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613B1 -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 Google Patents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613B1
KR102664613B1 KR1020187016997A KR20187016997A KR102664613B1 KR 102664613 B1 KR102664613 B1 KR 102664613B1 KR 1020187016997 A KR1020187016997 A KR 1020187016997A KR 20187016997 A KR20187016997 A KR 20187016997A KR 102664613 B1 KR102664613 B1 KR 10266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eel
flange
bas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942A (ko
Inventor
이반 세이너
필리프 노빅
Original Assignee
세라피드 -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피드 - 프랑스 filed Critical 세라피드 -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9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F16G13/20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stiff; Push-pull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Gears, Cams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강성 체인(rigid chain)(100)의 링크(link)(200n)는 주된 평면(main plane)(81)에 대해 직각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들(93, 97)을 가진 직사각형의 전반적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는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들(2, 4) 각각은: 상기 강성 체인(100)의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유사한 플랜지(1n-1; 1n+1)의 대응되는 힐(heel)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설계된 힐(heel)(5), 및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에 대한 회전 핀(400) 둘레에 베어링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베이스(7)를 포함한다. 상기 힐(5)과 베이스(7)는 상기 주된 평면(81)의 양측에서 상기 주된 평면(8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Description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본 발명은, 강성 체인(rigid chain)으로 불리는, 화물(load)을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이러한 체인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링크들(links)에 관한 것이다.
강성 체인들은 관절 연결된 로드들(articulated rods)로도 알려져 있으며, 작은 전체 크기를 차지하는 접힌 상태로부터 무거운 화물을 견인, 지지 및 밀 수 있는 직선의 강성 구조의 형태로 전개된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체인들은 일련의 유사한 링크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링크는, 때때로 플랭크(flank)로 불리는, 두 개의 측방향 플랜지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회전 핀들(pins)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나의 링크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로 장착된다. 상기 링크들은 체인이 직선 상태로부터 만곡된 상태 또는 스스로 감긴 상태로 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체인은 단일 평면에서 단일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다른 방향으로의 만곡과 비틀림은, 특히 상기 체인을 구성하는 부분들의 적절한 구성과 적절한 조절에 의해, 방지된다.
FR 2 134 196에서, 각각의 링크 플랜지는 두 개의 상이한 기계 부품들을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체인이 일직선일 때, 복잡한 형태의 평평한 제1 부품은 압축력을 하나의 링크로부터 다른 하나의 링크로 전달한다. 길쭉한 형상의 평평한 제2 부품은 두 개의 인접한 회전 핀들을 연결하며 본질적으로 견인력(traction)으로 작동한다. 두 개의 부품들은 그들을 압착함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조립된다.
제조 결함, 예를 들어 평탄도 결함이 부품 내에 때때로 발생한다. 이러한 유형의 결함은 링크의 크기에서는 괜찮을 수도 있다. 바꿔 말하면, 체인의 링크가 미세한 결함을 특히 포함하면, 체인의 작동은 타협되지 않는다. 요즘, 이러한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배치(batch)로 대량 생산된다. 결함은, 최소의 결함일지라도, 체인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배치의 부품들 각각에 대해 복제되며, 이러한 결함들은 체인의 길이에 걸쳐, 특히, 긴 길이에 걸쳐 누적되어 체인의 정확한 작동을 방해한다. 더욱이, 벤딩력(bending force)이 플랜지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지향되는 경우에, 플랜지들의 압착 및/또는 평탄도가 저하됨으로써 플랭크들 중 하나가 벤딩되거나 체인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FR 2 573 832는 실시예를 서술한다. 체인의 각각의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해 일체형(one-piece) 부품이 사용된다. 이러한 부품들도 플랜지들에 대해 직각으로 벤딩력이 작용하면 벤딩되며, 이는 체인의 사용 조건들을 제한한다. 더욱이, 부품들의 배치 내의 제조 결함에 의해 유발된 고장의 위험 때문에 체인의 길이가 제한된다.
FR 2 345 626에 서술된 구성은 단순화되며: 체인의 플랜지는 오직 하나의 유형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체인의 각 플랜지를 위해, 부품들의 두 개의 열들(rows)이 오점형 배열(quincunx arrangement)로 중첩된다. 벤딩력이 플랜지들에 대해 직각으로 지향되는 경우에, 체인도 부서지기 쉽다.
본 출원인은 강성 체인들을 개발하였으며, 그 플랜지들은 동일한 평평한 부품들을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FR 2 786 476에 서술되어 있다. 부품들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각의 플랜지를 위한 두 개의 동일한 부품들의 오점형 중첩(quincunx superposition)이 여전히 필요하다. 이러한 중첩은 긴 시간에 걸쳐, 특히 벤딩력이 플랜지들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보존하기가 어렵다. 원하지 않는 유격(play)과 상대적인 운동이 체인의 플랭크의 부품들 사이에 발생한다. 이러한 유격은 조기 마모 또는 체인의 벤딩(bending)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주된 평면(main plane)에 대해 직각인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들의 직사각형의 전반적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강성 체인(rigid chain) 링크(link)를 제안한다.
상기 플랜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들 각각은:
- 상기 강성 체인의 인접한 링크의 유사한 플랜지의 대응되는 힐(heel)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구성된 힐(heel), 및
- 상기 인접한 링크에 대한 회전축 둘레에 베어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힐과 베이스는 상기 주된 평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주된 평면에 평행하다.
이러한 유형의 강성 체인은 상기 체인의 주된 방향으로 힘의 전달을 보장할 수 있게 만들며, 양호한 벤딩 저항력을 가진다. 플랜지들의 형상은 단순한 중첩보다는 플랜지들의 상호 침투로 이어진다. 상기 플랜지들은, 끼워 넣어짐으로써, 적용된 벤딩력의 방향이 어떠하든, 체인의 강화된 벤딩 저항력과 강화된 좌굴 저항력을 가진다. 추가적인 보강 부품들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 플랜지들의 제조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단순하게 된다. 강성 체인으로의 조립에 있어서, 하나의 링크로부터 다른 하나의 링크로 뒤바뀐 방향을 가진 동일한 플랜지들을 병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조립체 내의 각 플랜지의 방향은 그 형상에 의해 강요된다. 조립의 실수는 불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또한 플랜지의 방향을 두 개 중에서 하나씩 뒤바꿈으로써 플랜지에서의 각각의 제조 결함, 예를 들어 평탄도에 대한 결함이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 다음 플랜지의 결합에 의해 보상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배치의 모든 플랜지들이 동일한 결함을 가지는 경우, 그 플랜지들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 한 쌍의 링크들은 결함이 없을 수 있다. 하나의 플랜지의 결함은 다른 하나의 결함을 보상한다. 상기 체인의 길이에 걸쳐 누적되는 대신에, 각각의 플랜지의 제조 결함은 서로 보상된다. 상기 체인의 길이는 이러한 제조 결함에 의해 더 이상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강성 체인 링크는 아래의 선택적인 특징들을 단독으로 또는 서로의 조합으로 가질 수 있다.
- 상기 제1 부분의 힐과 상기 제2 부분의 힐은 둘 다 상기 주된 평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분의 베이스와 상기 제2 부분의 베이스는 둘 다 상기 주된 평면(81)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플랜지들을 하나의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링크들을 차례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플랜지들의 배치 내의 임의의 제조 결함의 효과는 하나의 링크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로 보상된다.
- 상기 제1 부분의 베이스와 상기 제2 부분의 베이스는 상기 주된 평면에 직각인 횡단면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이는 플랜지들을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링크와 이웃 링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동 유격을 감소시킨다.
- 상기 링크는, 상기 강성 체인의 유사한 링크들의 대응되는 표면들과 접촉하여 협동하도록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표면들을 가진다. 상기 제1 부분의 힐과 상기 제2 부분의 힐은, 접촉(abutting)에 의해 협동하도록 구성된 표면들의 형상을 제외하고, 상기 주된 평면에 직각인 횡단면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이는 플랜지들을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링크와 이웃 링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작동 유격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두 개의 링크들 사이에서 압축되는 베어링 구역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링크들의 회전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며, 이는 응력과 벤딩에 대한 저항력의 분포를 향상시킨다.
- 상기 플랜지는 일체형(one piece)으로 형성된다. 이는 압착된 연결부와 같은 연결부에 대해 플랜지가 부서지기 쉬운 위험을 제한할 수 있게 만든다.
- 상기 제1 부분 및/또는 상기 제2 부분의 힐과 베이스는 각각 상기 주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표면을 가진다. 이는 두 개의 인접한 링크들의 플랜지들 사이의 유격(play)과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만든다.
- 상기 플랜지는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힐들과 상기 베이스들 서로 연결한다. 이는 플랜지의 강건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다.
- 상기 플랜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각각 상기 힐과 상기 베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벤딩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플랜지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연결부는 예를 들어 시트 금속 블랭크 내에서 플랜지를 절제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 상기 베이스 내에 실질적으로 원형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부분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열려 있고 길이 방향 반대쪽 단부를 향해 상기 원형 구멍의 중심을 넘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유형의 공간은 하나의 플랜지가 다른 플랜지 내로 깊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의 제조에서의 공차가 침투를 방해하게 되는 변형된 부분이 없을 정도로 허용된다.
- 각각의 힐은, 상기 인접한 링크의 대응되는 표면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지향된 전면(front surface)을 가진다. 이러한 유형의 전면은 직선 상태에서 상기 체인의 주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힘의 전달을 보장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랜지에 벤딩력(bending force)이 나타나는 것을 제한한다.
-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인접한 링크의 대응되는 표면들에 대하여 접촉함으로써 상기 링크와 상기 인접한 링크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향된 측면들을 가진다. 상기 플랜지들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정렬은 상기 체인의 직선 부분에서 잘 조절된다.
- 상기 플랜지는 상기 주된 평면의 상기 베이스들과 동일한 측면에 니플(nipple)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힐들은 상기 측면들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니플은 상기 측면들 중 다른 하나를 가짐으로써, 상기 힐의 측면은 상기 인접한 링크의 니플의 대응되는 측면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며, 상기 니플의 표면은 상기 인접한 링크의 힐의 대응되는 측면에 대하여 접촉하게 된다. 서로에 대한 회전으로 상기 플랜지들의 정확한 조절은 상기 플랜지들의 전체 두께의 증가 없이 잘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하나의 링크의 플랜지의 방향이 이전 링크와 다음 링크의 각각의 플랜지의 방향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뒤바뀌도록 위에서 정의된 링크들을 교대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강성 체인을 제안한다. 각각의 링크는 상기 베이스들 내부에 끼워진 로드들(rods)에 의해 이전 링크 및 다음 링크와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본 출원인은 또한 위에서 정의된 링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a) 시트 금속에서 플랜지 블랭크(blank)를 잘라내는(cropping) 단계, 및
b) 상기 베이스들을 상기 힐들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오프셋하며, 벤딩(bending)에 의해 연결부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상세 사항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의 부분을 도면을 보여주며;
- 도 2는 반대측에서 본 도 1의 부분의 도면을 보여주며;
- 도 3은 도 1의 체인의 플랜지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 체인으로 조립하기 전에 두 개의 동일한 플랜지들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 도 5는 도 4의 두 개의 플랜지들의 부분 조립체를 보여주며;
- 도 6은 도 5의 조립체를 위에서 본 도면을 보여주며;
- 도 7은 도 5의 조립체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 도 8과 9는 본 발명의 두 개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플랜지들의 도 7과 유사한 도면을 보여주며;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 개의 동일한 플랜지들의 조립체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 도 11은 체인이 만곡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 개의 동일한 플랜지들의 조립체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 도 12는 도 11의 조립체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면들과 이하의 설명은 특정 문자의 대부분의 요소들을 다룬다. 따라서, 도면들과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그들을 정의하는 데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복잡한 플랜지들의 기하학적 구조와 같은 요소들은 도면에 의하지 않고서는 완전하게 정의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과 2에서, 체인은 100으로 표시된다. 상기 체인(100)의 링크들(200)은 테일 링크(tail link)로부터 헤드 링크까지 1에서 n까지의 아래 첨자로 서로 구별된다. 따라서, 아래 첨자 n은 링크(200n)를 나타내며, 아래 첨자 n+1은 상기 체인(100)의 헤드측(head side)에서 다음 링크(200n+1)를 나타낸다. 상기 체인(100)의 링크(200)를 위한 각각의 플랜지, 또는 플랭크(flank)는 1로 표시된다.
세 개의 상호간 직각 방향들은 3차원 좌표계에 의해 기호화된다:
- x 방향은 도 1과 2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횡방향에 대응되며;
- y 방향은 상기 체인(100)의 플랜지들(1)의 두께 방향, 상기 링크들(200)의 회전축(400)의 방향 및 도 1에서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에 대응되며;
- z 방향은 길이 방향, 상기 체인(100)의 직선 형태에서의 주된 방향 및 도 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에 대응된다.
각각의 링크(200n)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들(1n)을 포함한다. 도 1과 2의 예에서, 각각의 링크(200n)는 한 쌍의 플랜지들(1n)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들(1n) 각각은 상기 체인(100)의 두 개의 플랭크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열(row)에 속한다. 링크(200n)의 두 개의 플랜지들(1n)은 회전축들(400)을 따라서 연장된 두 개의 공통 로드들(common rods)(9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플랜지들(1n)은, 예를 들어 서클립(circlip)에 의해, 상기 로드들(91) 둘레에 병진운동으로 고정된다. 상기 체인(100)은 길이 방향(z)에 대해 직각인 전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체인(100)은 플랜지들의 단일의 열(row) 또는 둘 이상의 열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들에서, 각각의 링크(200n)는 개별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플랜지들(1n)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100)의 각각의 열(row)은 오점형 배열(quincunx arrangement)로 플랜지들(1)의 연쇄를 포함한다. 링크(200n)의 플랜지(1n)는 동시에:
- 바로 이전의 테일 링크(200n-1)의 부품(1n-1)과 공유된 제1 로드(9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 이전의 테일 링크(200n-2)의 부품(1n-2)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 바로 다음의 헤드 링크(200n+1)의 부품(1n+1)과 공유된 제2 로드(9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 다음의 링크(200n+2)의 부품(1n+2)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100)의 부품들(1)은 동일하다. 각 부품(1)은 직사각형의 전반적인 형상이며,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진다. 상기 체인(100) 내에서 각각의 부품(1)의 방향은 아래와 같다:
- 상기 부품(1)의 폭은 상기 체인(100)의 횡방향(x)으로 지향되며,
- 각 부품(10의 두께는 두께 방향(y)으로 지향되고,
길이는 상기 체인(100)의 길이 방향(z)으로 지향된다.
그 다음의 도면들에서, 3차원 좌표계는 상기 체인(100)에 대한 상기 부품(1) 또는 다수의 부품들(1)이 표현된 경우에 부품(1n)의 방향을 표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링크(200)로부터 분리된 플랜지(1)를 보여준다.
상기 플랜지(1)는 두께 방향(y)에 대해 직각인 주된 평면(main plane)(81)을 가진다. 상기 플랜지(1)는 두 개의 반대쪽 길이 방향 부분들;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길이 방향(z)과 주된 평면(81)에 대해 직각인 횡단면(transverse plane)(83)에 의해 상호간에 한정된다. 체인(100)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체인(100)의 헤드측의 부분은 헤드 부분으로 불리고 다른 부분은 테일 부분(tail part)으로 불린다. 상기 플랜지(1)가 체인(100) 내에 장착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 부분(2)은, 도 1의 우측에서, 헤드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부분(4)은, 도 1의 좌측에서, 테일 부분을 형성하며,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설명된 예에서, 상기 플랜지(1)의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상기 횡단면(83)에 대해 서로에 관하여 대칭이다. 상기 횡단면(83)은 상기 플랜지(1)의 대칭면을 구성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플랜지(1)는 이러한 횡단면(83)에 대한 대칭의 예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1)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는 제1 표면(33)과 반대쪽의 제2 표면(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면(31)가 제2 표면(33)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며 두께 방향(y)에 대해 직각이다. 상기 제1 표면(31)은 실질적으로 주된 평면(81)과 일치한다. 상기 제1 표면(31)과 제2 표면(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몸체(3)의 두께(93)를 형성한다. 상기 두께(93)는 상기 몸체(3) 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이제, 도 1에서 횡단면(83) 우측의 상기 제1 부분(2)에 대응되는 상기 플랜지(1)의 길이 방향 절반부(half)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제2 부분(4)에 대응되는 다른 절반부는 상기 횡단면(83)에 대해 대칭이라는 점에서 추론된다.
상기 플랜지(1)의 제1 부분(2)은 힐(heel)(5)과 베이스(base)(7)를 포함한다. 상기 힐(5)은 횡방향(x)으로 상기 플랜지(1)의 일측에, 도 1에서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7)는 반대측에, 도 1에서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힐(5)은 다른 링크들의 대응되는 부분들에 대하여 압착 지탱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상기 플랜지(1)의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힐(5)은, 상기 횡단면(83) 반대쪽의 길이 방향 단부에, 또는 말단부에, 상기 몸체(3)의 길이 방향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몸체(3)와 힐(5)은, 도 1의 상부에 있는 공통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에 의해 한정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평면이며 횡방향(x)에 대해 직각이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체인(100)의 이동 중에 대응되는 형상의 안내 부재(guide member)와 협동하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은, 약간 볼록하거나 또는 약간 오목하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은 상기 제1 표면(31)과 제2 표면(33)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플랜지(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제1 부분(2)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상기 힐(5)은 전면(front surface)(55)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전면(55)도 상기 제1 표면(31)과 제2 표면(33)을 서로 연결한다. 더욱이, 상기 전면(55)과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은 실질적으로 직각이며 연결 필렛(connecting fillet)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55)은 상기 플랜지(1)의 전체 폭의 반보다 작은 폭에 걸쳐 횡방향(x)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면(55)은 유사 플랜지(1)의 대응되는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들을 통해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인(100)의 조립된 그리고 직선 상태에서, 상기 링크(200n)의 플랜지(1n)의 제1 부분(2n)의 전면(55n)은 상기 플랜지(1n)에 유사한 플랜지(1n+2)의 제2 부분(4n+2)의 전면(55n+2)과 협동한다. 상기 전면들(55)은 서로 접촉하여 협동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들(55)은 실질적으로 연속되고, 평면이며 길이 방향(z)에 대해 직각이다. 상기 플랜지(1)의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의 개별의 전면들(55)은 상기 횡단면(83)에 대하여 서로에 관해 정확히 대칭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의 전면들(55)은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형상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나는 볼록하고 다른 하나는 오목하다. 이 경우에, 이는 상기 플랜지(1)의 대칭 특징에 대하여 예외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전면들(55)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상기 힐(5)은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의 반대쪽의 측면(lateral surface)(57)과 연결부(80)에 의해 횡방향(x)으로 한정된다. 상기 측면(57)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횡방향(x)에 대해 직각이며, 상기 제1 부분(2)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며, 연결 필렛에 의해 상기 전면(55)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횡단면(83)을 향한 상기 측면(57)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80)는 실질적으로 오목하며 둥글다. 상기 연결부(80)는 상기 베이스(7)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베이스(7)의 둘레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57)과 연결부(80)는 제1 표면(31)과 제2 표면(33)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베이스(7)는 전반적으로 원형의 플레이트의 부분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7)는 상기 몸체(3) 및 힐(5)과 평행한 실질적인 평면 내에 놓여있다. 상기 베이스(7)는 제1 표면(71)과 반대쪽의 제2 표면(73)을 가진다. 상기 제1 표면(71)과 제2 표면(73)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며 두께 방향(y)에 대해 직각이다. 상기 제1 표면(71)은 상기 주된 평면(81)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기 제1 표면(71)가 제2 표면(73)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7)의 두께(97)를 형성하며, 이는 여기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상기 몸체(3)와 힐(5)의 두께(93)와 동일하다. 한편으로는 상기 몸체(3)와 힐(5)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7)가 상기 주된 평면(81)의 양측에 각각 놓여 있으며, 이들은 주된 평면(81)과 평행하다. 상기 몸체(3)와 힐(5)의 두께(93)와 상기 베이스의 두께(97)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일정하고 상기 주된 평면(81)에 대해 직각이다. 상기 플랜지(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1)의 전체 두께는 상기 두께들(93 및 97)의 두 배와 동일하며, 이는 상기 베이스(7)가 상기 몸체(3)와 힐(5)에 대해 두께 방향(y)으로 오프셋 된 결과이다.
원형 구멍(75)이 상기 베이스(7)를 두께 방향(y)을 관통한다. 상기 구멍(75)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제1 표면(71)과 제2 표면(73)을 서로 연결한다. 작동 시에, 상기 베이스(7)는 상기 구멍(75) 내에 배치된 로드(rod)(91)의 둘레에 상기 플랜지(1)의 회전축들(400) 중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베어링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7)는 연결부(9)에 의해 상기 몸체(3)와 힐(5)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9)는 상기 주된 평면(81)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9)는 복잡하고, 벤딩부들(bends)이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직각을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S" 형상으로 이중-벤딩된 형상(double-bend shape)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9)의 이중 벤딩은 전반적으로 둥글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3) 및 힐(5)의 제1 표면(31)과 상기 베이스(7)의 제2 표면(73)이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상기 몸체(3) 및 힐(5)의 제2 표면(33)과 상기 베이스(7)의 제1 표면(71)은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3)와 베이스(7)는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 반대쪽의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도 1의 하부에 있음)에 의해 횡방향(x)으로 한정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며 횡방향(x)에 대해 직각이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체인(100)의 이동 중에 대응되는 형상의 안내 부재(guide member)와 협동하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약간 볼록하거나 또는 약간 오목하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하나의 베이스(7)로부터 대칭적인 상대 부분(counterpart)까지 연장되며, 상기 몸체(3)의 중간 부분과 연결부들(9)을 통과한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과 다르게,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직선이 아니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 연결부들(9) 및 베이스들(7)을 따라서 두께 방향(y)으로 오프셋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상기 몸체(3)의 제1 표면(31)과 제2 표면(33)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7)의 제1 표면(71)과 제2 표면(73)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은 길이 방향 단부들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방식으로 횡방향 에지 표면(77)에 연결된다. 상기 횡방향 에지 표면(77)은 상기 베이스(7)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구멍(75) 둘레로 180°이상에 걸쳐 연장된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횡단면(3) 측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7)의 부분, 또는 근위 부분(proximal part)은 베이스(7)를 몸체(3)에 연결하는 연결부(9)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횡단면(83)으로부터 가장 먼 베이스(7)의 부분, 또는 말단 부분(distal part)은 자유로우며 상기 횡방향 에지 표면(77)에 의해 한정된다. 연결 표면(79)은 상기 연결부(9)의 길이 방향 단부를 한정한다. 상기 연결 표면(79)은 길이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 표면(79)은 상기 연결부(80)에 연결된다.
요약하면, 상기 플랜지(1)의 윤곽은 아래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 플랜지(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
- 제1 부분(2)의 전면(55),
- 제1 부분(2)의 측면(57),
- 제 1부분(2)의 연결부(80),
- 제1 부분(2)의 연결 표면(79),
- 제1 부분(2)의 횡방향 에지 표면(77),
- 제1 부분(2)으로부터 제2 부분(4)까지 연장된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
- 제2 부분(4)의 횡방향 에지 표면(77),
- 제2 부분(4)의 연결 표면(79),
- 제2 부분(4)의 연결부(80),
- 제2 부분(4)의 측면(7),
-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에 연결된 제2 부분(4)의 전면(55).
상기 제1 부분(2)과 상기 제2 부분(4) 각자의 횡방향 에지 표면(77), 연결 표면(79) 및 연결부(80)는 함께 상기 힐(5)과 베이스(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공간은 상기 플랜지(1)의 하나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열려 있으며 상기 베이스(7)의 둘레에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횡단면(83)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상기 구멍(75)의 중심을 넘어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절제된(cut-out)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부(9)를 한정하는 자유 공간의 연결 표면(79)은 횡단면(8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이 거리는 상기 횡단면(83)으로부터 회전축(400)을 분리하는 거리보다 엄격히 작다. 두 개의 플랜지들(1)을 공통 로드(common rod)(91)의 둘레에 조립하는 중에, 도 7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들(1)의 연결 표면들(79)은 접촉하지 않으며 이들 사이에 거리가 보존된다.
여기서 설명된 예에서, 상기 플랜지(1)는 니플(nipple)(11)을 포함한다. 상기 니플(11)은 상기 몸체(3)의 제1 표면(31)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니플(11)은 상기 베이스들(7)과 같은 주된 평면(81)의 측면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니플(11)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표면(31)의 중심에 있으며 상기 횡단면(83)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니플(1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니플(11)은 측면(15)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측면(15)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며, 횡방향(x)에 대해 직각이고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을 향해 도1 에서 위쪽으로 지향된다. 상기 몸체(3)에 대한 상기 니플(11)의 위치는, 상기 측면(15)이 상기 힐(5)의 측면(57)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고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100)이 직선 자세를 취할 때, 상기 측면(15)은 두 개의 인접한 플랜지들(1) 각각의 측면(57)을 위한 시트(seat)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한 협동은 도 5에 예를 들어 표현된다.
상기 힐(5)의 측면(57)과 상기 니플(11)의 측면(15)은 하나의 플랜지(1)로부터 다른 플랜지까지 대응되는 형상들을 통해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인(100)이 조립되고 직선 상태에서, 상기 측면들(57n)은 각각 측면들(15n-1 및 15n+1)과 협동한다. 상기 측면들(15n)은 측면들(57n-1) 중 하나 및 측면들(57n+1) 중 하나와 협동한다. 상기 체인(100)이 만곡된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갈 때, 전술한 표면들이 접촉하게 됨으로써, 직선 배치 구조에 도달한 때 두 개의 인접한 플랜지들(1)의 상대적인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2 표면(33)은 상기 니플(11)에 대응되는 눌린 자국(imprint) 또는 오목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눌린 자국(13)은 상기 니플(11)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를 변형시킨 작업의, 여기서 프레스 가공의 결과이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니플(11)이 상기 제1 표면(31)에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나사 체결 또는 기계 용접에 의해 부착된 부품이면, 상기 눌린 자국(13)은 없다.
도 3 내지 7의 실시예의 니플(11)의 직사각형 형상은, 특히 상기 측면(15)의 방향이 횡방향(x)에 대해 직각인 형상은, 길이 방향(z)으로 지향된 압축력들이 하나의 링크(100)로부터 그 다음 링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니플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 8에 표현된다. 상기 니플은 참조번호 611로 표시된다. 상기 니플(61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니플(11)보다 상기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2 표면(33) 내의 오목한 눌린 자국(613)도 원형 단면이다. 상기 니플(611)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의 측면(615)을 가진다. 이 변형예에서, 상기 측면(615)과 측면(657)은 상응한 형상들을 가지며, 즉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반-구멍(half-bore)의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측면(657)은 상기 힐(5)의 단부에 형성되며, 즉 전면(front surface)(655)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657)의 형상은, 원형의 형상에 접선으로 이어지는 필렛에 의해 상기 전면(655)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정확한 원형의 형상과는 다르다. 이러한 유형의 필렛은 상기 체인(100)의 부분을 접고/펼치는 중에 측면(657)에 대한 상기 니플(611)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도 9에는 니플(711)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니플(711)도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도 3의 니플(11)과 같이, 상기 몸체(3) 상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표면(33) 내의 오목한 눌린 자국(713)도 원형의 단면이다. 상기 니플(711)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의 측면(715)을 가진다. 이 변형예에서, 측면(757)도 대응되는 형상, 즉 1/4 원형의 절제된 형상(quarter-circle cut-out shape)을 가진다. 상기 측면(757)은, 전면(55)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 에지 표면을 도 3의 실시예의 측면(57)에 연결하는 코너에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된 예들에서, 각각의 플랜지(1)의 제1 부분(2)과 제2 부분(4) 각각의 측면들(15, 615, 715, 57, 657 및 757)은 둘씩 짝을 지어 상기 횡단면(83)에 대하여 대칭이다. 상기 플랜지(1)의 대칭은 엄격히 일치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1 부분(2)의 측면들과 상기 제2 부분(4)의 측면들은 비대칭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에, 이는 상기 플랜지(1)의 대칭적 특징에 대한 예외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상기 측면들(15, 615, 715, 57, 657 및 757)을 제외하고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이제, 도 4 내지 7을 참조한다. 이 도면들은 체인(100)의 인접한 링크들에 속하는 두 개의 플랜지들(1n 및 1n+1)의 조립을 도시하고 있다.
조립 작업에서, 상기 플랜지들(1n 및 1n+1)은 유사한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두께 방향(y)으로 반대 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길이 방향의 측면들(35n 및 35n+1)이 정렬되고, 길이 방향의 측면들(37n 및 37n+1)이 정렬되며, 상기 제1 표면들(31n 및 31n+1)은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주된 평면들(81n 및 81n+1)은 일치한다. 상기 몸체(3n)와 힐들(5n)은 상기 베이스들(7n+1)과 정렬되는 반면, 몸체(3n+1)와 힐들(5n+1)은 베이스(7n)와 정렬된다. 조립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도 4에 표현된 상태로부터 도 5, 6 및 7에 표현된 상태로 가기 위해, 상기 플랜지들(1n 및 1n+1)은 공통 길이 방향(z)으로 서로를 향한 이동을 통해 상호 침투한다. 최종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4n)의 구멍(75n)은 제2 부분(4n+1)의 구멍(75n+1)과 정렬됨으로써, 회전축(400)을 형성하는 상기 로드(91)는 그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각각의 플랜지(1)를 위해, 제1 표면들(31 및 71)이 제1 표면들(31 및 37)에 접촉하는 상호 침투 조립은, 오점형 열(quincunx row)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하나의 링크(200)로부터 다른 하나로 상기 플랜지들(1)의 방향을 번갈아 바꿈으로써, 제1 부분들(2)은 제1 부분들(2)과 횡방향(y)으로 중첩되고 제2 부분들(4)은 제2 부분들(4)과 횡방향(y)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한편의 제1 부분들(2)의 측면들(15, 615, 715, 57, 657, 757)과 다른 한편의 제2 부분들(4)의 측면들(15, 615, 715, 57, 657, 757)은 다를 수 있으며 양립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이는 상기 플랜지(1)의 대칭적 특징의 예외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상기 측면들(15, 615, 715, 57, 657 및 757)의 형상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대칭이다. 상기 제1 부분들(2)의 전면들(55)과 상기 제2 부분들(4)의 전면들(55)은 서로에 대하여 지탱된다. 이들은 서로 양립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들(1n 및 1n+1)의 조립체의 두께는 플랜지(1)의 전체 두께, 즉 상기 몸체(3)의 두께(93)의 두 배와 일치한다.
두 개의 플랜지들(1n 및 1n+1)의 조립체는 기본적인 패턴(elementary pattern)을 형성하며, 이는 요구되는 길이의 체인(100)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 제조된다.
도 10에서, 상기 플랜지(1n)는 일측에서 플랜지(1n+1)에 조립되며, 반대측에서 플랜지(1n-1)에 조립된다. 도 11과 12에 도시된 만곡된 형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직선 형태로 가는 상기 체인(100)의 부분은, 세 개의 플랜지들(1)의 대응되는 측면들(15, 57)이 접촉해 있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없다. 그 다음에, 상기 측면들(15, 17)은 접한 표면들을 형성한다. 도 10, 11 및 12에서, 회전축들(400)을 형성하는 로드들(91)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체인(100)의 전개 작업 중에, 이동 요소를 밀기 위한 길이 방향(z)의 압축력으로 및/또는 상기 구멍들(75) 내에 배치된 로드들(91)을 통한 견인력으로 작동하기 위해, 상기 체인(100)은 감긴 형태 또는 적어도 만곡된 형태에서 직선 형태로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전개 중에, 상기 체인(10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체인(100)의 부분들, 상기 링크들(200)은 차례로 적어도 하나의 안내 구역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안내 구역, 예를 들어 한 세트의 레일들은, 직선 형태를 취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11과 1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 가기 위해, 상기 플랜지들(1)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강제한다.
그 다음에, 상기 플랜지들(1)은 두 배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 개의 층들로 정렬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층은 플랜지들(1n-4, 1n-2, 1n, 1n+2, 1n+4, 등)의 끝과 끝이 접촉함으로써 형성되고, 제2 층은 플랜지들(1n-3, 1n-1, 1n+1, 1n+3, 등)의 끝과 끝이 접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전면들(55n-1 및 55n+1)은 서로에 대해 지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들(1)은 전개가 진행됨에 따라 그들 각자의 전면들(55)을 통해 쌍쌍이 서로에 대해 밀리게 되고, 각자의 전면들(55)은 지탱 표면들을 형성한다. 상기 체인(100)의 링크들은 길이 방향(z)의 압축력으로 작동한다. 상기 체인(100)의 규모에서, 상기 압축력은 직선 상태에서 상기 체인(100)의 주된 방향(z)에 대해 직각인 두 개의 부분들로 분할되며, 상기 두 개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면(55)의 면적의 두 배에 대응된다.
첫째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체인(100)은 수평 또는 수직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에, 길이 방향(z)은 이 작동 방향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인(100)은 무거운 덩어리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체인(100)이 자체 무게 하에서 벤딩, 의도하지 않은 만곡을 견디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체인(100)의 무게는 너무 무겁다. 그래서, 특히 긴 이동 거리에 걸쳐 작동하기 위해서는 외부 지지체가 필요하다. 그래서 상기 체인(100)의 직선 부분은 적절한 구조체상에 놓이며,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체인은 병진 운동한다. 이 경우에, 니플들(11, 611, 711)의 존재와 측면들(57, 657, 757)과의 협동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플들(11, 611, 711)과 측면들(57, 657, 757) 사이의 협동은 상기 체인(100)의 링크들의 양호한 정렬의 유지를 향상시킨다.
둘째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체인(100)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에, 길이 방향(z)은 수직 방향과 대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체인(100)은 화물 엘리베이터의 플랫폼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플랫폼, 플랫폼이 지지하는 물품 및/또는 체인(100) 자체의 무게는 상기 체인(100)의 수직 부분에서 길이 방향(z)의 높은 압축력을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니플들(11, 611, 711)의 존재와 측면들(15, 57, 615, 657, 715, 757) 사이의 협동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가이드들은 수직 이동의 적어도 부분을 따른 체인(100)의 이동을 동반함으로써, 체인(100)의 좌굴 현상과 갑작스런 만곡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레일들(rails)이 상기 플랜지들(1)의 길이 방향 에지 표면(35) 및/또는 길이 방향 에지 표면(37)을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니플들(11, 611, 711)이 제공된 때, 이들이 개별의 측면들(57, 657, 757)과 협동하는 것은 체인(100)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는 것을 향상시킨다.
상기 체인(100)을 격납하는 작업 중에, 이동 방향은 전개 작업에 대해 역전된다. 상기 체인(100)은 베이스들(7)과 이들을 관통하는 로드들(91)에 의해 견인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베이스(7)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들 내에 배치된 로드들(91)에 의해 차례로 플랜지들(1)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체인(100)은 실용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동 거리가 길고 하중이 무거운 경우, 이러한 유형의 체인(100)은 좌굴(buckling)과 횡방향(y)으로의 벤딩에 대해 민감한 경향이 있다. 특히, 상기 플랜지들(1)의 연결부들(9)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체인(100)을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체인(100)은 원하지 않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이동 경로의 대부분에 걸쳐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체인(100)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복제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링크는, 베이스들(7)을 통과하는 공통 회전축들(400)을 형성하는 로드들(91)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유사한 플랜지들(1)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체인(100)은 평평한 형상보다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강도와 벤딩 저항력이 향상된다. 상기 체인(100)은 플랜지들(1)의 두 개의 열(row)을 가지며, 각각의 열은 서로 침투하는 두 개의 오점형 층들로 구성된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링크는 로드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유사한 플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2에 도시된 구성에서, 동일한 링크(200)의 플랜지들(1)의 쌍들은 횡방향(y)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쌍들은 비대칭적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예에서, 상기 플랜지들(1)은 시트 금속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들(1)은 일체형이다. 상기 플랜지들(1)은 리벳, 볼트 또는 너트 유형의 외부 고정구와 용접 또는 납땜 유형의 조인트들이 없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1)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일체형 부품들을 용접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아래의 단계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a) 시트 금속판에서 플랜지(1) 블랭크(blank)를 잘라내는(cropping) 단계,
b) 베이스들(7)을 힐들(5)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오프셋 하며 벤딩(bending), 예를 들어 이중 벤딩 또는 딤플링(dimpling)에 의해 상기 힐(5)을 베이스(7)에 연결하는 연결부들(9)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방법은 아래의 추가적인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c) 한편에는 상기 몸체(3)와 힐(5)을 다른 한편에는 베이스(7)를 평탄화(flattening) 및 평행하게 만드는 단계,
d) 기능적인 표면들, 예를 들어 힐들(5), 니플(11) 및 구멍들(75)의 기능적인 표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마무리하는 단계.
상기 잘라내는 단계(a) 중에 상기 플랜지(1)의 윤곽이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절단된다. 더욱이, 상기 구멍들(75)도 파내지며, 상기 니플(11)이 형성된다. 상기 잘라내는 단계의 끝에서, 상기 플랜지(1) 블랭크, 또는 플레이트는, 여전히 플레이트 형태로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단계(b) 중에, 상기 연결부들(9)의 형성은 플랜지(1) 블랭크가 최종 또는 유사-최종 형상으로 가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1) 블랭크의 두께는 시작 플레이트의 두께로부터 실질적으로 두 배의 전체 두께로 되며, 즉 상기 몸체(3)와 힐(5)의 두께(93)와 상기 베이스(7)의 두께(97)의 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체로부터 기계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플랜지(1)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의 요구되는 전체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 블랭크가 연속적인 재료의 제거 작업들을 겪을 수 있다. 상기 플랜지(1)의 오프셋은 두 부품들의 용접에 의해 또는 기계 용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플랜지(1)는 비금속,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플랜지(1)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오직 예로서 설명된 강성 체인 링크들과 강성 체인들의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구상할 수도 있는 모든 변형들을 포함한다.

Claims (14)

  1. 일측 및 반대측을 구비하는 주된 평면(main plane)(81)에 대해 직각인 일정한 두께(93, 97)의 직사각형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를 포함하는 강성 체인(100)(rigid chain)의 링크(200n)(link)로서,
    상기 플랜지(1)는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 부분(2) 및 제2 부분(4)은:
    - 상기 강성 체인(100)의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플랜지(1n-1; 1n+1)의 대응되는 힐(heel)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된 힐(5)(heel)로서, 각각의 힐(5)은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대응되는 표면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지향된 전면(55)(frontal surface)을 가지며, 상기 전면(55) 및 길이방향 에지 표면(35)은 서로 수직하며, 상기 전면(55)은 연속적인 평면이며 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힐(5); 및
    -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에 대한 회전축(400) 둘레에 베어링을 형성하도록 된 베이스(7)를 포함하며,
    상기 힐(5)과 베이스(7)는 상기 주된 평면(81)의 일측 및 반대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주된 평면(81)에 평행한, 강성 체인의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의 힐과 상기 제2 부분(4)의 힐(5)은 둘 다 상기 주된 평면(8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분(2)의 베이스(7)와 상기 제2 부분(4)의 베이스(7)는 둘 다 상기 주된 평면(8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강성 체인의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의 베이스(7)와 상기 제2 부분(4)의 베이스(7)는 상기 주된 평면(81)에 직각인 횡단면(83)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인, 강성 체인의 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체인(100)의 인접한 링크(200n-2, 200n-1, 200n+1, 200n+2)의 대응되는 표면들과 접촉하여 협동하도록 된 대응되는 형상들을 가진 표면(55, 15, 615, 715, 57, 657, 757)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2)의 힐(5)과 상기 제2 부분(4)의 힐(5)은, 접촉(abutting)에 의해 협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표면(55, 15, 615, 715, 57, 657, 757)들의 형상을 제외하고, 상기 주된 평면(81)에 직각인 횡단면(83)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대칭인, 강성 체인의 링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는 일체형(one piece)으로 형성되는, 강성 체인의 링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2) 및 상기 제2 부분(4) 중 적어도 하나의 힐(5)과 베이스(7)는 각각 상기 주된 평면(81)과 동일 평면인 표면(31; 71)을 가지는, 강성 체인의 링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는 제1 부분(2) 및 제2 부분(4) 사이에 몸체(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3)는 상기 힐(5)과 상기 베이스(7)를 서로 연결하는, 강성 체인의 링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의 제1 부분(2)과 제2 부분(4)은 각각 상기 힐(5)과 상기 베이스(7)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9)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9)는 시트 금속을 벤딩함으로써 형성되는, 강성 체인의 링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 내에 원형 구멍(75)이 형성되고, 상기 힐(5)과 상기 베이스(7) 사이에 공간(77, 79, 80)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77, 79, 80)은 상기 플랜지(1)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서 열려 있고 길이 방향 반대쪽 단부를 향해 상기 원형 구멍(75)의 중심을 넘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성 체인의 링크.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는,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대응되는 표면들에 대하여 접촉함으로써 상기 링크(200n)와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향된 측면(57, 657, 757, 15, 615, 715)들을 가지는, 강성 체인의 링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는 상기 주된 평면(81)의 상기 베이스(7)와 동일한 측면에 니플(nipple)(11; 611; 711)을 더 포함하며, 상기 힐(5)은 상기 측면 중 하나(57, 657, 757)를 포함하고, 상기 니플(11; 611; 711)은 상기 측면 중 다른 하나(15; 615; 715)를 가짐으로써, 상기 힐(5)의 측면(57; 657; 757)은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니플의 대응되는 측면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며, 상기 니플(11; 611; 711)의 표면(15; 615; 715)은 상기 인접한 링크(200n-1; 200n+1)의 힐의 대응되는 측면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는, 강성 체인의 링크.
  13. 하나의 링크(200n)의 플랜지(1)의 방향이 이전 링크(200n-1)와 다음 링크(200n+1)의 각각의 플랜지(1)의 방향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뒤바뀌도록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크를 교대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강성 체인(100)으로서, 각각의 링크(200n)는 상기 베이스(7)의 내부에 끼워진 로드(9)(rods)에 의해 이전 링크(200n-1) 및 다음 링크(200n+1)와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강성 체인.
  14.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링크(200n)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시트 금속에서 플랜지(1) 블랭크(blank)를 잘라내는(cropping) 단계, 및
    b) 상기 베이스(7)를 상기 힐(5)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오프셋하며, 벤딩(bending)에 의해 힐(5)을 베이스(7)에 연결하는 연결부(9)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크의 제조 방법.
KR1020187016997A 2015-11-16 2016-11-15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KR102664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0948A FR3043747B1 (fr) 2015-11-16 2015-11-16 Maillon de chaine rigide et chaine rigide equipee d'un tel maillon
FR1560948 2015-11-16
PCT/FR2016/052953 WO2017085389A1 (fr) 2015-11-16 2016-11-15 Maillon de chaîne rigide et chaîne rigide équipée d'un tel maill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42A KR20180093942A (ko) 2018-08-22
KR102664613B1 true KR102664613B1 (ko) 2024-05-10

Family

ID=5541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997A KR102664613B1 (ko) 2015-11-16 2016-11-15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378611B2 (ko)
EP (1) EP3377786B1 (ko)
JP (1) JP7037491B2 (ko)
KR (1) KR102664613B1 (ko)
CN (1) CN108884910B (ko)
AU (1) AU2016356909B2 (ko)
CA (1) CA3003918A1 (ko)
ES (1) ES2959620T3 (ko)
FR (1) FR3043747B1 (ko)
WO (1) WO2017085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3747B1 (fr) * 2015-11-16 2017-12-22 Serapid France Maillon de chaine rigide et chaine rigide equipee d'un tel maillon
FR3072374B1 (fr) 2017-10-17 2022-12-30 Serapid France Dispositif elevatoire par poussee
TW201946354A (zh) * 2018-04-26 2019-12-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伸縮調整器
FR3082762B1 (fr) 2018-06-25 2021-05-21 Serapid France Dispositif d'intervention dans une enceinte
US20230092086A1 (en) * 2021-09-23 2023-03-23 Jefferson Romais Extendable and retractable support structure
US11787069B2 (en) * 2021-11-01 2023-10-17 Oliver Crispin Robotics Limited Insertion tool with flexible sp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12303A1 (en) * 2009-09-30 2011-04-14 Azuma Design Pty Limited A chai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42350A (ko) * 1964-01-10 1964-01-31 Compagnie Des Transmissions Mecaniques Seine-Doubs-Isere
US2219125A (en) * 1939-09-05 1940-10-22 Morse Chain Co Transmission chain
US2574657A (en) * 1945-10-23 1951-11-13 Harold C Pierce Flexible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US3672237A (en) * 1969-09-29 1972-06-27 Tony Nagin Load supporting chain and sprocket supporting structure therefor
FR2134196B1 (ko) 1971-04-26 1975-04-18 Haut Rhin Manufacture Machines
US3719291A (en) * 1971-07-28 1973-03-06 Simmonds Precision Products Diffusion furnace loader
GB1534726A (en) 1976-03-23 1978-12-06 Teleflex Morse Ltd Chains
JPS59179810U (ja) * 1983-05-17 1984-12-01 大同工業株式会社 押送りチエ−ンにおけるリンクプレ−ト
JPS60172429A (ja) * 1984-02-17 1985-09-05 Aioi Seiki Kk 加工機械の工具等の片折れチエン式流体圧シリンダ駆動形押引操作装置
FR2573832B1 (fr) 1984-11-23 1991-10-04 Serapid France Chaine de poussee
IT222350Z2 (it) * 1990-11-06 1995-02-17 Ultraflex Srl Attuatore servomeccanico a catena per la chiusura e l'apertura di serramenti
JP3421433B2 (ja) 1994-08-08 2003-06-30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3035213U (ja) 1996-08-29 1997-03-11 イグスジャパン株式会社 チェーン式ケーブル保持装置
FR2786476B1 (fr) 1998-11-30 2001-02-23 Serapid France Colonne elevatrice de charges
CN1219147C (zh) * 2002-11-06 2005-09-14 董祥义 一种链条及其应用
US7621078B2 (en) * 2005-01-20 2009-11-24 Drs Sustainment Systems, Inc. Telescoping mast having variable height locking and a chain erection mechanism with a cable management system
US7739762B2 (en) * 2007-10-22 2010-06-22 Mizuho Orthopedic Systems, Inc. Surgery table apparatus
US8069954B2 (en) * 2007-07-26 2011-12-06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Self erecting zipper lift
JP4662507B1 (ja) * 2009-11-05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US8336286B2 (en) * 2010-02-10 2012-12-25 Prince Castle LLC Push chain with a bias spring to prevent buckling
US8904722B2 (en) * 2013-03-14 2014-12-09 Nathan H. Smith Structures with interlocking components
CN204025533U (zh) * 2014-08-02 2014-12-17 徐光昕 传动链柱的链块单元件
US9970517B2 (en) * 2015-07-28 2018-05-1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Satellite boom hinge actuator using drive chain with flexible and rigid characteristics
FR3043747B1 (fr) * 2015-11-16 2017-12-22 Serapid France Maillon de chaine rigide et chaine rigide equipee d'un tel maillon
TW201946354A (zh) * 2018-04-26 2019-12-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伸縮調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12303A1 (en) * 2009-09-30 2011-04-14 Azuma Design Pty Limited A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59620T3 (es) 2024-02-27
JP2018536131A (ja) 2018-12-06
AU2016356909A1 (en) 2018-06-07
AU2016356909B2 (en) 2020-12-24
CN108884910B (zh) 2021-03-23
WO2017085389A1 (fr) 2017-05-26
FR3043747B1 (fr) 2017-12-22
US20190264777A1 (en) 2019-08-29
US10378611B2 (en) 2019-08-13
EP3377786A1 (fr) 2018-09-26
JP7037491B2 (ja) 2022-03-16
CA3003918A1 (fr) 2017-05-26
FR3043747A1 (fr) 2017-05-19
EP3377786B1 (fr) 2023-07-19
CN108884910A (zh) 2018-11-23
US11530735B2 (en) 2022-12-20
US20180372185A1 (en) 2018-12-27
KR20180093942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613B1 (ko) 강성 체인 링크 및 이러한 링크를 구비한 강성 체인
US1153512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ower rail of seat slider device
US10994783B2 (en) Metal part with controlled deformation orientation
CN102042363A (zh) 环链
JP6622645B2 (ja) 航空機胴体組立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3127626B1 (en) Bending device for metallic plate
TW201544732A (zh) 3d推拉式鍊條
JP5966617B2 (ja) 閉断面構造体の成形方法及び閉断面構造体の成形装置
CN106276558A (zh) 自动扶梯/自动人行道模块化桁架及对其组装的方法
KR101381457B1 (ko) 치합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CN107206952B (zh) 具有凹陷的空心型材
CN109996621B (zh) 用于制造平环链的方法
WO20141161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rrugated metal plate, corrugated metal plates and construction part
US20210269098A1 (en) Joined body
CN104507831A (zh) 带有轴承保持器的输送带模块
KR20160106585A (ko) 제한된 굽힘각을 갖는 금속 빔
JP2011195213A (ja) 乗客コンベア
JP2014234313A5 (ko)
KR20080075834A (ko) 플레이트 링크 체인
US20190234485A1 (en) Splice system for conveyor belt
JP5864374B2 (ja) 噛合チェーン式進退作動装置
JP2010173797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の検査治具
US1715094A (en) Conveyer chain
IE41970B1 (en) Chain link for conveyor chain
JP5901377B2 (ja) 噛合チェー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