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400B1 -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400B1
KR102665400B1 KR1020220165164A KR20220165164A KR102665400B1 KR 102665400 B1 KR102665400 B1 KR 102665400B1 KR 1020220165164 A KR1020220165164 A KR 1020220165164A KR 20220165164 A KR20220165164 A KR 20220165164A KR 102665400 B1 KR102665400 B1 KR 10266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wheelchair
manual wheelchair
operating mechanism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57944A (ko
Inventor
전창훈
Original Assignee
(주)로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라이프 filed Critical (주)로보라이프
Publication of KR2024005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8Power-assistance activated by pushing on hand rim or on handleb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동 휠체어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하우징과; 구동 모듈과; 구동 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과; 구동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과; 전동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기구와; 전동화 장치를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장착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는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모드와 보호자가 조작하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MOTORIZED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본 발명은 수동 휠체어에 부착되어 수동 휠체어를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하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의 이동을 보조하는 기구로, 인구 고령화 및 장애인 증가에 따른 교통 약자의 증가 추세로 인해 수요가 계속 늘고 있는 상태이다.
휠체어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에 바퀴가 장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크게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식 휠체어는 오랜 기간 이용되고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의 휠체어로, 양측 바퀴의 외측에 링 형상의 손잡이를 형성해 사용자가 손잡이로 바퀴를 수동으로 굴려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수동식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접철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접어서 차량 등에 용이하게 실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체력 소모로 인해 장거리 이동에는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수동식 휠체어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동기 등의 구동 장치를 이용해 휠체어의 바퀴를 전동식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동식 휠체어는 휠체어에 전동기가 일체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차량에 용이하게 실어서 이동하기 어렵고 비용이 높아 교통 약자 또는 이들의 보호자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동 휠체어를 전동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알려진 전동화 장치는 대부분 휠체어의 바퀴에 직접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탈장착 작업이 용이하지 못해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10-2022-0097652 A
(특허문헌 2) KR 10-2016-0053739 A
본 발명은 전술한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동 휠체어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하우징과; 구동 모듈과; 구동 모듈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과; 구동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과; 전동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기구와; 전동화 장치를 수동 휠체어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장착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는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모드와 보호자가 조작하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때 보호자용 손잡이 근방에 설치된 인지 센서를 통해 조작자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센서는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의 일측에는 조작 기구 장착부가 마련되어 조작 기구 장착부에 조작 기구를 거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의 팔걸이 근방에는 사용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가 마련되고, 수동 휠체어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호자용 손잡이 근방에는 보호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가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의 작동 모드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의 작동 모드는 조작 기구에 마련된 작동 모드 선택 버튼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의 전방 부분에는 범퍼 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의 전방 부분에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휠체어의 후방 부분에는 후방 전도 방지 기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클램프부(예컨대, 토글 클램프)를 이용해 단순한 동작만으로 전동화 장치를 수동 휠체어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전동화 장치를 휠체어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수동 휠체어의 메인 바퀴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동화 장치에 구비된 구동휠을 이용해 휠체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동 휠체어를 보다 단순하고 용이하게 전동식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고 전동화 장치의 구조가 한층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구동휠이 휠체어의 메인 바퀴의 폭방향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회전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예컨대, 제자리 회전 등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 교통 약자들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조작 기구가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모드와 보호자가 조작하는 보호자 모드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조작 기구를 이용해 사용자와 보호자 모두 전동화 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인지 센서를 통해 조작자가 인지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제어되어 있어 휠체어 사용자의 후방에서 전동화 장치가 조작되는 경우에도 보호자의 부주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는 다양한 안전 장치(범퍼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후방 전도 방지 기구 등)가 추가로 구비되어, 안전 장치를 통해 휠체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가 수동 휠체어에 장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동화 장치의 장착 기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와 함께 다양한 안전 장치가 수동 휠체어에 추가로 장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100; 이하, '전동화 장치'라고 함) 및 이러한 전동화 장치(100)가 장착된 수동 휠체어(1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100)는 수동 휠체어(10)의 메인 바퀴(20) 근방에 위치하는 프레임(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동 휠체어(10)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는 하우징(200)에 구동 모듈(300), 구동휠(400), 배터리 모듈(500) 등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전동화 장치(100)의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우징(200)은 전체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모듈(300)은 휠체어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부분으로, 구동 모듈(300)은 전동 모터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휠체어 하부의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동휠(400)에 탑재되는 인휠 모터(in-wheel motor)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400)은 구동 모듈(300)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로, 구동휠(400)은 전부 또는 일부가 하우징(2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2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100)는 구동 모듈(3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이용해 수동 휠체어(10)의 메인 바퀴(20)가 아니라 전동화 장치(100)에 구비된 구동휠(4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100)를 보다 단순한 구조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400)은 전동화 장치(100)가 장착되는 수동 휠체어(10)의 양측 메인 바퀴(20)의 폭방향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모듈(3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400)을 수동 휠체어(10)의 메인 바퀴(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휠체어의 회전 이동을 보다 용이하고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휠체어의 사용 편의성이 한층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의 일측에는 구동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500)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하우징(200)의 외측 부분에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모듈(500)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배터리는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는 조작 기구(600)를 구비해 휠체어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조작 기구(600)를 이용해 전동화 장치(100)가 장착된 수동 휠체어(10)를 용이하게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전동식 휠체어의 조작부와 유사한 구조(예컨대, 조이스틱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모드와 보호자가 조작하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100)는 조작 기구(600)가 복수의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 기구를 이용해 휠체어 사용자와 보호자 모두 전동 장치 및 이러한 전동 장치가 장착된 휠체어를 구동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휠체어 사용자와 보호자가 모두 전동 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조작 기구(600)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가 장착되는 수동 휠체어(1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수동 휠체어(10)의 팔걸이(40)의 전방부 근방] 및 보호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수동 휠체어(1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보호자 손잡이(50) 근방]에 조작 기구 장착부를 마련해 조작 기구(600)를 조작 기구 장착부에 거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 기구(600)는 사용자 모드 작동 상태에서는 수동 휠체어(10)의 팔걸이(40)의 전방부 부분에 마련된 사용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42)에 거치하여 이용하고 보호자 모드 작동 상태에서는 수동 휠체어(10)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보호자용 손잡이(50) 근방에 마련된 보호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52)에 거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600)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때 수동 휠체어(10)의 후방 부분[예컨대, 보호자용 손잡이(50) 근방]에 마련된 인지 센서(56)에 의해 조작자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모드와 달리 보호자 모드는 휠체어 사용자의 후방에서 전동화 장치(100)가 조작되기 때문에, 조작 기구(600)를 작동하는 보호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예컨대, 의도치 않게 제3자에 의해 조작 기구(600)가 작동되는 사고 등]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장치(100)는 조작 기구(600)가 보호자 모드에서 작동될 때 인지 센서(56)를 통해 조작자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조작 기구(600)가 작동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장치 오작동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 위험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센서(56)는 터치 센서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보호자용 손잡이(50) 근방에 가로바(54)를 마련한 다음 이러한 가로바(54)의 일측에 터치 센서 형태의 인지 센서(56)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보호자 모드에서 작동 기구(600)를 조작하는 조작자는 인지 센서(56)를 파지한 상태에서만 작동 기구(60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기구(600)의 작동 모드(사용자 모드 또는 보호자 모드)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해 설정하거나; 조작 기구(600)에 마련된 작동 모드 선택 버튼을 작동시키거나; 조작 기구(600)가 장착되는 사용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42) 및 보호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52)에 센서를 구비해 조작 기구(600)의 장착 위치에 따라 작동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의 구동휠(400)은 하우징(200)과의 사이에 탄성 스프링(700)이 개재된 상태로 장착되어 휠체어 작동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는 일측에 장착 기구(800)가 구비되어, 장착 기구(800)를 통해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에 장착/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의 장착 기구(800)는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810)와; 지지부(81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압부(820)와; 가압부(820)를 작동시키는 클램프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기구(800)의 지지부(810)는 가압부(820)와의 사이에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의 일측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810)는 하우징(200)에 고정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 기구(800)의 지지부(810)는 바닥부(812) 및 절곡부(814)를 갖는 대략 ㄱ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을 부분적으로 감싸 전동화 장치(100)가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820)는 지지부(810)와 가압부(820) 사이에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810)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클램프부(830)의 작동에 의해 지지부(810)를 향해 이동하거나 지지부(8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에 고정/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압부(820)는 클램프부(830)의 레버(832)를 일측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가압부(820)가 지지부(810)를 향해 이동하여 지지부(810)와 가압부(820) 사이에 위치하는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을 가압함으로써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에 고정시키고, 클램프부(830)의 레버(832)를 타측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가압부(820)가 지지부(8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동화 장치(100)가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820)는 지지부(810)와 가압부(820) 사이에 협지되는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지지부(810)에 대향하는 면이 고무 부재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부(8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화 장치(100)의 고정/해제를 위해 장착 기구(800)의 가압부(820)를 작동시키는 부분으로, 지지부(810)에 대한 가압부(820)의 상대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액츄에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클램프부(8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 클램프(toggle clamp) 구조로 형성되어 클램프부(830)의 레버(832)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장착 기구(800)는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전동화 장치(10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부(830)는 각각의 장착 기구(800) 내에 하나 이상씩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 장치[범퍼 센서(910), 낭떠러지 감지 센서(920), 후방 전도 방지 기구(930) 등]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안전 장치들은 전동화 장치(100)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전동화 장치(100)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전동화 장치(100)가 장착되는 수동 휠체어(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화 장치(100)는 내부에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구동 모듈(300), 배터리 모듈(500), 조작 기구(600), 제어부(미도시) 등은 케이블 또는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동화 장치
200: 하우징
300: 구동 모듈
400: 구동휠
500: 배터리 모듈
600: 조작 기구
700: 탄성 스프링
800: 장착 기구

Claims (10)

  1. 수동 휠체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동 휠체어(10)를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화 장치(100)이며,
    하우징(200)과;
    구동 모듈(300)과;
    구동 모듈(30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400)과;
    구동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500)과;
    전동화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 기구(600)와;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장착 기구(8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기구(800)는,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810)와; 상기 지지부(81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압부(820)와; 상기 가압부(820)를 작동시키는 클램프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기구(800)는 상기 클램프부(8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820)가 상기 지지부(810)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810)와 상기 가압부(820) 사이에 수동 휠체어(10)의 프레임(30)을 협지함으로써 상기 전동화 장치(100)를 수동 휠체어(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 기구(600)는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모드와 보호자가 조작하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600)는 보호자 모드에서 동작할 때 보호자용 손잡이(50) 근방에 설치된 인지 센서(56)를 통해 조작자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센서(56)는 터치 센서로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의 일측에는 조작 기구 장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조작 기구 장착부에 조작 기구(600)를 거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의 팔걸이(40) 근방에는 사용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42)가 마련되고,
    수동 휠체어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호자용 손잡이(50) 근방에는 보호자용 조작 기구 장착부(52)가 마련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600)의 작동 모드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기구(600)의 작동 모드는 조작 기구(600)에 마련된 작동 모드 선택 버튼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의 전방 부분에는 범퍼 센서(910)가 더 구비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의 전방 부분에는 낭떠러지 감지 센서(920)가 더 구비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의 후방 부분에는 후방 전도 방지 기구(930)가 더 구비되는,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KR1020220165164A 2022-10-25 2022-11-30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KR102665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8716 2022-10-25
KR1020220138716 2022-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944A KR20240057944A (ko) 2024-05-03
KR102665400B1 true KR102665400B1 (ko) 2024-05-14

Family

ID=910733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164A KR102665400B1 (ko) 2022-10-25 2022-11-30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KR1020220165163A KR102665397B1 (ko) 2022-10-25 2022-11-30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163A KR102665397B1 (ko) 2022-10-25 2022-11-30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54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781A (ja) 2002-05-29 2003-12-02 Nat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車いす用バンパー装置および車い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026A (ko) * 2011-11-16 2013-05-24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착탈식 전동장치
KR101454716B1 (ko) * 2013-02-13 2014-10-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85474B1 (ko) * 2013-05-23 2015-01-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715293B1 (ko) 2014-10-31 2017-03-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KR20170015774A (ko) * 2015-07-31 2017-02-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기반의 안전 주행을 위한 전동휠체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01398A (ko) * 2016-02-29 2017-09-06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KR101737826B1 (ko) * 2016-04-07 2017-05-19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보조동력모듈 탈부착장치
KR101972799B1 (ko) * 2017-04-05 2019-04-26 한국과학기술원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되는 전동 보조기
KR102041882B1 (ko) * 2017-11-23 2019-11-27 (주) 한호기술 스마트 전동 겸용 휠체어
KR20200067288A (ko) * 2018-12-03 2020-06-1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루투스를 이용한 휠체어 제어시스템
KR20200074551A (ko) * 2018-12-17 2020-06-25 장권태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210074765A (ko) * 2019-12-12 2021-06-22 김광섭 탈부착 수동 휠체어 동력 장치
KR20210108739A (ko) * 2020-02-26 2021-09-03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거리감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 휠체어
KR102513222B1 (ko) * 2020-12-30 2023-03-30 고어헤드(주)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781A (ja) 2002-05-29 2003-12-02 Nat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車いす用バンパー装置および車い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943A (ko) 2024-05-03
KR102665397B1 (ko) 2024-05-13
KR20240057944A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42B1 (ko) 전동 휠체어
CA2889555C (en) Power driven vehicle having a take-apart frame
US4846295A (en) Steerable motorized three-wheeled vehicles for use by the handicapped and others desiring assistance
CA1140445A (en) Wheel chair
US20070278767A1 (en) Electrical wheelchair for handicapped transportation with an attendant
KR102277565B1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4248A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3739A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KR102665400B1 (ko)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US20220117807A1 (en)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aid device using mechanical self-energizing action
KR20120114560A (ko) 휠체어용 전동/수동 겸용 모듈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JP2000152961A (ja) 自力走行機能付き車椅子
JP2003019165A (ja) 人力駆動式車いすの後付け用駆動装置
CN114767408A (zh) 智能电动折叠轮椅
JP2000334001A (ja) 電動式車椅子
JP2019034148A (ja) 電動車椅子
JP2001025488A (ja) 身体障害者および高齢者用三輪式電動カート
KR20200093934A (ko) 전동 휠체어
WO2019030778A1 (en) ELECTRICAL WHEELCHAIR ASSEMBLY DESIGNED TO BE MANEUVERED ON A UNIFORM GROUND
CN217548411U (zh) 智能电动折叠轮椅
CN211610407U (zh) 一种多功能电动轮椅
JPH10295738A (ja) 走行式座椅子
JP3117690B2 (ja) 電動式車椅子
JP7484338B2 (ja) 電動車両の操作装置
KR20220071043A (ko) 한 손형 보행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