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507B1 - 캔버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캔버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507B1
KR101395507B1 KR1020130097817A KR20130097817A KR101395507B1 KR 101395507 B1 KR101395507 B1 KR 101395507B1 KR 1020130097817 A KR1020130097817 A KR 1020130097817A KR 20130097817 A KR20130097817 A KR 20130097817A KR 101395507 B1 KR101395507 B1 KR 1013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frame
wood
fasten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102013009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44D3/185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목재가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채용하지 않더라도 이종재질인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과 목재의 결합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금속재의 프로파일을 캔버스 프레임에 대한 금속재의 프로파일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전면의 경사면 내측에 고정구결합홈이 형성되고 배면 및 저면 중앙이 개방되며 목재걸림턱 및 결착구걸림턱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목재고정홈및 결착구가이드홈을 가진 알루미늄압출소재의 프로파일의 양단부를 45˚로 컷팅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각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의 양단을 45˚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에 끼움하여 고정구를 개입 결합함으로써 배면에 캔버스 고정목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90˚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편 및 투입편의 양단에 단턱을 가진 결착구의 양측 투입편을 수평 및 수직 프로파일의 결착구가이드홈 캔버스 프레임에 투입하고 버팀볼트를 조임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에 결착구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는 결착구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압출소재의 제2프로파일를 절단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결착구에 개입시켜 캔버스 프레임과 결합한 캔버스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캔버스 프레임{Canvas frame}
본 발명은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로 되는 캔버스 프레임에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목재를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화와 유화등의 그림을 그릴때에는 면 또는 마등의 직물지로 되는 캔버스지를 캔버스 프레임에 결합하여서 되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게 된다.
상기의 캔버스는 주로 목재로 되는 사각틀(캔버스 프레임)에 상기 직물지(캔버스지)의 외측 가장자리를 인장하여 고정하므로서 캔버스지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고정하며 캔버스지를 사각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스템플러핀과 같은 철심 및 압정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사각틀 즉 캔버스 프레임은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목재로된 캔버스 프레임은 그림의 변색 및 오염 등 그림손상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목재는 대기중의 습도에 따라 수분함유률이 달라지게 되며 이와 같이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은 외부환경의 영향에 따라 습기의 배출하게 되는데 배출되는 습기에 의해 그림이 손상되는것이며 특히 캔버스지와 캔버스 프레임의 밀착부에는 상기의 목재에서 배출하는 습기로 인하여 그림의 손상이 심화된다.
또한 목재는 기온과 습도등의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해 그 형태가 뒤틀리는등 그 형태의 유지가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재에 화학적처리를 하거나 표면에 습기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니스등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일부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효과 또한 미미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 목재캔버스 프레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금속재의 캔버스프렘임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특허등록 제1226698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특허등록 제1226698호는 중공을 갖는 금속재로 되는 제1프레임의 후면에 목재로 되는 제2프레임을 접착제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금속재의 제1프레임과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제2프레임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되는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은 캔버스지에 그려진 그림이 목재부분인 제2프레임에 닿지 않게 되므로 상기 목재에서 배출되는 습기로 인한 그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통상 사각틀체로 되는 캔버스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 좌,우 의 프레임을 연결 결합하거나 볼트들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제1프레임을 구성하고 배면에 목재로 되는 제2프레임 또한 제1프레임과 접착제 또는 볼트로 결합하게 되므로서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캔버스 프레임의 제조시간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허등록 제12266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에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목재를 보다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 또한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캔버스 프레임을 제안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전면의 경사면 내측에 고정구결합홈이 형성되고 배면 및 저면 중앙이 개방되며 목재걸림턱 및 결착구걸림턱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목재고정홈및 결착구가이드홈을 가진 알루미늄압출소재의 프로파일의 양단부를 45˚로 컷팅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각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의 양단을 45˚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에 끼움하여 고정구를 개입 결합함으로써 배면에 캔버스 고정목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90˚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편 및 투입편의 양단에 단턱을 가진 결착구의 양측 투입편을 수평 및 수직 프로파일의 결착구가이드홈 캔버스 프레임에 투입하고 버팀볼트를 조임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에 결착구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는 결착구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압출소재의 제2프로파일를 절단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결착구에 개입시켜 캔버스 프레임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은 캔버스지를 고정하는 목재가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에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결합되어 이종재질인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과 목재의 결합이 간단하게 되고 금속재의 프로파일에 고정구 결합홈 및 결착구고정홈이 형성되어 캔버스 프레임의 조립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캔버스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캔버스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1의 종단면도
도 3은 연결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캔버스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연결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캔버스 프레임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 발명 캔버스 프레임의 배면사시도이고 도2에 도1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로파일의 단면구성이 구성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캔버스 프레임(1)의 상,하, 좌,우의 캔버스 프레임(1)을 구성하는 제1프로파일(P1)과 캔버스 프레임(1)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프레임(3)인 제2프로파일(P3)로 구성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로파일(P1)(P3)은 압출되어 길게 제조되는 원소재 또는 조립되기 이전의 절단 되어진 부품상태의 프레임을 지칭하는 것이며 캔버스 프레임(1)은 상기의 제1프로파일(P1)이 조립되어 사각틀체를 이루는 상태임을 지칭하는 것이고 보강프레임(3)은 제2프로파일(P3)을 절단하여 하여 부품화 한 것임을 먼저 주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프로파일(P1)의 전면은 캔버스 프레임(1)의 조립시에 외측위치로 부터 내측으로 경사면(14)을 형성하며 내측에 고정구결합홈(13)과 배면과 저면에 중앙이 개방되며 양측에 목재걸림턱(111) 및 결착구걸림턱(121)이 돌출하여 내측에 목재고정홈홈(11) 및 결착구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되는 제1프로파일(P1)을 캔버스 프레임(1)의 가로와 세로변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되, 그 단부를 45˚로 컷팅하여 캔버스 프레임(1)을 형성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11)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7) 또한 양단을 45˚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11)에 끼움하여 가로 및 세로를 구성하는 프로파일의 단부를 맞대어 결합구(2)를 개입시켜 결합하므로서 사각틀체로 되는 캔버스 프레임(1)을 조립한다.
상기에 있어서 결합구(2)는 90˚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바(21)가 형성되며 투입바(21)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프로파일의 고정구결합홈(13)에 가압력을 가지며 투입하므로서 수평과 수직의 캔버스 프레임(1)이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각각의 프로파일 내에 투입된 캔버스지 고정목재는 그 단부가 서로 맞대어 지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어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각각의 캔버스 프레임(1)의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캔버스 프레임(1)의 배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캔버스지(8)를 고정할 수 있게된다.
상기에 있어서 캔버스 고정목재(7)는 제1프로파일(P1)의 목재고정홈(11)에 투입하고 제1프로파일(P1) 및 목제를 동시에 절단하면 절단공정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동일한 규격으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캔버스지(8)는 외측을 인장하며 캔버스 프레임(1)에 결합되므로서 본 발명의 캔버스 프레임(1)은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사각틀체의 캔버스 프레임(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이 결착구(4)를 이용하여 보강프레임(3)을 캔버스 프레임(1)에 결합하여 강도를 보강할수도 있다.
보강프레임은 상면과 하면에 결착구걸림턱(32)이 돌출하여 내측에 결착구가이드홈(31)이 형성되는 압출소재의 제2프로파일(P3)를 절단하여 형성하며 결착구(4)를 개입시켜 캔버스 프레임(1)과 결합한다.
상기에 있어서 결착구(4)는 90˚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편(42) 및 투입편(42)의 양단에 단턱(41)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착구(4)의 일측 투입편(42)을 결착구가이드홈(12)(31)에 투입하면 결착구 가이드홈(12)(3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며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버팀볼트(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결착구(4)를 제1프로파일(P1) 및 제2프로파일(P3)의 결착구가이드홈(12)(31)에 양단을 각각 투입하여 캔버스 프레임(1)을 조립하면 결착구(4)는 결착구가이드홈(12)(32)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고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버팀볼트(5)를 조임하면 버팀볼트(5)가 결착구(4)의 하면으로 돌출하여 결착구가이드홈(12)을 강하게 가압하게 되어 결착구(4)는 결착구가이드홈(12)에 강하게 밀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결착구(4)와 캔버스 프레임(1) 또는 결착구(4)와 보강프레임(3)이 결착되므로 전체적으로는 캔버스 프레임(1)과 보강프레임(3)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결착구(4)의 타측 투입편(42)을 보강프레임(3)의 결착구가이드홈(12)에 투입하여 버팀볼트(5)를 조임하면 캔버스 프레임(1)에 보강프레임(3)이 결합되어 진다.
즉 결착구(4)는 캠버스 프레임의 조립시에 캠버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결착구가이드홈(12)에 투입하여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고정할 수도 있고 보강프레임을 연결하거나 캔버스 프레임(1)과 보강프레임(3)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6은 캔버스지를 캔버스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핀이고 미설명부호8은 캔버스 프레임과 결합된 캔버스지이다.
P1: 제1프레임 P2: 제2프레임
1: 캔버스 프레임 11: 목재고정홈
111: 목재걸림턱 12: 결착구가이드홈
121: 결착구걸림턱 13: 고정구결합홈
14: 경사면 2: 결합구
21: 투입바 3: 보강프레임
31: 결착구가이드홈 32: 결착구걸림턱
4: 결착구 41: 단턱
42: 투입편 5: 버팀볼트
6: 고정핀 7: 캔버스고정목재
8:캔버스지

Claims (3)

  1. 삭제
  2.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전면의 경사면(14) 내측에 고정구결합홈(13)이 형성되고 배면 및 저면 중앙이 개방되며 목재걸림턱(111) 및 결착구걸림턱(121)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목재고정홈(11) 및 결착구가이드홈(12)을 가진 알루미늄압출소재의 프로파일의 양단부를 45˚로 컷팅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각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11)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7)의 양단을 45˚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11)에 끼움하여 고정구를 개입 결합함으로써 배면에 캔버스 고정목재(7)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90˚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편(42) 및 투입편(42)의 양단에 단턱(41)을 가진 결착구(4)의 양측 투입편(42)을 수평 및 수직 프로파일(1)의 결착구가이드홈(12)에 투입하고 버팀볼트(5)를 조임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3.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전면의 경사면(14) 내측에 고정구결합홈(13)이 형성되고 배면 및 저면 중앙이 개방되며 목재걸림턱(111) 및 결착구걸림턱(121)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목재고정홈(11) 및 결착구가이드홈(12)을 가진 알루미늄압출소재의 프로파일의 양단부를 45˚로 컷팅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각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11)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7)의 양단을 45˚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11)에 끼움하여 고정구를 개입 결합함으로써 배면에 캔버스 고정목재(7)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에 결착구걸림턱(32)이 돌출형성되고 내측에는 결착구가이드홈(31)이 형성되는 압출소재의 제2프로파일(P3)를 절단 형성하여 보강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결착구(4)에 개입시켜 캔버스 프레임(1)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KR1020130097817A 2013-08-19 2013-08-19 캔버스 프레임 KR10139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17A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3-08-19 캔버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17A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3-08-19 캔버스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507B1 true KR101395507B1 (ko) 2014-05-14

Family

ID=5089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817A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3-08-19 캔버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50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523B1 (ko) * 2016-03-28 2018-02-05 김길홍 캔버스 프레임
CN113043785A (zh) * 2021-04-07 2021-06-29 深圳市杏仁桉贸易有限公司 一种防止画纸卷曲且能自动干燥的便携式画板架
KR102374348B1 (ko) 2020-11-04 2022-03-14 김현철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KR20220000626U (ko) 2020-09-09 2022-03-16 홍순용 캔버스 프레임
KR102483790B1 (ko) 2021-12-03 2023-01-03 김현철 캔버스프레임 조립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KR20230002016U (ko) 2022-04-14 2023-10-23 홍혜진 중공 판넬형 경량 목재 캔버스 프레임
KR20230163795A (ko) 2022-05-24 2023-12-01 박은수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KR102655830B1 (ko) * 2023-09-19 2024-04-09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캔버스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297A (ja) 1999-08-24 2001-03-13 Kuresan Japan Kk 布地張設枠
WO2012098231A1 (en) * 2011-01-21 2012-07-26 P.E.R. Belle Arti Di Pieraccini Riccardo Elio Canvas-covered framework
KR101226698B1 (ko) *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297A (ja) 1999-08-24 2001-03-13 Kuresan Japan Kk 布地張設枠
WO2012098231A1 (en) * 2011-01-21 2012-07-26 P.E.R. Belle Arti Di Pieraccini Riccardo Elio Canvas-covered framework
KR101226698B1 (ko) *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523B1 (ko) * 2016-03-28 2018-02-05 김길홍 캔버스 프레임
KR20220000626U (ko) 2020-09-09 2022-03-16 홍순용 캔버스 프레임
KR200495193Y1 (ko) * 2020-09-09 2022-03-25 홍순용 캔버스 프레임
KR102374348B1 (ko) 2020-11-04 2022-03-14 김현철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CN113043785A (zh) * 2021-04-07 2021-06-29 深圳市杏仁桉贸易有限公司 一种防止画纸卷曲且能自动干燥的便携式画板架
KR102483790B1 (ko) 2021-12-03 2023-01-03 김현철 캔버스프레임 조립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KR20230002016U (ko) 2022-04-14 2023-10-23 홍혜진 중공 판넬형 경량 목재 캔버스 프레임
KR20230163795A (ko) 2022-05-24 2023-12-01 박은수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KR102655830B1 (ko) * 2023-09-19 2024-04-09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캔버스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507B1 (ko) 캔버스 프레임
KR101724919B1 (ko) 분리 클립 방식 도어아웃벨트유닛과 이를 적용한 차량 도어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101825523B1 (ko) 캔버스 프레임
KR20160143099A (ko) 목재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0495193Y1 (ko) 캔버스 프레임
US20210300108A1 (en) Frame for fixing canvas
KR101430366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JP2008266924A (ja) 框組み建具
KR200419500Y1 (ko) 방충창
KR101919809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KR102555365B1 (ko) 알루미늄 캔버스프레임의 캔버스지 고정장치
JP2003306000A (ja) 連結構造
KR20110002423U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102033766B1 (ko) 프레임 체결체
KR200253757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KR20210000863U (ko) 철근 연결용 나사식 원터치 커플러
KR100784711B1 (ko) 파티션
KR101238090B1 (ko) 롤 커튼의 상부 프레임과 측면 고정 브라켓간 결합구조
JP4140843B2 (ja) 建物用屋根
CN211174923U (zh) 一种木框连接结构
KR20100005750A (ko) 문짝 구조
KR20100020251A (ko) 거푸집 체결구 홀의 재활용을 위한 구조
JP3081867B1 (ja) 布地張設枠
KR101745711B1 (ko) 알루미늄 압출 기반 내부분리형 케이블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