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449B1 -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449B1
KR102667449B1 KR1020210146473A KR20210146473A KR102667449B1 KR 102667449 B1 KR102667449 B1 KR 102667449B1 KR 1020210146473 A KR1020210146473 A KR 1020210146473A KR 20210146473 A KR20210146473 A KR 20210146473A KR 102667449 B1 KR102667449 B1 KR 10266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based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910A (ko
Inventor
유진
변종웅
이병준
권영록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21014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4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85Use of fibrou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 수지에 커피박 및 쇄연장제를 특정 함량비로 도입하고, 높은 분해온도를 갖는 발포제를 추가함으로써, 향상된 발포력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동시에 폐기물인 커피박을 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또한 경제성도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pent coffee ground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 수지에 커피박 및 쇄연장제를 특정 함량비로 도입하고, 높은 분해온도를 갖는 발포제를 추가함으로써, 향상된 발포력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동시에 폐기물인 커피박을 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또한 경제성도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내구성을 바탕으로 전기전자, 생체재료, 자동차 등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며 기존 소재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배합 시에 고무소재와 다르게 가교제와 촉매 등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성과 재사용 가능성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무소재 대비 부족한 발포력으로 인하여 신발 소재로의 용도 전개가 제한적이다. 엘라스토머 수지의 발포력 향상을 위한 기존의 방법은 크게 발포제를 포함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2244314호) 및 경화 및 성형 공정을 거친 우레탄 제조(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2291202호)의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전자 특허의 경우 가교를 위한 선행공정이 필요하고, 또한 대규모 투자비가 필요한 물리발포사출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 특허의 경우 바인더 코팅과 경화에 따른 제품 디자인 선택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커피는 열대성 식물로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음료로서 연중 계속하여 생산되는 농산물이므로 원료가 풍부하며 그 공급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특히 한국의 커피시장 규모는 연간 16만톤으로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라 커피를 내린 후 폐기되는 커피박(‘커피 찌꺼기’ 또는 ‘폐커피가루’라고도 불리움)(spent coffee ground 또는 coffee waste)의 양도 연간 16만톤으로, 동물 사료용이나 농장에 적용되고는 있으나, 커피박을 이용한 재활용품에 대한 수요가 저조하고 그 가공 공정 또한 까다로워 그 활용빈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고무 소재나 올레핀계 소재에서 요구되는 가류 공정이나 가교제, 촉매 등의 사용 없이, 또한 바인딩이나 경화와 같은 추가의 공정 없이도, 신발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향상된 발포력과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갖는 전량 폐기되어 버려지는 커피박을 활용하여 친환경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2) 커피박; (3) 쇄연장제; 및 (4)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박의 함량이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5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쇄연장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5 내지 2.5 중량부이며, 상기 발포제의 분해온도가 215℃ 내지 245℃인,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은 신발 밑창이다.
본 발명의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향상된 발포력과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어 신발 밑창 용도로 특히 적합하며, 사출성형이 용이하여 기존의 프레스 성형에 국한된 신발 밑창 제조를 추가 공정이 필요치 않은 사출 성형으로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 시간 단축 및 이에 따른 생산 단가 인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무 소재나 올레핀계 소재에서 요구되는 가류 공정이나 가교제, 촉매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며, 전량 폐기되어 버려지는 커피박을 이용하여 업싸이클링에 활용함으로써 친환경성 및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인딩이나 경화와 같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개발자에게 높은 디자인 선택도를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발포 시편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경질의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와 연질의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를 갖는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을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 화합물로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1,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1,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5-NDCA),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2,6-NDCA),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MT가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디올 화합물로는 탄소수 2 내지 8의 선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디올이 사용된다. 이러한 지방족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이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로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중합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Polyoxypropylene glycol),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oxytetramethylene glycol, 이하 PTMEG)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TMEG가 사용된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용융장력을 높여 TPEE 생산시 TPEE 스트랜드(strand)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TPEE의 제조에는 분지제(branching agent)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지제로는 글리세롤(glycerol),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이 사용된다. 또한, TPEE의 제조는 적절한 촉매(예컨대, 테트라-n-부톡시 티타늄(tetra-n-butoxy titanium, TBT)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상기한 성분들을 반응기에 투입한 뒤, 올리고머화 반응과 중축합 반응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 용융 중합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머화 반응은 140~215℃에서 3~4시간 동안 수행하며, 중축합 반응은 210~250℃에서 4~5시간 동안 760 torr에서 0.3 torr까지 단계적으로 감압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여 분지형 엘라스토머를 제조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0 중량% 내의 소프트 세그먼트 함량은 다양할 수 있고, 예컨대, 5~75중량% 범위 내일 수 있으며, 특히, 블로우 성형 가공성, 기계적 강도, 유연성 등을 고려한다면, 3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내의 소프트 세그먼트 함량이 너무 적으면 경도가 높아져 유연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너무 많으면 높은 내열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1.3~3 dl/g, 보다 구체적으로는 1.5~2.5 dl/g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를 가질 수 있고, 쇼어 경도 A-70 내지 A-90, 보다 구체적으로는 A-70 내지 A-80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70 내지 8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내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함량이 상기 수준보다 적으면,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경도와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수준을 초과하면, 다른 필수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조성물의 발포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함량은, 70 중량부 이상, 71 중량부 이상, 72 중량부 이상, 73 중량부 이상, 74 중량부 이상 또는 7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88 중량부 이하, 87 중량부 이하, 86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4 중량부 이하, 83 중량부 이하, 82 중량부 이하, 81 중량부 이하 또는 80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커피박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박(coffee waste)’은 커피 제조시 커피 원두 가루를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한 후 남게 되는 부산물로, 본 명세서에서는 ‘커피 찌꺼기’ 또는 ‘폐커피가루’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커피박은 수분 함량이 1.5 중량% 이하인 것이다. 커피박의 수분 함량이 커피박 총중량(100 중량%)의 1.5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 중에 수지 성분의 분해를 일으켜 기계적 물성 저하 내지 외관 상태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커피박의 수분 함량은 0.05 중량%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03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커피박의 수분 함량이 상기 수준보다 높으면 곰팡이가 배양될 수 있어 보관이 어렵고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커피박의 수분 함량의 하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커피박 건조 작업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감안하면, 예컨대, 0.001 중량% 이상 또는 0.002 중량%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커피박의 수분 함량은, 예컨대, 130℃에서 4시간 이상의 건조 조건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트레이의 공극 사이즈가 커피박 입경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피박을 1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한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커피박 함량이 10.5중량부 미만이면, 발포에 유리한 기공구조를 갖는 모폴로지를 갖지 못해 조성물의 발포성이 나빠지고, 반대로 커피박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필수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성형품의 경도와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커피박 함량은, 10.5 중량부 이상, 1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3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또는 1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0 중량부 이하, 29 중량부 이하, 28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하, 26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쇄연장제를 또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쇄연장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 글리시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 글리시딜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쇄연장제를 0.5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한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쇄연장제 함량이 0.55중량부 미만이면, 낮은 셀 안정성으로 인해 발포기체 트랩효과가 미비하여 조성물의 발포력이 나빠지고, 반대로 쇄연장제 함량이 2.5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경도와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쇄연장제 함량은, 0.55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상, 0.65 중량부 이상 또는 0.7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2.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또는 1.2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분해온도가 215℃ 내지 245℃인 발포제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발포제의 분해온도가 215℃ 미만이면 조성물이 가공 공정에서 이미 확산된 가스에 기인해 충분한 발포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반대로 발포제의 분해온도가 245℃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발포가 충분치 않게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제의 분해온도는 215℃ 이상, 217℃ 이상, 220℃ 이상, 222℃ 이상 또는 225℃ 이상일 수 있고, 또한 245℃ 이하, 243℃ 이하, 240℃ 이하, 238℃ 이하 또는 235℃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발포제의 가스량은 150 내지 250 ml/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포제는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 및 펜틸테트라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발포제를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내의 발포제 함량이 상기 수준보다 적으면, 조성물의 발포성이 나빠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수준을 초과하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상기 발포제 함량은, 0.5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상 또는 0.8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5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3 중량부 이하 또는 1.2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하나 이상의 기타 첨가제, 특히, 사출 성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하나 이상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내가수분해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핵제, 카본블랙, 카본블랙 마스터배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목적하는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타 첨가제 각각의 함량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2.5중량부, 또는 1 내지 2.5중량부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또한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신발 밑창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쇼어경도A-75의 TPEE의 제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16.99중량부, 1,4-부탄디올 6.10중량부, 분자량 2,000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EG) 74.55중량부 및 글리세롤 0.065 중량부를 반응기에 넣고 촉매로서 테트라-n-부톡시 티타늄(TBT) 0.03중량부를 가하였다. 반응기 내의 온도를 140℃에서 215℃로 120분간 승온시키며 에스테르 치환 반응을 수행하고, 215℃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120분간 에스테르 치환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반응 유출물인 메탄올의 양을 반응율로 환산하여 반응율이 99% 이상인 시점에 에스테르 치환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후, 촉매인 TBT 0.04중량부 및 열안정제(Irganox1010) 0.07중량부를 투입하여 중축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중축합 반응은 215℃에서 250℃로 120분간 승온시키며 수행되었고, 250℃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120분간 수행되었으며, 이때 760 torr에서 0.3 torr까지 1시간 동안 감압하고, 나머지 3시간은 0.3 torr 이하의 진공조건으로 하되, 최종감압은 0.3 torr 이하로 조절하여 쇼어경도-A 75의 TPEE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엘라스토머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는 페놀(Phenol)/테트라클로로에탄(TCE) = 50/50인 용매 하에서 측정하여 2.19 dl/g 이었다.
제조예 2: 압출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쇼어경도 A-75의 TPEE와 나머지 성분들을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하였다. 압출기의 온도는 호퍼 부분을 120도로 설정하고 나머지 부분은 150도 내지 190도로 설정하여 압출하였으며, 트윈 스크류(L/D=40)를 사용하였고, 다이의 직경은 26phi이며, 니딩 블록(Kneading block)은 2개를 사용하였다. 수지의 투입량(Feed Rate)은 10kg/hr 내지 14kg/hr로 하였으며,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150rpm 내지 200rpm으로 압출하였다.
이후 상기 압출 과정을 거친 수지 조성물을 냉각조에서 냉각 과정을 거친 후, 펠렛타이징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설명>
TPEE: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커피박: 커피 추출 후 나온 커피박(이디야커피)
산화방지제: Irganox1010(아사히카세이)
열안정제: PEP36(아데카)
핵제: Licomont NaV101(클라리언트)
쇄연장제 A: 글리시딜계 쇄연장제(MTE-N005ET, 코스모폴리텍)
쇄연장제 B: 이소시아누레이트계 쇄연장제(Duranate TLA-100, 아사히카세이)
발포제 A: 아조디카본아마이드(분해온도: 202~208℃, Unicell-D600MT, 동진쎄미켐)
발포제 B: p-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분해온도: 225~235℃, pTSS, 금양)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들을 사출하여 표준시험편을 제작한 다음, 하기와 같은 항목들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발포 시편의 단면을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1) 경도: ASTM D2240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2) 비중: ASTM D792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3) 인장강도: ASTM D638 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4) 인장신율: ASTM D638 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표 2]
상기 표 2 및 도1로부터 확인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들은 모두 향상된 발포력과 우수한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실시예에 비하여 비교예의 조성물들은 발포력이 부족하였고, 그 결과 경도 및 비중이 높아져 신발 밑창 용도로는 부적합하였고, 인장강도도 보다 열악하였다.

Claims (8)

  1.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70 내지 88 중량부;
    (2) 커피박 10.5 내지 28 중량부;
    (3) 쇄연장제 0.55 내지 2.5 중량부; 및
    (4) 발포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경질의 하드 세그먼트와 연질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로서, 고유점도가 1.3~3 dl/g이고, 쇼어 경도가 A-70 내지 A-90인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이고,
    상기 쇄연장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 글리시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발포제는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 및 펜틸테트라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발포제의 분해온도가 215℃ 내지 245℃인,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커피박의 수분 함량이 0.05 중량% 이하인,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발포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4. 제3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성형품.
  5. 제3항에 있어서, 성형품이 신발 밑창인, 성형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46473A 2021-10-29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66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73A KR102667449B1 (ko) 2021-10-29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73A KR102667449B1 (ko) 2021-10-29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910A KR20230063910A (ko) 2023-05-10
KR102667449B1 true KR102667449B1 (ko)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532A (ja) 2010-12-28 2012-07-26 Toyobo Co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成形体
JP2012224665A (ja) 2011-04-15 2012-11-15 Union Sangyo:Kk コーヒー粕を用いた成形材
WO2020105089A1 (ja) 2018-11-19 2020-05-2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用部材、靴、及び、靴底用部材の製造方法
KR102279221B1 (ko) 2020-11-19 2021-07-19 주식회사 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532A (ja) 2010-12-28 2012-07-26 Toyobo Co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成形体
JP2012224665A (ja) 2011-04-15 2012-11-15 Union Sangyo:Kk コーヒー粕を用いた成形材
WO2020105089A1 (ja) 2018-11-19 2020-05-2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用部材、靴、及び、靴底用部材の製造方法
KR102279221B1 (ko) 2020-11-19 2021-07-19 주식회사 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612B2 (en) Polymer composition based on 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 manufactured article made with such polymer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such polymer composition
CN111548472A (zh) 高耐候超透明的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US11453775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CN109867946A (zh) 一种热塑性聚氨酯发泡粒子及其制备方法
KR20140040240A (ko) 바이오-기반 글리콜로부터의 감소된 블룸에 대한 경향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CN102060969A (zh) 一种高熔体强度聚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04470978B (zh) 包含生物可降解树脂的发泡用树脂组合物及由其制造的发泡体
CN110760168A (zh) 一种热塑性聚酯弹性体发泡颗粒及其制备方法
CN110799572A (zh) 可发泡的热塑性聚酯共聚物
CN113121800A (zh) 一种聚酯类珠粒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968954B (zh) 一种可降解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5654380A (en) Aliphatic polyester 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667449B1 (ko)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7760014A (zh) 耐溶剂型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KR20230063910A (ko) 커피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69737B1 (ko) 신발 밑창 용도로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41305B1 (ko) 생분해성 비드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80454A (zh) 含可回收废旧颗粒的超低密度聚氨酯中底或鞋垫组合料及其制备方法
KR102658068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2163716B1 (ko) 반응 압출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2297622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5050610B2 (ja) 低温特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の成型体
KR102172047B1 (ko)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저감되고 열안정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TWI823186B (zh) 多嵌段共聚酯醚熱塑性彈性發泡體、其製備方法、以及由其所製得的運動鞋中底
KR102265448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