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26U - 캔버스 프레임 - Google Patents

캔버스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26U
KR20220000626U KR2020200003289U KR20200003289U KR20220000626U KR 20220000626 U KR20220000626 U KR 20220000626U KR 2020200003289 U KR2020200003289 U KR 2020200003289U KR 20200003289 U KR20200003289 U KR 20200003289U KR 20220000626 U KR20220000626 U KR 20220000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nvas
fastened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193Y1 (ko
Inventor
홍순용
Original Assignee
홍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용 filed Critical 홍순용
Priority to KR2020200003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9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44D3/185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실 등에서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캔버스의 가장자리를 인장시켜 고정하여 사용되는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금속 재질의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내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가 돌출하여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되, 단부가 단부연결구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단부에 단부홀이 형성된 내부프레임;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제1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체결하되,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끼움되는 끼움편, 상기 끼움편을 고정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끼움편 상부 양측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 상측에 연결 형성되어 단부홀에 삽입되어 내부프레임과 체결되어 은폐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단부연결구를 포함하는 캔버스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캔버스 프레임{FRAME FOR FIXING CANVAS}
본 고안은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실 등에서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캔버스의 가장자리를 인장시켜 고정하여 사용되는 캔버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화나 유화 등의 그림을 그릴 때 특수 천의 일종인 캔버스를 사용하고 있다. 캔버스(CANVAS)는 돛, 천막, 배낭 등을 만들거나 화실 등에서 유화를 그릴 때 사용되는 직물지로서,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캔버스의 사면을 인장시키고 대략 사각틀 형상의 캔버스 프레임에 감아서 압정, 철심, 고정핀, 타카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시켜 사용하며, 이러한 상태의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게 된다.
캔버스 프레임은 압정, 철심, 고정핀, 타카 등의 고정부재가 박힐 수 있도록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목재로 된 캔버스 프레임에 캔버스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온도, 습기, 곰팡이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캔버스나 그림이 변색되는 주요 원인이 되고, 목재 프레임이 쉽게 뒤틀리거나 삭아서 내구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목재에 화학처리를 하거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으나 제작 및 가공 공정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 상술한 목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중공의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전면, 배면 및 전면과 배면 사이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고, 전면 및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인장된 캔버스의 절곡 부분의 배면과 접하도록 구비된 제1프레임; 및 목재로 구비되고 제1프레임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캔버스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목재로 된 제2프레임을 금속으로 된 제1프레임과 함께 결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목재 프레임의 문제들이 그대로 상존하고, 특히 목재가 오염되는 경우 그 오염물질이 캔버스로 전이될 수 있으며, 가공도 어렵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프레임을 새롭게 제조하지 않고서는 캔버스 크기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의 두께 조절이 곤란하고, 제1,2프레임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나사로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떨어져 쉽게 분리되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 및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2에는 금속재의 캔버스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전면의 경사면 내측에 고정구결합홈이 형성되고 배면 및 저면 중앙이 개방되며 목재걸림턱 및 결착구걸림턱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목재고정홈 및 결착구가이드홈(2)을 가진 알루미늄압출소재의 프로파일(P)의 양단부를 45도로 컷팅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각 목재로 되며 목재고정홈에 대응하는 캔버스고정목재의 양단을 45도로 절단하여 목재고정홈에 끼움하여 고정구를 개입 결합함으로써 배면에 캔버스고정목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캔버스 프레임에 있어서, 90도를 이루며 돌출하는 투입편 및 투입편의 양단에 단턱을 가진 결착구(4)의 양측 투입편을 수평 및 수직 프로파일(P)의 결착구가이드홈(2)에 투입하고 버팀볼트(5)를 조임하여 조립한 캔버스 프레임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은 보강프레임(3)의 체결을 위해 다수의 결착구(4)와 버팀볼트(5) 등의 금속재질의 체결수단이 필요하고, 접합부위의 수가 증가하며, 프레임 무게가 증가하고, 작업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6698호(2013.01.2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5507호(2014.05.14.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량의 합성수지 연결구로 내부프레임을 조립 체결함으로써, 캔버스 프레임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 및 부품간 조립 공수가 감소되며, 조립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가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연결구가 내부프레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에도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결구, 고정부재 및 그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우수한 캔버스 프레임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금속 재질의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내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가 돌출하여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되, 단부가 단부연결구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단부에 단부홀이 형성된 내부프레임;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제1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체결하되,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끼움되는 끼움편, 상기 끼움편을 고정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끼움편 상부 양측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 상측에 연결 형성되어 단부홀에 삽입되어 내부프레임과 체결되어 은폐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단부연결구를 포함하는 캔버스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경량의 합성수지 연결구로 내부프레임을 조립 체결함으로써, 캔버스 프레임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 및 부품간 조립 공수가 감소되며, 조립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가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연결구가 내부프레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에도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결구, 고정부재 및 그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 프레임을 금속프레임에 결합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고, 목재프레임 사용시 발생하는 온도, 습기, 곰팡이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캔버스나 그림의 변색, 오염이 방지되며, 목재처럼 삭거나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배면은 물론이고 측면에 인장된 캔버스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며, 프레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확장성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DD' 단면도로 캔버스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에 고정부재가 체결된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의 조립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캔버스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프레임이 포함된 캔버스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1)은 화실 등에서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캔버스를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그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400), 그리고 내부프레임(400)의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이 각각 경량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부연결구(500) 및 교차연결구(600)를 통해 간편하게 조립 체결되어 중량 감소, 부품수 및 부품간 조립 공수 감소, 생산성 증가 및 생산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상기 제1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등 경량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들이 용접 또는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일부가 캔버스(C)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내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01)는 양쪽 단부에 90도로 내측으로 절곡된 삽입돌기(10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102)의 내측에 안내홈(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 내부프레임(400)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프레임(400)은 내부가 중공 형성된 사각 프레임이며, 일자 또는 열십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에 단부홀(410)이 형성되고, 단부연결구(500)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100)과 조립 체결되며, 이로써 캔버스 프레임이 더욱 견고해지고,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캔버스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단부연결구(500)는 경량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00)과 내부프레임(400)을 조립 체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부연결구(500)는 안내홈(10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편(510)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편(510)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고정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03)에 상기 끼움편(510)을 삽입시켜 상기 제1프레임(100)과 내부프레임(400)의 체결 위치까지 슬라이드 안내된 후 체결 위치에서 고정부재(520)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단부연결구(50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단부연결구(500)는 상기 끼움편(510)의 상부 양측에 지지홈(53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530)에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102)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단부연결구(500)를 안내함과 동시에 체결후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단부연결구(500)는 상기 지지홈(530)의 상측에 사각통 형상의 삽입부(540)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540)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단부연결구(500)를 제1프레임(100)의 연결부(101)에 끼운 후 고정부재(520)를 삽입하여 고정홀에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40)는 내부프레임(400)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홀(410)에 삽입되어 내부프레임(400)과 조립 체결되고, 이때 내부프레임(400)이 삽입부(540)를 감싼 채 체결되면서 상기 단부연결구(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되어 외관이 깔끔하고 우수하게 된다.
더불어,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프레임(400)은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이 열십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경우 교차 위치에서 교차연결구(600)에 의해 서로 조립 체결된다.
상기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은 내부가 중공 형성된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단부홀(410)이 형성되며, 상호 체결을 위해 양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420)는 양쪽 단부에 90도로 내측으로 절곡된 삽입돌기(43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430)의 내측에 안내홈(440)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교차연결구(600)는 경량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이 교차되도록 조립 체결한다.
교차 위치에서 가로프레임(401)에 상·하로 분리된 세로프레임(402)을 각각 체결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교차연결구(600)는 안내홈(44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편(610)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편(610)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고정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401)의 안내홈(440)에 상기 끼움편(610)을 삽입시켜 상기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의 체결 위치까지 슬라이드 안내된 후 체결 위치에서 고정부재(620)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로프레임(401)에 대한 상기 교차연결구(60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교차연결구(600)는 상기 끼움편(610)의 상부 양측에 지지홈(63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630)에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430)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교차연결구(600)를 안내함과 동시에 체결후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교차연결구(600)는 상기 지지홈(630)의 상측에 사각통 형상의 삽입부(640)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40)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교차연결구(600)를 가로프레임(401)의 연결부(420)에 끼운 후 고정부재(520)를 삽입하여 고정홀에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640)는 세로프레임(402)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홀(410)에 삽입되어 가로프레임(401)과 세로프레임(402)이 조립 체결되고, 이때 세로프레임(402)이 삽입부(640)를 감싼 채 체결되면서 상기 교차연결구(6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되어 외관이 깔끔하고 우수하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제1프레임(100)은 내부가 비어 있도록 중공 형성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내측면(113)에 연결 형성된 내측 체결부(120)와,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면(114)에 연결 형성된 외측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4개의 바들이 결합된 형태를 갖되,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전면(111)과, 전면(111)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내·외측면(113,114)과, 내·외측면(113,114)의 하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배면(1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체결부(120)와 외측 체결부(130)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내측 삽입부(220)와 외측 삽입부(23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내·외측 체결홈(121,131)이 각각 형성되어 제1,2프레임(100,200)이 견고하게 체결되고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외측 체결부(130)는 전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진 지지면(133)이 구비되어 팽팽하게 인장되어 고정된 캔버스(C)를 지지함으로써 캔버스(C)가 처지지 않도록 하며, 바디부(110)의 전면(111)이 경사 형성되어 캔버스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그림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0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캔버스(C)가 금속과 접촉하기 때문에, 목재가 포함되었던 종래 캔버스 프레임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조립 상태가 견고하며, 온도, 습기, 곰팡이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캔버스 또는 캔버스에 그려진 그림의 변색, 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제2프레임(200)은 발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성형 및 가공성이 우수하고, 단열성, 방수성, 보온성 등이 뛰어나 온도, 습기, 곰팡이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상품 가치가 증가하며, 완충성이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배면 쪽에 결합되고, 단면이 "L", "└┘"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기술처럼 접착제나 나사 체결이 아니라 삽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제작 공정이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프레임(200)은 지지부(210)의 상부에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바디부(110)의 일부가 삽입 체결되고, 지지부(210)의 하부에는 인장된 캔버스(C)의 가장자리가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 지지되며, 지지부(210)의 내측면에 내측 삽입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체결부(120)에 삽입 체결되고, 지지부(210)의 외측면에 외측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체결부(130)에 삽입 체결되어 제1,2프레임(100,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삽입부(230)는 외측면의 대부분이 외부에 노출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인장된 캔버스(C)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10)의 삽입홈(211) 내부에 내부 접속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0) 배면(112)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내부 접속편(112a)이 돌출 형성되어 내부 접속홈(212)에 접속되며, 상기 내측 삽입부(220)의 내측면과 외측 삽입부(230)의 외측면에 각각 내측 접속홈(221)과 외측 접속홈(231)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체결부(120)와 외측 체결부(130)에 각각 형성된 내측 접속편(122)과 외측 접속편(132)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1,2프레임(100,200)이 내외로 접속되어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져 서로 분리되거나 유동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증대된다.
더불어, 제1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200)을 여러 가지 두께로 제조하여 준비하고, 캔버스 크기 등 필요에 따라 알맞은 두께의 제2프레임(200)을 선택하여 제1프레임(100)에 체결하면 캔버스 프레임(1)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1)에 캔버스(C)를 고정시키는 경우 인장장치(미도시)로 캔버스(C)를 인장시킨 상태에서 캔버스 프레임(1) 배면으로 절곡시켜 압정, 철심, 고정핀, 타카 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2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를 이용한 캔버스 고정은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캔버스(C)는 그림이 그려지는 표면(C1)이 전면을 향하고, 그 반대쪽인 이면(C2)이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캔버스(C)의 가장자리를 팽팽하게 당겨서 인장하여 배면 방향으로 2회 절곡시키면 캔버스(C)의 가장자리가 외측 체결부(130)와 외측 삽입부(230)를 거쳐서 제2프레임(200)의 배면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압정, 철심, 고정핀, 타카 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2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부재를 외측 삽입부(230)의 외측면에도 체결하여 캔버스(C)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1)은 금속과 발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경량이고, 온도, 습기, 곰팡이 등으로부터 보호되어 캔버스가 변색되거나 오염되지 않으며,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목재는 성형 및 가공성이 나쁘지만 본 고안은 발포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정밀 가공이 가능한 바, 얇은 홈들을 쉽게 형성하여 금속재의 제1프레임(100)의 여러 접속편들을 삽입 체결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3프레임(300)이 제1프레임(100)의 전면 쪽에 더 체결되어 확장시킬 수 있고, 상기 제3프레임(300)은 전면에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경사면 일측에 평평한 지지면(320)이 형성되며, 양측에 체결편(330)이 형성된다.
상기 제3프레임(300)은 여러 두께를 갖는 크기로 준비될 수 있고, 캔버스(C)의 크기 등 필요에 따라 알맞는 크기의 제3프레임(300)을 선택하여 제1프레임(100)에 체결하여 캔버스 프레임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300) 양측에 형성된 체결편(330)이 상기 제1프레임(100)의 바디부(110)와 외측 체결부(130)에 각각 형성된 상부홈(111a,134)에 체결되어 확장성이 증대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 프레임(1)은, 경량의 합성수지 연결구로 내부프레임을 조립 체결함으로써, 캔버스 프레임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 및 부품간 조립 공수가 감소되며, 조립 작업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가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연결구가 내부프레임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외부 충격에도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결구, 고정부재 및 그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우수하며, 또한 합성수지 프레임을 금속프레임에 결합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제조 및 가공이 용이하고, 목재프레임 사용시 발생하는 온도, 습기, 곰팡이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캔버스나 그림의 변색, 오염이 방지되며, 목재처럼 삭거나 쉽게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배면은 물론이고 측면에 인장된 캔버스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며, 프레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확장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캔버스 프레임 100. 제1프레임
101. 연결부 102. 삽입돌기
103. 안내홈 110. 바디부
111. 전면 111a. 상부홈
112. 배면 112a. 내부 접속편
113. 내측면 114. 외측면
120. 내측 체결부 121. 내측 체결홈
122. 내측 접속편 130. 외측 체결부
131. 외측 체결홈 132. 외측 접속편
133. 지지면 134. 상부홈
200. 제2프레임 210. 지지부
211. 삽입홈 212. 내부 접속홈
220. 내측 삽입부 221. 내측 접속홈
230. 외측 삽입부 231. 외측 접속홈
300. 제3프레임 310. 경사면
320. 지지면 330. 체결편
400. 내부프레임 401. 가로프레임
402. 세로프레임 410. 단부홀
420. 연결부 430. 삽입돌기
440. 안내홈 500. 단부연결구
510. 끼움편 520. 고정부재
530. 지지홈 540. 삽입부
600. 교차연결구 610. 끼움편
620. 고정부재 630. 지지홈
640. 삽입부 C. 캔버스
C1. 표면 C2. 이면

Claims (6)

  1. 금속 재질의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내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가 돌출하여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되, 단부가 단부연결구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과 체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단부에 단부홀이 형성된 내부프레임;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제1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체결하되,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끼움되는 끼움편, 상기 끼움편을 고정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끼움편 상부 양측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 상측에 연결 형성되어 단부홀에 삽입되어 내부프레임과 체결되어 은폐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단부연결구를 포함하는 캔버스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열십자 형상으로 교차되어 교차연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단부에 단부홀이 형성되며, 양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90도로 절곡된 삽입돌기가 돌출하여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교차연결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서로 체결하되,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끼움되는 끼움편, 상기 끼움편을 고정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상기 끼움편 상부 양측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홈 및 상기 지지홈 상측에 연결 형성되어 단부홀에 삽입되어 내부프레임끼리 체결되어 은폐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캔버스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전면 일부가 캔버스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되, 내부가 중공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외측면에 각각 연결 형성된 내·외측 체결부가 형성되고,
    발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바디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캔버스의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내·외측 체결부에 삽입 체결되는 내·외측 삽입부가 구비된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캔버스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전면과, 전면의 양측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내·외측면과, 내·외측면의 하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배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외측 체결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내·외측 삽입부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내·외측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 체결부는 전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삽입홈 내부에 내부 접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배면의 일단 또는 양단에 내부 접속편이 형성되어 내부 접속홈에 접속되며,
    상기 내측 삽입부의 내측면과 외측 삽입부의 외측면에 각각 내측 접속홈과 외측 접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체결부와 외측 체결부에 각각 형성된 내측 접속편과 외측 접속편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버스 프레임.
  6. 제 3항에 있어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여러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전면에 체결하여 캔버스 프레임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체결편이 상기 제1프레임의 바디부와 외측 체결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캔버스 프레임.
KR2020200003289U 2020-09-09 2020-09-09 캔버스 프레임 KR200495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89U KR200495193Y1 (ko) 2020-09-09 2020-09-09 캔버스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89U KR200495193Y1 (ko) 2020-09-09 2020-09-09 캔버스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26U true KR20220000626U (ko) 2022-03-16
KR200495193Y1 KR200495193Y1 (ko) 2022-03-25

Family

ID=8093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89U KR200495193Y1 (ko) 2020-09-09 2020-09-09 캔버스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30B1 (ko) * 2023-09-19 2024-04-09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캔버스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98B1 (ko)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US20130333851A1 (en) * 2012-06-15 2013-12-19 Jack Chen Frame assembly capable of self-stretching fabrics evenly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US20160023506A1 (en) * 2014-07-22 2016-01-28 Marvin Sieg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ustom sized canvas stretcher fr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98B1 (ko) 2011-09-19 2013-01-25 신상철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US20130333851A1 (en) * 2012-06-15 2013-12-19 Jack Chen Frame assembly capable of self-stretching fabrics evenly
KR101395507B1 (ko) 2013-08-19 2014-05-14 김영삼 캔버스 프레임
US20160023506A1 (en) * 2014-07-22 2016-01-28 Marvin Sieg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ustom sized canvas stretcher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30B1 (ko) * 2023-09-19 2024-04-09 주식회사 더윤아이앤씨 캔버스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93Y1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31B2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KR101395507B1 (ko) 캔버스 프레임
KR200495193Y1 (ko) 캔버스 프레임
KR101226698B1 (ko) 캔버스 고정용 프레임
US7296383B2 (en) Plastic batten shutter
KR102319322B1 (ko) 캔버스 프레임
KR102083848B1 (ko)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KR101825523B1 (ko) 캔버스 프레임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JP4011043B2 (ja) 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50814A1 (en) Window framing system with decorative overla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693777B1 (ko) 뒤틀림 및 휨 방지용 도어
KR102196153B1 (ko) 복합창호
KR101672457B1 (ko) 도어 결합 구조
KR20130104731A (ko) 도어 손잡이 프레임구조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KR102101471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2653446B1 (ko) 창틀용 모서리 연결구
KR20230002016U (ko) 중공 판넬형 경량 목재 캔버스 프레임
KR101892480B1 (ko) 방범 방충용 도어 프레임의 조립 구조
KR102348711B1 (ko)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KR200221617Y1 (ko) 장식창용 형틀바
JP2006194039A (ja) 框組建具
KR200465884Y1 (ko) 내측 장식테용 모서리캡
KR200358172Y1 (ko) 액자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