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567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567A
KR20090068567A KR1020070136243A KR20070136243A KR20090068567A KR 20090068567 A KR20090068567 A KR 20090068567A KR 1020070136243 A KR1020070136243 A KR 1020070136243A KR 20070136243 A KR20070136243 A KR 20070136243A KR 20090068567 A KR20090068567 A KR 2009006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available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성
안승진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567A/ko
Priority to US12/210,817 priority patent/US8260346B2/en
Publication of KR2009006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MMUNICATION THEREIN}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 이용 가능한 복수 개의 네트워크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 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 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 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 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 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 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 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 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모 드(multimode) 이동 단말기이다.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라 함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말한다. 즉, 복수 개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DBDM(Dual Band Dual Mode) 단말기가 있다. DBDM 단말기라 함은 두 개의 모뎀을 사용하여 두 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WCDMA(2.1GHz 대역) 및 CDMA(1.8GHz 대역))에서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TBTM(Triple Band Triple Mode) 단말기가 있다. TBTM 단말기는 3개의 통신 방식 동시에 지원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TBTM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설명의 편의상, GSM, LTE, WCDMA 네트워크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TBTM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 즉,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망에 위치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 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망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GSM, LTE, WCDMA로 이루어진 망에 위치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아이들 사이클(idle cycle)에 근거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주기를 맞출 수 있다. 아이들 사이클(idle cycle)이라 함은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활동 시간과 데이터를 주고 받지 못하는 비활동 시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100)와 GSM 망에 위치한 기지국과의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아주 미약하거나 교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GSM 네트워크는 현재 이용할 수 없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과의 동기 맞추기 위해 임의접속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을 이용할 수 있다. 임의접속채널(RACH)은 단말이 기지국과 상향링크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RACH의 주요 기능은 단말이 하향링크 동기를 잡고 맨 처음 기지국에 접근하는 기능(즉,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 또는 초기 접속(intial access))과,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로 단말의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에 순간순간 접근하는 기능(즉, 주기적 레인징(periodic ranging))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레인징의 경우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동기와 자신에게 필요한 ID를 제공받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며, 그 이후에 RACH에 접근하는 주기적 레인징의 경우는 전송 패킷이 존재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초기화(initiation) 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이 두 번째 용도는 3GPP LTE에서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RACH에 접근 시, 자신의 상향링크 신호가 동기 한계 내에 있을 때 사용하는 동기식 접속(synchronized access)과, 동기 한계를 벗어났을 때 사용하는 비동기식 접속(non-synchronized access)로 구분된다. 비동기식 모드의 경우는 기존의 주기적 레인징과 같은 개념이며,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의 변경사항을 보고하고 자원을 할당받을 목적으로 RACH에 접근한다. 반면, 동기식 모드는 단말이 기지국과 상향링크 동기가 벗어나지 않은 상태라 가정하고 그 가정에 따라서 RACH 채널에 보호 시간의 제한을 완화시킨다. 이로 인해서 더 많은 주파수-시간 자원(frequency-time resource)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3GPP LTE에서는 이 모드에서 임의접속용 프리엠블 시퀀스에 더해서 상당한 양의 메시지(24 비트 이상)를 같이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핸드오프(handoff)가 발생한 경우, RACH를 통해 핸드오프(handofff)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다운링크 채널의 수신(DL Resuming)이나 업링크 채널의 전송(UL Resuming)의 원활화를 위한 정보를 RACH내에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네트워크 중에서 사용자는 데이터 통신에 적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S20). 즉,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사용자 입력부(130)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특정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와 이용 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과 관련된 네트워크는 현재 이용 가능하지 않으므로, 표시된 GSM 항목 내에 "N/A"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N/A"는 "이용할 수 없다(Not Available)"는 기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하고자 하는 네트워크를 하이라이트를 이동시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스캐닝(scanning)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들 사이클(idle cycle)에 근거하여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 이외에 이용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를 스캐닝(scanning)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활동 시간에는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기지국과의 데이터를 주고 받고, 비활동 시간에는 다른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네트워크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LTE(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 망에 관련된 기지국과는 활동 시간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WCDMA 망과는 비활동 시간을 통하여 WCDMA 망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와의 이동 단말기(100)와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전송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신호의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면에는 이동 단말기(100)가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인디케이터 영역에 약자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WCDMA는 "W"로 표시되고, LTE는 "L"로 표시되고, GSM은 "G"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와 그렇지 않은 네트워크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801, 803)에는 해칭 표시(그림자 표시)를 하지 아니하고, 현재 이용할 수 없는 네트워크(805)는 해칭 표시를 하여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구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의 약자가 표시된 문자를 동그라미 안에 표시(801) 할 수 있다. 현재 LTE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경우, 문자 "L"을 동그라미 안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에 대해 점멸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인디케이터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이유는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의 키 조작 없이 현재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확인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30). 제어부(180)는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에 대해 일 률적으로 특정의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서비스마다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상기 서비스마다 달리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특정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기지국에 대해서 이동 단말기(100)와 기지국과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상기 서비스마다 표시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WCDMA 기지국(WCDMA 망에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100)와의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서비스마다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VOD"는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영화나 뉴스 등의 영상 기반 서비스를 전화선이나 케이블을 통해 제공받는 영상 서비스를 나타내고, "VT" 영상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나타내고, "MOD"는 특정의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특정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고, "VoIP"는 인터넷을 통해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WCDMA 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VOD" 서비스를 이용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의 전송(또는 기지국과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384Kbps이고, "VT" 서비스를 이용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의 전송(또는 기지국과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64Kbps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참조로 하여 서비스마다 적절한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b는 GSM 기지국(GSM 망에 적용하기 위해 설치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100)와의 교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서비스마다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180)는 특정 네트워크에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를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GSM 망을 통해 V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표시된 VT 항목 내에 "N/A"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N/A"는 "이용할 수 없다(Not Available)"는 기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마다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VOD"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순위가 LTE-WDMA-GSM 순으로 설정된 도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롤 키나 방향 키 등을 이용하여 도 10b와 같은 순서로 "VOD"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순위를 바꿀 수 있다. 특히, 도시된 화면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터치 입력에 의해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를 바꿀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마다 접속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마다 접속 여부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의 네트워크가 선택된 상태에서 하단의 접속 설정과 관련된 신호가 입력되면,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팝업 창(11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정 네트워크의 접속이 설정(on)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네트워크가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정된 네트워크가 아니라 할지라도 상기 네트워크를 스캐닝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네트워크의 접속이 해제(off)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네트워크를 스캐닝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서 특정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용될 수 없는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을 해제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성능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현재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그래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성능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네트워크의 성능을 전송 속도를 기준을 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핸드오프 등 특단의 사정이 발생하여 현재 이용중인 네트워크가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이용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 S50). 예를 들어, 통신 성능이 가장 좋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망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특정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마다 신호의 세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마다 접속 여부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표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 중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현재 이용 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특정 신호 입력된 경우, 상기 통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별로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의 통신 성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에 이용되는 서비스마다 특정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신호의 세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마다 접속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통신에 이용 중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된 경우,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통신 성능에 근거한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의 선택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스캐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디스플레이 단계는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KR1020070136243A 2007-12-24 2007-12-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KR20090068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43A KR20090068567A (ko) 2007-12-24 2007-12-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US12/210,817 US8260346B2 (en) 2007-12-24 2008-09-15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anual network se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43A KR20090068567A (ko) 2007-12-24 2007-12-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67A true KR20090068567A (ko) 2009-06-29

Family

ID=4078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43A KR20090068567A (ko) 2007-12-24 2007-12-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60346B2 (ko)
KR (1) KR20090068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07A1 (ko) * 2014-08-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1600B (zh) * 2009-05-11 2013-07-11 Compal Electronics Inc 管理無線通訊元件功能的方法及使用者介面裝置
JP5474180B2 (ja) * 2010-03-31 2014-04-1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端末及び移動通信方法
US8509186B2 (en) * 2010-04-26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version of mobile device to LAN-only telephony functions
CN101868038A (zh) * 2010-06-10 2010-10-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网络连接方法和装置
US8973068B2 (en) * 2011-04-08 2015-03-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deo on demand delivery optimization over combined satellite and wireless broadband networks
US9161024B2 (en) * 2011-07-07 2015-10-13 Nec Corporatio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DE102012219152B4 (de) * 2011-10-19 2015-12-31 Htc Corporation System und Verfahren zum Unterstützen eines Mehrfach-Telefonsystems
EP2584768B1 (en) * 2011-10-21 2015-04-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30102323A (ko) * 2012-03-07 2013-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방법
EP2757834B1 (en) * 2013-01-21 2020-04-0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US9258298B2 (en) * 2013-03-04 2016-02-09 Arris Enterprises, Inc. Simplified configuration of a network device
US11343694B2 (en) * 2017-05-19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Options to provide a network icon in non-standalone mod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3984B1 (en) * 2001-12-19 2009-01-27 Boingo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s by a mobile device
CN101808388B (zh) * 2002-10-30 2011-12-28 捷讯研究有限公司 用于选择通信网络的方法和装置
US7561879B2 (en) * 2003-10-07 2009-07-14 Motorola, Inc. Wireless access network sharing among core networks and methods
CN100435593C (zh) * 2003-11-13 2008-11-19 捷讯研究有限公司 网络信号恢复或开机机之后网络选择方法和设备
US7606570B2 (en) * 2004-04-16 2009-10-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ed network access notification via a broadband access gateway
KR100959977B1 (ko) * 2004-07-20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네트웍 설정 장치,방법 및 기록매체
US8538427B2 (en) * 2005-07-28 2013-09-17 Telecom Italia S.P.A. Method for obtain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7505446B2 (en) * 2006-01-18 2009-03-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witching communication operations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K1989906T3 (en) * 2006-02-28 2017-05-22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NETWORK SUPPLY
WO2008058360A1 (en) * 2006-11-13 2008-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wireless mode indicat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07A1 (ko) * 2014-08-1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22448B2 (en) 2014-08-14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63195A1 (en) 2009-06-25
US8260346B2 (en)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85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US8406741B2 (en) Dual SIM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900678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KR20110036464A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901174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모드 선택 방법
KR20110056164A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9004061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0901174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표시 방법
KR101435835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201000901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레즌스 정보 처리방법
CN106909395B (zh) 一种界面调用方法及终端
KR2009007006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90052216A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설정 방법
KR201000421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공유 방법
KR201000849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기획득 방법
KR20090075977A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4862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신호 처리 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신호처리 방법
KR20090111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방법
KR20100064938A (ko) Uma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소모 절감방법
KR20110136604A (ko) 듀얼 sim을 채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pin코드 입력방법
KR101405940B1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90041634A (ko) 이동 단말기
KR101422023B1 (ko)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헤드셋과 통신하는 통신 방법
KR1014677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슬립모드 제어방법
KR2009006485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14

Effective date: 201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