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82B1 - 유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82B1
KR102662482B1 KR1020217038146A KR20217038146A KR102662482B1 KR 102662482 B1 KR102662482 B1 KR 102662482B1 KR 1020217038146 A KR1020217038146 A KR 1020217038146A KR 20217038146 A KR20217038146 A KR 20217038146A KR 102662482 B1 KR102662482 B1 KR 10266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lange portion
cooling passage
refrigera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802A (ko
Inventor
히로시 키무라
카츠토시 후지와라
마사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Cooling the molten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유리 이송 장치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7)과, 기체를 냉매(R)로서 사용하는 냉각 장치(11)를 구비한다. 유리 이송관(7)은 관상의 본체부(8)와, 플랜지부(9)와, 전극부(10)를 구비한다. 냉각 장치(11)는 플랜지부(9) 및/또는 전극부(10)를 냉각하기 위해서 냉매(R)를 유통시키는 냉각 유로(12,13)를 구비한다. 냉각 유로(12,13)는 냉매(R)를 공급하는 분사구(15)와, 분사구(15)의 하류에 위치해서 외부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2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유리 기판이나 커버 유리로서 판유리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의 공급원이 되는 용해조(용융 용기)와, 용해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징조(청징 용기)와, 청징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균질화조(혼합 용기)와, 균질화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포트(송급 용기)와, 포트의 하류측에 설치된 성형체(성형 본체)와, 이들의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 도관을 구비한다. 청징조, 균질화조, 포트 및 결합 도관은 예를 들면 백금 등의 귀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용융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면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유리 이송 장치는 용융 유리를 이송하기 위한 관상의 본체부와, 용융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 장치로서의 플랜지부 및 전극부와,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도관을 구비한다. 플랜지부 및 전극부는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냉각 도관은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주위(외측 에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냉각 도관은 예를 들면 물 등의 냉매를 유통시킴으로써 용융 유리의 이송시에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한다. 이 경우,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mm 정도이다.
일본 특허공표 2018-513092호 공보
종래의 유리 이송 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 도관에 의해 수냉할 경우,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과도하게 냉각해 버려, 용융 유리의 온도제어에 따른 소비전력이 증대하여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물 등의 액체 대신에 기체를 냉매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기체는 액체와 비교해서 열전도율이 낮은 점에서 냉각 부족으로 되어 플랜지부 등이 산화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냉매가 기체이어도 플랜지부 등의 산화를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냉각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면서 적합한 냉각을 행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과, 기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 상기 유리 이송관은 관상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와,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플랜지부 및/또는 상기 전극부를 냉각하기 위해서 상기 냉매를 유통시키는 냉각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냉매를 공급하는 분사구와, 분사구의 하류에 위치해서 외부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를 분사구로부터 분사해서 냉각 유로에 유통시킴과 아울러, 분사구의 하류에 위치하는 도입구로부터 냉각 유로의 외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당해 냉각 유로 내에 도입함으로써, 냉각 장치의 냉각 능력을 높이고,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상류측 냉각 유로와, 상기 전극부에 형성되는 하류측 냉각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하류측 냉각 유로를 향해서 상기 냉매를 분사하는 상기 분사구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류측 냉각 유로에 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플랜지부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 상류측 냉각 유로에 냉매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지만, 하류측 냉각 유로에는 분사구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도입구로부터 도입되는 기체에 의해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극부도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도입구는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와 상기 하류측 냉각 유로 사이에 형성된 극간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분사구의 주변에 도입구로서의 극간이 위치하므로, 분사구로부터 공급된 냉매가 도입구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류측 냉각 유로를 확실하게 통과하게 된다. 예를 들면 후술의 도 5에 나타내듯이 내부에 상류측 유로가 형성된 플랜지부(9)와 하류측 냉각 유로의 유로 구성 부재(17) 사이에 도입구(21)가 되는 극간을 형성할 경우에는 후술의 도 2에 나타내듯이 하류측 냉각 유로의 유로 구성 부재(17)에 도입구(21)가 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하류측 냉각 유로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도입구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하류측 냉각 유로에 도입되는 외부의 기체의 양이 증가하므로, 냉각 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전극부에 형성된 하류측 냉각 유로의 유입구에서 냉매의 온도가 저하되므로, 전극부 전체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의 외면측에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당해 플랜지부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냉각 유로를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당해 플랜지부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의 전기저항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강성을 높임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좋은 가열 및 냉각을 행함과 아울러 플랜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유리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리 이송관은 상기 플랜지부끼리를 대향시켜서 서로 접속되는 복수의 상기 유리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내부에 상류측 냉각 유로가 형성된 플랜지부는 본체부의 단부에 형성된 경우이어도 그 강성이 높아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복수의 유리 이송관의 플랜지부끼리를 대향시키는 경우이어도 당해 플랜지부를 변형시키지 않고 유리 이송관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유리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좋다. 이렇게, 복수의 상류측 냉각 유로를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균등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를 냉매로 해서 적합한 냉각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 제조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유리 이송관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리 이송관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유리 이송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이송관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유리 이송관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유리 이송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이 제조 장치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용해조(1)와, 청징조(2)와, 균질화조(교반조)(3)와, 포트(4)와, 성형체(5)와, 이들의 각 구성요소(1∼5)를 연결하는 유리 공급로(6a∼6d)를 구비한다. 이 밖에, 제조 장치는 성형체(5)에 의해 성형된 판유리(GR)(유리 물품)를 서냉하는 서냉로(도시 생략) 및 서냉 후에 판유리(GR)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용해조(1)는 투입된 유리 원료를 용해해서 용융 유리(GM)를 얻는 용해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해조(1)는 유리 공급로(6a)에 의해 청징조(2)에 접속되어 있다.
청징조(2)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면서 청징제 등의 작용에 의해 탈포하는 청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청징조(2)는 유리 공급로(6b)에 의해 균질화조(3)에 접속되어 있다.
균질화조(3)는 청징된 용융 유리(GM)를 교반하여 균일화하는 공정(균질화 공정)을 행하기 위한 바닥을 갖는 관상 용기이다. 균질화조(3)는 교반 날개를 갖는 스터러(3a)를 구비한다. 균질화조(3)는 유리 공급로(6c)에 의해 포트(4)에 접속되어 있다.
포트(4)는 용융 유리(GM)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포트(4)는 용융 유리(GM)의 점도 조정 및 유량 조정을 위한 용적부로서 예시된다. 포트(4)는 유리 공급로(6d)에 의해 성형체(5)에 접속되어 있다.
성형체(5)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판상으로 성형한다. 상세하게는 성형체(5)는 단면형상(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대략 쐐기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성형체(5)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체(5)는 용융 유리(GM)를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흘러 넘치게 해서 성형체(5)의 양측의 측벽면(지면의 표리면측에 위치하는 측면)을 따라 유하시킨다. 성형체(5)는 유하시킨 용융 유리(GM)를 측벽면의 하정부에서 융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의 판유리(GR)가 성형된다. 띠형상의 판유리(GR)는 서냉로를 통과한 후에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소망 치수의 판유리로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판유리는 예를 들면 두께가 0.01∼10mm이며,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의 기판이나 보호 커버에 이용된다. 성형체(5)는 슬롯 다운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성형체(5) 대신에 플로트법을 이용하는 성형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 물품은 판유리(GR)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관 외 기타의 각종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리관을 형성할 경우에는 성형체(5) 대신에 단나법을 이용하는 성형 장치가 배치된다.
판유리의 조성으로서는 규산염 유리, 실리카 유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붕규산 유리, 소다라임 유리,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 화학 강화 유리가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무알칼리 유리란 알칼리 성분(알칼리 금속산화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이며,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가 3000ppm 이하인 유리이다.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이다.
유리 공급로(6a∼6d)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 기능한다. 유리 공급로(6a∼6d)는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관(7)을 포함한다(도 2 참조). 유리 공급로(6a∼6d)는 한개의 유리 이송관(7)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유리 이송관(7)을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유리 이송관(7)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벽돌 등의 단열재에 의해, 그 전체가 피복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유리 이송관(7)은 본체부(8)와, 이 본체부(8)의 외주부(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9)와, 플랜지부(9)와 함께 가열 장치로서 기능하는 전극부(10)와, 플랜지부(9) 및 전극부(10)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1)를 구비한다.
본체부(8)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관상(예를 들면 원관상)으로 구성된다. 본체부(8)는 내부에 용융 유리(GM)를 통과시킴으로써, 일단부측(상류측)으로부터 타단부측(하류측)으로 당해 용융 유리(GM)를 이송한다.
플랜지부(9)는 원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8)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플랜지부(9)는 본체부(8)과 동심상으로 되도록 본체부(8)와 일체로 구성(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9)는 본체부(8)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체부(8)의 중도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플랜지부(9)는 제 1 플랜지부(9a)와, 제 1 플랜지부(9a)의 외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 2 플랜지부(9b)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부(9a)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플랜지부(9a)는 본체부(8)의 각 단부에 대해서 일체로 구성된다. 제 2 플랜지부(9b)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환상(예를 들면 원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9b)는 그 내주부와, 제 1 플랜지부(9a)의 외주부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당해 제 1 플랜지부(9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10)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부(10)는 플랜지부(9)(제 2 플랜지부(9b))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전극부(1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전극부(10)를 플랜지부(9)(제 2 플랜지부(9b))의 하부나 측부에 형성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냉각 장치(11)는 공기 등의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R)를 통과시키는 냉각 유로(12,13)를 갖는다. 냉각 유로(12,13)는 플랜지부(9)에 형성되는 상류측 냉각 유로(12)와, 전극부(10)에 형성되는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포함한다.
상류측 냉각 유로(12)는 제 2 플랜지부(9b)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류측 냉각 유로(12)는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를 포함한다. 각 냉각 유로(12a,12b)는 2개의 원호상의 유로와, 이들을 접속하는 유로를 갖는다. 2개의 원호상의 유로는 플랜지부(9)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당해 플랜지부(9)의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는 원호상의 유로를 갖는다. 상류측 냉각 유로(12)의 수나 그것에 포함되는 원호상의 유로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9)의 치수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원호상의 유로끼리를 접속하지 않고, 원호상의 유로의 각각에 후술의 유입구(14) 및 유출구(15)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유출구(15)의 일부는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냉매(R)를 공급하지 않고, 계외부로 배출해도 좋다.
각 냉각 유로(12a,12b)는 냉매(R)의 유입구(14) 및 유출구(15)를 구비한다. 각 냉각 유로(12a,12b)의 유입구(14)는 제 2 플랜지부(9b)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4)의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플랜지부(9b)의 측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각 냉각 유로(12a,12b)의 유입구(14)에는 냉매(R)를 이송하는 냉각용 배관(16)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의 유출구(15)는 제 2 플랜지부(9b)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매(R)를 상방으로 분사하는 분사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의 유출구(15)는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냉매(R)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하류측 냉각 유로(13)는 전극부(10)에 고정되는 유로 구성 부재(17)를 구비한다. 유로 구성 부재(17)는 본체부(8)와 대향하는 제 1 벽부(18)와, 제 1 벽부(18)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벽부(19) 및 제 3 벽부(20)를 구비한다.
제 1 벽부(18)는 전극부(10)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고, 전극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장척형상으로 구성된다. 제 1 벽부(18)는 외부의 공기를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에 도입하는 도입구(21)를 갖는다. 도입구(21)는 제 1 벽부(18)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21)는 제 1 벽부(18)를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개구부에 의해 구성되지만, 도입구(21)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벽부(19) 및 제 3 벽부(20)는 제 1 벽부(18)의 폭방향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벽부(18)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제 2 벽부(19) 및 제 3 벽부(20)는 제 1 벽부(18)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전극부(10)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제 2 벽부(19) 및 제 3 벽부(20)의 단부는 용접에 의해 본체부(8)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부(8)와, 제 1 벽부(18) 내지 제 3 벽부(20)에 의해, 그 내측에 냉매(R)를 통과시키는 공간, 즉 하류측 냉각 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냉각 유로(13)는 그 하단부측으로부터 상단부측으로 냉매(R)를 상승시키도록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장척상의 유로로서 구성된다.
플랜지부(9)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의 유출구(15)는 이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전극부(10)와 유로 구성 부재(17)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 내)에 위치되어 있다.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유로 단면적은 상류측 냉각 유로(12)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된다. 상세하게는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유로 단면적은 상류측 냉각 유로(12)의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에 있어서의 유출구(15)의 개구 면적의 총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냉각 유로(13)는 그 상부(하류측 단부)에 냉매(R)의 배출구(22)를 갖는다.
이하,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방법은 용해조(1)에서 원료 유리를 용해시키고(용해 공정), 용융 유리(GM)를 얻은 후, 이 용융 유리(GM)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청징조(2)에 의한 청징 공정, 균질화조(3)에 의한 균질화 공정, 및 포트(4)에 의한 상태 조정 공정을 실시한다. 그 후에 이 용융 유리(GM)를 성형체(5)로 이송하고, 성형 공정에 의해 용융 유리(GM)로부터 판유리(GR)를 성형한다. 그 후에 판유리(GR)는 서냉로에 의한 서냉 공정,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공정을 거쳐 소정 치수로 형성된다.
용융 유리(GM)를 유리 이송 장치(유리 공급로(6a∼6d))로 이송할 경우, 유리 이송관(7)의 본체부(8) 내를 유동하는 용융 유리(GM)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 전극부(10)에 전압을 인가하여 본체부(8)를 가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냉각 장치(11)는 상류측 냉각 유로(12)에 냉매(R)를 공급한다. 상류측 냉각 유로(12)는 냉각용 배관(16)으로부터 공급된 냉매(R)를 유입구(14)로부터 유출구(15)로 유통시켜서 플랜지부(9)를 냉각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냉각 유로(12a) 및 제 2 냉각 유로(12b)를 통과하여 유출구(15)로부터 분사된 냉매(R)는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공급된다. 유출구(15)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방출된 냉매(R)는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통과해서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 도입구(21) 주변의 기체가 냉매(R)의 흐름에 말려 들어가서,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에 도입하고, 냉매(R)와 함께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를 통과해서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된다. 냉매(R)의 온도는 플랜지부(9)를 통과함으로써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외부의 기온보다 온도가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냉매(R)가 유입한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내부가 저압으로 되고,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외측이 고압으로 된다. 이 압력차에 의해서도,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는 도입구(21)로부터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로 유입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이송 장치에 의하면, 플랜지부(9)의 내부에 형성된 상류측 냉각 유로(12)와, 전극부(10)에 형성된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R)를 통과시킴으로써 플랜지부(9) 및 전극부(10)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매(R)를 상류측 냉각 유로(12)의 유출구(15)(분사구)부터 분사해서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도입구(21)로부터 당해 하류측 냉각 유로(13) 내에 도입함으로써 전극부(10)를 한층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수냉식의 냉각 장치에서는 물을 급배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누수가 발생한 경우, 중대한 사고에 이를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이송 장치에 의하면, 냉매로서 기체를 사용하는 점에서, 냉매를 공급하는 장치뿐이어도 좋고, 배출된 냉매를 회수하는 설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설비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누수에 의해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유리 이송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유로(12,13)에 따른 도입구(21)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유로 구성 부재(17)는 각 벽부(18∼20)의 하단부가 플랜지부(9)의 상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전극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로 구성 부재(17)의 하단부와 플랜지부(9)의 상부 사이에 극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극간이 하류측 냉각 유로(13)의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당해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도입하는 도입구(21)가 된다. 상류측 냉각 유로(12)와 하류측 냉각 유로(13) 사이에 형성된 도입구(21)(극간)부터 외부의 기체를 하류측 냉각 유로(13)에 도입함으로써 전극부(10)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공급로(6a∼6d)에 포함되는 유리 이송관(7)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징조(2), 균질화조(3), 포트(4)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 구성 부재(17)의 도입구(21)를 제 1 벽부(18)에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입구(21)는 제 2 벽부(19), 제 3 벽부(20)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 구성 부재(17)를 전극부(10)에 설치해서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로 구성 부재(17)를 플랜지부(9)에 고정함으로써 당해 플랜지부(9)에 상류측 냉각 유로(12) 및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형성해도 좋다. 플랜지부(9) 및 전극부(10)를 적확하게 냉각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상류측 냉각 유로(12)를 플랜지부(9)에 형성함과 아울러, 하류측 냉각 유로(13)를 전극부(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공급로(6a∼6d)나 청징조(2)는 복수 개의 유리 이송관(7)을 접속함으로써 소망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유리 이송관(7)의 플랜지부(9)끼리를 대향시켜서, 플랜지부(9)의 사이에 단열 부재 등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유리 이송관(7)을 접속할 수 있다. 플랜지부(9)는 내부에 상류측 냉각 유로(12)가 형성됨으로써 그 두께 치수가 종래보다 크게 되므로,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리 이송관(7)을 접속하는 경우에, 플랜지부(9)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9)의 두께 치수는 예를 들면 20∼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50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7: 유리 이송관
8: 본체부
9: 플랜지부
10: 전극부
11: 냉각 장치
12: 상류측 냉각 유로
13: 하류측 냉각 유로
14: 유입구
15: 유출구
21: 도입구
R: 냉매

Claims (8)

  1.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과, 기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
    상기 유리 이송관은 관상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와,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플랜지부 및/또는 상기 전극부를 냉각하기 위해서 상기 냉매를 유통시키는 냉각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냉매를 공급하는 분사구와, 상기 분사구의 하류에 위치해서 외부의 기체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상류측 냉각 유로와, 상기 전극부에 형성되는 하류측 냉각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하류측 냉각 유로를 향해서 상기 냉매를 분사하는 상기 분사구인 유리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는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와 상기 하류측 냉각 유로 사이에 형성된 극간인 유리 이송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 이송관은 상기 플랜지부끼리를 대향시켜서 서로 접속되는 복수의 상기 유리 이송관을 포함하는 유리 이송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상기 상류측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17038146A 2019-06-17 2020-05-22 유리 이송 장치 KR102662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2090 2019-06-17
JP2019112090A JP7136015B2 (ja) 2019-06-17 2019-06-17 ガラス移送装置
PCT/JP2020/020407 WO2020255632A1 (ja) 2019-06-17 2020-05-22 ガラス移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02A KR20220020802A (ko) 2022-02-21
KR102662482B1 true KR102662482B1 (ko) 2024-05-03

Family

ID=7383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146A KR102662482B1 (ko) 2019-06-17 2020-05-22 유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36015B2 (ko)
KR (1) KR102662482B1 (ko)
CN (1) CN113677634B (ko)
WO (1) WO2020255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84387A (ja) * 2021-12-07 2023-06-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移送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JP2023130739A (ja) * 2022-03-08 2023-09-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3710A1 (en) 2012-11-02 2014-05-08 David Myron Linema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platinum group metal particulate inclusion in molten glass
JP2015143175A (ja) 2013-12-26 2015-08-06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JP2015160753A (ja) 2014-02-26 2015-09-07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2015187074A (ja) 2010-02-25 2015-10-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WO2018079810A1 (ja) 2016-10-31 2018-05-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ガラス製造方法、ガラス供給管及び溶融ガラス搬送方法
JP2018083739A (ja) 2016-11-25 2018-05-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ガラス供給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391B2 (ja) * 1997-03-07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アセンブリ及び電動車両
JP4485187B2 (ja) * 2003-12-24 2010-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WO2014119709A1 (ja) * 2013-02-01 2014-08-07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JP2016164300A (ja) * 2015-02-26 2016-09-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冶金炉のフランジ、冶金炉、および冶金炉のフランジの冷却方法
CN107646022B (zh) 2015-03-23 2020-08-21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加热金属容器的设备和方法
JP6721311B2 (ja) * 2015-09-30 2020-07-15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6624871B2 (ja) * 2015-09-30 2019-12-25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導管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US10633276B2 (en) * 2015-10-21 2020-04-28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metallic vessel
JP6724813B2 (ja) * 2017-02-13 2020-07-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方法、及びガラス供給管の予熱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7074A (ja) 2010-02-25 2015-10-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US20140123710A1 (en) 2012-11-02 2014-05-08 David Myron Lineman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platinum group metal particulate inclusion in molten glass
JP2015143175A (ja) 2013-12-26 2015-08-06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JP2015160753A (ja) 2014-02-26 2015-09-07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WO2018079810A1 (ja) 2016-10-31 2018-05-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ガラス製造方法、ガラス供給管及び溶融ガラス搬送方法
JP2018083739A (ja) 2016-11-25 2018-05-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ガラス供給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203809A (ja) 2020-12-24
JP7136015B2 (ja) 2022-09-13
CN113677634A (zh) 2021-11-19
WO2020255632A1 (ja) 2020-12-24
CN113677634B (zh) 2024-04-16
KR20220020802A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482B1 (ko) 유리 이송 장치
CN113727949B (zh) 玻璃移送装置
KR20190020168A (ko) 백금-함유 용기의 직접 저항 가열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TWI729115B (zh) 用於熔融成形設備的蒙烰爐總成、具有該蒙烰爐總成的玻璃成形設備、及使用該玻璃成形設備的玻璃成形方法
KR20210030252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유리 기판
KR102331496B1 (ko) 유리 제조 방법 및 유리 공급관의 예열 방법
CN101823835A (zh) 用于制备浮法玻璃的浮槽系统及其冷却方法
WO20182321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 glass ribbon
KR102655115B1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CN113874329B (zh) 玻璃物品的制造方法及玻璃物品的制造装置
WO2021002244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200004432A (ko)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6117608A (ja) 溶融ガラスの供給方法
WO2018081772A1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a glass ribbon
TW201827359A (zh) 玻璃製造裝置及方法
WO2023100688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3106089A1 (ja) 溶融ガラス移送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3106093A1 (ja) ガラス移送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3234083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TWI835935B (zh) 玻璃物品的製造方法
KR20240066131A (ko)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KR20230008057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20160146865A (ko) 복합 유리 물품 제조 방법 및 기기
KR20210022523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