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48B1 -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48B1
KR102374348B1 KR1020200146134A KR20200146134A KR102374348B1 KR 102374348 B1 KR102374348 B1 KR 102374348B1 KR 1020200146134 A KR1020200146134 A KR 1020200146134A KR 20200146134 A KR20200146134 A KR 20200146134A KR 102374348 B1 KR102374348 B1 KR 10237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nvas
tension
adjust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20014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44D3/185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경량의 금속재로 제조하여 가벼우면서도 견고하여 프레임의 비틀어짐을 방지하고 후면에 목재를 덧대어 캔버스지의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습기나 곰팡이에 의해 미술 작품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량금속재 캔버스프레임을 신축가능케 구성하여 결합되는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캔버스프레임의 외측 둘레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여 캔버스프레임에 결합된 캔버스지 또한 외측가장자리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캔버스지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에 거쳐 장력이 부여됨으로 인하여 캔버스지의 조직이 늘어나 장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캔버스지의 장력이 변화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작가의 취향에 따라 작가가 원하는 장력을 갖도록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품을 보관시에는 장력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장력변화에 의한 작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Tension adjustable canvas frame}
본 발명은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량의 금속재로 제조하여 가벼우면서도 견고하여 프레임의 비틀어짐을 방지하고 후면에 목재를 덧대어 캔버스지의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습기나 곰팡이에 의해 미술 작품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량금속재 캔버스프레임을 신축가능케 구성하여 결합되는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화,유화 등의 그림을 그릴 때는 면직물,마직물 등 천의 일종인 유화용 캔버스지를 캔버스프레임에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캔버스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캔버스프레임은 종래에는 가공이 편리한 목재를 이용하여 틀체로 되는 캔버스프레임을 제조하였으나 목재로 되는 캔버스프레임은 목재의 특성상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고 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게 되는데, 습기를 배출시에는 목재가 가지는 수액 등의 내부불순물을 함께 배출하므로서 캔버스프레임에 고정된 캔버스지가 목재에서 배출되는 습기에 의해 얼룩, 등의 오염이 발생하게 되고 캔버스프레임은 비틀림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재소재의 캔버스프레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등록특허 10-1226698호 및 등록특허 10-1395507호와 등록특허 10-1825523호 등 다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캔버스프레임을 제조한 것으로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전면, 배면 및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고, 상기 전면 및 외측면의 일부가, 인장된 캔버스의 절곡 부분의 배면과 접하도록 구비된 제1프레임과, 목재로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배면에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캔버스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그림을 그리는 캔버스지의 전면둘레는 경량금속재의 프레임에 지지되고 목재로 구성되는 후면부 둘레에 캔버스지의 외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캔버스프레임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캔버스지는 캔버스프레임에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되도록 고정하여 그림을 그리게 되는데, 장시간에 거쳐 장력이 부여됨으로 인하여 섬유제로 되는 캔버스지의 조직이 늘어나 장력을 저하되거나 상실될 뿐만 아니라, 캔버스지 또한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장력이 변화하게 되므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종래의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캔버스프레임은 이러한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226698 등록특허 10-1395507 등록특허 10-182552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에 거쳐 장력이 부여됨으로 인하여 섬유제로 되는 캔버스지의 조직이 늘어나 장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고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캔버스지의 장력이 변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캔버스프레임의 외측 둘레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여 캔버스프레임에 결합된 캔버스지 또한 외측가장자리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 캔버스지에 부여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에 거쳐 장력이 부여됨으로 인하여 캔버스지의 조직이 늘어나 장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여 캔버스지의 장력이 변화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작가의 취향에 따라 작가가 원하는 장력을 갖도록 캔버스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품을 보관시에는 장력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장력변화에 의한 작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조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프레임의 구성 및 조정구와 조립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프레임 및 프레임과 조정구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조정구의 조정에 의해 프레임의 확장 및 축소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조정구가 결합된 캔버스프레임의 정면예시도.
도 7은 도6의 A-A 선단면도로써 캔버스지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조정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조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프레임과 및 세로프레임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으로 상,하,좌,우에 복수형성되며 도면중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은 경금속재로 압출성형되며 내측 전면에 슬라이드홈(11)을 형성하고 후측에 일면이 개방된 목재결합홈(12)을 형성하며 슬라이드홈(11)과 목재결합홈(12)의 하측에 부재결합홈(13)과 부재결합홈(13)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홈(14)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프레임부재를 절단하여 구성하며 프레임부재는 상기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압출성형하므로서 슬라이드홈(11)과 목재결합홈(12) 및 부재결합홈(13)과 절개홈(14)은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부재를 절단하여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을 형성하므로써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는 그 구성이 동일하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지 조립위치에 따라 명칭 및 도면부호가 부여되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먼저 도 6에 본 발명 캔버스프레임의 개략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경량금속재로 되는 프레임부재의 양단을 45°절단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으로 형성하고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양단부를 맞대어 사각의 캔버스프레임을 구성하며 맞대어진 코너부의 내측 모서리에 조정구(2)를 결합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을 고정한 구성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3에 본 발명의 프레임부재의 단면구성 및 조정구의 결합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경금속재로 압출성형되는 프레임부재를 절단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을 구성하므로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은 내측 전면에 슬라이드홈(11)이 형성되고 후측에 일면이 개방된 목재결합홈(12)이 형성되며 슬라이드홈(11)과 목재결합홈(12)의 하측에 부재결합홈(13)과 부재결합홈(13)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홈(14)이 형성되며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이 밀착하는 단부의 내측으로는 양단이 슬라이드바(61)로 구성되는 연결구(6)를 마련하여 양측의 슬라이드바(61)를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슬라이드홈(11) 내측으로 투입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외측단부를 밀착하고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이 밀착하여 형성되는 코너부 내측에 조정구(2)를 결합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이 고정된다.
상기에서 연결구(6)는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그 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단부가 어긋나지 않토록 보강하며 슬라이드바(61)와 슬라이드홈(11)은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1내지 도2에 본 발명의 조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정구(2)는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 및 조정나사(3)로 구성된다.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플레이트의 양단에 관통공(26)을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돌출하는 장치구(25)를 형성하고 장치구(25)에 좌암나사(211) 및 우암나사(221)를 각각 형성하며, 조정나사(3)는 가운데에 조정렌치바(33)를 형성하고 일측끝에 좌나사를 형성하며 타측끝에 우나사를 형성하여, 양단의 좌,우나사(31)(32)를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의 좌암나사(211)와 우암나사(221)에 각각 나사결합하여 조정나사(3)와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결합된다.
한편 도 8에 조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장치구(25)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작동홈(27)을 형성하고 장치구(25)의 외측으로 부터 작동홈(27)을 직각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공(28)을 형성하며, 축의 직각방향으로 좌암나사(211) 또는 우암나사(221)를 가진 회동축(29)을 형성하여 회동공(28)에 회동축(29)을 결합하고 작동홈(27)의 내측으로 조정나사(3)를 투입하여 좌암나사(211) 또는 우암나사(221)를 가진 회동축(29)에 조정나사(3)의 좌,우나사(31)(32)를 각각 결합하여 조정나사(3)와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를 결합한 구성이다.
삭제
삭제
또한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고정플레이트(24)의 바닥면에 안내돌부(2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정구(2)를 구성하는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그 구성이 동일하며 각각 형성되는 좌암나사(211) 및 우암나사(221)에 의해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로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조정나사(3)는 조정렌치바(33)의 양단에 형성되는 좌,우나사(31)(32)의 경계부에 조정렌치바(33)와 좌,우나사(31)(32)의 둘레보다 확장되는 둘레를 가지는 경계돌부(34)를 형성하며 경계돌부(34)의 외주둘레에 미끄럼방지요철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실시예가 도3내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캔버스프레임은 도3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슬라이드홈(11)에 연결구(6)의 슬라이드바(61)를 투입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연결구(6)를 개입시켜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의 단부가 밀착되게 하고 밀착되어 이루는 코너부의 내측에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를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에 각각 결합하여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을 조립한다.
이상과 같이된 본 발명은 도4에서와 같이 조정나사(3)를 회전하여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와의 나사결합량을 증가시켜 조임하면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당겨지게 되고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와 결합된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 또한 당겨지게 되어 캔버스프레임의 외곽둘레는 축소되며, 도5에서와 같이 조정나사(3)를 회전하여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와의 나사결합을 풀어주면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가 후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와 결합된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 또한 밀려나게 되어 캔버스프레임의 외곽둘레는 확장되게 됨으로 캔버스프레임 둘레에 외측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장치되는 캔버스지(1)는 캔버스프레임의 확장 및 축소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캔버스프레임은 상기 실시예의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캔버스프레임 뿐만 아니라, 외형이 6각형 및 8각형이 포함된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이 밀착하여 형성되는 코너부 내각을 달리하므로 이에 적합한 조정구를 결합할 수도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에 형성되는 좌나사 및 우나사의 중심축이 가변되도록 하여 4각형 및 6각형과 8각형이 포함된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캔버스프레임이 갖는 코너부 내각에 대응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을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정나사(3)의 조정렌치바(33)와 좌,우나사(31)(32)의 경계부에 외주둘레에 미끄럼방지요철을 가진 경계돌부(34)는 스페너(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조정렌치바(33)를 회전시에 조정렌치바(33)로 부터 스페너가 조정나사(3)의 양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계돌부(34)의 외주를 손으로 잡고 돌려 조정나사(3)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고정플레이트(24)의 바닥면에 안내돌부(23)를 형성하여 가로프레임(P1)과 세로프레임(P2)에 결합시에 안내돌부(23)가 부재결합홈(13)의 입구에 형성된 절개홈(14)에 투입되어 결합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4)는 볼트, (5)는 너트, (7)은 목재, (71)은 고정핀이다.
1 : 캔버스지 P1 : 가로프레임
P2 : 세로프레임 11 : 슬라이드홈
12 : 목재결합홈 13 : 부재결합홈
14 : 절개홈 2 : 조정구
21 : 제1조정구 211 : 좌암나사
22 : 제2조정구 221 : 우암나사
23 : 안내돌부 24 : 고정플레이트
25 : 장치구 26 : 관통공
27 : 작동홈 28 : 회동공
29 : 회동축 3 : 조정나사
31 : 좌나사 32 : 우나사
33 : 조정렌치바 34 : 경계돌부
4 : 볼트 5 : 너트
6 : 연결구 61 : 슬라이드바

Claims (4)

  1. 슬라이드홈(11)과 부재결합홈(13) 및 목재결합홈(12)을 가진 프레임부재를 절단하여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을 구성하고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의 단부에 연결구(6)를 개입시켜 코너부를 형성하며 슬라이드홈(11)에 슬라이드바(61)를 투입하여 연결구(6)와 슬라이딩하게 결합하는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과,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의 단부가 밀착하여 이루는 코너부 내측에 가로프레임(P1) 및 세로프레임(P2)과 각각 결합하며 좌암나사(211) 또는 우암나사(221)를 가진 제1조정구(21) 및 제2조정구(22)와, 가운데에 조정렌치바(33)와 양단에 좌,우나사(31)(32)를 형성하여 좌,우나사(31)(32)를 제1조정구(21) 및 제2조정구(22)의 좌암나사(211)와 우암나사(221)와 나사결합하여 제1조정구(21) 및 제2조정구(22)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나사(3),로 구성되는 캔버스프레임에 있어서; 조정나사(3)의 조정렌치바(33)와 좌,우나사(31)(32)의 경계부에 외주둘레에 미끄럼방지요철을 가진 경계돌부(3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캔버스프레임은 6각형과 8각형이 포함된 다각형으로 구성하고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장치구(25)에 좌암나사(211) 또는 우암나사(221)를 가진 회동축(29)을 결합하고 회동축(29)에 조정나사(3)의 좌,우나사(31)(32)를 각각 결합하여 조정나사(3)로 부터 제1조정구(21) 및 제2조정구(22)의 프레임결합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다각형의 캔버스프레임이 갖는 코너부 내각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조정구(21)와 제2조정구(22)는 고정플레이트(24)의 바닥면에 안내돌부(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4. 삭제
KR1020200146134A 2020-11-04 2020-11-04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KR10237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34A KR102374348B1 (ko) 2020-11-04 2020-11-04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34A KR102374348B1 (ko) 2020-11-04 2020-11-04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348B1 true KR102374348B1 (ko) 2022-03-14

Family

ID=8082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134A KR102374348B1 (ko) 2020-11-04 2020-11-04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6560A (zh) * 2023-05-17 2023-07-25 广州凌视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光栅立体画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214A (en) * 1997-06-03 1998-11-24 Peterson; William L. Corner adjustment assembly for an adjustable frame
JP2006007777A (ja) * 2004-06-24 2006-01-12 Hsiang Chuan Liu 釘不要式交換可能画布フレーム
US8025071B2 (en) * 2004-09-30 2011-09-27 Oliver Joen-An Ma Bases and braces for support poles, such as poles for pavilions and umbrellas
KR101226698B1 (ko)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KR101825523B1 (ko) 2016-03-28 2018-02-05 김길홍 캔버스 프레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214A (en) * 1997-06-03 1998-11-24 Peterson; William L. Corner adjustment assembly for an adjustable frame
JP2006007777A (ja) * 2004-06-24 2006-01-12 Hsiang Chuan Liu 釘不要式交換可能画布フレーム
US8025071B2 (en) * 2004-09-30 2011-09-27 Oliver Joen-An Ma Bases and braces for support poles, such as poles for pavilions and umbrellas
KR101226698B1 (ko)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KR101825523B1 (ko) 2016-03-28 2018-02-05 김길홍 캔버스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6560A (zh) * 2023-05-17 2023-07-25 广州凌视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光栅立体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348B1 (ko)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US4179830A (en) Adjustable frame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US4616635A (en) Surgical instrument for the splaying of wound edges
CA1041129A (en) Canvas stretcher frame
US8936065B1 (en) Reverse action corner embedment for stretched canvas
EP0555337A1 (en) TENSION AND PRINTING STRUCTURES FOR SCREEN SCREEN.
US5493800A (en) Expandable stretching frame with cladding and bearing mechanisms
CZ2002476A3 (cs) Upevňovací úhelník
US10465432B1 (en) Frame Assembly with shim jack
GB2127741A (en) Picture frames
DE202013001193U1 (de) Ein Spanner für eine Leinwand, ein Spanner mit einer Leinwand, eine Methode zum Herstellen eines Spanners für eine Leinwand
KR102483790B1 (ko) 캔버스프레임 조립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장력조절식 캔버스프레임
US20110155003A1 (en) Roller frame stretcher
ES2577727B1 (es) Dispositivo de bloqueo en una tuerca de compensación
JPS62243845A (ja) アルミニウム異形材から成るヘルドを持つヘルド枠
EP37622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tensioning a canvas on a frame
JPH1170432A (ja) バイス機構
JPH05341202A (ja) 直線案内装置
JP6537138B2 (ja) パネル取付構造
US20230313526A1 (en) Screen and frame for the same
KR20230160120A (ko) 알루미늄 캔버스프레임용 보강대 장력 조절장치
DE3843466A1 (de) Zerspanungsmaschine
US20180093336A1 (en) Disassembleable threading die
GB2618598A (en) Perimeter replication device
DE102018127682B4 (de) Anordnung mit einer Justagevorrichtung zur Lageeinstellung zweier miteinander verbundener Baute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