
JP6262793B2 (ja) 傾斜水路ブロック及び傾斜水路ブロックによる傾斜水路の構築方法並びに傾斜水路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JP3670570B2 (ja) 自由勾配側溝用ブロック、側溝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790535B1 (ko) 빗물 유도기 및 빗물 유도기가 장착되는 그레이팅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JP3740649B2 (ja) 水田用給排水口
KR200464803Y1 (ko)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606424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464216B1 (ko) 임도 개거 유출구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JP4878412B2 (ja) 駐車スペース構造
KR102325614B1 (ko) 슬라이딩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TW201825744A (zh) 防汛裝置
KR102666802B1 (ko)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