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832B1 -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 Google Patents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832B1
KR102663832B1 KR1020197037162A KR20197037162A KR102663832B1 KR 102663832 B1 KR102663832 B1 KR 102663832B1 KR 1020197037162 A KR1020197037162 A KR 1020197037162A KR 20197037162 A KR20197037162 A KR 20197037162A KR 102663832 B1 KR102663832 B1 KR 10266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lte
co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591A (ko
Inventor
구-천 이
아빈드 브이. 산타남
레자 샤히디
스리니바산 바라수브라마니안
아지즈 골미에
오론조 플로레
하리스 지시모폴로스
제라르도 지아레타
술리 자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UE(user equipment)가 특정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표시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0001] 본 출원은 2017년 5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508,834호,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516,537호 및 2017년 6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520,35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로써 이 문헌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0002]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E(user equipment)가 NR(New Radio)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voice),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널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컨대, 시간, 주파수, 및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로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UE(user equipment)로서 달리 알려져 있을 수 있는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각각 지원하는 다수의 BS(base st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4] 확장된 연결에 대한 늘어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무선 통신 기술들 또는 RAT들은 LTE 기술로부터 차세대 NR(new radio)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NR은 LTE보다 더 낮은 레이턴시 및 더 높은 대역폭 또는 쓰루풋을 제공할 수 있다. 개선된 NR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하나의 접근법은 LTE 네트워크 내에 NR 네트워크를 배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NR 네트워크는 커버리지 영역들이 중첩되도록 LTE 네트워크 위에 오버레이될 수 있으며, 여기서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는 중첩 스펙트럼들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LTE와 NR 사이의 공존 및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중요할 수 있다.
[0005] 다음은, 논의된 기술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몇몇 양상들을 요약한다. 이러한 개요는, 본 개시내용의 고려되는 모든 특징들의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며, 본 개시내용의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들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요약 형태로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6]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예시적인 무선 통신 방법은 제2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07]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은 제2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시스템은 또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는 UI(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UI는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0008]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2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장치는 또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09]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양상에서, 프로그램 코드가 레코딩되어 있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제2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0010]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을 검토할 시에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아래의 특정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대해 설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유리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소정의 유리한 특성들을 갖는 것으로 논의될 수 있지만, 그러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또한, 본원에서 논의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예들로서 아래에서 논의될 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011]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0012]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다.
[0013]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user equipment)의 블록도이다.
[0014]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15]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16]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속 이중 연결 설정들에 대한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17]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18]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19]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20]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을 예시한다.
[0021]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BS(base station)의 블록도이다.
[0022]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0023]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원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도록 의도되진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위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4]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이를테면,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이란 용어들은 종종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A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 이를테면, 차세대(예컨대, mmWave 대역들에서 동작하는 5 세대(5G))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0025] 본 출원은 UE(user equipment)가 NR(new radio)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는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네트워크(100)는 BS들(105), UE들(115) 및 코어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0)는 공유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한다. 공유 스펙트럼은 라이센스가 없거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에게 부분적으로 라이센스가 허가될 수 있다.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는 제한될 수 있고 별개의 조절 엔티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0)는 LTE 또는 LTE-A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0)는 mmW(millimeter wave) 네트워크, NR(new radio)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또는 LTE에 대한 임의의 다른 후속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하나 초과의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무선 자원들은 네트워크(100)를 통한 네트워크 운영자들 간의 조절된 통신을 위해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들 사이에서 파티셔닝되고 중재될 수 있다.
[0026] BS들(105)은 하나 이상의 BS 안테나들을 통해 UE들(115)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BS(105)는 각각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존하여, BS의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BS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BS(105)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넓은 지리적 영역(예컨대,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하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펨토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컨대, 홈(home))을 또한 커버할 수 있으며,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에 부가하여, 펨토 셀과의 연관(association)을 갖는 UE들(예컨대, CSG(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약된 액세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BS는 매크로 BS로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BS는 피코 BS로서 지칭될 수 있다. 펨토 셀에 대한 BS는 펨토 BS 또는 홈 BS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S들(105a, 105b 및 105c)은 각각 커버리지 영역들(110a, 110b 및 110c)에 대한 매크로 BS들의 예들이다. BS들(105d)은 커버리지 영역(110d)에 대한 피코 BS 또는 펨토 BS의 예이다. 인지될 바와 같이, BS(105)는 하나 또는 다수(예컨대,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27] 네트워크(100)에 도시된 통신 링크들(125)은 UE(115)로부터 BS(105)로의 업링크(UL) 송신, 또는 BS(105)로부터 UE(115)로의 다운링크(DL)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115)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각각의 UE(115)는 고정식일 수 있거나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UE(115)는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UE(115)는 또한,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 개인 전자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IoE(Internet of Everything) 디바이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가전기기, 자동차 등일 수 있다.
[0028] BS들(105)은 코어 네트워크(130)와 그리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30)는 사용자 인증, 액세스 인가, 추적, IP(Internet Protocol) 연결 및 다른 액세스, 라우팅 또는 이동성(mobility)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BS들(105)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eNB(evolved NodeB), 차세대 NodeB(next generation NodeB; gNB) 또는 ANC(access node controller)의 예일 수 있음)는 백홀 링크들(132)(예컨대, S1, S2 등)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30)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UE들(115)과의 통신을 위해 라디오 구성 및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BS들(105)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일 수 있는 백홀 링크들(134)(예컨대, X1, X2 등)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0029] 각각의 BS(105)는 또한 다수의 다른 BS들(105)을 통해 다수의 UE들(115)과 통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BS(105)는 스마트 라디오 헤드의 예일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각각의 BS(105)의 다양한 기능들은 다양한 BS들(105)(예컨대, 라디오 헤드들 및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들)에 걸쳐 분산되거나 단일 BS(105)로 통합될 수 있다.
[0030]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100)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고, UL 상에서는 SC-FDM(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톤(tone)들, 빈(bin)들 등으로 일반적으로 또한 지칭되는 다수(K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시스템 대역폭을 분할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SC-FDM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 있으며,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대역폭은 서브대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0031] 실시예에서, BS들(105)은 네트워크(100)에서의 DL 및 UL 송신에 대한 (예컨대, 시간-주파수 자원 블록들의 형태의) 송신 자원들을 할당 또는 스케줄링할 수 있다. DL은 BS(105)로부터 UE(115)로의 송신 방향을 지칭하는 반면, UL은 UE(115)로부터 BS(105)로의 송신 방향을 지칭한다. 통신은 라디오 프레임들의 형태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은 복수의 예컨대, 약 10개의 서브프레임들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예컨대, 약 2개의 슬롯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최소(min)-슬롯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FDD(frequency-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시성 UL 및 DL 송신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UL 주파수 대역의 UL 서브프레임 및 DL 주파수 대역의 DL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TDD(time-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 UL 및 DL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 기간들에 발생한다. 예컨대, 라디오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들의 일 서브세트(예컨대, DL 서브프레임들)는 DL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라디오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들의 다른 서브세트(예컨대, UL 서브프레임들)는 UL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32] DL 서브프레임들 및 UL 서브프레임들은 추가로 여러 구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DL 또는 UL 서브프레임은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송신들을 위한 미리 정의된 구역들을 가질 수 있다. 기준 신호들은 BS들(105)과 UE들(115)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미리 결정된 신호들이다. 예컨대, 기준 신호는 미리 정의된 시간 및 미리 정의된 주파수에 각각 포지셔닝되는 특정 파일럿 패턴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파일럿 톤들은 동작 대역폭 또는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예컨대, BS(105)는 UE(115)가 DL 채널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들 및/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들을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115)는 BS(105)가 UL 채널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자원 할당들 및 프로토콜 제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프로토콜 데이터 및/또는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BS들(105) 및 UE들(115)은 자족(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자족 서브프레임은 DL 통신을 위한 부분 및 UL 통신을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족 서브프레임은 DL 중심 또는 UL 중심일 수 있다. DL 중심 서브프레임은 UL 통신 보다 DL 통신에 대해 더 긴 지속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UL 중심 서브프레임은 UL 통신 보다 UL 통신에 대해 더 긴 지속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0033]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0)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UE(115)는 BS(105)로부터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검출함으로써 초기 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PSS는 기간 타이밍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섹터 아이덴티티 값(예컨대, 0, 1, 2 등)을 표시할 수 있다. UE(115)는 그 후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할 수 있다. SSS는 라디오 프레임 동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셀 아이덴티티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를 식별하기 위해 PSS 아이덴티티 값과 결합될 수 있다. SSS는 또한 듀플렉싱 모드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의 검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SS 및 SSS 둘 모두는 각각 캐리어의 중앙 부분에 로케이팅할 수 있다. PSS 및 SSS를 수신한 후, UE(115)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서 송신될 수 있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을 수신할 수 있다. MIB는 시스템 대역폭 정보, SFN(system frame number) 및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MIB를 디코딩한 후, UE(115)는 하나 이상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SIB1은 셀 액세스 파라미터 및 다른 SIB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IB1의 디코딩은 UE(115)가 SIB2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SIB2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 페이징, PUCCH(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력 제어, SRS 및 셀 바링(cell barring)과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figuration)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IB 및/또는 SIB들을 획득한 후, UE(115)는 BS(105)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을 설정한 후, UE(115) 및 BS(105)는 정상 동작 단계에 진입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0034]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들(115) 및 BS들(105)은 다수의 네트워크 운영자들 또는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라이센스 허가된 또는 라이센스 없는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 있는 공유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공유 스펙트럼은 조절된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들 사이에서 공유하기 위해 시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100)에서, BS(105a) 및 UE(115a)는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와 연관될 수 있는 반면, BS(105b) 및 UE(115b)는 다른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와 연관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들에 따라 공유 스펙트럼을 시분할함으로써, BS(105a)와 UE(115a) 사이의 통신들 및 BS(105b)와 UE(115b) 사이의 통신들은 각각의 시간 기간들 동안 각각 발생할 수 있고, 지정된 공유 스펙트럼 전체 그 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0035]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100)는 상이한 RAT 기술들을 갖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100)는 LTE 네트워크로서 초기에 배치되고, 후속적으로 NR과 같은 진보된 RAT 기술들을 추가하여 더 낮은 레이턴시, 더 큰 대역폭 및/또는 더 높은 쓰루풋과 같은 개선된 네트워크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 내에 NR 네트워크를 배치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0036]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200)을 예시한다. 시스템(200)은 네트워크(100)의 일부에 대응하고 이중 연결을 갖는 LTE-NR 타이트 인터워킹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NR 네트워크는 그것이 유비쿼터스 커버리지를 갖지 않고 작은 셀 반경이 갖기 때문에 불안정할 수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UE(115)가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R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 위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UE(202)는 이중 연결을 지원하여, 이는 UE(202)가 LTE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UE(202)는 NR 네트워크에 대한 UE(202)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LTE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비-독립 모드를 지원한다.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UE(202)는 또한 LTE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NR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에 고정된 "최선 노력(best effort)"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컨대, UE(202)가 NR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UE(202)는 NR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 이 예에서, UE(202)는 LTE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적인 링크들을 활용하면서, NR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더 낮은 레이턴시, 더 큰 대역폭 및/또는 더 높은 쓰루풋을 이용한다.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안정적이지 않거나 약한 경우, UE(202)는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고 LTE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0037] UE(202)는 LTE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204)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EPC(204)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05) 및 P/SGW(207)를 포함한다. 데이터 트래픽은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UE(202)는 LTE RLC(Radio Link Control)/MAC(Media Access Control)(206)를 eNB(208)에 송신하고 NR RLC/MAC(210) 및 LTE/NR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12)을 gNB(214)에 송신할 수 있다. 분할 베어러는 gNB(214)에 로케이팅될 수 있고, eNB(208)로 전송된 데이터는 gNB(214)에서 다른 데이터와 병합될 것이다. gNB(214)는 S1-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집계하고 이를 P/SGW(207)에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그널링 정보는 S1-MM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eNB(208)를 통해 MME(205)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LTE-NR/EPC 시스템을 예시하지만, 이것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들은 상이한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LTE-NR/NGC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0038] 일부 실시예들에서, UE(202)는 복수의 상태들 중 기껏해야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UE(202)가 제1 네트워크(예컨대, NR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등) 및 제2 네트워크(예컨대, LTE 네트워크, 4G 네트워크 등)에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 UE(202)는 제1 연결 모드에 있다. 이 예에서, UE(202)는 NR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LTE 네트워크는 LTE 셀과 연관될 수 있고, NR 네트워크는 NR 셀과 연관될 수 있다. UE(202)가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경우, UE(202)는 제2 연결 모드에 있다. 이 예에서, UE(202)는 LTE 네트워크에는 연결되지만 NR 네트워크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UE(202)가 유휴 상태인 경우, UE(202)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제1 네트워크에는 연결되지 않는 유휴 모드에 있다. 이 예에서, UE(202)는 LTE 네트워크에서 캠핑될 수 있다. UE(202)가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거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UE(202)는 유휴 모드에 있을 수 있다.
[0039] 그러나, UE(202)가 제2 연결 모드 또는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 UE(202)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또는 NR 신호 강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없을 수 있다. 예컨대, UE(202)가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 UE(202)는 NR 네트워크가 아닌 LTE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UE(202)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아이콘(예컨대, 5G 아이콘의 커버리지 바)을, UE(202)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아이콘은 5G 네트워크/NR 네트워크와 연관된 모바일 네트워크 신호 강도 표시자를 포함한다.
[0040]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주파수를 UE(202)가 알고 있는 경우, UE(202)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을 수 있다. UE(202)가 주파수를 알고 있는 경우, UE(202)는 이 주파수에 동조하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41]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UE(300)의 블록도이다. UE(30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UE(115, 202)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300)는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UI(user interface)(308), 수신기(311), 모뎀 서브시스템(312) 및 RF(radio frequency) 유닛(314)을 포함하는 트랜시버(310)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3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0042] 프로세서(302)는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제어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디바이스,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펌웨어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2)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43] 메모리(304)는 캐시 메모리(예컨대, 프로세서(302)의 캐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M),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다른 형태들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유형들의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404)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304)는 명령들(306)을 저장할 수 있다. 명령들(306)은 프로세서(30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302)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UE들(115, 202)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306)은 또한 코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명령들" 및 "코드"라는 용어들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 스테이트먼트(들)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명령들" 및 "코드"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함수들, 절차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명령들" 및 "코드"는 단일 컴퓨터-판독 가능 스테이트먼트 또는 다수의 컴퓨터-판독 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4]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310)는 수신기(311), 모뎀 서브시스템(312) 및 RF 유닛(3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310)는 BS들(105)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202)는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모뎀 서브시스템(312)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예컨대, LDPC(low-density parity check) 코딩 방식, 터보 코딩 방식, 콘볼루셔널 코딩 방식, 디지털 빔포밍 방식 등에 따라 메모리(304)로부터의 데이터를 변조하고 그리고/또는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314)은 (아웃바운드 송신 상의) 모뎀 서브시스템(312)으로부터의 또는 다른 소스 이를테면, UE(115) 또는 BS(105)로부터 기원하는 송신들의 변조/인코딩된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 또는 디지털-아날로그로 변환 등을 수행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314)은 추가로, 디지털 빔포밍과 함께 아날로그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310)에 함께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수신기(311), 모뎀 서브시스템(312) 및/또는 RF 유닛(314)은 UE(300)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UE(300)에서 함께 커플링되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0045] RF 유닛(314)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송신을 위해 변조된 그리고/또는 프로세싱된 데이터, 예컨대 데이터 패킷들(또는 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메시지들)을 안테나(316)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CQI 리포트들 및/또는 SRS들의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16)는 추가로,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들(316)은 트랜시버(310)에서 프로세싱 및/또는 복조를 위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316)는 다수의 송신 링크들을 유지하기 위해 유사하거나 상이한 설계들의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314)은 안테나들(316)을 구성할 수 있다.
[0046] 수신기(311)는 제1 네트워크(예컨대, 4G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UE(202)가 제2 네트워크(예컨대, 5G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315)를 획득한다. 다른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예컨대, LTE 셀)을 포함할 수 있다. UI(308)는 정보(3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I(308)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UI(308)는 정보(3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한다.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UE(202)는 UE(202)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0047]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400)을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예에서, LTE 셀(404)은 UE(402)가 NR 셀(406)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표시를 갖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408)(예컨대, SIB1, SIB2 또는 ENDC 표시 비트)를 송신한다. SIB(408)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셀(404)은 SIB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기(311)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표시를 갖는 SIB(408)를 수신함으로써 정보(315)를 획득할 수 있다.
[0048] SIB(408)는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 비트를 포함한다.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음을 표시 비트가 표시하는 경우, 수신기(311)는 이 정보와 함께 커버리지/신호 강도(410)를 UI(308)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UI는 커버리지//신호 강도(410)에 기초하여 커버리지의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E(2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표시 비트가 표시하는 경우, 수신기(311)는 이 정보와 함께 커버리지/신호 강도(410)를 UI(308)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 UI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할 것이다. 수신기(311)는 UE(202)가 실제로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계 없이 이들 SIB들을 획득할 수 있다. UE(402)는 적절한 경우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0049]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500)을 예시한다. 도 5에 예시된 예에서, LTE 셀(504)은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SIB를 송신한다. NR 주파수 리스트는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NR 주파수들을 포함한다. SIB는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SIB(예컨대, SIB(22)) 또는 기존 SIB의 새로운 파라미터는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NR 셀(506)은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 및 CSI-RS를 송신한다. 또한, 새로운 SIB 또는 기존 SIB의 새로운 파라미터는 SS 블록 구성의 부가적인 정보, 예컨대 서브캐리어 간격, SS 블록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스케줄, 다수의 SS 블록들을 갖는 SS 버스트 세트를 송신하기 위한 주기, SS 버스트 세트 당 SS 블록들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SIB 또는 기존 SIB의 새로운 파라미터는 CSI-RS의 부가적인 정보, 예컨대 CSI-RS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스케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기(311)는 LTE 셀(504)로부터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SIB를 수신하고 NR 셀(506)로부터 SS 블록 및 CSI-RS를 수신함으로써 정보(315)를 획득할 수 있다. NR 셀(506)은 NR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부가적으로, UE(502)는 유휴 모드 또는 연결 모드들(예컨대,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되거나 LTE 네트워크에만 연결됨) 중 임의의 것에 있을 수 있다.
[0050] UE(502)는 UE(5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502)가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되는 경우, UE(502)는 NR을 능동적으로 수신하고 UE(502)는 CSI 및 RLM(Radio Link Monitoring)을 보고한다. UE(502)는 이러한 측정들을 활용하여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0051] 일부 실시예들에서, UE(502)가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UE(502)는 이중 연결 추가를 위해 NR을 측정할 수 있다. LTE 셀(504)은 NR 네트워크의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고 UE(502)가 측정하는 NR 측정 오브젝트를 구성한다. UE(502)는 측정 결과를 활용하여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502)는 주파수 리스트를 사용하여 주파수 리스트에 나열된 주파수들 각각에서 SS 블록을 검색한다. SS 블록은 특정 주파수에 대한 NR-PSS, NR-SSS 및 NR-PBCH를 포함한다. NR-PSS는 심볼 타이밍 및 섹터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R-SSS는 셀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R-PBCH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현재 SS 블록 인덱스 및 SFN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PBCH는 주파수 채널(예컨대, 100 MHz)의 NR 대역폭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갖는다.
[0052] 주파수 리스트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 UE(502)는 NR 셀(506)로부터, 각각의 주파수와 연관된 NR-PSS, NR-SSS 및 NR-PBCH를 포함하는 SS 블록을 수신한다. UE(502)는 NR-PSS 및 NR-SSS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만족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만족시킨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E(502)는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UI(308)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E(502)는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UI(308)는 디스플레이 상에,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한다. UI(308)는 디스플레이 상에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으로써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할 수 있다. LTE 셀(504)이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SIB를 브로드캐스팅하지만 어떠한 NR 측정 오브젝트도 없는 경우, UE(502)는 SIB 내의 정보를 사용하여 NR을 측정하고 적절한 경우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SIB가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지 않고 어떠한 NR 측정 오브젝트도 없는 경우, UE(502)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할 수 있다.
[0053] 일부 실시예들에서, UE(502)가 NR-PSS로부터 심볼 경계 및 NR-SSS 및 NR-PSS에 의해 셀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경우, UE(502)는 NR-PSS 및 NR-SSS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 강도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UE(502)는 UE(5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UI(308)는 UE(502)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UE(502)는 UE(5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고 결정하고, 따라서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디스플레이 상에 보고할 수 있다.
[0054]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리스트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 UE(502)는 NR 셀(506)로부터, 각각의 주파수와 연관된 NR-PSS, NR-SSS 및 NR-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하는 SS 블록을 수신한다. UE(502)는 SS 블록과 연관된 주파수 채널의 NR 대역폭 및 시스템 프레임 번호 정보를 결정하고, UE(5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 프레임 번호 정보 및 NR 대역폭에 기초하여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측정한다. UE(502)는 주파수 채널의 NR 대역폭 및 시스템 프레임 번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NR-PBCH를 획득한다. UE(502)가 NR-PSS 및 NR-SSS를 획득한 후, UE(502)는 UE(5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CSI-RS를 측정한다.
[0055] 일부 실시예들에서, UE(502)가 유휴 모드에 있고 LTE 셀(504)이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SIB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UE(502)는 NR을 측정하고, 적절한 경우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E(502)가 유휴 모드에 있고 SIB에 포함된 주파수 리스트가 없는 경우, UE(502)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할 수 있다. NR의 LTE SIB는 더 많은 파라미터들, 예컨대 LTE로부터 5G로의 셀 재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비-독립 모드 UE에 대해, UE는 5G 아이콘의 5G 바를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SIB와 상이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존의 SIB, 예컨대 SIB5는 이웃 NR 주파수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0056]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속 이중 연결 설정들에 대한 호 흐름(600)을 예시한다. 도 6에 예시된 예에서, UE(602)는 유휴 모드에 있다. LTE 셀(604)은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SIB를 송신한다. NR 셀(606)은 SS 블록 및 CSI-RS를 송신한다. UE(602)는 LTE 셀(604)로부터 SIB를 그리고 NR 셀(606)로부터 SS 블록 및 CSI-RS를 수신한다.
[0057] UE(602)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UE(602)는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UE(602)는 NR 측정 결과들을 LTE 셀(604)에 전송할 수 있다. UE(602)는 측정을 미리 준비하고 연결 설정 정보를 LTE 셀(604)에 전송할 수 있다. LTE 셀(604)은 UE(602)가 NR 네트워크와 연관된 강한 신호 강도를 갖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동안, LTE 셀(604)은 이중 연결 모드에 있도록 UE(602)를 구성할 수 있다. UE(602)가 이중 연결 모드에 있게 된 후에, UE(602)는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특징의 이점은 5G 아이콘과 연관된 정확한 바(accurate bar)의 디스플레이를 허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는 향후의 5G 독립 모드의 LTE-NR 재선택을 허용할 수 있다.
[0058]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수신기(311)는 LTE 셀에 의해 구성된 측정 오브젝트를 수신함으로써 정보(315)를 획득할 수 있다. 측정 오브젝트는 NR 네트워크가 동작하고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주파수들을 특정하는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측정 오브젝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검색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측정하여 UE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측정 오브젝트는 NR 측정 오브젝트이고 주파수 리스트는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주파수들을 특정한다. UE가 측정 오브젝트 및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을 수신하는 경우, UE는 NR 셀들의 신호를 검색하고 측정할 장소를 더 쉽게 알 수 있다.
[0059] UE가 이중 연결 모드에 있고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되는 경우, 도 5에 관한 논의가 적용될 수 있다. UE가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UE는 측정 오브젝트(예컨대, NR 측정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NR을 검색하고 측정할 수 있다. LTE 셀은 측정 오브젝트를 구성할 수 있다. UE가 이전에 LTE 셀에 연결된 경우, UE는 이미, LTE 셀로부터 측정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측정 오브젝트를 캐시했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이 캐시된 측정 오브젝트를 리트리브할 수 있다. UE가 측정 오브젝트를 수신하지 않거나 이 LTE 셀 또는 추적 영역에 대한 캐시된 측정 오브젝트를 갖지 않는 경우, UE는 NR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UI는 디스플레이 상에,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한다.
[0060]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 UE는 LTE 셀 또는 TAI(추적 영역) 마다, UE가 연결 모드에 있었을 때부터 측정 오브젝트들을 계속 캐시한다. UE는 NR을 검색 및 측정하고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현재 캠핑된 셀의 NR 이웃 커버리지를 알도록 LTE 셀 또는 TAI 마다 캐시된 측정 오브젝트를 사용할 수 있다.
[0061] UE에 대한 최적화 기회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수신기(311)는 정보를 저장하는 획득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정보(315)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데이터베이스는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주파수들(예컨대, NR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NR 셀 커버리지를 결정하기 위해 획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0062] 부가적으로, RRC 연결(도 6 참조)의 해제 전에, UE는 NR 네트워크에 관한 일부 주파수 정보를 갖는다. 이중 연결에서 RRC 연결의 해제 후에, UE는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UE는 특정 주파수가 일부 시간 동안 여전히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시간 동안 커버리지 표시 또는 측정을 위해 NR 주파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0063] 또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UE는 데이터 활동, 가속도계/자이로 센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온/오프를 사용하여 NR의 검색 및 측정을 얼마나 자주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낮은 데이터 활동, 낮은 이동성 및 디스플레이 오프 옵션의 제공은 NR을 검색하거나 측정하는 빈도를 낮추고 이에 따라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0064] 일부 예들에서, UE는 NR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지만, 다른 팩터들이 UE가 이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반대할 수 있다. 예컨대, UE가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에 관한 결정은 UE가 네트워크에 가입했는지를 UE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UE가 네트워크(예컨대, NR 네트워크)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UE가 아이콘(예컨대,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700)을 예시한다. LTE 셀(704)은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SIB를 송신할 수 있고, NR 셀(706)은 SS 블록 및 CSI-RS를 송신할 수 있다. UE(702)는 UE(702)가 NR 네트워크에 가입했는지를 결정한다. UE(702)가 NR 네트워크에 가입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I(702)는 UE(702)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고한다. UE(702)는 UE(702)가 NR 네트워크에 가입했는지를 표시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0065] 다른 예에서,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에 관한 결정은 UE가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되는지를 UE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800)을 예시한다. UE(802)가 다양한 이유들로 디스플레이 상에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UE는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즉, 로밍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고, UE는 VPLMN 상에 있는 동안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된다. 다른 예에서, UE는 로딩 이슈들로 인해 또는 MME 또는 AMF가 5G RAN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UE가 NR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제한하는 MME 또는 AMF 하에 있을 수 있다. 도 8에서, UE는 ATTACH ACCEPT 또는 TRACKING AREA UPDATE ACCEPT 또는 RESTRICTION ACCEPT 메시지로부터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에서, 표시는 표시 비트(RestrictDCNR)이다. ATTACH/TAU/REG가 이 PLMN 또는 추적 영역(또는 등록 영역)에 대한 5G 제한을 표시하는 경우, UE는 5G 아이콘을 보여주지 않아야 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이동성 제한은 ATTACH, TAU 또는 REG 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LTE 셀로부터 RRC 연결 설정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NR 네트워크가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I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디스플레이 상에 보고한다.
[0066] 다른 예에서,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에 관한 결정은, UE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UE에 제공한 디바이스(예컨대, LTE 셀)가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지를 UE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900)을 예시한다. UE가 이중 연결을 지원할 수 있지만, LTE 셀 그 자체는 이중 연결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중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LTE 셀은 통상적으로 NR 셀과 인터페이스하고 그와 통신하며, LTE 셀이 이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 LTE 셀(904)은 LTE 셀이 이중 연결(예컨대, LTE-NR 이중 연결 능력)을 지원하는지에 관한 표시를 포함하는 SIB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기존의 SIB 또는 새로운 SIB는 이러한 이중 연결이 LTE 셀에 의해 지원되는지에 관한 표시와 함께 NR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셀이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경우, UE(902)는 디스플레이 상에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LTE 셀이 이중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UE(902)는 이중 연결 모드에 있을 수 없고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 둘 모두에 연결될 수 없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UE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5G 아이콘을 보는 경우 사용자는 혼란스러울 수 있다. 디바이스가 이중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E(902)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고한다.
[0067]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 흐름(1000)을 예시한다. UE(1002)가 NR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UE는 또한 LTE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LTE 네트워크가, UE가 LTE 네트워크에 연결된 동안 RLF(radio link failure)와 같은 이슈를 갖거나,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OOS(out of service) 상태인 경우, UE(1002)는 NR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없을 수 있다. NR 네트워크는 UE가 이중 연결을 갖고 NR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RRC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건강한 LTE 링크들에 의존한다.
[0068] 일 예에서,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에 관한 결정은, UE가 연결 모드에 있는 동안(예컨대,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또는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음) LTE 네트워크가 RLF를 포함하는지를 UE(1002)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가 RLF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UE(1002)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고한다. 다른 예에서,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에 관한 결정은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LTE 네트워크가 OOS 상태인지를 UE(1002)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가 OOS 상태임을 검출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UE(1002)는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보고한다. 따라서, UE가 연결 모드에 있는 동안 LTE 네트워크가 RLF를 갖는 것 또는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LTE 네트워크가 OOS 상태라는 것을 UE(1002)가 검출하는 경우, UE가 NR 셀과의 건강한 링크를 갖더라도, UE는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0069]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BS(1100)의 블록도이다. BS(110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BS(105)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BS(1100)는 프로세서(1102), 메모리(1104), 모뎀 서브시스템(1112) 및 RF 유닛(1114)을 포함하는 트랜시버(1110)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0070] 프로세서(1102)는 특정-유형 프로세서로서 다양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CPU, DSP, ASIC, 제어기, FPGA 디바이스,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펌웨어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2)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71] 메모리(1104)는 캐시 메모리(예컨대, 프로세서(1102)의 캐시 메모리), RAM, MRAM,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멤리스터-기반 어레이들, 다른 형태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04)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4)는 명령들(1106)을 저장할 수 있다. 명령들(1106)은, 프로세서(110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1102)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1106)은 또한 코드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1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판독 가능 스테이트먼트(들)를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
[0072]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1110)는 모뎀 서브시스템(1112) 및 RF 유닛(11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110)는 다른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UE들(115) 및/또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 서브시스템(1112)은 MCS, 예컨대, LDPC 코딩 방식, 터보 코딩 방식, 콘볼루셔널 코딩 방식, 디지털 빔포밍 방식 등에 따라 데이터를 변조하고 그리고/또는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1114)은 (아웃바운드 송신 상의) 모뎀 서브시스템(1112)으로부터의 또는 다른 소스 이를테면, UE(115)로부터 기원하는 송신들의 변조/인코딩된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 또는 디지털-아날로그로 변환 등을 수행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유닛(1114)은 추가로, 디지털 빔포밍과 함께 아날로그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1110)에 함께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모뎀 서브시스템(1112) 및 RF 유닛(1114)은 BS(105)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BS(105)에서 함께 커플링되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0073] RF 유닛(1114)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의 송신을 위해 변조된 그리고/또는 프로세싱된 데이터, 예컨대 데이터 패킷들(또는 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메시지들)을 안테나(1116)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로의 부착 및 캠핑된 UE(115)와의 통신을 완료하기 위한 정보의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116)는 추가로,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트랜시버(1110)에서 프로세싱 및/또는 복조를 위해 수신된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1116)는 다수의 송신 링크들을 유지하기 위해 유사하거나 상이한 설계들의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74]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시스템(200)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의 방법(1200)의 흐름도이다. 방법(1200)의 단계들은 UE들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프로세서,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방법(1200)은 다수의 열거된 단계들을 포함하지만, 방법(1200)의 실시예들은 열거된 단계들 이전, 이후 및 그 사이에 부가적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열거된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되거나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0075] 단계(1210)에서, 방법(1200)은 제2 네트워크(예컨대, LTE 네트워크)와 연관된 제2 디바이스(예컨대, LTE 셀, 획득 데이터베이스 등)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UE)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예컨대,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LTE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을 지원한다.
[0076] 단계(1220)에서, 방법(1200)은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예컨대, 5G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0077] 단계(1230)에서, 방법(1200)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0078]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법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기법 및 기술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79] 본원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80]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소프트웨어의 성질로 인해,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hardwiring),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해서, 물리적으로 다양한 포지션들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예컨대,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어구가 후속하는 항목들의 리스트)에 사용된 "또는"은 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와 B와 C)를 의미하도록 포괄적인 리스트를 나타낸다.
[0081] 당업자들이 지금쯤은 이미 인식할 바와 같이, 그리고 가까이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수정들, 교체들 및 변동들이 본 개시내용의 재료들, 장치, 구성들, 및 디바이스들의 사용 방법들에서 그리고 이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본원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들의 범위로 제한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특정 실시예들이 단지 그들의 몇몇 예들을 통한 것이고, 그보다는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이 이후에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기능적 등가물들의 범위에 완전히 상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LTE 셀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에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NR(new radio)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 및 상기 LTE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성(connectivity)을 지원함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LTE 셀로부터의 상기 정보와 연관됨 ―;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의 보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LTE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비-독립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R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TE 네트워크는 4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NR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모바일 네트워크 신호 강도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R 네트워크는 NR 셀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갖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의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 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스트의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고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주파수들을 특정하는 주파수 리스트를 포함하는 측정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측정 오브젝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오브젝트는 NR 측정 오브젝트이고, 상기 주파수 리스트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NR 주파수들을 특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획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정보를 리트리브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NR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가입하지 않았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TE 셀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LTE 셀과 연관되는 제2 디바이스가 이중 연결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이중 연결성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태들 중 기껏해야 하나의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 및 상기 LTE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연결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상기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연결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idle)인 경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LTE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상기 NR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유휴 모드에 있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연결 모드 또는 상기 제2 연결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LTE 네트워크가 RLF(radio link failure)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연결 모드 또는 상기 제2 연결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LTE 네트워크가 상기 RLF를 포함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LTE 네트워크가 OOS(out of service)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상기 LTE 네트워크가 OOS임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과 연관되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과 연관되는 측정에 추가로 기반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리스트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
    제3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NR-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NR-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상기 SS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을 포함함 ―;
    상기 NR-PSS 및 상기 NR-SSS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치를 만족시킨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신호 강도가 상기 임계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리스트에 나열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 대해:
    제3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NR-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하는 상기 SS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셀을 포함함 ―;
    상기 NR-PBCH와 연관되는 주파수 채널의 NR 대역폭 및 시스템 프레임 번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 프레임 번호 정보 및 상기 NR 대역폭에 기초하여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에서,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NR(new radio)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기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 및 상기 LTE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성을 지원함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LTE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정보와 연관되고,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의 보고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NR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LTE 네트워크는 4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NR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과 연관되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과 연관되는 측정에 추가로 기초하여 상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LTE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30. 프로그램 코드가 레코딩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LTE(long-term evolution)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통신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NR(new radio)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NR 네트워크 및 상기 LTE 네트워크와의 이중 연결성을 지원함 ―;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연결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아이콘은 상기 LTE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정보와 연관됨 ―;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NR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제한된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NR 네트워크에 의한 커버리지가 없음의 보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37162A 2017-05-19 2018-05-18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KR102663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8834P 2017-05-19 2017-05-19
US62/508,834 2017-05-19
US201762516537P 2017-06-07 2017-06-07
US62/516,537 2017-06-07
US201762520350P 2017-06-15 2017-06-15
US62/520,350 2017-06-15
PCT/US2018/033360 WO2018213688A1 (en) 2017-05-19 2018-05-18 Options to provide a network icon in non-standalone mod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539A Division KR20240069814A (ko) 2017-05-19 2018-05-18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91A KR20200008591A (ko) 2020-01-28
KR102663832B1 true KR102663832B1 (ko) 2024-05-03

Family

ID=6268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162A KR102663832B1 (ko) 2017-05-19 2018-05-18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43694B2 (ko)
EP (1) EP3625993A1 (ko)
JP (1) JP7090647B2 (ko)
KR (1) KR102663832B1 (ko)
CN (1) CN110622575B (ko)
BR (1) BR112019024037A8 (ko)
WO (1) WO2018213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821A (zh) * 2017-09-27 2021-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2346259B1 (ko) * 2017-11-09 2022-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149642B (zh) * 2018-02-12 2021-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节点同步信号的发送方法及装置
US10499449B2 (en) * 2018-02-27 2019-1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ignal indication for 5G/new radio
US10609627B2 (en) * 2018-04-26 2020-03-3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dentifying communications technology from cellular broadcast data
US10932238B2 (en) 2018-04-26 2021-02-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dentifying a type of cellular connection and a type of service area from cellular broadcast data
US10548029B2 (en) 2018-04-26 2020-01-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cell type and cell communication capabilities from cellular broadcast data
US20190379469A1 (en) * 2018-06-06 2019-12-12 T-Mobile Usa, Inc. Network symbol display in dual connectivity regions
US10609750B2 (en) * 2018-08-03 2020-03-3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ext generation technology indicators
US20200068482A1 (en) * 2018-08-27 2020-02-27 T-Mobile Usa, Inc. Variable interval signal scanning in dual connectivity communication networks
CN112369071B (zh) * 2018-08-29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Ui显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
EP3833104A4 (en) * 2018-08-29 2021-10-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PROCEDURE AND DEVICE OF A USER INTERFACE AND TERMINAL DEVICE
EP3840526B1 (en) * 2018-09-04 2023-01-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ervice identifier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2740826B (zh) * 2018-12-29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能力上报方法及终端设备
US11259293B2 (en) * 2019-01-10 2022-02-22 Ofinno, Llc Two-stage preamble transmission
US11368907B2 (en) 2019-01-29 2022-06-21 Google Llc Adaptive connection management for marginal network conditions
CN112655273A (zh) * 2019-01-31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标识的显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168049A1 (en) * 2019-02-14 2020-08-20 Google Llc Dynamic resource allocation across multiple network service providers
CN114650589A (zh) * 2019-03-09 2022-06-21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连接的处理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00112288A (ko)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측정 방법 및 장치
US11659474B2 (en) 2019-03-27 2023-05-23 T-Mobile Usa, Inc. Intelligent selection between singular and dual connectivity
US11116030B2 (en) 2019-04-29 2021-09-07 T-Mobile Usa, Inc. 5G wireless network connection symbol policy
US11026129B2 (en) * 2019-05-31 2021-06-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urning to 5G after fallback
US11115951B2 (en) * 2019-07-12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boundary marking techniques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69003B2 (en) * 2019-07-15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non-standalone mode for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r equipment
CN110545565B (zh) * 2019-09-06 2021-09-1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连网标识显示方法及其装置
US20220345914A1 (en) * 2019-09-09 2022-10-27 Magdata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aganosing performance of 5g mobile communication-based network
KR102174190B1 (ko) * 2019-09-09 2020-11-04 주식회사 맥데이타 5g 기반의 네트워크 성능 시각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63279B1 (ko) * 2019-09-09 2020-10-08 주식회사 맥데이타 5g 기반의 네트워크 성능 진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064064B2 (en) * 2019-09-11 2021-07-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playing wireless service icon based on frequency band indexing in 5G or other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US11368859B2 (en) 2019-09-13 2022-06-21 T-Mobile Usa, Inc. Remote management of displayed network technology symbols
KR102273789B1 (ko) * 2019-09-27 2021-07-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에서의 5g 망 접속 여부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210037942A (ko) * 2019-09-30 202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0691392B (zh) * 2019-10-09 2022-02-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标识显示方法和终端标识显示系统
KR102269553B1 (ko) * 2019-10-23 2021-06-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856209B (zh) * 2019-11-19 2021-06-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显示网络标志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332270B1 (ko) * 2019-11-28 2021-11-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109299B2 (en) 2019-12-12 2021-08-31 Google Llc Adaptive public land mobile network management for varying network conditions
CN113133015A (zh) * 2019-12-30 2021-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显示5g图标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CN111182499A (zh) * 2019-12-31 2020-05-19 南京泰通科技股份有限公司 高速铁路列车综合控制组网及其工作方法
CN113115326A (zh) * 2020-01-13 2021-07-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显示网络标识的方法及设备
CN111246537B (zh) * 2020-01-14 2023-02-21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示消息的生成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11102627B1 (en) * 2020-02-14 2021-08-24 T-Mobile Usa, Inc. Service type symbols
CN111343699B (zh) * 2020-03-03 2021-09-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246543B (zh) * 2020-03-20 2021-08-03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终端
CN113518393B (zh) * 2020-03-25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网络图标的显示方法及终端
WO2021189344A1 (en) * 2020-03-26 2021-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isabling network connectivity mode
JP7037594B2 (ja) * 2020-03-26 2022-03-16 アンリツ株式会社 電波伝播測定装置とその同期信号探索方法
KR20210121552A (ko) 2020-03-30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3141A (ko) * 2020-04-02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통화 기능을 유지하는 방법
WO2021203399A1 (en) * 2020-04-10 2021-10-1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ervice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11465070B (zh) * 2020-04-21 2021-06-15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5g信号平稳显示的方法
US11382106B2 (en) * 2020-04-22 2022-07-05 T-Mobile Usa, Inc. Network symbol display for dual connectivity networks
WO2021217634A1 (en) * 2020-04-30 2021-11-04 Qualcomm Incorporated Fifth generation (5g) service recovery for cell redirection
WO2021223241A1 (en) * 2020-05-08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5g icon display to align network capability using idle mode measurements
CN113810896B (zh) * 2020-06-11 2023-10-27 中国移动通信集团终端有限公司 一种网络标识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840037A (zh) * 2020-06-24 2021-12-2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图标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3939043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图标的显示方法及设备
CN113973354A (zh) * 2020-07-24 2022-01-25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图标的更新方法、装置、芯片及终端设备
CN112188517A (zh) * 2020-09-07 2021-01-0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小区驻留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539830B2 (en) * 2020-10-29 2022-12-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display of 5G icons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cons
US11533677B1 (en) 2020-11-02 2022-12-20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active 5G leg estimation
CN114980257B (zh) * 2021-02-20 2024-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网络标识信息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220125081A (ko) * 2021-03-04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EP4331276A1 (en) * 2021-04-30 2024-03-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splay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status indication based on bandwidth metrics
WO2022235873A1 (en) * 2021-05-07 2022-11-10 Ofinno, Llc Access restriction of wireless device
CN113709800A (zh) * 2021-09-13 2021-1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检测方法、装置、用户设备、lte基站及存储介质
US11910448B2 (en) * 2021-12-28 2024-02-20 T-Mobile Innovations Llc 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 assignments for dual connectiv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792A1 (en) * 2010-04-26 2011-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version of mobile device to lan-only telephony functions
US20120060031A1 (en) * 2010-09-02 2012-03-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video content provisioning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150148039A1 (en) * 2013-11-22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optimized multiple frequency measurement schedule
US20150341855A1 (en) * 2013-01-09 2015-1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Controlled Network Selection Procedure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9499A2 (en) 1999-09-30 2001-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its radio terminal
EP2046071A4 (en) 2006-07-26 2013-03-27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SENDING DEVICE AND NETWORK SELECTION PROCESS USED THEREFOR
US9026177B2 (en) 2007-03-30 2015-05-05 Blackberry Limited Service mode displa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68567A (ko) * 2007-12-24 2009-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WO2009128576A1 (en) 2008-04-17 2009-10-22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quality-value of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N101783712B (zh) * 2009-01-19 2014-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Lte版本识别的方法、用户终端和网络节点
JP5491626B2 (ja) 2009-06-19 2014-05-1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ームノードbの検出および測定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772219B (zh) 2010-01-19 2012-07-0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传输移动通信终端无线模式信息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JP5474180B2 (ja) * 2010-03-31 2014-04-1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CN102395152A (zh) * 2011-11-14 2012-03-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检测网络中小区物理标识冲突或混淆的方法及系统及基站
JP2013255081A (ja) 2012-06-06 2013-12-19 Sharp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15689B2 (en) 2013-03-11 2015-12-1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call collisions in a digital conventional direct mode
CN104581680B (zh) * 2013-10-23 2018-06-05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连接用户标识的指示方法
US9723655B2 (en) 2014-06-13 2017-08-01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83954B1 (en) * 2014-07-14 2023-09-06 IPLA Holdings Inc. Network-initiated handover in integrated small cell and wifi networks
US20160261675A1 (en) 2014-08-02 2016-09-08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WO2016116145A1 (en) 2015-01-21 2016-07-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ervice based cell re-selection
WO2016130061A1 (en) 2015-02-13 2016-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ablishment of dual connectivity
CN107431999B (zh) 2015-03-18 2021-04-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寻呼的装置和方法
US10917795B2 (en) * 2015-04-02 2021-02-0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reamble waveform for coexistence
WO2016190013A1 (ja) 2015-05-27 2016-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体端末
US9763153B2 (en) 2015-06-02 2017-09-12 Apple Inc. CDMA/multimode VoLTE device with reduced time to camp
CN106304271B (zh) 2015-06-10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无线接入网络下提供业务与接受业务的方法及设备
EP3104661A3 (en) 2015-06-12 2017-03-2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lte-wlan aggregation
US10085181B2 (en) 2015-07-29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 to avoid ping pong dur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redirection failure
JP6757323B2 (ja) * 2015-09-01 2020-09-1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9743324B2 (en) 2015-09-02 2017-08-22 Apple Inc. Cell reselection for link budget limited devices
WO2017059889A1 (en) 2015-10-05 2017-04-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rrangement of measurement reporting groups
CN106572205A (zh) 2016-02-17 2017-04-19 深圳市全智达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控制通信功能方法
KR102318011B1 (ko) 2016-05-24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저전력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16564B2 (en) * 2016-08-31 2019-12-24 Jung Hun PARK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hird party connec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1792A1 (en) * 2010-04-26 2011-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version of mobile device to lan-only telephony functions
US20120060031A1 (en) * 2010-09-02 2012-03-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video content provisioning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150341855A1 (en) * 2013-01-09 2015-1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Controlled Network Selection Procedure
US20150148039A1 (en) * 2013-11-22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optimized multiple frequency measurement schedule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3688A1 (en) 2018-11-22
CN110622575B (zh) 2023-05-09
EP3625993A1 (en) 2020-03-25
JP7090647B2 (ja) 2022-06-24
US11343694B2 (en) 2022-05-24
US20180368016A1 (en) 2018-12-20
CN110622575A (zh) 2019-12-27
BR112019024037A2 (pt) 2020-08-18
KR20200008591A (ko) 2020-01-28
BR112019024037A8 (pt) 2020-09-01
JP2020521379A (ja)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832B1 (ko)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US11570669B2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864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easurements and mo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2489872B1 (ko) 네스티드 시스템 동작들에 대한 롱 텀 에볼루션 (lte) 참조 신호들의 재사용
EP3304967B1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KR101748304B1 (ko) 측정 방법, 구성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101482751B1 (ko) 인지 라디오 통신들에서 제어 채널들에 대한 허가된 스펙트럼의 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00137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gap sharing between intra-frequency measurements of different types
EP3198934B1 (en) Detecting neighbor cell system information by low complexity user equipment
CN114257364B (zh) 用于经协调的同步信道传输和受限制的测量的方法和装置
AU20182228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701644B2 (en) Enhanced macro diversity in new radio (NR)
CN111758274B (zh) 终端以及终端的通信方法
US10904801B2 (en) Multicarrier access for spectrum pooling
WO2022056718A1 (en) Priority-based radio access technology reselection handling
KR20240069814A (ko)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WO2021223241A1 (en) 5g icon display to align network capability using idle mode measurements
US11917475B2 (en) Idle mode cell reselection priority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