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332B1 -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332B1
KR102669332B1 KR1020207007660A KR20207007660A KR102669332B1 KR 102669332 B1 KR102669332 B1 KR 102669332B1 KR 1020207007660 A KR1020207007660 A KR 1020207007660A KR 20207007660 A KR20207007660 A KR 20207007660A KR 102669332 B1 KR102669332 B1 KR 10266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m
shaped base
tea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205A (ko
Inventor
료 가타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7179A external-priority patent/JP692851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Abstract

주머니체는,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필름과, 제 1 영역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되는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과, 인열 유도편을 따라, 인열 유도편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와, 필름의 제 1 영역,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태브와,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품이나 식품 등을 포장하는 주머니체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파스너) 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본체에 접합된 각종 주머니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필름으로 제조되고, 또한 일방의 벽에 연결된 재폐쇄 가능한 파스너를 갖는 주머니가 기재되어 있다.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코일로부터 파스너 재료를 공급하고, 파스너를 위치 결정하고, 절단하고 또한 필름에 장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이로써, 복수의 파스너가 필름에 장착된다. 파스너가 장착된 필름의 양측을 함께 접어 오버랩시켜 시일을 형성하고, 추가로 정상 시일 및 바닥 시일을 형성함으로써 주머니가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주머니에는,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풀아웃 플러그가 형성된다. 풀아웃 플러그는, 풀아웃 플러그에 연결된 노출 태브 즉 단부 (端部) 를 갖고 있고, 사용자는, 단부를 쥐고 잡아당겨, 풀아웃 플러그를 제거하여, 재폐쇄 가능한 파스너를 덮는 주머니의 앞벽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필름을 접음으로써 시일 지점을 저감시킨 주머니에 있어서, 재폐쇄 가능한 파스너를 간이한 공정에 의해 장착할 수 있고, 또 풀아웃 플러그에 의해 용이하게 주머니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11-510461호
여기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주머니의 개봉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풀아웃 플러그의 단부를 쥐고 잡아당기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단부를 주머니의 앞벽으로부터 일으켜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는 그 방법에 대한 기재는 없다. 특허문헌 1 에는 풀아웃 플러그가 주머니의 앞벽에 복수의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주머니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주머니의 봉지성에 대해서도 고려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 에는 이 점에 대해서도 기재는 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주머니체의 봉지성을 유지하면서, 개봉시에는 주머니체에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하고 또한 개량된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주머니체는,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필름과, 제 1 영역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되는 장척상의 인열 (引裂) 유도편과, 인열 유도편을 따라, 인열 유도편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와, 필름의 제 1 영역,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태브와,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으로 필름을 인열함으로써, 주머니체에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브를 일으켜 세워 쥐고, 거기를 기점으로 하여 인열 유도편을 잡아당길 수 있는 것은, 개구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그 한편으로, 태브는 필름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둘러쌈 시일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기 때문에, 주머니체의 봉지성도 유지된다.
상기 주머니체에 있어서, 필름은, 주머니체의 양방의 측부에서의 되접음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수납 가능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제 2 영역에 있어서, 필름의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상기 주머니체에 있어서, 필름은, 주머니체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서 수납 가능 공간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의 적어도 일방은, 접어 넣어진 부분을 형성하는 영역이어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에 있어서, 필름이 되접혀 형성되는 주머니체의 측부와,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은, 필름이 되접히는 주머니체의 측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측부와 공동으로 태브를 둘러싸도 된다.
혹은, 둘러쌈 시일 영역은, 단독으로 태브를 둘러싸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는, 띠상 기부를 따라, 또한 띠상 기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1 영역에 접합되는 대향 기부와, 띠상 기부 및 대향 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서로 걸어 맞춰지는 1 쌍의 걸어맞춤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인열 유도편은, 대향 기부를 개재하여 제 1 영역에 접합되어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는,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필름의 제 1 영역 및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절단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은, 필름에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 및 인열 유도편에 중복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공정과, 필름,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태브를 형성하는 공정과, 필름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가 접합된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과 함께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단부가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필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 2 접합부의 근방에서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필름은 폭 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지점에서 되접히고, 제 1 접합부는 제 2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은, 인열 유도편과 띠상 기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또,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은,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필름 및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제 2 절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는, 필름에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 및 인열 유도편에 중복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장척 부재 접합부와, 필름,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태브를 형성하는 태브 형성부와, 필름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가 접합된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과 함께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주머니체 형성부와,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단부가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 1 접합부 형성부와, 필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 2 접합부 형성부와, 제 2 접합부의 근방에서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커터와,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제 3 접합부 형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주머니체 형성부는,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지점에서 되접고, 제 1 접합부 형성부는, 제 2 영역에 제 1 접합부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는, 인열 유도편과 띠상 기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상기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는,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필름 및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제 2 절단부를 형성하는 절단부 형성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2-2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3-3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둘러쌈 시일 영역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15-15 선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20-20 선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먼저,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2-2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3-3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둘러쌈 시일 영역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100) 는, 필름 (110)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와, 지퍼 테이프 (140) 와, 태브 (150) 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포함한다. 이하, 각 부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측, 및 도 2 에 있어서의 하측을 주머니체의 정면측, 도 2 에 있어서의 상측을 주머니체의 배면측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정면 및 배면의 용어는 주머니체의 구성 요소의 위치 관계를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주머니체의 정상부, 측부, 및 바닥부의 용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주머니체의 제조시, 유통시, 및 사용시에 있어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름 (110) 은, 주머니체 (100) 의 정면측의 제 1 영역 (111) 과, 배면측의 제 2 영역 (112) 을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111) 및 제 2 영역 (112) 은, 필름 (110) 이 주머니체 (100) 의 양방의 측부 (101A, 101B) 에서 되접힘으로써 형성된다. 되접힌 필름 (110) 의 단부끼리는, 제 2 영역 (112) 의 중앙 부근에 형성된 시일부 (113) 에서 접합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일부 (113) 는 필름 (110) 의 동일한 면끼리를 접합하는, 이른바 합장 첩합이지만, 필름 (110) 의 반대측의 면끼리를 접합하는, 이른바 봉투 첩합으로 해도 된다. 주머니체 (100) 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수납 가능 공간 (SP) 이 형성된다. 수납 가능 공간 (SP) 은,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및 바닥부 (103) 에서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부 (114, 115) 에 의해 봉지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일부는 접합부의 예이다.
상기와 같은 필름 (110) 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110) 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PP 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이어도 된다.
인열 유도편 (120) 은,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되는 장척상의 부재로서,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를 따라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태브 (150) 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120) 을 쥐는 것이 가능하다. 태브 (150) 를 기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120) 을 잡아당겨, 인열 유도편 (120) 이 필름 (110) 을 인열함으로써, 주머니체 (100) 에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120) 은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되지만, 이것은 도 3 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이 제 1 영역 (111) 에 직접적으로 접합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열 유도편 (120) 과 제 1 영역 (111) 사이에 띠상 시트 등이 개재되고, 인열 유도편 (120) 은 제 1 영역 (111) 에 간접적으로 접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주머니체 (100) 에 있어서, 태브 (150) 와는 상이한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열 유도편 (120) 의 태브 (150) 와는 반대측의 길이 방향의 단부 부근에는, 제 1 영역 (111) 측의 필름 (110) 과 인열 유도편 (120) 을 관통하는 절단부 (121)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필름 (110) 의 인열을 절단부 (121) 에서 종료시키고, 주머니체 (100) 에 개구가 형성된 후에 인열 유도편 (120) 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열 용이성의 필름 (110) 을 사용한 경우에는, 절단부 (121) 가 없어도,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필름 (110) 의 인열을 적절한 위치에서 종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부 (121) 는,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은 아니다. 또, 인열 유도편 (120) 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형이지만, 삼각형 또는 반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혹은, 인열 유도편 (120) 은, 길이 방향에 대해 부정형인 단면 형상을 갖는 끈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띠상 기부 (130) 는, 인열 유도편 (120) 을 따라, 인열 유도편 (120) 과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사이에 배치되는 장척상의 부재이다.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는,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되고, 따로 성형된 후에 접합되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를 비상용성의 수지의 조합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개구의 형성시에는 띠상 기부 (130) 와 인열 유도편 (120) 사이를 계면 박리시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띠상 기부 (130) 는, 인열 유도편 (120)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에 가까운 측의 단부 (131) 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되고, 반대측은 다음으로 설명하는 지퍼 테이프 (140) 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인열 유도편 (120) 에 형성되는 절단부 (121) 는, 띠상 기부 (130) 를 관통하지 않는다.
상기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를 형성하는 비상용성의 수지의 조합은,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조합이다. 이 경우,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중 일방이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형성되고, 타방이 랜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형성된다. 「저밀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랜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형태로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RPP (일부, m-LL 도 포함한다), LDPE/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LLDPE/HPP (일부, m-LL 도 포함한다), LDPE/폴리스티렌 (PS), LLDPE/PS (m-LL 도 포함한다), RPP/PS, HPP/PS, LDP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LLDPE/PET, RPP/PET, HPP/PET, PS/PET, LDPE/나일론 (Ny), LLDPE/Ny, RPP/Ny, HPP/Ny, PS/Ny 등을 들 수 있다.
또,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 (110) 이 되접혀 형성되는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101B) 와, 인열 유도편 (120),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이격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120),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가 소정의 길이로 잘라내어진 후에 필름 (110) 에 접합되고, 그 후에 필름 (110) 이 되접히기 때문이다.
지퍼 테이프 (140) 는, 띠상 기부 (130) 의 일부인 테이프 기부 (132) 와, 띠상 기부 (130) 를 따라, 또한 띠상 기부 (130) 의 테이프 기부 (132) 에 대향하여서 배치되는 대향 기부 (141) 와, 걸어맞춤부 (142) 를 포함한다. 지퍼 테이프 (140) 의 각 부도,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와 동일하게,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를 따라 연장되는 장척상의 부재이다. 대향 기부 (141) 는, 테이프 기부 (132) 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걸어맞춤부 (142) 는, 테이프 기부 (132) 로부터 돌출되는 암부 (142A) 와, 대향 기부 (141) 로부터 돌출되는 수부 (142B) 를 포함하는 1 쌍의 걸어맞춤부로서, 암부 (142A) 와 수부 (142B) 는 서로 걸어 맞춰진다. 또한, 상기 테이프 기부 (132) 및 대향 기부 (141) 와 암부 (142A) 및 수부 (142B) 의 위치 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해 주머니체 (100) 에 개구를 형성한 후, 지퍼 테이프 (140) 의 걸어맞춤부 (142) 를 걸어 맞춤으로써, 수납 가능 공간 (SP) 을 재봉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향 기부 (141) 는 띠상 기부 (130) 에 대향하여서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되지만, 이것은 반드시 대향 기부 (141) 가 띠상 기부 (130) 의 전체면에 대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예에서는, 띠상 기부 (130) 는 대향 기부 (141) 보다 폭 방향에 대해 크고, 따라서 대향 기부 (141) 는 띠상 기부 (130) 의 폭 방향의 일부에만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는, 대향 기부 (141) 가 띠상 기부 (130) 의 전체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한편, 도 3 에 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140) 는,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를 포함해도 된다.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는, 테이프 기부 (132) 로부터 돌출되는 제 1 갈고리상부 (143A) 와, 대향 기부 (141) 로부터 돌출되는 제 2 갈고리상부 (143B) 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갈고리상부 (143A) 는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측을 향하여 돌출된 갈고리상이며, 제 2 갈고리상부 (143B) 는 주머니체 (100) 의 바닥부 (103) 측을 향하여 돌출된 갈고리상이다. 예를 들어, 지퍼 테이프 (140) 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 (SP) 이 재봉지된 후, 내용물이 팽창됨으로써 지퍼 테이프 (140) 에 내압이 작용한 경우, 테이프 기부 (132) 및 대향 기부 (141) 는 모두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에는 제 1 영역 (111) 의 면을 따른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 전단력은, 제 1 갈고리상부 (143A) 와 제 2 갈고리상부 (143B) 를 서로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는 내압에 대항하여 걸어 맞춰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주머니체 (100) 를 개봉하는 경우, 사용자가 테이프 기부 (132) 및 대향 기부 (141) 를 제 1 영역 (111) 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떼어 놓으려고 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의 걸어맞춤은 용이하게 해제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140) 는 걸어맞춤부 (142) 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지퍼 테이프 (140) 는,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를 포함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140) 는, 걸어맞춤부 (142) 대신에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를 포함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지퍼 테이프 (140) 는, 복수의 걸어맞춤부 (142), 또는 복수의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를 포함해도 된다. 또, 도시된 걸어맞춤부 (142) 및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지퍼 테이프 (140) 는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퍼 테이프 (140) 중, 테이프 기부 (132) 는, 띠상 기부 (130) 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된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테이프 기부 (132) 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어도 되고, 지퍼 테이프의 재료로서 알려진 다른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태브 (150) 는,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의 길이 방향의 일방의 단부 부근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를 관통하는 절단부 (151) 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절단부 (151) 는 말굽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말굽형의 개방 부분이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절단부 (151) 에 의해 태브 (150) 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태브 (150) 를 주머니체 (100) 의 정면측으로 일으켜 세워 쥐고, 거기를 기점으로 하여 인열 유도편 (120) 을 잡아당길 수 있다. 요컨대, 태브 (150) 가 형성됨으로써, 인열 유도편 (120) 을 사용하여 주머니체 (100) 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절단부 (151) 의 평면 형상은, 상기와 같은 태브 (150) 를 형성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예에 있어서, 절단부 (151) 는, C 형, U 형 또는 원호형 등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도 1 및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태브 (150) 를 둘러싸고, 또한 인열 유도편 (1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된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필름 (110) 이 되접히는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측부 (101A) 에 가까운 측이 개방된 U 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위치 및 형상에 의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 여기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주머니체의 측부, 또는 다른 예에서는 다른 시일부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는 것은, 어느 부분에서는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태브 (150) 를 둘러싸고, 다른 부분에서는 주머니체의 측부 또는 다른 시일부가 태브 (150) 를 둘러쌈으로써, 전체적으로 태브 (150) 의 전체 둘레가 둘러싸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됨으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가로막은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서 띠상 기부 (130) 까지를 관통하는 절단부 (151) 에 의해 태브 (150) 가 형성되어 있어도, 수납 가능 공간 (SP) 과 주머니체 (100) 의 외부 공간은 연통되지 않고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싸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를 따른 부분에서는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을 접합하고 있지 않다. 그래도, 측부 (101A) 에서 필름 (110) 이 되접혀 있음으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은 태브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영역에서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접합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예를 들어 필름을 되접거나, 다른 시일부와 공동으로 태브를 둘러쌈으로써, 수납 가능 공간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인열 유도편 (1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교차부 (161) 에서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와,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이,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는, 비상용성의 수지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히트 시일이나 초음파 시일 등에 의해 상기 각 부재의 사이가 접합된 후에도,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사이는 용이하게 계면 박리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개구의 형성시에, 태브 (150) 를 기점으로 하여 잡아당겨진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중 띠상 기부 (130) 를 교차부 (161) 의 부분에서 파단시키고, 교차부 (161) 에서부터 앞은 인열 유도편 (120) 이 띠상 기부 (130) 로부터 분리되어 필름 (110) 을 인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에는, 태브 (150) 를 기점으로 하여 잡아당겨진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가 교차부 (161) 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브 (150) 를 형성하는 절단부 (151) 는,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태브 (150) 를 쥔 경우에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가 잡아당겨지게 된다. 인열 유도편 (120) 과 함께 잡아당겨지는 동안, 띠상 기부 (130) 는, 절단부 (151) 의 연장선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열된다.
한편, 도 5(B) 에는, 잡아당겨진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가 교차부 (161) 에 도달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교차부 (161) 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사이, 및 띠상 기부 (130) 와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사이가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사이는 용이하게 계면 박리시킬 수 있는 상태인 반면, 띠상 기부 (130) 와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사이는 그러한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교차부 (161) 에 있어서 띠상 기부 (130) 는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의 쪽에 보다 강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 결과,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에 접합된 띠상 기부 (130) 는, 교차부 (161) 를 넘어 잡아당겨지는 인열 유도편 (120) 에 추종할 수 없어, 교차부 (161) 의 부분에서 파단된다.
상기와 같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의 작용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브 (150) 에서는 인열 유도편 (120) 과 함께 잡아당겨지고 있는 띠상 기부 (130) 를 교차부 (161) 에서 파단시키고, 거기에서부터 앞은 인열 유도편 (120) 을 띠상 기부 (130) 로부터 분리하여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띠상 기부 (130) 는, 인열 유도편 (120) 과 함께 잡아당겨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인열되기 때문에, 태브 (150) 의 근방에서 띠상 기부 (130) 와 인열 유도편 (120) 을 분리하여, 띠상 기부 (130) 가 인열되는 것을 멈출 필요가 있다.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교차부 (161)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띠상 기부 (130) 에만 폭 방향의 절입을 형성하여, 이 위치에서 띠상 기부 (130) 를 파단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절입을 형성하지 않아도,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에 의해 형성되는 교차부 (161) 에 의해 동일한 작용이 얻어진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 (600) 는, 장척 부재 접합부 (610) 와, 태브 형성부 (620) 와, 절단부 형성부 (630) 와, 주머니체 형성부 (640) 와,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를 포함한다. 또한, 주머니체에 절단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단부 형성부 (630) 는 필수 요건은 아니다. 제조 장치 (600) 에 있어서, 롤 (도시 생략) 등으로부터 인출된 필름 (110) 은, 간헐적으로 반송되면서 상기 각 부에 있어서 가공된다. 이하, 각 부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장척 부재 접합부 (610) 는,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필름 (110) 의 폭 방향을 따라 장척 부재 (104) 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척 부재 (104) 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된 인열 유도편 (120), 인열 유도편 (120) 에 중복되는 띠상 기부 (130), 및 띠상 기부 (130) 에 폭 방향에서 연속하여 형성되는 지퍼 테이프 (14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에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띠상 기부 (130) 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인열 유도편 (120) 에 중첩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위치 관계를, 띠상 기부 (130) 가 인열 유도편 (120) 에 중복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상의 부재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압출 성형 (공압출 성형을 포함한다) 등에 의해 미리 성형한 후, 합쳐서 장척 부재 (104) 로서 필름 (110) 에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공정은, 인열 유도편 (120),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를 예를 들어 공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 공정은 예를 들어 제조 장치 (600) 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조 장치 (600) 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압출 성형기 (성형 장치의 예) 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척 부재 접합부 (610) 는, 피더 (611) 와, 시일 바 (612A, 612B) 를 포함한다. 피더 (611) 는, 소정 길이의 장척 부재 (104) 를 송출하여, 필름 (1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피더 (611) 는, 장척 부재 (104) 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내는 커터를 포함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장척 부재 (104) 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이 되는 부분에 접합되기 때문에, 피더 (611) 는, 필름 (110) 의 측에 인열 유도편 (120) 및 지퍼 테이프 (140) 의 대향 기부 (141) 가 위치하고, 그 위에 띠상 기부 (130) 가 위치하도록, 장척 부재 (104) 를 배치한다.
한편, 시일 바 (612A, 612B) 는, 필름 (110) 을 배치된 장척 부재 (104) 와 함께 사이에 두고, 히트 시일 또는 초음파 시일 등에 의해 장척 부재 (104) 를 필름 (110) 에 접합한다. 혹은, 장척 부재 (104) 와 필름 (110) 사이에는 미리 접착제가 도포되고, 시일 바 (612A, 612B) 는 중첩된 필름 (110) 과 장척 부재 (104) 를 사이에 두고 가압함으로써 이것들을 접합해도 된다.
태브 형성부 (620) 는, 필름 (110) 과, 필름 (110) 에 접합된 장척 부재 (104) 에 태브 (150) 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태브 형성부 (620) 는, 커터 (621) 와, 받이대 (622) 를 포함한다. 커터 (621) 는, 태브 (150) 를 형성하는 절단부 (151) 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단부 (151) 는 말굽형의 평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커터 (621) 도 말굽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장척 부재 (104) 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이 되는 부분에 접합되어 있고, 이 단계에서 필름 (110) 은 아직 되접혀 있지 않기 때문에, 커터 (621) 가 장척 부재 (104) 및 필름 (110)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절단함으로써, 상기에서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를 관통하는 절단부 (151), 요컨대 태브 (150) 가 형성된다.
절단부 형성부 (630) 는, 필름 (110) 과, 필름 (110) 에 접합된 장척 부재 (104) 에 절단부 (121) 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절단부 형성부 (630) 는, 커터 (631) 와, 받이대 (632) 를 포함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단부 (121) 는 필름 (110) 및 인열 유도편 (120) 을 관통하고, 띠상 기부 (130) 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커터 (631) 의 절입량은, 필름 (110) 및 인열 유도편 (120) 의 두께에 대응하는 양으로 조절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절단부 (121) 의 형성 후에 절단부 (121) 를 포함하는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절단부 (121) 부근에 있어서의 주머니체의 봉지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주머니체 형성부 (640) 는, 필름 (110) 의 폭 방향의 양측을 감아 통상 (筒狀) 으로 하고, 시일부 (113) 를 형성함으로써,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및 제 2 영역 (112) 을 포함하는 주머니체 (100) 의 개형 (槪形) 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주머니체 형성부 (640) 는, 권심 (641) 과, 반송 벨트 (642) 와, 시일 장치 (643) 를 포함한다. 필름 (110) 은, 권심 (641) 에 감겨지면서 반송 벨트 (642) 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반송된다. 권심 (641) 이 상부에서는 대략 원형 단면임으로써, 필름 (110) 을 원활하게 통상으로 감을 수 있다. 통상으로 감겨진 필름 (110) 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101B) 에 상당하는 폭 방향의 양측에서 되접히고, 이로써 상기에서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영역 (111) 및 제 2 영역 (112) 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척 부재 (104) 가 접합된 영역은, 제 1 영역 (111) 이 된다. 시일 장치 (643) 는, 감겨진 필름 (110) 의 폭 방향의 양 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시일부 (113) 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필름 (110) 이 되접히면, 시일부 (113) 가 형성된 영역은, 제 2 영역 (112) 이 된다. 시일 장치 (643) 는, 제 1 접합부 형성부의 예로서, 상기 서술한 시일 바 (612A, 612B) 와 동일하게,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그 밖의 방법으로 시일부 (113) 를 형성한다.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는, 폭 방향의 양측에서 되접힌 필름 (110) 에 시일부 (114, 115) 를 형성함과 함께, 필름 (110) 을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주머니체 (100) 를 성형한다. 또한,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한다. 도 6 에는, 이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는, 시일부 (114, 115) 를 위한 시일 바 (651A, 651B) 와, 커터 (652) 와, 받이대 (653) 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위한 시일 장치 (654A, 654B) 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일 바 (651A, 651B) 는, 제 2 접합부 형성부의 예로서, 커터 (652) 를 사이에 두고 상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이들 대향 부분에 의해, 필름 (110)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부 (114, 115) 가 형성된다. 시일 바 (651A, 651B) 는, 상기 서술한 시일 바 (612A, 612B) 와 동일하게,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그 밖의 방법으로 시일부 (114, 115) 를 형성한다. 커터 (652) 및 받이대 (653) 는, 시일 바 (651A, 651B) 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접근 및 이격되고, 시일 바 (651A, 651B) 에 의해 형성된 시일부 (114, 115) 의 근방에서 필름 (110) 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권심 (641) 은 중공이며, 내측에 상방으로부터 충전 장치 (601) 가 삽입되어 있다. 충전 장치 (601) 는,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에 있어서 시일 바 (651A, 651B) 가 필름 (110) 을 사이에 두는 것에 동기하여 내용물을 토출한다. 이로써, 주머니체 (100) 의 바닥부 (103) 에 위치하는 시일부 (115) 보다 위에 형성되는 수납 가능 공간 (SP) 에 내용물이 수납된다. 그 후, 시일 바 (651A, 651B) 가 이격되었을 때에 내용물은 필름 (110) 과 함께 시일 바 (651A, 651B) 를 넘어 하방으로 반송되고, 다음으로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에 위치하는 시일부 (114) 가 형성됨으로써 수납 가능 공간 (SP) 이 봉지된다.
시일 장치 (654A, 654B) 는, 제 3 접합부 형성부의 예로서, 시일 바 (651A, 651B) 와 동기하여 필름 (110) 을 사이에 두고, 히트 시일 또는 초음파 시일 등에 의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한다.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태브 (150) 를 둘러싸고, 인열 유도편 (1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이며,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된다. 시일 장치 (654A, 654B) 의 시일 헤드는,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주머니체의 측부 (101A) 에 가까운 측에서 개방된 U 형의 평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시일 장치 (654A, 654B) 의 시일 헤드도 U 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혹은, 시일 장치 (654A, 654B) 의 시일 헤드는, 필름 (110) 에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U 형이지만, 필름 (110) 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을 포함하면 U 형이 아닌 형상, 예를 들어 1 개의 변이 필름 (110) 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은 일례이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브 형성부 (620) 와 절단부 형성부 (630) 는 상기 예와는 반대의 순서로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태브 형성부 (620) 와 절단부 형성부 (630) 가 통합되어, 태브 (150) 와 절단부 (121) 가 거의 동시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 에 포함되는 시일 바 (651A, 651B) 와 커터 (652) 및 받이대 (653) 가 분리되고, 시일부 (114, 115) 가 형성된 후, 필름 (110) 이 폭 방향으로 절단되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시일 장치 (654A, 654B) 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하는 것은, 시일 바 (651A, 651B) 에 의해 시일부 (114, 115) 가 형성되기 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일 바 (651A, 651B) 보다 상방에 시일 장치 (654A, 654B) 를 배치하고, 주머니체 (100) 의 바닥부 (103) 에 위치하는 시일부 (115) 가 형성되기 전에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함으로써, 시일부 (115) 의 형성에 동기하여 충전되는 내용물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의 내측의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의 제조 공정에, 이미 알려져 있는 다른 주머니체의 제조 공정을 조합하거나, 또는 주머니체 (100) 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다른 주머니체의 제조 공정으로 치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조 공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정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 테이프 (140) 의 테이프 기부 (132) 가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되는 띠상 기부 (130) 의 일부이고, 대향 기부 (141) 도 또한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머니체 (100) 의 수납 가능 공간 (SP) 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 지퍼 테이프 (140) 의 걸어맞춤부 (142)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120) 을 쥐고 필름 (110) 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태브 (150) 를 형성하면, 띠상 기부 (130) 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및 인열 유도편 (120) 과 함께 절단부 (151) 에 의해 태브 (150) 의 형상 (상기 예에서는 말굽형) 으로 절단된다. 이 경우, 그 상태에서는 절단부 (151) 를 통하여 띠상 기부 (130) 와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사이의 수납 가능 공간 (SP) 이 주머니체 (100) 의 외부 공간으로 연통되기 때문에,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한다.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은,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고,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 이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가로막은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태브 (150) 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열 유도편 (1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에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120) 을 쥐고 필름 (110) 에 개구를 형성할 때, 인열 유도편 (120) 과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의 교차부 (161) 에서 띠상 기부 (130) 를 파단시킬 수 있다. 띠상 기부 (130) 가 인열 유도편 (120) 에 추종하여 인열되면, 지퍼 테이프 (140) 에 의한 재봉지 후의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태브 (150) 의 근방에서 띠상 기부 (130) 에만 폭 방향의 절입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공정이 필요해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러한 공정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8 및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에서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는 달리, 주머니체 (100) 의 정면측의 제 1 영역 (111) 과 배면측의 제 2 영역 (112) 을 형성하도록 되접힌 필름 (110) 의 양 단부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에 형성된 시일부 (113P) 에서 서로 접합된다. 시일부 (113P) 도, 상기 시일부 (113) 와 동일하게, 합장 첩합으로 해도 되고, 봉투 첩합으로 해도 된다.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P) 은, 시일부 (113P) 와 연속되는 U 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시일부 (113P)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
도 10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에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는 달리, 주머니체 (100) 의 제조시에는 수납 가능 공간 (SP) 에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조 장치 (600) 의 정상부/바닥부 형성부 (650P) 는, 주머니체 (100) 의 바닥부 (103) 에 위치하는 시일부 (114) 를 위한 시일 바 (651P, 651Q) 와, 커터 (652) 와, 받이대 (653) 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위한 시일 장치 (654A, 654B) 를 포함한다. 이로써,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상부 (102) 가 개방된 주머니체 (100) 가 제조된다. 제조 장치 (600) 로 형성되지 않았던 정상부 (102) 의 시일부 (114) 는, 중간 사용자에 의해 주머니체 (100) 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별도 형성된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160Q) 은,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에 추가하여 정상부 (102) 측에서도 개방된 L 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 후, 정상부 (102) 에 시일부 (114) 가 형성되었을 때, 둘러쌈 시일 영역 (160Q) 의 정상부 (102) 측이 시일부 (114) 에 연속되고, 둘러쌈 시일 영역 (160Q) 이 태브 (150) 를 둘러싸게 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에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는 달리, 둘러쌈 시일 영역 (160R) 이 태브 (150) 를 둘러싸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은 단독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싸도 되고, 도 1 의 예와 같이 주머니체 (100) 의 측부 (101A) 와 공동으로, 혹은 도 9 의 예와 같이 다른 시일부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싸도 된다. 또, 도 1 의 예에서는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인열 유도편 (120) 뿐만 아니라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의 전체를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에 형성되었지만, 도 13 의 예와 같이, 인열 유도편 (120) 만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에 둘러쌈 시일 영역 (160R) 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의 15-15 선 단면도이다.
도 1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200) 는, 필름 (210)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130) 와, 지퍼 테이프 (140) 와, 태브 (150) 와,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필름 (210) 에 관련된 구성 이외에 대해, 주머니체 (200) 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주머니체 (200) 는, 이른바 거싯 주머니이다.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름 (210) 은,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201B) 의 각각에서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211A, 211B) 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분 (211A, 211B) 은, 필름 (210) 이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201B) 에서 3 회 되접힘으로써 형성된다. 도 15 에는, 측부 (201A) 측의 되접음부가, 주머니체 (200) 의 정면측에서부터 되접음부 (212A, 212B, 212C) 로서 도시되어 있다.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201B) 에서 되접힌 필름 (210) 의 양 단부는, 주머니체 (200) 의 배면측에 형성된 시일부 (213) 에서 서로 접합된다. 시일부 (213) 도, 제 1 실시형태의 시일부와 동일하게, 합장 첩합으로 해도 되고, 봉투 첩합으로 해도 된다. 주머니체 (200) 의 바닥부 (203) 에서는, 필름 (210) 과는 다른 필름 (205) 이 시일부 (214) 에 의해 접합되고, 이 필름 (205) 이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215) 이 형성되어 있다.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은, 도 1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영역, 즉 태브 (150) 를 둘러싸고, 또한 인열 유도편 (1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단,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에 필름 (210) 이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211A) 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은,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가 접합되는 주머니체 (200) 의 정면측의 영역의 일부인 제 1 영역 (217) 과, 접어 넣어진 부분 (211A) 을 형성하는 영역으로서, 되접음부 (212A) 를 통하여 제 1 영역 (217) 에 인접하는 제 2 영역 (218) 을 접합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제 1 영역 (217) 및 제 2 영역 (218) 중, 제 2 영역 (218) 은,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에서 접어 넣어진 부분 (211A) 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은,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에 형성되는 되접음부 (212A), 및 주머니체 (200) 의 정상부 (202) 의 시일부 (216) 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측부 (201A) 및 시일부 (216)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
또한, 도 1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필름 (210) 이 되접혀 형성되는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201B) 와, 인열 유도편 (120),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필름 (210) 이 되접음부 (212A) 에서 되접혀 형성되는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측부 (201B) 측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것은, 주머니체 (2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120), 띠상 기부 (130), 및 지퍼 테이프 (140) 가 소정의 길이로 잘라내어진 후에 필름 (210) 에 접합되고, 그 후에 필름 (210) 이 되접음부 (212A) (및 되접음부 (212B, 212C)) 에서 되접힘으로써 측부 (201A) 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둘러쌈 시일 영역 (260) 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에 형성된 둘러쌈 시일 영역 (160) 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요컨대,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이 형성됨으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필름 (210) 의 제 1 영역 (217) 과 제 2 영역 (21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을 가로막은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태브 (150) 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120) 을 쥐고 필름 (210) 에 개구를 형성할 때, 인열 유도편 (120) 과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의 교차부 (261) 에서 띠상 기부 (130) 를 파단시킬 수 있다.
또, 도 1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200) 의 정상부 (202) 에 형성되는 필름 (210) 의 시일부 (216) 에는, 관통공 (219) 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관통공 (219) 은 타원형이며, 사용자는 관통공 (219) 에 손가락 등을 통과시킴으로써 주머니체 (200) 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체 (2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관통공 (219) 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타원형 이외의 형상의 관통공이 주머니체 (200) 의 정상부 (202) 의 근방에 형성되어도 되고, 섬유,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된 핸들이 정상부 (202) 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머니체 (200) 의 구성, 구체적으로는 측부 (201A, 201B) 에서 필름 (210) 이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211A, 211B), 바닥부 (203) 에서 다른 필름 (205) 이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 (215), 및 관통공 (219) 과 같은 주머니체 (2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 개별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의 바닥부 (103) 에, 본 실시형태의 바닥부 (203) 와 동일한 접어 넣어진 부분 (215)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에 있어서,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에 관통공이나 핸들 등의 주머니체 (1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해도 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태브 (150) 및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수납 가능 공간 (SP) 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관통공 (219) 과 같은 주머니체 (2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경우, 주머니체 (200) 의 반송 등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에서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와는 달리, 필름 (210) 의 양 단부가, 주머니체 (200) 의 측부 (201A) 에 형성된 시일부 (213P) 에서 서로 접합된다. 시일부 (213P) 도, 상기 시일부 (213) 와 동일하게, 합장 첩합으로 해도 되고, 봉투 첩합으로 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둘러쌈 시일 영역 (26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둘러쌈 시일 영역 (160P) 과 동일하게, 시일부 (213P) 와 연속되는 U 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시일부 (213P) 와 공동으로 태브 (150) 를 둘러싼다. 이 외에,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및 제 3 변형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300) 는, 필름 (110) 과,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330) 와, 태브 (150) 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띠상 기부 (330) 에 관련된 구성 이외에 대해, 주머니체 (300) 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띠상 기부 (330) 는, 인열 유도편 (120) 을 따라, 인열 유도편 (120) 과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사이에 배치되는 장척상의 부재이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띠상 기부 (130) 와의 차이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머니체 (300) 가 지퍼 테이프를 포함하지 않고, 띠상 기부 (330) 는 폭 방향의 양측의 단부에서 각각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띠상 기부 (330) 는 폭 방향으로 2 개의 부분 (330A, 330B) 으로 분할되어 있고, 부분 (330A, 330B) 의 사이에 간극 (333) 이 형성된다. 부분 (330A, 330B) 에는 각각, 간극 (333) 측이 내려가는 단차부 (334A, 334B) 가 형성되어 있고, 인열 유도편 (120) 은 단차부 (334A, 334B) 에 의해 낮아진 부분에 배치된다.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해 주머니체 (100) 에 개구가 형성된 후에는, 간극 (333) 이 개구에 연통되어, 사용자는 개구 및 간극 (333) 을 경유하여 주머니체 (300) 의 수납 가능 공간 (SP) 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에서도, 인열 유도편 (120) 과 띠상 기부 (330) 는 비상용성의 수지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개구의 형성시에는 띠상 기부 (330) 와 인열 유도편 (120) 사이를 계면 박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계면 박리에 의해 띠상 기부 (330) 의 형상이 유지됨으로써, 예를 들어 주머니체 (300) 에 개구를 형성한 후에도 주머니체 (300) 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태브 (150) 및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태브 (150) 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120) 을 잡아당기는 기점이 생겨, 주머니체 (300) 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됨으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가로막은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태브 (150) 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지퍼 테이프를 포함하지 않는 주머니체 (300) 에 있어서, 측부 (101A, 101B) 및 바닥부 (103) 에 필름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이 형성되어도 되고, 관통공이나 핸들 등의 주머니체 (3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내지 제 3 변형예, 및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의 정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도시되는 주머니체의 20-20 선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주머니체에 형성되는 태브를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400) 는, 필름 (110) 과, 인열 유도편 (420) 과, 띠상 기부 (130) 와, 지퍼 테이프 (440) 와, 태브 (150) 와,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열 유도편 (420) 및 지퍼 테이프 (440) 에 관련된 구성 이외에 대해, 주머니체 (400) 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머니체 (100) 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인열 유도편 (420) 은,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를 따라 연장되는 장척상의 부재이다. 도 2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열 유도편 (420) 은 후술하는 대향 기부 (441) 의 박육부 (441B) 에 접합되고, 박육부 (441B) 의 반대측의 면이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요컨대, 인열 유도편 (420) 은, 대향 기부 (441) (도시된 예에서는 박육부 (441B)) 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태브 (150) 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420) 을 쥐는 것이 가능하다. 태브 (150) 를 기점으로 하여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420) 을 잡아당겨, 인열 유도편 (420) 이 박육부 (441B) 와 함께 필름 (110) 을 인열함으로써, 주머니체 (400) 에 용이하게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420) 은, 태브 (150) 와는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절단부 (421) 에 있어서, 제 1 영역 (111) 측의 필름 (110) 및 대향 기부 (441) 의 박육부 (441B) 와 함께 절단되고 있다. 이로써, 인열 유도편 (120) 에 의한 필름 (110) 및 박육부 (441B) 의 절단을 절단부 (421) 에서 종료시키고, 주머니체 (400) 에 개구가 형성된 후에 인열 유도편 (420) 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절단부 (421) 는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은 아니다. 또, 인열 유도편 (420) 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형이지만, 삼각형 또는 반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혹은, 인열 유도편 (420) 은, 길이 방향에 대해 부정형인 단면 형상을 갖는 끈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지퍼 테이프 (440) 는, 도 2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띠상 기부 (130) 의 일부인 테이프 기부 (132) 와, 테이프 기부 (132) 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기부 (441) 와, 걸어맞춤부 (142) 를 포함한다. 지퍼 테이프 (440) 의 각 부도, 인열 유도편 (420) 및 띠상 기부 (130) 와 동일하게, 주머니체 (100) 의 정상부 (102) 를 따라 연장되는 장척상의 부재이다. 대향 기부 (441) 는, 테이프 기부 (132) 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에 접합된다. 대향 기부 (441) 는, 도 3 에 도시된 예의 대향 기부 (141) 와 비교하여 폭 방향으로, 주머니체 (400) 의 정상부 (102) 측으로 확장되고, 걸어맞춤부 (142) 의 수부 (142B) 가 돌출되는 본체부 (441A) 와, 본체부 (441A) 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박육부 (441B)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박육부 (441B) 는, 인열 유도편 (420) 과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걸어맞춤부 (142) 및 갈고리상 걸어맞춤부 (143) 의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브 (150) 를 형성하는 절단부 (151) 가,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인열 유도편 (120), 및 띠상 기부 (130) 에 추가하여, 대향 기부 (441) 도 관통한다. 또, 도 2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인열 유도편 (42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교차부 (161) 에서는,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대향 기부 (441) 의 박육부 (441B) 와, 인열 유도편 (420) 과, 띠상 기부 (130) 와, 필름 (110) 의 제 2 영역 (112) 이,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태브 (150) 및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태브 (150) 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열 유도편 (420) 을 잡아당기는 기점이 생겨, 주머니체 (400) 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이 형성됨으로써, 태브 (150) 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필름 (110) 의 제 1 영역 (111) 과 제 2 영역 (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둘러쌈 시일 영역 (160) 을 가로막은 수납 가능 공간 (SP) 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태브 (150) 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수납 가능 공간 (SP) 의 봉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척상의 대향 기부 (441) 의 박육부 (441B) 에 인열 유도편 (420) 이 접합됨으로써, 인열 유도편 (420) 이 잡아당겨졌을 때에 대향 기부 (441) 의 본체부 (441A) 와 박육부 (441B)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가 인열 유도편 (420) 을 유도하여, 인열 유도편 (420) 을 사용하여 주머니체 (400) 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박육부 (441B) 대신에, 또는 박육부 (441B) 와 함께, 인열 유도편 (420) 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인열 유도편 (420) 및 지퍼 테이프 (440) 를 포함하는 주머니체 (400) 에 있어서, 측부 (101A, 101B) 및 바닥부 (103) 에 필름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이 형성되어도 되고, 관통공이나 핸들 등의 주머니체 (400) 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내지 제 3 변형예, 및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예를 들어, 인열 유도편, 띠상 기부, 및 지퍼 테이프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의 예에 상관없이, 당업자가 이용 가능한 각종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구성이 채용됨으로써, 예를 들어, 태브를 형성하는 절단부가, 필름의 제 1 영역, 인열 유도편, 및 띠상 기부에 추가하여,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지퍼 테이프의 테이프 기부를 관통해도 된다. 또, 필름의 제 1 영역과 인열 유도편과 띠상 기부 사이는, 반드시 직접적으로 접합되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어 띠상 시트 등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합되어도 된다. 또, 띠상 기부와 필름의 제 2 영역 사이에도, 예를 들어 띠상 시트 등의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도 된다.
100, 200, 300, 400 : 주머니체
110, 210 : 필름
111, 217 : 제 1 영역
112, 218 : 제 2 영역
113, 114, 115, 213, 214, 216 : 시일부
219 : 관통공
120 : 인열 유도편
121 : 절단부
130, 330 : 띠상 기부
140 : 지퍼 테이프
141 : 대향 기부
142 : 걸어맞춤부
150 : 태브
151 : 절단부
160, 260 : 둘러쌈 시일 영역
600 : 제조 장치
601 : 충전 장치
610 : 장척 부재 접합부
620 : 태브 형성부
630 : 절단부 형성부
640 : 주머니체 형성부
650 : 바닥부 형성부

Claims (17)

  1.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필름과,
    상기 제 1 영역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되는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과,
    상기 인열 유도편을 따라,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와,
    상기 필름의 상기 제 1 영역,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영역을 관통하지 않는 절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태브와,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이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교차부에서는,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 사이, 및 상기 띠상 기부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의 사이는, 계면 박리시킬 수 있는, 주머니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주머니체의 양방의 측부에서의 되접음에 의해 상기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수납 가능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단부끼리가 접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는, 주머니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주머니체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서 상기 수납 가능 공간의 측으로 접어 넣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접어 넣어진 부분을 형성하는 영역인, 주머니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되접힘에 의해 상기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이 되접혀 형성되는 상기 주머니체의 측부와,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이격되어 있는, 주머니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되접힘에 의해 상기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은, 상기 필름이 되접히는 상기 주머니체의 측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부와 공동으로 상기 태브를 둘러싸는, 주머니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은, 단독으로 상기 태브를 둘러싸는, 주머니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 기부를 따라, 또한 상기 띠상 기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접합되는 대향 기부와,
    상기 띠상 기부 및 상기 대향 기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서로 걸어 맞춰지는 1 쌍의 걸어맞춤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주머니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은, 상기 대향 기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영역에 접합되는, 주머니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필름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절단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주머니체.
  10. 필름에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 및 상기 인열 유도편에 중복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태브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가 접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함께 상기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단부가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접합부의 근방에서 상기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합부, 상기 제 2 접합부 및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은, 상기 태브보다 나중에 형성되고,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이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교차부에서는,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 사이, 및 상기 띠상 기부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의 사이는, 계면 박리시킬 수 있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폭 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지점에서 되접히고,
    상기 제 1 접합부는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상기 필름 및 상기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제 2 절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14. 필름에 장척상의 인열 유도편, 및 상기 인열 유도편에 중복되는 장척상의 띠상 기부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합하는 장척 부재 접합부와,
    상기 필름,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는 절단부에 의해 태브를 형성하는 태브 형성부와,
    상기 필름에 의해 수납 가능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인열 유도편 및 상기 띠상 기부가 접합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함께 상기 수납 가능 공간에 면하는 제 2 영역을 형성하는 주머니체 형성부와,
    상기 필름의 폭 방향의 양 단부가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 1 접합부 형성부와,
    상기 필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합부를 형성하는 제 2 접합부 형성부와,
    상기 제 2 접합부의 근방에서 상기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커터와,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고, 상기 태브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접합하는 둘러쌈 시일 영역을 형성하는 제 3 접합부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합부, 상기 제 2 접합부 및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은, 상기 태브보다 나중에 형성되고,
    상기 둘러쌈 시일 영역이 상기 인열 유도편을 폭 방향으로 횡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교차부에서는,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 사이, 및 상기 띠상 기부와 상기 제 2 영역 사이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의 사이는, 계면 박리시킬 수 있는,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체 형성부는, 상기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지점에서 되접고,
    상기 제 1 접합부 형성부는,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접합부를 형성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과 상기 띠상 기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와는 상이한 위치에, 상기 필름 및 상기 인열 유도편을 관통하고 상기 띠상 기부를 관통하지 않는 제 2 절단부를 형성하는 절단부 형성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주머니체의 제조 장치.
KR1020207007660A 2017-09-14 2018-08-29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669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7179A JP6928518B2 (ja) 2017-09-14 2017-09-14 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JP-P-2017-177179 2017-09-14
PCT/JP2018/031876 WO2019054180A1 (ja) 2017-09-14 2018-08-29 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205A KR20200054205A (ko) 2020-05-19
KR102669332B1 true KR102669332B1 (ko) 2024-05-24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890A (ja) * 2001-05-16 2002-11-27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ーバッグ
JP2014113263A (ja) * 2012-12-07 2014-06-26 Idemitsu Unitech Co Ltd ジッパー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付包材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被装着物
WO2016163349A1 (ja) 2015-04-06 2016-10-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WO2017047573A1 (ja) * 2015-09-14 2017-03-2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袋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890A (ja) * 2001-05-16 2002-11-27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ーバッグ
JP2014113263A (ja) * 2012-12-07 2014-06-26 Idemitsu Unitech Co Ltd ジッパー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付包材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被装着物
WO2016163349A1 (ja) 2015-04-06 2016-10-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WO2017047573A1 (ja) * 2015-09-14 2017-03-2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袋体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sealing split-flange zipper tape to bag making film
US7036987B2 (en) Reclosable bag having wicket flap and slider-actuated string zipper
US6993886B2 (en) Method for sealing zipper assembly to bag making film at three or more points
CN108024600B (zh) 带有卡扣带的袋体、袋体、袋体的制造方法及袋体的制造装置
JP7098032B2 (ja) 袋体、袋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363453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を付加したスライダー付きチャックを有する袋体とその製造方法
KR102669332B1 (ko) 주머니체,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04155446A (ja) チャック付き袋及びそのチャック付き袋の製造方法並びにチャック付き袋への袋詰め方法
JP4868794B2 (ja) ジッパー付き包装袋及びそれを用いたジッパー付き袋包装体
US11999532B2 (en) Ba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bag body
WO2023002925A1 (ja) 容器、容器の製造方法、容器の製造装置、シールバーおよびフィルム組立体
JP7498639B2 (ja) フィルム片の打ち抜き接合装置、フィルムの製造装置、袋状容器の製造装置、フィルム片の打ち抜き接合方法、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袋状容器の製造方法
WO2022080213A1 (ja) フィルム片の打ち抜き接合装置、フィルムの製造装置、袋状容器の製造装置、フィルム片の打ち抜き接合方法、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袋状容器の製造方法
JP2018062350A (ja) テープ挿入型易開封ガゼット袋
JP2017043376A (ja)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