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894B1 -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 Google Patents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894B1
KR102672894B1 KR1020190095857A KR20190095857A KR102672894B1 KR 102672894 B1 KR102672894 B1 KR 102672894B1 KR 1020190095857 A KR1020190095857 A KR 1020190095857A KR 20190095857 A KR20190095857 A KR 20190095857A KR 102672894 B1 KR102672894 B1 KR 10267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car body
discharge hole
plug unit
typ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120A (ko
Inventor
이한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8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Abstract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은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VEHICLE BODY FUSION TYPE PLUG UNIT}
본 발명은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 및 안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패널은 세척수를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한 후, 부식방지 등을 위하여 도장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체패널에는 세척작업에 의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 곳에 배출홀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홀을 방치할 경우, 주행 중 각종 소음이나 배기가스 등이 차실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홀에 플러그를 끼워 이를 방지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플러그는 상기와 같은 차체패널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하여 차체패널의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어 상기 차체패널이 부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는 도장 공정에서 융착되는 실링부재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판을 끼운 상태로, 상기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핀을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차체패널에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러그는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배출홀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체결핀의 선단이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플러그는 도장 공정 시,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차체패널에 융착되면서 고정되나, 상기 체결핀의 선단은 여전히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핀에 의해 와이어링 및 의장 작업 시, 작업자의 머리 등에 상해를 입는 안전 문제가 발생하며, 외관상으로 상기 체결핀이 돌출되는 문제에 관한 고객불만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러그는 상기 실링부재에 고정판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우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이 압착되어 계속적인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와 고정판 사이에 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갭을 통해 누수의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착 플레이트의 내부에 안전캡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안전캡에 장착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감싸는 수용부를 적용하여 조립 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홀의 둘레에 대응하는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일측으로 다단 절곡되어 상기 상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멜트부재는 융해되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장공정 시, 상기 차체패널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캡은 원통형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절삭된 평면부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는 외측으로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캡은 상기 바디부의 타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 플레이트의 내부에 안전캡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안전캡에 장착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감싸는 수용부를 적용하여 조립 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노출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에 적용되는 안전캡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장착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서는 차체길이 방향을 T방향, 차폭 방향을 L방향, 차고 방향을 H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과 같은 LTH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지 않고,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준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이 의미로서, 본 발명의 기준위치 또는 조립 부품의 기준위치 등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방향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기준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에 적용되는 안전캡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의 장착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차체패널(1)의 BIW(Body In White)의 루프와 플로어 등에 형성된 배출홀(3)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배출홀(3)은 차체패널(1)의 세척작업에 의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상기 배출홀(3)에 장착되어 도장 공정 시, 상기 차체패널(1)에 융착되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장착 플레이트(20), 멜트부재(30), 및 안전캡(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는 상기 배출홀(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형의 상판(21)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21)은 상기 배출홀(3)의 둘레에 대응하는 상기 차체패널(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상판(21)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각판형으로 설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21)에는 하측으로 다단 절곡된 클립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23)는 상기 상판(21)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부(23)는 상기 상판(21)의 둘레를 따라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부(23)는 이하에서 설명할, 안전캡(40)의 플랜지부(45)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23)는 상판(21)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 절곡되어 상기 상판(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25)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클립부(23)는 상기 상판(21)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고, 내측으로 한번 더 절곡 성형되어 상기 삽입홈(2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홈(25)은 상기 플랜지부(45)가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25)은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45)의 두께보다 두꺼운 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립부(23)는 상기 삽입홈(25)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3)에 끼워지는 끼움홈(27)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27)은 상기 차체패널(1)의 배출홀(3)에 끼워지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체패널(1)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립부(23)는 선단부가 경사면(29)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캡(40)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홀(3)에 체결을 위한 탄성홈(29)이 형성된다.
상기한 장착 플레이트(20)는 상기 차체패널(1)의 배출홀(3)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29)을 통해 상기 배출홀(3)에 진입한 후, 상기 탄성홈(28)이 내측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끼움홈(27)에 상기 배출홀(3)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착 플레이트(20)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소재는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상판(21) 둘레에는 멜트부재(30)가 장착된다.
상기 멜트부재(30)는 고온에 융해되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차체패널(1)의 도장공정 시, 상기 차체패널(1)에 융착된다.
이에, 상기 멜트부재(30)는 고온에 융해되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장공정 시, 융해되는 소재면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차체패널(1)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20)와 멜트부재(30)에 대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안전캡(4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캡(4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안전캡(40)은 바디부(41)와 플랜지부(4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1)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측이 폐쇄되고,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디부(4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폐쇄될 수 있으며, 상측과 하측 모두 개방될 수도 있고, 모두 폐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부(41)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절삭된 평면부(43)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43)는 상기 바디부(4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4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부(43)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1)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4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45)는 상기 바디부(41)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을 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4개소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플랜지부(45)는 상기 평면부(43)와 평면부(43)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5)는 외측으로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45)는 외측 모서리가 일정각도로 이루어져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랜지부(45)는 외측 모서리가 라운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3참조).
이러한 라운드 형상의 플랜지부(45)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도 1과 도 2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을 기본으로 하면서 하단부 둘레에 형성되는 수용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7)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하단부가 일정길이만큼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용부(47)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다음과 같이 차체패널(1)에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차채패널(1)에 형성된 배출홀(3)에 멜트부재(30)가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2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운다.
이때,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하측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9)을 따라 상기 탄성홈(28)을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클립부(23)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상기 끼움홈(25)에 상기 배출홀(3)이 대응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내부로 안전캡(40)을 삽입한다.
즉, 상기 안전캡(4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에 대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부(23)는 상기 탄성홈(28)을 통해 안전캡(40)에 일정량의 압입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캡(40)은 상기 평면부(43)를 따라 상기 클립부(23)가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캡(4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상판(21)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된다.
상기 안전캡(40)이 상기 상판(21)에 접촉되면, 상기 안전캡(40)의 플랜지부(45)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삽입홈(25)에 대응되도록 상기 안전캡(40)을 회전한다.
이에, 상기 플랜지부(45)가 삽입홈(25)에 의해 빠지지 않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차체패널(1)의 도장공정 시, 상기 멜트부재(30)가 상기 차체패널(1)에 융착되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장착 플레이트(20)의 내부에 안전캡(40)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외부에서는 멜트부재(30)가 누수를 방지하고, 내부에서는 안전캡(40)이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누수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1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20)의 하단부를 감싸는 수용부(47)를 형성하여 안전성 및 외관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패널
3: 배출홀
10: 플러그 유닛
20: 장착 플레이트
21: 상판
23: 클립부
25: 삽입홈
27: 끼움홈
28: 탄성홈
29: 경사면
30: 멜트부재
40: 안전캡
41: 바디부
43: 평면부
45: 플랜지부
47: 수용부

Claims (9)

  1.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홀의 둘레에 대응하는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일측으로 다단 절곡되어 상기 상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5.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하고,
    상기 멜트부재는 융해되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장공정 시, 상기 차체패널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6.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캡은 원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절삭된 평면부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8. 차체패널의 배출홀에 끼워져 도장공정 시, 융착되면서 장착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으로서,
    상기 배출홀에 일측으로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차체패널에 지지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멜트부재; 및
    상기 배출홀의 타측으로 끼워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걸려 고정되는 안전캡;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외측으로 넓이가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상기 바디부의 타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KR1020190095857A 2019-08-07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KR10267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57A KR102672894B1 (ko) 2019-08-07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57A KR102672894B1 (ko) 2019-08-07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20A KR20210017120A (ko) 2021-02-17
KR102672894B1 true KR102672894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2948A1 (en) * 2014-06-06 2017-06-01 Illinois Tool Works Inc. Closing pl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2948A1 (en) * 2014-06-06 2017-06-01 Illinois Tool Works Inc. Closing pl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057B2 (ja) オリフィスのシールのための物理的バリア
US4923347A (en) Anchor nut-cage fixing systems
US8801089B2 (en) Motor vehicle body
KR102672894B1 (ko)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US20010023773A1 (en) Grommet
US4452483A (en) Automobile roof structure
US6443678B2 (en) Grommet for preventing water penetration
KR20210017120A (ko) 차체 융착형 플러그 유닛
CN112392953A (zh) 封闭塞
KR870008724A (ko) 창체(窓體) 지지용 고정구(固定具)
KR100439820B1 (ko) 자동차용 콘솔 어퍼 커버와 a/t 인디케이터의 매칭구조
KR200147734Y1 (ko) 브레이크 튜브 접속 조립체
JPH0512486Y2 (ko)
KR100320840B1 (ko) 자동차용 루프 판넬의 워셔 호스 체결구조
KR19990031885U (ko) 차폐용 플러그 구조물
KR0128338Y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가니쉬 고정구조
KR0140610B1 (ko) 자동차용 도어판넬구조
KR10047132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레일의 가니쉬 고정구조
KR100231992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상단 고정 구조
KR100231991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상단 고정 구조
KR960005109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마운팅클립
KR200143921Y1 (ko) 자동차용 콘솔 고정구조
KR200150452Y1 (ko) 휘일 하우징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200184806Y1 (ko) 휠센서 케이블 고정용 브래킷
KR19980021292U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 고정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