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830B1 - 캔버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캔버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830B1
KR102655830B1 KR1020230125050A KR20230125050A KR102655830B1 KR 102655830 B1 KR102655830 B1 KR 102655830B1 KR 1020230125050 A KR1020230125050 A KR 1020230125050A KR 20230125050 A KR20230125050 A KR 20230125050A KR 102655830 B1 KR102655830 B1 KR 10265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
insertion groove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12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44D3/185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목재의 변형 및 무게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금속 프레임과, 금속 프레임의 재질로 인한 결로를 해결하기 위해 천과 금속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천이 반드시 접촉하는 부분은 목재로 된 목재 프레임을 결합하였다.

Description

캔버스 프레임{Canvas frame}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과 목재 프레임을 포함한 하이브리드(Hybrid) 타입의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재 캔버스 프레임의 문제점은 시간이 지나면서 목재가 건조되면서 캔버스 틀이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두꺼운 목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너무 무거워서 운반이나 취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에 포함된 진액이나 수분이 캔버스 틀에서 스며나와 그림이 변색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금속 재질로 된 캔버스 프레임이 고안되었다. 종래 금속 재질로 된 캔버스 프레임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9322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금속 재질(알루미늄) 프레임 캔버스는, 천과 알루미늄이 접촉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서 찬 금속 성질에 따른 결로가 발생하고, 이는 목재에서 발생하는 습기로 인한 피해보다 더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한편, 목재프레임은 다른 부재 사용 없이 프레임에 홈을 만들고 끼워 맞춤으로 캔버스를 제작할 수 있으나 금속 프레임은 자체 끼워 맞춤이 어려워 플라스틱을 강제로 끼워 넣어 조립하거나 플라스틱 브라켓을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결부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외관도 수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작업 공수도 복잡해서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이런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전체를 용접타입으로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는 캔버스를 운반 및 이동을 위해 분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캔버스의 천은 습기가 많은 사용환경 또는 그림 작업시 수분을 흡수하거나 작업의 힘에 의해 장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목재 캔버스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웨지를 끼워 넣어서 캔버스 전체 사이즈를 확장해서 장력이 약해진 것을 교정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 프레임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때문에 목재처럼 웨지를 사용할 수 없고 원하는 위치만큼 쉽게 장력을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금속 프레임의 경우, 금속 프레임 구조만으로 강도를 확보하기 때문에 외곽 프레임을 두껍게 해야 하고 추가 강성 확보를 위해 크로스 바를 추가하여 강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때 외곽 프레임을 그대로 크로스바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여서 별도의 크로스바용 프레임을 만들어서 조립해야한다. 또한, 그림이 벽에서 두드러지는 효과를 내기 위해 외곽 프레임의 두께를 키워서 액자 효과를 내는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지금까지 고안된 금속 프레임의 경우 별도의 금형으로 다른 두께의 프레임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즉, 캔버스 제작시 다양한 단면의 자재를 준비해야 하고 구성이 다양해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캔버스는 프레임에 반드시 천을 고정해야 완성되는데, 이때 전문 공구로 천을 잡아당겨서 장력을 유지한 채로 스테이플로 천을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여성이나 초보자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재의 변형 및 무게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금속 프레임과, 금속 프레임의 재질로 인한 결로를 해결하기 위해 천과 금속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천이 반드시 접촉하는 부분은 목재로 된 목재 프레임을 결합한 캔버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 사이즈를 쉽게 확장할 수 있고, 각 프레임의 코너와 크로스바의 다양한 연결방법을 제시하며, 종래 캔버스의 경우 천을 고정할 때 스테이플을 사용하는 반면, 본 발명은 장력이 조절되면서 천을 고정할 수 있는 캔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종래 캔버스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의 다른 프로파일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반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 개의 프레임 단면으로 캔버스 전체를 만들 수 있어 제작비가 감소하는 캔버스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에는, 외측면을 따라 전방측과 후방측에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목재 프레임을 상기 금속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홈부 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목재 프레임과 상기 금속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금속 프레임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들어간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전면 돌기부와, 상기 금속 프레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온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후면 돌기부와, 상기 전면 돌기부와 상기 후면 돌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가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U'자 형의 스프링 형태이고, 상기 홈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수단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에는, 외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내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목재 프레임과 상기 금속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천과 최소한의 접촉을 위해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에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L'자 형상의 코너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제1체결홀 또는 일방향으로 긴 제1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코너 연결구의 일단이 상기 가로 프레임 내로 삽입되고, 상기 코너 연결구의 타단이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삽입하며, 필요시 상기 코너 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제1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거나, 상기 제1장공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제2체결홀 또는 일방향으로 긴 제2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크로스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 사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부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를 상기 크로스바 내에 삽입하며, 필요시 상기 제1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제2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거나, 상기 제2장공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제1체결홀 또는 일방향으로 긴 제1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와, 일단이 상기 제1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차례로 상기 크로스바 내에 삽입하며, 필요시 상기 제2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제1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거나, 상기 제1장공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과,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일자형 판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바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제1일자형 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3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두 개의 상기 제2일자형 판을 동시에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3크로스바 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3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와, 'L'자 형으로 일단이 상기 제1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1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금속 프레임 및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1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과,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 제2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일자형 판을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 또는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2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일자형 판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일자형 판을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2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면에 제3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L자 브라켓과,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타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제3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세로 프레임 측으로 밀면,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되고, 이후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을 각각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일면이 상기 제2걸림턱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각각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L자 브라켓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크로스바 측으로 밀면,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이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되고, 이후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을 각각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일면이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제3걸림턱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공에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각각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L자 브라켓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체결홈이 형성된 일면과, 제1-1슬라이드 홈과 제1-2슬라이드 홈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지는 제1클램프와, 제2체결홈이 형성된 일면과, 제2-1슬라이드 홈과 제2-2슬라이드 홈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지는 제2클램프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일측을 연결하고, 제3체결홀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제4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을 눌러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타측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4연결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판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1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고, 동시에 상기 제1-2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2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며, 상기 제3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4연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플레임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제4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을 눌러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타측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4연결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판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1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고, 동시에 상기 제1-2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2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3걸림턱이 각각 걸리며, 상기 제3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4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4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일자형 바와 제2일자형 바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일자형 바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일자형 바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2홈이 형성되어 있는 L자 브라켓과,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제2홈 내에 삽입되고, 양측 모서리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5체결공이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5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바와 상기 제2일자형 바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상기 클램프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단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5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클램프와 상기 L자 브라켓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5체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제5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바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2일자형 바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상기 클램프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단턱이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제3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5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클램프와 상기 L자 브라켓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5체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필요시 상기 제5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을 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 배치되는 천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삽입홈 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천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을 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목재 프레임 후면에 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삽입홈 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목재 프레임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면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캔버스 프레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이브리드(Hybrid) 타입의 캔버스 프레임으로서, 목재의 변형 및 무게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금속 프레임과, 금속 프레임의 재질로 인한 결로를 해결하기 위해 천과 금속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천이 반드시 접촉하는 부분은 목재로 목재로 결합하였고, 금속 프레임의 외측에서 목재 프레임을 눌러 가압하는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목재 프레임의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측면은 전면으로부터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에지부를 구성함으로써, 그림이 그려지는 면은 캔버스 프레임과 천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면서도 하단은 두툼한 형상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동일 개념에 에지부 사이즈만 변경하면, 제작이 번거로운 금속 프레임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목재 프레임 변경만으로 다양한 두께의 캔버스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단순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금속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구 상에서 가로 프레임 또는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전체 캔버스를 확장시켜서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크로스바가 구성되어 있는 캔버스 경우에도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크로스바도 동일 분량만큼 이동시켜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목재와 금속의 결합 구조를 응용하여 전술한 천의 고정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의 고안으로서 테이퍼 모양의 구조물을 금속 프레임에 삽입하여 누구든지 쉽게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도 천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은 캔버스 천의 장력을 조절할 때 캔버스 프레임 전체를 이동 확장시켜서 천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이었으나 뵨 고안은 목재와 금속의 조합으로 인해 금속 프레임은 그대로 고정된 채로 금속 프레임에 테이퍼로 된 주조물을 삽입함으로써 목재 구조만 움직여서 천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간단하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과 목재 프레임이 가압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목재 프레임의 에지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에 크로스바가 연결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에 크로스바가 연결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에 크로스바가 연결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7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4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2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5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6 및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에 천을 고정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에 천을 고정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을 포함한 하이브리드(Hybrid) 타입의 캔버스 프레임이다.
목재의 변형 및 무게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금속 프레임(100)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며,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이 접하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금속 프레임(100)의 재질로 인한 결로를 해결하기 위해 천과 금속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천이 반드시 접촉하는 부분은 목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목재 프레임(200)은 금속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금속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가로 프레임(201)과 세로 프레임(203)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며, 가로 프레임(201)과 세로 프레임(203)이 접하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첫번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을 가압 방식으로 서로 결합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도면에서, 캔버스 프레임의 천이 장력을 가지고 배치되는 면을 전면이라고 하고, 천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면을 후면이라고 한다.
금속 프레임(100)에는 외측면을 따라 전방측과 후방측에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10, 120, 130)는 전면 돌기부(110)와 후면 돌기부(120)와 탄성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돌기부(110)는 금속 프레임(100)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들어간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11)와, 제1연장부(111)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3)를 포함한다.
후면 돌기부(120)는 금속 프레임(100)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온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21)와, 제2연장부(121)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23)를 포함한다.
탄성수단(130)은 전면 돌기부(110)와 후면 돌기부(120) 사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수단(130)은 'U'자 형의 스프링 형태로, 일단은 전면 돌기부(110)의 제1연장부(11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후면 돌기부(120)의 제2연장부(121)에 연결되어 있다.
목재 프레임(200)에는 내측면을 따라 금속 프레임(100)의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홈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10)의 내측벽면에는 제1걸림돌기(113)와 제2걸림돌기(123)가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210)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230)는 홈부(2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가 홈부(210) 내에 삽입될 때, 돌출부(230)는 탄성수단(130) 내측에 배치된다.
목재 프레임(200)의 홈부(210) 내에 금속 프레임(100)의 걸림부(110, 120, 130)가 삽입되기 전은 도 2와 같다. 도 3과 같이, 목재 프레임(200)을 금속 프레임(100) 측으로 가압하면, 'U'자 형의 스프링으로 된 탄성수단(130)이 수축하면서 걸림부가 홈부(210) 내로 들어가게 된다. 도 4와 같이, 홈부(210) 내에 걸림부(110, 120, 130)가 완전히 들어가면 탄성수단(130)은 탄성회복하고, 걸림홈(211)에 제1걸림돌기(113)와 제2걸림돌기(123)가 각각 걸림으로써, 목재 프레임(200)과 금속 프레임(100)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의 외측에서 목재 프레임(200)을 눌러 가압하는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시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두번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서로 결합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도면에서, 캔버스 프레임의 천(10)이 장력을 가지고 배치되는 면을 전면이라고 하고, 천(1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면을 후면이라고 한다.
금속 프레임(100)에는 외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목재 프레임(20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은 목재 프레임(200)이 슬라이드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외측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141)가 형성되어 있다.
목재 프레임(200)에는 내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가 형성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가이드 홈(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금속 프레임(100)의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 내에 목재 프레임(200)의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가 도면 상에서 도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이때 금속 프레임(100)의 가이드 돌기(141)가 목재 프레임(200)의 가이드 홈(241) 내에 배치됨으로써, 목재 프레임(200)과 금속 프레임(10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목재 프레임(200)과 금속 프레임(10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목재 프레임(200)과 금속 프레임(100)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100)의 경우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목재 프레임(200)을 결합할 때 방향성 없이 결합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프레임(200)에는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에지부(2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부(250)는 외측면(251)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252)은 천과 최소한의 접촉을 위해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253)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면(251)과 상면(252)이 연결되는 부분, 상면(252)과 내측면(253)이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면(253)과 목재 프레임(200)의 상면이 연결되는 부분(254)은 라운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에지부(250)의 형상에 따라, 캔버스 프레임과 천(10)의 간격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캔버스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b)와 같이, 목재 프레임(200)의 에지부(250) 형상만 더 크게 늘리면(도면 상에서 251이 길어지는 형상), 금속 프레임(100)은 그대로 사용하고, 목재 프레임(200)만 변경하여 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캔퍼스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어, 액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서 전장으로 돌출되는 액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금속 프레임(100)의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의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L'자 형상의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는 기본 L자 구조에서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300b)를 적용하거나, 캔버스의 전면과 후면으로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310)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300b)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를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의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에는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인접하게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은 일측벽을 서로 공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가로 프레임(101)의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의 일측으로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의 일단이 삽입되고, 세로 프레임(103)의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의 일측으로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의 타단이 삽입됨으로써,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이 수직하게 연결된다. 이후 체결수단(20)으로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와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을 체결하면, 견고한 캔버스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을 이동하여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의 내측면에는 도 6과 같이 일방향으로 긴 장공(141)이 형성되어 있어,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 상에서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장공(141)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함으로써,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시켜서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장공(141)의 가운데 부분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이 맞닿는 상태라고 하자. 이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 상에서 세로 프레임(103)을 1방향으로 이동(도면 상에서 장공(141)의 젤 아래에 체결수단(20) 체결)시키고, 가로 프레임(101)을 2방향으로 이동(도면 상에서 장공(141)의 좌측 끝에 체결수단(20) 체결)시키면, 1방향 이동에 의해 1방향으로 장력이 증가하고, 2방향 이동에 의해 2방향으로 장력이 증가한다.
도 6에서는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의 내측면에 일방향으로 긴 장공(141)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8과 같이 금속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체결홀(1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142)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 6에서는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목재 프레임(200)이 가압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에도 도 6 상의 코너 연결구(300a, 300b, 300c)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금속 프레임(100)의 전면 돌기부(110), 후면 돌기부(120), 탄성수단(130)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 부분에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의 가로 프레임(101)과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과 세로 프레임(103)을 가로지르며, 크로스바(4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 프레임(100)에 크로스바(400)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종래 캔버스 프레임의 경우 금속 프레임과 크로스바가 별도의 단면을 가지므로 금속 프레임과 크로스바를 각각 제작함에 따라,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금속 프로파일로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 둘 다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한 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금속 프로파일로 캔버스 프레임(크로스바 포함) 전체를 만들 수 있어 제작비가 감소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400)를 결합하는 방법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의 내측면을 따라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과 인접하게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과 제4슬라이드 삽입홈(150)은 일측벽을 서로 공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은 금속 프레임(100)의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내측면도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측면의 전면과 후면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가이드 돌기(161)가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바(400)가 가로 프레임(101)과 가로 프레임(101)을 가로지르며 수직하게 배치될 경우, 크로스바(400)의 상면 및 하면방향으로 개방된 연결구 삽입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만약 크로스바(400)가 세로 프레임(103)과 세로 프레임(103)을 가로지르며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크로스바(400)의 양측방향이 개방된 연결구 삽입홈(410)이 형성된다.
크로스바(40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크로스바(4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장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로스바(400)의 양측면에 제2장공(4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크로스바 연결구(310a, 310b, 310cc)는, 금속 프레임(100)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제1슬라이드부(311a, 311b, 311c)와, 제1슬라이드부(311a, 311b, 311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며 크로스바(400)의 연결구 삽입홈(410) 내로 삽입되는 크로스바 삽입부(315a, 315b, 315c)로 구성된다. 크로스바 삽입부(315a, 315b, 315c)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공(316a, 316b, 31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크로스바 연결구(310a, 310b, 310c)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310c)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310b)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9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311)와 크로스바 삽입부(315) 사이(313)에 제2걸림턱(161)을 끼운 상태에서, 제1슬라이드부(311)를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바 삽입부(315)를 연결구 삽입홈(410) 내에 삽입하며, 크로스바(400)와 금속 프레임(100)이 밀착되도록 한 다음, 체결수단(20)으로 크로스바(400)와 금속 프레임(100)을 고정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체결구(20)을 해제하고 제1크로스바 연결구(310a, 310b, 310cc) 상에서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장공(411)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함과 동시에 크로스바 이동분량 만큼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도면 상에서 가로 프레임(101)은 상부방향, 세로 프레임(103)은 좌측방향)하여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도 9에서는 크로스바(400)의 양측면에 일방향으로 긴 제2장공(41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10과 같이 크로스바(400)의 양측면에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제2체결홀(4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제2체결홀(412)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400)를 결합하는 방법을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였다.
제2크로스바 연결구(320)는 제1체결부(321)와 제2체결부(322)와 연결부(323)를 포함하여, 상하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부(321)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있다.
제2체결부(322)는 제1체결부(321)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다.
연결부(323)는 일단이 제1체결부(32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체결부(32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며, 양측으로 분리된 연결부(323)를 서로 이어주도록 다수의 연결리브(3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크로스바 연결구(320)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1체결부(321)와 연결부(323) 사이(325)에 제2걸림턱(161)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체결부(321)를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연결부(323)와 제2체결부(322)를 차례로 연결구 삽입홈(410)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수단(20)을 체결하여 제2크로스바 연결구(320)와 크로스바(400)를 고정하고 프레임(100)과 연결구(320)를 같은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후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2크로스바 연결구(320) 상에서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제2체결홀(412)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크로스바(400)의 양측면에 다수의 제2체결홀(41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도 6과 같이 크로스바(400)의 양측면에 일방향으로 긴 제1장공(411)이 형성되어, 제1장공(411)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400)를 결합하는 방법을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크로스바 연결구(330)는 동일한 형상인 두 개의 연결구(300a, 300b)가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
각 연결구(300a, 300b)는 제1체결공(333)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331)과, 제2체결공(334)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332)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일자형 판(332)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3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바(400)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 개의 연결구(300a, 300b)의 제1일자형 판(331)이 서로 연결(336)되어 있다. 또한 제3크로스바 연결구(330)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제1슬라이드 홈(335) 내에 제2걸림턱(161)을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제1일자형 판(331)을 차례로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두 개의 제2일자형 판(332)을 동시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체결공(333)과 제2체결공(334)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제3크로스바 연결구(33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 내에 밀착된다.
이후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도 16에서 제3크로스바 연결구(330) 상에서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이동하여,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금속 프레임(100)의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할 수도 있고,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할 수도 있는 연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구(510)를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결구(510)는 제1체결부(511)와 제2체결부(512)와 연결부(513)를 포함한다.
제1체결부(511)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2체결부(512)는 제1체결부(5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다.
연결부(513)는 'L'자 형으로, 일단이 제1체결부(51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2체결부(51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된다. 연결부(513)에는 양측으로 분리된 연결부(513)를 서로 이어주도록 다수의 연결리브(51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513)의 양측면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가이드 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연결구(51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18에 도시하였다.
도 18에 도시한 같이, 가이드 홈(515) 내에 가로 프레임(101)의 제2걸림턱(161)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체결부(511)와 연결부(513)의 일단을 가로 프레임(101)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삽입하고, 연결부(513)의 타단과 제2체결부(512)를 세로 프레임(103)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삽입한다. 제1체결부(511)와 제2체결부(512) 체결수단(20)을 체결함으로써, 제1체결부(511) 및 제2체결부(512)는 양측으로 벌어져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 내에 각각 밀착된다. 이로써,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은 고정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1연결구(510) 상에서 체결구(20)를 해제하고,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연결구(51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19에 도시하였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515) 내에 제2걸림턱(161)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1체결부(511)와 연결부(513)의 일단을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연결부(513)의 타단과 제2체결부(512)를 크로스바(400)의 연결구 삽입홈(410) 내에 삽입한다. 제1체결부(511) 및 제2체결부(512)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제1체결부(511) 및 제2체결부(512)는 양측으로 벌어져 금속 프레임(100) 및 크로스바(400) 내에 각각 밀착된다. 이로써, 금속 프레임(100)와 크로스바(400)는 고정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1연결구(510) 상에서 체결구(20)를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도면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같은 분량만큼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구(520)를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하였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구(520)는 제1체결공(523)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521)과, 제2체결공(524)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522)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일자형 판(522)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5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연결구(52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1에 도시하였다.
도 21에 도시한 같이, 제1일자형 판(521)을 가로 프레임(101)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제2일자형 판(522)을 세로 프레임(103)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체결공(523) 또는 제2체결공(524)에 체결됨으로써, 제2연결구(520)는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 내에 밀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2연결구(520) 상에서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임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또한 제2연결구(520)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연결구(52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였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 홈(525) 내에 제2걸림턱(161)을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제1일자형 판(521)을 차례로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두 개의 제2일자형 판(522)을 동시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체결공(523)과 제2체결공(524)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제2연결구(52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 내에 밀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도 23과 같이 제2연결구(520) 상에서 체결구(20)를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도면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같은 분량만큼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연결구(530)를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하였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연결구(530)는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과,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이 회전 가능하며 수직하게 서로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대(534)를 포함한다. 각 L자 브라켓(531, 532)은 두 개의 일자형 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 형상이며, 각 L자 브라켓(531, 532)에는 체결수단(20)이 체결되는 체결공(5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534)는 L자 형으로서, L자 브라켓자 브라켓(531, 532)을 연결대(534)에 리벳팅(535)하면, L자 브라켓자 브라켓(531, 532)은 리벳팅(5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연결구(53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4에 도시하였다.
도 24에 도시한 같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531)을 가로 프레임(101)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수직방향(도면 상에서 ①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세로 프레임(103) 측으로 밀면(도면 상에서 ②방향),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532)이 세로 프레임(103)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삽입된다.
이후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을 각각 회전(도면 상에서 L자 브라켓(531)은 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L자 브라켓(532)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시켜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 일면이 제2걸림턱(161)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3체결공(533)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 내에 각각 밀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 상에서 체결구(20)를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연결구(530)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연결구(53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였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먼저 도면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3연결구(530)의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531)을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에 수직방향(도면 상에서 ①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크로스바(400) 측으로 밀면(도면 상에서 ②방향),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532)이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에 삽입되고,
이후 두 개의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을 각각 회전(도면 상에서 L자 브라켓(531)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L자 브라켓(532)은 전면에서 후면방향)시켜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 일면이 제2걸림턱(161)과 제3걸림턱(421)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3체결공(533)에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도 26과 같이 두 개의 L자 브라켓(531, 532)이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 내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에서는 도면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3연결구(530)의 결합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우측에 위치하는 제3연결구(530)의 결합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L자 브라켓(532) 상에서 체결구(20)를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도면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같은 분량만큼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4연결구(540)를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하였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연결구(540)는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와 연결판(549)을 포함한다.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를 도 27에 도시하였다. 도 27과 같이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는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클램프(541)는 일측 모서리(541a)가 테이퍼지고, 일측 모서리(541a)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타측 모서리(541b)가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사각판 형상으로, 제1체결홈(542)이 형성된 일면과, 제1-1슬라이드 홈(543)과 제1-2슬라이드 홈(544)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진다.
제2클램프(545)는 일측 모서리(545a)가 테이퍼지고, 일측 모서리(545a)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타측 모서리(545b)가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사각판 형상으로, 제2체결홈(546)이 형성된 일면과, 제2-1슬라이드 홈(547)과 제2-2슬라이드 홈(548)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진다.
탄성을 가지는 연결판(549)은 '디귿'자 형상으로, 제3체결홀(54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판(549)은, 도 28와 같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의 일측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클램프(541)의 테이퍼진 일측 모서리(541a)와, 제2클램프(545)의 테이퍼진 일측 모서리(545a)에 연결판(549)이 안착되며, 연결판(549)에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연결구(54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8에 도시하였다.
도 28에 도시한 같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연결판(549)을 눌러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의 타측의 간격이 좁아지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1) 내에 제4연결구(540)를 삽입한 다음, 연결판(549)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1슬라이드 홈(543)과 제2-1슬라이드 홈(547) 내에 가로 프레임(101)의 제2걸림턱(161)이 각각 걸리고, 동시에 제1-2슬라이드 홈(544)과 제2-2슬라이드 홈(548) 내에 세로 프레임(103)의 2걸림턱(161)이 각각 걸린다. 이 상태에서, 연결판(549)의 제3체결홀(549a)과, 제1클램프(541)의 제1체결홈(542) 및 제2클램프(545)의 제2체결홈(546)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542, 546)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제4연결구(54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 내에 밀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3체결홀(549a)과 체결홀(542, 546)에 체결된 체결수단(20)을 해제하고,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도면 상에서 가로 프레임(101)은 상부방향, 세로 프레임(103)은 좌측방향)하여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연결구(54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하였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 상에 크로스바(400)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도 30의 ②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연결판(549)을 눌러 제1클램프(541)와 제2클램프(54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금속 프레임(100)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과 크로스바(400)의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로 상기 제4연결구(540)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도 30의 ③과 같이 연결판(549)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결판(549)이 원래의 형상대로 돌아가면서, 제1클램프(541)의 제1-1슬라이드 홈(543)과 제2클램프(545)의 제2-1슬라이드 홈(547) 내에 금속 프레임(100)의 제2걸림턱(161)이 각각 걸리고, 제1클램프(541)의 제1-2슬라이드 홈(544)과 제2클램프(545)의 제2-2슬라이드 홈(548) 내에 크로스바(400)의 제3걸림턱(421)이 각각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0의 ③과 같이 연결판(549)의 제3체결홀(549a)과, 제1클램프(541)의 제1체결홈(542) 및 제2클램프(545)의 제2체결홈(546)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542, 546)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도 31과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가 결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제3체결홀(549a)과 체결홀(542, 546)에 체결된 체결수단(20)을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이동(도면 상에서 상부 방향)하며,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시켜,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5연결구(550)를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하였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연결구(550)는 L자 브라켓(551)과 클램프(556)를 포함한다.
도 32와 같이 L자 브라켓(551)은 제1일자형 바(552)와 제2일자형 바(554)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일자형 바(552)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1홈(55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일자형 바(554)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2홈(5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L자 브라켓(551)은 금속 프레임(100)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과 크로스바(400)의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클램프(556)는 제1홈(553) 또는 제2홈(555) 내에 삽입되고, 양측 모서리에 단턱(5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5연결구(550)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 형태를 적용하거나, 양면이 개방된 형태에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수의 리브가 적용된 허니컴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연결구(550)가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33에 도시하였다.
도 33에 도시한 같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1일자형 바(552)를 가로 프레임(101)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내에 삽입하고, 동시에 제2일자형 바(554)를 세로 프레임(103)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내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제1일자형 바(552)의 제1홈(553) 및 제2일자형 바(554)의 제2홈(555)에 클램프(556)를 각각 삽입하고, 도 35와 같이 각 클램프(556)의 단턱(557)이 가로 프레임(101)의 제2걸림턱(161)과 세로 프레임(103)의 제2걸림턱(161)각각 걸리도록 하여, 클램프(556)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가로 프레임(101)과 세로 프레임(103)이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체결수단(20)을 해제하고, 가로 프레임(101) 및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도면 상에서 가로 프레임(101)은 상부방향, 세로 프레임(103)은 좌측방향)하여 캔버스 프레임 전체 사이즈를 확장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연결구(550)가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를 연결하는 실시예를 도 34 내지 도 35에 도시하였다. 도 34에서는 크로스바(400)의 일측에 제5연결구(55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크로스바(400)의 양측에 제5연결구(550)가 각각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크로스바(400) 양측에 배치되는 제5연결구(550)는 크로스바(400)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일자형 바(552)를 금속 프레임(100)의 제2슬라이드 삽입홈(160) 내로, 제2일자형 바(554)를 크로스바(400)의 제3슬라이드 삽입홈(420) 내로 각각 삽입한다. 그런 다음, 제1일자형 바(552)의 제1홈(553) 및 제2일자형 바(554)의 제2홈(555)에 클램프(556)를 각각 삽입하고, 도 35와 같이 각 클램프(556)의 단턱(557)이 금속 프레임(100)의 제2걸림턱(161)과 크로스바(400)의 제3걸림턱(421)에 각각 걸리도록 하여, 클램프(556)에 체결수단(20)을 체결하면, 금속 프레임(100)과 크로스바(400)가 결합된다.
이후 습한 기후 및 물감의 수분과 작업 시 천에 가해지는 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천의 장력이 떨어졌을 때는 체결수단(20)을 해제하고, 크로스바(400)의 위치를 이동(도면 상에서 상부 방향)시킴과 동시에, 가로 프레임(101) 또는 세로 프레임(103)의 위치를 이동하여, 캔버스 사이즈를 확장해서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캔버스 프레임에 천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첫번째, 캔버스 프레임에 천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하였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 후면에는 브라켓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삽입홈(170)은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171)을 통하여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172)이 형성되어 있다.
목재 프레임(200)에는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24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600)은 양측면(621, 622)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금속 프레임(100)의 브라켓 삽입홈(170)에 삽입되는데, 브라켓 삽입홈(170) 내에 깊이 삽입될 수록 목재 프레임(200)의 움직임이 더 크다. 고정 브라켓(600)의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621, 6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600)의 후면을 제외한 세 면(621, 622, 623)에 연속적으로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36과 같이 금속 프레임(100) 후면에 배치되는 천(10)이 브라켓 삽입홈(170)을 덮은 상태에서, 브라켓 삽입홈(170) 내에 고정 브라켓(600)을 삽입하면, 도 37과 같이 브라켓 삽입홈(170)의 쐐기 형상(172)과 고정 브라켓(600)의 쐐기 형상(621),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의 쐐기 형상(242)과 고정 브라켓(600)의 쐐기 형상(622)이 서로 맞물리면서 천(10)이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천(10)의 장력을 확보하면서 천(10)을 캔버스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두번째, 버스 프레임에 천을 고정하는 방법을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였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 후면에는 브라켓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삽입홈(170)은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171)을 통하여 제1슬라이드 삽입홈(1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172)이 형성되어 있다.
목재 프레임(200)에는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24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600)은 양측면(621, 622)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금속 프레임(100)의 브라켓 삽입홈(170)에 삽입되는데, 브라켓 삽입홈(170) 내에 깊이 삽입될 수록 목재 프레임(200)의 움직임이 더 크다. 고정 브라켓(600)의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621, 6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600)의 후면을 제외한 세 면(621, 622, 623)에 연속적으로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38과 같이 목재 프레임(200)의 후면에 핀(30)으로 천(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브라켓 삽입홈(170) 내에 고정 브라켓(600)을 삽입하면, 도 39와 같이 브라켓 삽입홈(170)의 쐐기 형상(172)과 고정 브라켓(600)의 쐐기 형상(621),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240)의 쐐기 형상(242)과 고정 브라켓(600)의 쐐기 형상(622)이 서로 맞물리면서 목재 프레임(20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천(10)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금속 프레임 101 : 가로 프레임
103 : 세로 프레임 110 : 전면 돌기부
111 : 제1연장부 113 : 제1걸림돌기
120 : 후면 돌기부 121 : 제2연장부
123 : 제2걸림돌기 130 : 탄성수단
140 : 제1슬라이드 삽입홈 150 : 제4슬라이드 삽입홈
160 : 제2슬라이드 삽입홈 161 : 제2걸림턱
170 : 브라켓 삽입홈 200 : 목재 프레임
210 : 홈부 211 : 걸림홈
240 : 제1슬라이드 삽입부 250 : 에지부
300a, 300b, 300c : 코너 연결구
310a, 310b, 310c : 제1크로스바 연결구
320 : 제2크로스바 연결구 330 : 제3크로스바 연결구
400 : 크로스바 410 : 연결구 삽입홈
420 : 제3슬라이드 삽입홈 421 : 제3걸림턱
510 : 제1연결구 520 : 제2연결구
530 : 제3연결구 540 : 제4연결구
550 : 제5연결구 600 : 고정 브라켓

Claims (23)

  1.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프레임에는, 외측면을 따라 전방측과 후방측에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금속 프레임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들어간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전면 돌기부와,
    상기 금속 프레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튀어나온 단턱을 가지고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후면 돌기부와,
    상기 전면 돌기부와 상기 후면 돌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홈부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가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목재 프레임을 상기 금속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홈부 내에 상기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목재 프레임과 상기 금속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U'자 형의 스프링 형태이고,
    상기 홈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수단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제2체결홀 또는 일방향으로 긴 제2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크로스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제1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 사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부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를 상기 크로스바 내에 삽입하며,
    상기 제1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제2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거나, 상기 제2장공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9.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적어도 일측면에 다수의 제1체결홀 또는 일방향으로 긴 제1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와, 일단이 상기 제1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차례로 상기 크로스바 내에 삽입하며,
    상기 제2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제1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거나, 상기 제1장공의 어느 위치에 체결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0.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 및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과,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일자형 판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바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 두 개의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제1일자형 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3크로스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두 개의 상기 제2일자형 판을 동시에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3크로스바 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3크로스바 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1.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및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체결부와,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와, 'L'자 형으로 일단이 상기 제1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체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을 따라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1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1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양측으로 벌어져 상기 금속 프레임 및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1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3.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일자형 판과,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일자형 판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일자형 판 양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된 제1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된 제2연결구; 및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일자형 판을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 또는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2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판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고, 상기 제2일자형 판을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2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4. 삭제
  15.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및
    일면에 제3체결공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L자 브라켓과,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타면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제3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을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세로 프레임 측으로 밀면,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되고,
    이후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을 각각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일면이 상기 제2걸림턱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L자 브라켓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L자 브라켓을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크로스바 측으로 밀면, 나머지 하나의 L자 브라켓이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삽입되고,
    이후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을 각각 회전시켜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 일면이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제3걸림턱 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공에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두 개의 상기 L자 브라켓이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L자 브라켓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7.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 및
    제1체결홈이 형성된 일면과, 제1-1슬라이드 홈과 제1-2슬라이드 홈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지는 제1클램프와,
    제2체결홈이 형성된 일면과, 제2-1슬라이드 홈과 제2-2슬라이드 홈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타면을 가지는 제2클램프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일측을 연결하고, 제3체결홀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제4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을 눌러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타측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4연결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판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1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가로 프레임의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고, 동시에 상기 제1-2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2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며,
    상기 제3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4연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플레임 내에 밀착되고,
    제4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을 눌러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타측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4연결구를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판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1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1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2걸림턱이 각각 걸리고, 동시에 상기 제1-2슬라이드 홈과 상기 제2-2슬라이드 홈 내에 상기 제3걸림턱이 각각 걸리며,
    상기 제3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홈과 상기 제2체결홈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제4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4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19. 제1항에 있어서,
    제1일자형 바와 제2일자형 바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일자형 바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일자형 바에 내측으로 개방된 제2홈이 형성되어 있는 L자 브라켓과,
    상기 제1홈 또는 상기 제2홈 내에 삽입되고, 양측 모서리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5체결공이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5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제2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바와 상기 제2일자형 바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상기 클램프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단턱이 상기 제2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5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클램프와 상기 L자 브라켓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5연결구가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 내에 밀착되고,
    제5연결구 상에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또는 상기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제3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3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일자형 바를 상기 제2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2일자형 바를 상기 제3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상기 클램프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단턱이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제3걸림턱에 각각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5체결공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상기 클램프와 상기 L자 브라켓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제5연결구가 상기 금속 프레임과 상기 크로스바 내에 밀착되고,
    상기 제5연결구 상에서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를 이동하여,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21.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프레임에는, 외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내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목재 프레임과 상기 금속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을 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 배치되는 천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삽입홈 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천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22.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금속 프레임; 및
    상기 금속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목재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프레임에는, 외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내측면을 따라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 내에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목재 프레임과 상기 금속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 후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노출홀을 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목재 프레임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일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양측면에 쐐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목재 프레임 후면에 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삽입홈 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을 삽입하면,
    상기 브라켓 삽입홈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 상기 제1슬라이드 삽입부의 쐐기 형상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쐐기 형상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목재 프레임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천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면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KR1020230125050A 2023-09-19 2023-09-19 캔버스 프레임 KR10265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50A KR102655830B1 (ko) 2023-09-19 2023-09-19 캔버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50A KR102655830B1 (ko) 2023-09-19 2023-09-19 캔버스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830B1 true KR102655830B1 (ko) 2024-04-09

Family

ID=9070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050A KR102655830B1 (ko) 2023-09-19 2023-09-19 캔버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8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9229A1 (en) * 2007-05-23 2008-11-27 Hoopman V.O.F. Lath for Stretcher Frame
US20100206496A1 (en) * 2007-10-16 2010-08-19 Johannes Hendrikus Ninaber Stretcher to be used, in particular, for canvas
KR101395507B1 (ko) *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US20140352184A1 (en) * 2013-08-30 2014-12-04 Stephen Taylor Hall Support frame for canvas and the like
KR101511487B1 (ko) * 2015-01-21 2015-04-13 (주) 신이랜드 외장재 직결식 조립 기둥
KR20220000626U (ko) * 2020-09-09 2022-03-16 홍순용 캔버스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9229A1 (en) * 2007-05-23 2008-11-27 Hoopman V.O.F. Lath for Stretcher Frame
US20100206496A1 (en) * 2007-10-16 2010-08-19 Johannes Hendrikus Ninaber Stretcher to be used, in particular, for canvas
KR101395507B1 (ko) *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US20140352184A1 (en) * 2013-08-30 2014-12-04 Stephen Taylor Hall Support frame for canvas and the like
KR101511487B1 (ko) * 2015-01-21 2015-04-13 (주) 신이랜드 외장재 직결식 조립 기둥
KR20220000626U (ko) * 2020-09-09 2022-03-16 홍순용 캔버스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05624A (en) Structural frame components
GB2085712A (en) Shelving assembly
KR102655830B1 (ko) 캔버스 프레임
DE4011815A1 (de) Metall-zarge fuer schubladen-waende
DE2163583C3 (de)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aus verformbarem Material bestehenden Plattenelementen ausgebildetes Bauelement
JPH04506988A (ja) 結合プロフィル形成用結合装置
US3135553A (en) Chair construction
CN202913700U (zh) 建筑模板连接器
US1794534A (en) Window screen
US3472543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tightening secured matched abutting tubular stiles and rails by the contraction of the joined tubular members on a gusset
TWM547893U (zh) 框架結構
JPH0737200B2 (ja) キャンバスフレーム
CN215361545U (zh) 一种便于焊接的汽车后梁
CN216256485U (zh) 一种自绷紧内框
CN219241122U (zh) 自动回收牵引结构
US3222740A (en) Sun screens
JPS6120231Y2 (ko)
CN209826437U (zh) 全铝浴室柜的连接结构
JP7403376B2 (ja) 足場板
JP3645025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CN2851469Y (zh) 金属门框
JPH0423178Y2 (ko)
JP3096764U (ja) 伸縮足場板
DE8013194U1 (de) Einlage fuer zeltgeruest-profilstaebe
JPS585829Y2 (ja) 建築用金属製枠体の枠組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