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834A - 플레이트 링크 체인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링크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834A
KR20080075834A KR1020087006871A KR20087006871A KR20080075834A KR 20080075834 A KR20080075834 A KR 20080075834A KR 1020087006871 A KR1020087006871 A KR 1020087006871A KR 20087006871 A KR20087006871 A KR 20087006871A KR 20080075834 A KR20080075834 A KR 2008007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k
plate
pressure member
link chain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077B1 (ko
Inventor
스테판 펜너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7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4Toothed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2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chains or toothed belts, belts in the form of links; Chains or belts specially adapted to such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부재(3)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플레이트 링크(1, 19)를 구비한, 특히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력 부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고, 플레이트 링크(1, 19)의 개구(2)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부재와 플레이트 링크에는 각각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접지면들(7, 8, 9, 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면들을 따라 압력 부재 및 플레이트 링크가 힘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고, 상기 접지면들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압력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접촉면 영역(4) 및 하부 접촉면 영역(6)에서 압력 부재(3)와 플레이트 링크 사이(1, 19)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 링크들의 개구(2)는 상기 접지면들(8과 10)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었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 플레이트 링크

Description

플레이트 링크 체인 {PLATE LINK CHAIN}
본 발명은 압력 부재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플레이트 링크를 구비한, 특히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압력 부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고,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부재와 플레이트 링크에는 각각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접지면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면들을 따라 압력 부재 및 플레이트 링크가 힘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고, 상기 접지면들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압력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접촉면 영역에서 압력 부재와 플레이트 링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본 발명의 출원인으로부터 유래하는 비공개 특허 출원서 DE 10 2005 054 714.1호를 참조하여 공지되어 있다.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예를 들어 원추형 풀리 벨트 트랜스미션에 인장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인은 상호 떨어져 배치된 두 쌍의 원추형 풀리들 사이에서 순환하고, 구동 모터로부터 유래하는 구동 모멘트를 압력 부재와 원추형 풀리 쌍들 사이의 마찰 결합을 통해서 전달한다. 이때 압 력 부재가 체인 면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하는 작동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소위 음향적 임의화(randomization)를 목적으로 각각 두 개의 짧은 플레이트 링크 및 두 개의 긴 플레이트 링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짧은 플레이트 링크와 긴 플레이트 링크를 가지며, 더 나아가서는 그 중에서 소위 중첩 코너를 갖거나 또는 소위 꺾임 안전 코너를 갖는 플레이트 링크들도 각각 기본 링크 당(per) 사용된다.
상기 중첩 코너가 통상적으로는 짧은 플레이트 링크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웃 부재가 긴 플레이트 링크를 갖는 경우에는 다음 다음번 (the one after the next)부재의 링크와 중첩되는 부분이 올바른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작동 중에 회전 방향 전환되고, 상기 회전 방향 전환시에는 각각의 체인 그룹(lump)이 길게 늘어진 위치로부터 꺾여진 위치로 변환된다. 또한, 기어 조립시에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서 조종 조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조종 조작의 경우에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내부로뿐만 아니라 외부로도 꺾일 위험이 존재한다. 이때 짧은 플레이트 링크에 설치된 중첩 코너는, 플레이트 링크들의 중첩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리고 플레이트 링크들의 미끄러짐 및 끼임 현상이 피해지도록 해준다.
전술된 음향적 임의화를 위하여 플레이트 링크들에 상이한 피치 시퀀스가 제공됨으로써, 긴 플레이트 링크들도 직접 연속할 수 있다. 이때 긴 플레이트 링크들에 제공된 꺾임 안전 코너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내부로 꺾이는 현상 그리고 그로 인하여 조립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취급 도중에 압력 부재가 휘어지는 현상이 피해지도록 해준다. 말하자면, 예정된 꺾임 각도를 초과하여 꺾인 플레이트 링 크 체인은 이하에서 롤링 압력 부재로서도 언급될 수 있는 압력 부재의 휨에 의하여, 상기 압력 부재가 설치된 원추형 풀리 벨트 트랜스미션의 조기 고장을 야기할 수도 있다.
짧은 또는 긴 플레이트 링크들의 각각 한 측면에 제공된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는, 상기와 같은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를 갖는 플레이트 링크들이 방향 설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다시 말해 상기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가 계속해서 한 가지 방향으로 보이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제조시에 진동 이송기에 의해서 이송되는 플레이트 링크들이 자신의 위치 방향 설정과 관련하여 검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류되어야만 하며, 다시 말해 상기 진동 이송기의 저장 용기 내부로 역으로 이송되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플레이트 링크들이 네 가지 가능한 위치들 중에서 단 한 가지 위치에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가 제공된 플레이트 링크들은 상기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가 없는 상응하는 기본 링크들과 다른 공구에 의해서도 제조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구성 및 제조시에 구조적인 복잡성 및 비용적인 지출이 감소 될 수 있도록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더 신속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발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추가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 부재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플레이트 링크를 구비한, 특히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을 제안하며, 이 경우 압력 부재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고,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부재와 플레이트 링크에는 각각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접지면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면들을 따라 압력 부재 및 플레이트 링크가 힘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고, 상기 접지면들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압력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접촉면 영역에서 압력 부재와 플레이트 링크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 링크들의 개구는 플레이트 링크의 접지면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플레이트 링크들은 롤링 압력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플레이트 링크들의 접지면들 사이에 있는 영역은 상기 개구의 가상의 중심점 쪽 방향으로 내부로 향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플레이트 링크의 각각의 상부 또는 하부 접지면들이 상기 개구의 중심점으로부터 관찰할 때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면, 플레이트 링크들의 두 개의 접지면들 사이에 있는 개구의 영역은 내부로 향하고 있는, 다시 말해 상기 개구의 중심점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곡률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로 구부러진 형태로 진행하는 접지면과 내부로 구부러진 형태로 진행하는 면 사이의 영역에서는 변환 영역 또는 중간 영역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압력 부재는 상기 압력 부재의 접지면들 사이의 영역에서는 내부로 향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압력 부재의 가상의 중심점 방향으로 관찰할 때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접지면들 사이의 압력 부재의 영역은,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 안에 배치된 롤링 압력 부재의 경우에는,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링크의 두 개의 접지면들 사이의 영역에 마주하여 배치된다.
그로 인해 압력 부재들은 압력 부재 중심점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압력 부재의 접지면 영역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예정된 꺾임 각도를 초과하여 꺾인 경우에는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볼록한 만곡부와 그리고 오목한 만곡부 사이의 변환 영역과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압력 부재의 접지면에 이웃하는 변환 영역과 상기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의 볼록한 만곡부와 오목한 만곡부 사이의 변환 영역 사이에서는 접촉이 야기되며, 이 경우에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를 통해서는 압력 부재가 규정된 사용시에 플레이트 링크 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비틀어질 가능성이 없어진다.
심지어 조립시에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부적절하게 취급되는 경우에도, 말하자면 압력 부재의 변환 영역이 플레이트 링크의 변환 영역에 인접하여 진행함으로써,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내부로 또는 외부로, 예정된 꺾임 각도를 초과해서 꺾일 수 있다.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이웃하는 또는 다음 다음번 부재들의 상호 미끄러짐 현상 및 끼임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야만 된다는 요구에 적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개구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링크의 바디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의 접지면들 사이의 영역에 상기 개구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연장부 또는 코너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 또는 코너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링크들에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들의 코너에 인접할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다시 말해, 코너로서도 언급될 수 있는 상기 연장부는, 이 연장부가 다음 다음번 플레이트 링크의 상응하는 코너와 중첩됨으로써, 플레이트 링크가 꺾여진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중첩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 다른 경우에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는 - 플레이트 링크들의 상호 미끄러짐 현상 및 상호 끼임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에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상기와 같은 연장부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각각 중첩 코너 또는 꺾임 안전 코너가 있거나 또는 없는 두 가지 플레이트 링크 타입 대신에, 다시 말해 네 가지 상이한 플레이트 링크 타입 대신에,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두 가지 이상의 플레이트 링크 타입이 제공됨으로써,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비해, 예를 들어 천공 공정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링크의 제조를 위해서는 네 개 이상의 공구가 필요치 않고, 오히려 단지 두 개 이상의 공구만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플레이트 링크들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제조시에 예를 들어 진동 이송기에 의해서 이송될 필요가 없으며, 플레이트 링크들이 네 가지 가능한 위치들 중에서 두 가지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체인당 동일한 개수의 링크 타입이 가정된 경우에 상기 진동 이송기의 평균 생산량은 공지된 네 가지 플레이트 링크 타입에 비해 33%만큼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 안에 배치된 롤링 압력 부재를 구비한 플레이트 링크의 평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짧은 플레이트 링크가 사용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긴 플레이트 링크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짧은 플레이트 링크 2: 개구
3: 압력 부재 4: 상부 접촉면 영역
5: 바디 6: 하부 접촉면 영역
7: 압력 부재의 상부 접지면
8: 바디의 상부 접지면
9: 압력 부재의 하부 접지면
10: 바디의 하부 접지면
11: 개구의 중심점 12: 압력 부재의 중심점
13: 바디의 중간 영역 14: 압력 부재의 중간 영역
15: 압력 부재의 상부 변환 영역
16: 플레이트 링크의 상부 변환 영역
17: 압력 부재의 하부 변환 영역
18: 플레이트 링크의 하부 변환 영역
19: 긴 플레이트 링크 20: 연장부
도 1은 짧은 플레이트 링크(1)를 평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개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링크의 개구(2) 안에 두 쌍의 압력 부재 대신에 단 하나의 압력 부재(3)만이 배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압력 부재(3)와 플레이트 링크(1)의 바디(5) 사이에 있는 상부 접촉면 영역(4)에서는 압력 부재(3) 상에 뿐만 아니라 바디(5) 상에도 접지면(7, 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면들을 따라 압력 부재(3) 및 플레이트 링크(1)가 힘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한다.
그와 유사하게, 압력 부재(3)와 플레이트 링크(1) 사이에 있는 하부 접촉면 영역(6)에서도 압력 부재(3) 상에는 접지면(9)이 그리고 바디(5) 상에는 접지면(10)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2)의 중심점(11)을 기준으로 볼 때 바디(5)의 상부 접지면(8) 뿐만 아니라 하부 접지면(10)도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다시 말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었다.
그와 유사하게, 압력 부재(3)의 상부 접지면(7)뿐만 아니라 하부 접지면(9)도 압력 부재(3)의 중심점(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었다.
그와 달리 개구(2)는 상기 바디(5)의 상부 접지면(9)과 하부 접지면(10) 사이에서, 즉 중간 영역(13)에서는 상기 개구(2)의 중심점(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었고, 상기 중간 영역(13)에 할당된 상기 압력 부재(3)의 중간 영역(14)도 또한 상부 접지면(7)과 하부 접지면(9) 사이의 영역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 부재(3)에서 접지면(7)과 중간 영역(14) 사이에는 상부 변환 영역(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5)의 측면에서는 상부 접지면(8)과 중간 영역(13) 사이에 있는 상부 변환 영역(16)이 상기 상부 변환 영역과 마주 보고 있다.
짧은 플레이트 링크(1)와 긴 플레이트 링크(19)(도 2)로부터 형성된 플레이크 링크 체인이 도 1에 따른 화살표(F)의 방향으로 꺾임 부하를 받으면, 다시 말해 길게 늘어진 체인 그룹으로부터 관찰할 때 내부 방향으로 꺾이면, 압력 부재(3)의 상부 변환 영역(15)이 플레이트 링크(1)의 상부 변환 영역(16)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예정된 꺾임 각도 이상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내용과 유사하게, 짧은 플레이트 링크(1) 및 긴 플레이트 링크(19)로부터 형성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도 1에 따른 화살표(P)의 방향으로 예정된 꺾임 각도 이상으로 편향되면, 중간 영역(14)과 하부 접지면(9) 사이에 형성된 상기 압 력 부재(3)의 하부 변환 영역(17)이 상기 바디(2)의 중간 영역(13)과 상기 바디(2)의 하부 접지면(10) 사이에 형성된 하부 변환 영역(18)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압력 부재(3)의 하부 변환 영역(17)과 플레이트 링크(1)의 하부 변환 영역(18) 사이의 결합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예정된 꺾임 각도 이상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 다시 말해 외부로 꺾여질 수 없도록 해준다.
도 2는 개구(2) 안에 배치된 단 하나의 압력 부재(3)를 갖는 긴 플레이트 링크(19)를 보여준다. 도면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긴 플레이트 링크(19)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A)으로 관찰할 때 세로 연장부가 더 크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짧은 플레이트 링크(1)와 상이하고, 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짧은 플레이트 링크와 함께 음향적인 임의화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긴 플레이트 링크가 된다. 상기 긴 플레이트 링크(19)의 바디(5) 상에서뿐만 아니라 상기 짧은 플레이트 링크(1)의 바디(5) 상에서도, 상기 플레이트 링크(1, 19)의 양단부에는 연장부(20)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 링크들이 미끄러지지 않게 그리고 끼이지 않게 하는 중첩 코너로서 작용을 하며, 그와 더불어 상기 연장부 또는 코너(20)와 다음 다음번 체인 부재의 연장부 또는 코너(20)의 중첩 작용으로 인하여 플레이트 링크(1, 19)의 미끄러짐 현상 및 끼임 현상을 예방해줄 수 있는 오버래핑(overlapping) 작용에 도달하게 된다.
공지된 플레이트 링크 체인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링크 체인은 단지 상기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상이한 길이의 다수의 플레이트 링 크 타입들만을 참조하여, 짧은 플레이트 링크(1) 및 긴 플레이트 링크(19)에 따라 형성된다. 두 개의 짧은 또는 긴 플레이트 링크 타입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 같은 네 개의 공구들 대신에 단지 두 개 이상의 공구들만이 필요하고, 플레이트 링크들이 자동 제조시에는 예를 들어 진동 이송기에 의해서, 지금까지와 같이 가능한 네 가지 위치들 중에서 단 하나의 위치에서만 사용되는 대신에 가능한 네 가지 위치들 중에서 두 가지 위치에서만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진동 이송기의 평균 생산율은 확연하게 상승할 수 있다.
앞에서 세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들과 관련해서는, 청구범위 및 도면이 참조 될 수 있다.

Claims (6)

  1. 압력 부재(3)를 통해 관절 형태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플레이트 링크(1, 19)를 구비한, 특히 차량 구동 장치용 플레이트 링크 체인으로서,
    상기 압력 부재(3)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진행하고, 플레이트 링크(1, 19)의 개구(2)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부재(3)와 플레이트 링크(1, 19)에는 각각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접지면들(7, 8, 9, 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면들을 따라 압력 부재(3) 및 플레이트 링크(1, 19)가 힘 전달을 목적으로 상호 인접하고, 상기 접지면들(7, 8, 9, 10)은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압력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접촉면 영역(4) 및 하부 접촉면 영역(6)에서 압력 부재(3)와 플레이트 링크 사이(1, 19)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링크들(1, 19)의 개구(2)는 상기 접지면들(8과 10)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부재(3)는 상기 접지면들(7과 9)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는 내부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2)를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의 바디(5)는 상기 접지면들(8과 10) 사이에 있는 영역에 상기 개구(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연장부(20)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링크들(1, 19)에 인접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5)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양단부에 연장부(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부재(3)는 압력 부재 중심점(12)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접지면(7, 9)의 영역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플레이트 링크 체인이 예정된 꺾임 각도를 초과하여 꺾인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 링크(1, 19)의 지지면들(8과 10) 사이에서 내부로 향하도록 구부러진 영역(13)과 상기 플레이트 링크(1, 19)의 접지면(8, 10) 사이에 형성된 변환 영역(16, 18)에서, 상기 압력 부재(3)의 접지면들(7과 9) 사이에 있는 오목한 영역과 상기 볼록한 영역 사이에 형성된 변환 영역(15, 17)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링크 체인의 진행 방향으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두 가지 플레이트 링크 타입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링크 체인.
KR1020087006871A 2005-12-13 2008-03-21 플레이트 링크 체인 KR101392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9409 2005-12-13
DE102005059409.3 2005-12-13
PCT/DE2006/002053 WO2007068228A1 (de) 2005-12-13 2006-11-22 Laschenk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834A true KR20080075834A (ko) 2008-08-19
KR101392077B1 KR101392077B1 (ko) 2014-05-07

Family

ID=3781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71A KR101392077B1 (ko) 2005-12-13 2008-03-21 플레이트 링크 체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63708A1 (ko)
JP (1) JP5261719B2 (ko)
KR (1) KR101392077B1 (ko)
CN (1) CN101331342B (ko)
DE (1) DE112006003067A5 (ko)
WO (1) WO2007068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1896A1 (de) * 2014-03-05 2015-09-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nkette
US10295016B2 (en) 2014-12-17 2019-05-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te link chain
DE102019104177A1 (de) * 2019-02-19 2020-08-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VT-Laschenkette mit geschickter Anlage zwischen Druckstück und Lasche
DE102019109537A1 (de) * 2019-04-11 2020-10-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sche für eine Laschenkette
DE102019114950B4 (de) * 2019-06-04 2021-04-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nzteil zur Weiterverarbeitung zu einer Lasche für eine Laschenket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60317D1 (en) * 1981-03-10 1984-08-09 Varitrac Ag Transmission chain
DE3129631C2 (de) * 1981-07-28 1983-12-08 P.I.V. Antrieb Werner Reimers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US4708701A (en) * 1986-09-08 1987-11-24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belt
US5167587A (en) * 1991-06-24 1992-12-01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Chain-belt
JP2001234982A (ja) * 2000-02-24 2001-08-31 Borg Warner Automotive Kk 動力伝達用チェーンベルト
NL1023120C2 (nl) * 2002-04-10 2006-04-25 Luk Lamellen & Kupplungsbau Werkwijze voor het optimaliseren van schakels van een schakelketting alsmede schakels voor een schakelketting.
JP2005226831A (ja) * 2004-01-14 2005-08-25 Koyo Seiko Co Ltd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US20050187057A1 (en) * 2004-01-14 2005-08-25 Koyo Seiko Co., Ltd.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same
JP2005337325A (ja) * 2004-05-25 2005-12-08 Equos Research Co Ltd 伝動用無端ベルト
KR101181654B1 (ko) * 2004-12-02 2012-09-19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특히 차량 구동부를 위한 평평한 관절식 링크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9409A (ja) 2009-05-14
DE112006003067A5 (de) 2008-09-11
JP5261719B2 (ja) 2013-08-14
CN101331342A (zh) 2008-12-24
WO2007068228A1 (de) 2007-06-21
CN101331342B (zh) 2011-04-13
KR101392077B1 (ko) 2014-05-07
EP1963708A1 (de)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106A (en) Power transmission chain
JP2632656B2 (ja) 動力伝達用チェーン,ガイドリンクおよび動力伝達用チェーンの製造方法
KR101392077B1 (ko) 플레이트 링크 체인
US7306532B2 (en) Transmission chain
EP2053270B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0619705B2 (en) Belt means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belt means
US7007451B2 (en) Method of making a toothed chain with wear-reducing chain joints
US7976418B2 (en) Plate-link chain
US8366576B2 (en) Toothed chain, in particular for a vehicle drive
US7107754B2 (en) Chain in particular a hoist chain
CN106068408B (zh) 板链
KR20080077349A (ko) 플랫 링크 체인
KR101267203B1 (ko) 콘 풀리 무단 변속기용 관절형 체인
KR20080077377A (ko) 특히 차량 구동부를 위한 링크 플레이트 체인
EP3257793B1 (en) Conveyor belt
CN101517263B (zh) 平环链和链接片以及该平环链的应用
EP0911541B1 (en) Driving belt for fixed ratio transmission
JP2015537177A (ja)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CN101346558B (zh) 用于车辆驱动装置的平环链
US20220170529A1 (en) Pressure piece with an optimised thickness ratio, and plate-link chain comprising a pressure piece
US20240010435A1 (en) Chain link, plate-link chain and chain conveyor
CN113544406A (zh) 具有不同高度的平环的平环链
GB2334081A (en) Drive chain, especially for use in mining machines
JPS62258241A (ja) Vベルト
CN118062486A (zh) 链条以及链条与链轮组成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