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799B1 -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799B1
KR102660799B1 KR1020220095034A KR20220095034A KR102660799B1 KR 102660799 B1 KR102660799 B1 KR 102660799B1 KR 1020220095034 A KR1020220095034 A KR 1020220095034A KR 20220095034 A KR20220095034 A KR 20220095034A KR 102660799 B1 KR102660799 B1 KR 10266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eaction vessel
base material
fiber base
se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6813A (ko
Inventor
서태일
이가형
유재명
남규현
이경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2009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799B1/ko
Publication of KR2024001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7Controlling or reg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응용기 및 상기 반응용기의 상부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척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척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더미봉 및 상단부가 상기 더미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더미봉과 동반 회전하는 시드봉 및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료 물질을 화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의 외주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생성하는 버너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기는 외면 일측에 복수개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복수개의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함에 따라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가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의 표면에 점 형태로 증착되어 광섬유 모재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료 물질의 화염 가수분해로 생성된 수트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은 시드봉의 외면에 수트를 증착하여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함에 따라 클래드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굴절률을 갖는 코어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Apparatus for fabricating optical fiber preform}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함과 아울러 원료 물질의 화염 가수분해로 생성된 수트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은 시드봉의 외면에 수트를 중착하여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중간재인 원기둥 형상의 코어와, 상기 코어의 주변을 둘러싸는 클래드를 포함하며, 광신호의 전송 매체로서,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선이 없고 도청이 어려우며, 광섬유 하나로 복수의 통신 회선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광섬유는 중간재인 광섬유 모재를 고온에서 가열한 후 인출함으로써 제작되며, 상술한 광섬유 모재의 제작 방법으로는 VAD법(Vapor phase axial deposition method; 기상축 증착방법)이나 OVD법(Outside Vapor Deposition method; 외부 기상축 증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VAD법 및 OVD법은 규소를 포함한 유리 원료(예를 들어 SiCl4)를 가연성 가스, 조연성 가스 등의 연소 가스와 함께 버너에 도입하고 화염 중에서 유리 원료를 가수분해 반응 또는 산화 반응 시킴으로써, 유리 미립자를 생성하고 이것을 회전하는 출발재(시드라드)에 퇴적시켜 유리 미립자 퇴적체인 광섬유 모재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VAD 방식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하단부 일측에 흡기구(101a)가 형성되고 하단부 타측에 배기구(101b)가 형성된 반응용기(101)와, 상기 반응용기(101)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에 연결된 더미봉(103)을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는 회전척(102)과, 상기 더미봉(103)의 하단에 연결되어 더미봉(10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시드봉(104)과, 유리 원료의 화염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104)의 표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생성하는 버너(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회전척(102)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시드봉(104)의 하단에 버너(105)를 통해 생성된 수트를 증착시켜 시드봉(104)의 하부에 코어(201)와 클래드(202)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200)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반응용기(101)의 외주면 하단부 일측과 타측에 하나의 흡기구(101a) 및 배기구(101b)가 형성됨에 따라 반응용기(101) 내부에서 수트 중 시드봉(104)에 미처 증착되지 못한 미증착 수트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않고 반응용기(101) 내부에 분진 형태로 잔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방치(100)는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가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100)의 표면에 점 형태로 증착되어 광섬유 모재(100)의 불량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2개의 버너(105) 중 하부에 배치된 버너가 원료물질인 SiCl4를 화염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104)에 증착하여 코어(201)를 형성하고, 상부에 배치된 버너가 SiCl4와 GeCl4가 혼합된 원료 물질을 화염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수트를 코어(201)의 외면에 증착하여 클래드(202)를 형성함으로써, 코어(201)와 클래드(202)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200)를 생성하게 된다.
즉,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코어(201)를 형성하는 원료물질(SiCl4)과 클래드(202)를 형성하는 원료물질(SiCl4와 GeCl4)을 다르게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코어(201)와 클래드(202)의 굴절율이 다른 광섬유 모재(200)를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은 원료물질의 일부 차이만으로는 코어(201)와 클래드(202) 간의 굴절률의 차이를 발생시킴에 따라 코어(201)와 클래드(202) 간의 굴절율에 큰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클래드(202)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굴절률을 갖는 코어(201)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200)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0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함과 아울러 원료 물질의 화염 가수분해로 생성된 수트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은 시드봉의 외면에 수트를 증착하여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용기 및 상기 반응용기의 상부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척 및 상단부가 상기 회전척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더미봉 및 상단부가 상기 더미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더미봉과 동반 회전하는 시드봉 및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료 물질을 화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의 외주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생성하는 버너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기는 외면 일측에 복수개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복수개의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반응용기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기구와, 상기 반응용기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시드봉과 대응되는 상기 반응용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드봉의 하부 이동영역을 제공하는 제3배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너는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시드봉의 외주면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기 수트를 증착하여 상기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되, 상기 시드봉의 굴절율은 상기 시드봉의 외주면에 증착되는 상기 수트를 생성하는 원료물질의 굴절율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함에 따라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가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의 표면에 점 형태로 증착되어 광섬유 모재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료 물질의 화염 가수분해로 생성된 수트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은 시드봉의 외면에 수트를 증착하여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함에 따라 클래드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굴절률을 갖는 코어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VAD 방식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의 반응용기 내부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의 광섬유 모재 제조 공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광섬유 모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의 반응용기 내부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는 반응용기(10), 회전척(20), 더미봉(30), 시드봉(40) 및 버너(50)를 포함한다.
반응용기(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더미봉(30), 시드봉(40) 및 버너(5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며, 수용공간을 통해 광섬유 모재가 증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반응용기(10)는 외면 일측에 외부로부터 냉각된 클린에어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반응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클린에어와 함께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반응용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기구(12)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기구(11)는 반응용기(10)의 하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흡기구(11a) 및 제1흡기구(11a)와 인접한 상부에 형성되는 제2흡기구(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흡기구(11a) 및 제2흡기구(11b)를 포함하는 2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구(12)는 제1배기구(12a), 제2배기구(12b) 및 제3배기구(12c)를 포함한다.
제1배기구(12a)는 흡기구(11)와 대향하는 반응용기(10)의 하단부 외면 일측에 1개가 형성되고, 반응용기(10)의 하부영역에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반응용기(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배기구(12b)는 반응용기(10)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3개가 형성되고, 반응용기(10)의 하부영역에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반응용기(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3배기구(12c)는 후술하는 시드봉(40)과 대응되는 반응용기(10)의 하단 일측에 1개가 형성되고, 반응용기(10)의 하부영역에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반응용기(10)의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시드봉(40)의 하부 이동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기구(12a) 및 제3배기구(12c)가 각각 1개, 제2배기구(12b)가 3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구(11)의 개수가 증가되는 경우 이에 따른 배기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그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척(20)은 반응용기(10)의 상부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결합되는 더미봉(30) 및 시드봉(40)을 반응용기(10) 내부에서 상하 이동 및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더미봉(30)은 상단부가 회전척(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반응용기(10)의 내부 중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시드봉(40)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시드봉(40)은 상단부가 더미봉(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회전척(20)에 의해 더미봉(30)과 함께 동반회전하며, 외주면을 통해 버너(50)에 의해 생성된 수트가 증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버너(50)는 반응용기(10)의 내부 중 시드봉(40)의 측방에 설치되고, 원료 물질(SiCl4)을 화염 가수분해하여 수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40)의 외주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냉각된 클린에어가 공급되는 복수개의 흡기구(11)가 형성되고, 공급되는 클린에어와 함께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기구(12)가 형성됨에 따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용기(10) 내부에 분진 형태로 잔존하는 미증착 수트를 외부로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분진 형태의 미증착 수트가 제조되는 광섬유 모재의 표면에 점 형태로 증착되어 광섬유 모재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흡기구(11)를 통해 냉각된 클린에어의 흡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버너(50)에 의해 반응용기(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의 광섬유 모재 제조 공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광섬유 모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는 버너(50)에 의한 원료물질(SiCl4)의 화염 가수분해로 생성된 수트를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시드봉(40)의 외주면 상단과 하단 사이에 증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과는 달리 시드봉(40)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시드봉(40)의 외주면에 증착되는 수트를 생성하는 원료물질(SiCl4)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은 시드봉(4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트의 증착에 의해 시드봉(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클래드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굴절율을 갖는 코어로 이루어진 광섬유 모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10 : 반응용기
11 : 흡기구 11a : 제1흡기구
11b : 제2흡기구 12 : 배기구
12a : 제1배기구 12b : 제2배기구
12c : 제3배기구 20 : 회전척
30 : 더비봉 40 : 시드봉
50 : 버너

Claims (4)

  1. 반응용기와;
    상기 반응용기의 상부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척과;
    상단부가 상기 회전척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더미봉과;
    상단부가 상기 더미봉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더미봉과 동반 회전하는 시드봉과;
    상기 반응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원료 물질을 화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수트를 시드봉의 외주면에 증착시켜 광섬유 모재를 생성하는 버너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용기는 외면 일측에 복수개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복수개의 배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기구는 상기 반응용기의 하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기구와, 상기 반응용기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기구와, 상기 시드봉과 대응되는 상기 반응용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시드봉의 하부 이동영역을 제공하는 제3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시드봉의 외주면 상단과 하단 사이에 상기 수트를 증착하여 상기 시드봉을 코어로 하는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되,
    상기 시드봉의 굴절율은 상기 시드봉의 외주면에 증착되는 상기 수트를 생성하는 원료물질의 굴절율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KR1020220095034A 2022-07-29 2022-07-29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KR10266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034A KR102660799B1 (ko) 2022-07-29 2022-07-29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034A KR102660799B1 (ko) 2022-07-29 2022-07-29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813A KR20240016813A (ko) 2024-02-06
KR102660799B1 true KR102660799B1 (ko) 2024-04-26

Family

ID=8985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034A KR102660799B1 (ko) 2022-07-29 2022-07-29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7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246A (ja) 2003-04-04 2004-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孔質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132550A (ja) * 2007-11-29 2009-06-18 Covalent Materials Corp 合成シリカ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合成シリカ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3040064A (ja) 2011-08-12 2013-02-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5059055A (ja) * 2013-09-18 2015-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042B2 (ja) * 1994-08-24 2001-01-29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石英ガラスルツボの製造方法
JP6505188B1 (ja) * 2017-10-13 2019-04-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多孔質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190070094A (ko)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생산 수율이 향상된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246A (ja) 2003-04-04 2004-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孔質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132550A (ja) * 2007-11-29 2009-06-18 Covalent Materials Corp 合成シリカ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合成シリカ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3040064A (ja) 2011-08-12 2013-02-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5059055A (ja) * 2013-09-18 2015-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813A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339B2 (en) Method of fabricating an optical fiber preform and a burner therefor
CN108585470B (zh) 一种vad制备高掺锗芯棒的装置及方法
KR20040008223A (ko) 유리 미립자 퇴적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245648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KR102660799B1 (ko)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US20040065120A1 (en) Multi-tube burner and glass preform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EP146897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particulate sedimentary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base material
US20050274150A1 (en) Optical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57662B1 (ko) 다공질 유리 모재의 제조 장치 및 광섬유용 유리 모재
KR20050028606A (ko) 저손실 광섬유 및 광섬유 모재의 제조 방법
KR100496449B1 (ko) 광섬유모재 제조를 위한 외부기상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모재 제조방법
JP3653902B2 (ja) ガラス母材合成用バーナ及び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JP7195703B2 (ja) 多孔質体合成用バーナー及び多孔質体の製造方法
JPH0463018B2 (ko)
KR100630117B1 (ko) 기상 외부 증착 방법에 의한 광섬유 모재 제작 장치
JP5342514B2 (ja) ガラス微粒子合成用バーナ及び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JPH0474728A (ja) 石英系光導波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8155036A1 (ja) 多孔質体合成用多重管バーナー及び多孔質体合成装置
JP4530687B2 (ja) 光ファイバ用多孔質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JP4449272B2 (ja) ガラス微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JP3485697B2 (ja)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装置
JP2003313043A (ja) 光ファイバ用多孔質母材の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用多孔質母材製造用バーナ装置
JP4458882B2 (ja) 光ファイバ用多孔質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及びプリフォーム
JP5907565B2 (ja) 多孔質ガラス母材製造用のバーナ
JP2003212560A (ja) ガラス微粒子堆積体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