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11B1 -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11B1
KR102348711B1 KR1020210049272A KR20210049272A KR102348711B1 KR 102348711 B1 KR102348711 B1 KR 102348711B1 KR 1020210049272 A KR1020210049272 A KR 1020210049272A KR 20210049272 A KR20210049272 A KR 20210049272A KR 102348711 B1 KR102348711 B1 KR 10234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lding
finishing
bar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21004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거나 차단 혹은 통로 안내 등을 목적으로 하는 파티션의 단부마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파티션의 상단 가로바와 측단 세로바에 각기 결합되게 한 단부마감몰딩을 구성하고, 상기 세로바의 상단에 결합되게 한 상단마감캡 및 하단에 결합되게 한 하단마감캡을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상단마감캡은 세로바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 및 가로바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과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의 세로바에 대한 상,하단 및 외측면에 대한 마감은 물론 상단 가로바에 대한 상면 마감이 빠르고 미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세로바와 가로바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 간의 교차방향 모서리에 결합되는 상단마감캡에 의해 수직방향의 단부마감몰딩과 수평방향의 단부마감몰딩에 대한 미려한 코너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단부마감캡은 수직의 단부마감몰딩과 수평의 단부마감몰딩에 상호 결합되므로 전체 마감몰딩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연출하는 동시에 예리한 첨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식 파티션의 노출 단부에 대한 효율적이고 미려한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End closure assembly for prefabricated partitions}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거나 차단 혹은 통로 안내 등을 목적으로 하는 파티션의 단부마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체에 분할패널을 결합하여 되는 조립식 파티션의 측단부 및 선단부와 코너부에 대하여 각기 단부마감몰딩 및 단부마감캡을 통해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미려한 외장이 연출되도록 마감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의 다양한 실내 공간에는 내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 및 사생활을 보호할 목적 혹은 불필요한 노출이나 공간을 은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파티션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은 통상적으로 사각의 패널 형태를 갖고 다양한 높이와 크기 및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파티션은 서로 이웃하는 파티션에 대한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짐에 따라 분할 파티션을 연속하여 연결 형성함에 따라 원하는 길이와 폭 또는 굴절 형태로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즉, 종래의 파티션 및 그에 대한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168537호와 같이 별도의 체결장치 없이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후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체결력을 갖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파티션 연결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673893호와 같이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에 의해 사무실의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파티션에 있어서,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파티션 본체; 삽입을 통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주하는 탄성판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탄성판의 구조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연결조립수단; 및 상기 파티션 본체들의 측면에서 상기 파티션 본체에 일체로 장착된 연결조립수단에 삽입을 통한 장착과 인출을 통한 탈착이 가능하고, 조립이 완료된 파티션 본체 간에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파티션 연결수단으로 구성되어, 각 파티션 간의 연결 조립 및 분리 해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 사무 환경에 적합하게 파티션의 이동 및 사무실의 공간 분할 등이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93631호와 같이 파티션의 가장자리에 배설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별도의 체결과정 없이 클램프를 통해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파티션들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01035호와 같이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양쪽 한 쌍의 걸림대 사이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파티션들에 대해서도 견고한 고정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며, 만약 걸림대가 연결되는 수직프레임이 일그러지거나 변형된다 하더라도 조절부재를 조이거나 풀면서 항상 적정의 고정력으로 파티션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프레임 혹은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연결장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바를 이용하여 조절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파티션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 연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561174호와 같이 서로 이웃한 패널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는 엔드캡 및 이웃한 엔드캡을 결속하는 결속부로 구성되어, 서로 이웃한 파티션의 상측 가장자리끼리 후크 결합 방식으로 간단히 서로 결속하여 파티션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파티션의 측부위끼리 결속하여 견고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의 연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파티션은 단순히 정형화된 프레임체와 패널의 조합구조로만 만들어져 있어 다양성의 측면에서 매우 동떨어져 있는 것으로, 파티션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환경 또는 가변성의 측면에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측면패널의 경우 단일 개체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단순 분할 형태로 프레임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파티션 자체에 콘센트 등을 부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고, 프레임으로부터 측면패널을 손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지 아니하므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인 폐단을 갖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파티션은 공장 혹은 생산시설에서 완성된 형태로 대부분 만들어져 공급되기 때문에 완성된 파티션에 대한 보관 및 운반 등 막대한 물류비의 부담이 있는 것이고,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도 제작 및 조립할 수도 없어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지극히 불합리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2083848호와 같이 가로바와 세로바 및 횡방향으로의 보강바에 의한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세로바를 이용하여 분할패널을 양측에 결합 형성하되, 상기 분할패널에는 표면재를 부착 형성하는 것은 물론 상기 표면재의 끝단부에 대한 마감처리 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세로바의 수치 변경을 통해 다양한 높이를 갖는 파티션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직접 조립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며, 분할패널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분할패널의 표면재에 대한 마감이 더욱 간결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을 안출 및 등록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식 파티션의 경우 각 파티션의 노출측 끝단 및 선단의 경우 가로바 혹은 세로바의 형상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불량한 것은 물론 압출 또는 절곡 생산되는 가로바 혹은 세로바의 절개 틈새로 분진이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가로바 혹은 세로바의 경우 조립식 파티션의 사용 및 설치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단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가로바 혹은 세로바의 끝단에 대한 마감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예리한 첨단부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부상을 당하거나 옷이나 가방 등이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168537 (1999.11.1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73893 (2007.01.1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93631 (2009.04.0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01035 (2013.08.2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61174 (2015.10.1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83848 (2020.02.26.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조립식 파티션의 상단 가로바와 측단 세로바에 각기 결합되게 한 단부마감몰딩을 구성하고, 상기 세로바의 상단에 결합되게 한 상단마감캡 및 하단에 결합되게 한 하단마감캡을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상단마감캡은 세로바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 및 가로바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과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에 대한 상단 및 측단에 대한 미려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단부마감몰딩과 단부마감캡의 빠르고 효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단부마감캡의 노출면을 최소화시켜 더욱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조립식 파티션의 외장이 연출되도록 한 특징의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세로바 상,하단에 가로바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가로바의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를 연결하는 횡방향의 보강대가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의 양측에는 별도 구비의 분할패널이 밀착 고정되게 한 조립식 파티션에 대하여, 상기 세로바의 외면과 상측 가로바의 상면에 결합되는 별도 구비의 단부마감몰딩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에는 상단마감캡과 하단마감캡이 각기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은 상기 상단마감캡과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단부마감몰딩의 일측에는 세로바 및 가로바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절곡홈으로 압입되는 한 쌍의 끼움날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단마감캡과 하단마감캡에는 상기 단부마감몰딩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중공부로 압입되는 한 쌍의 가압돌편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마감캡의 일측에는 가로바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의 끼움날개부 사이에 압입되는 몰딩결합부가 상기 가압돌편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의 세로바에 대한 상,하단 및 외측면에 대한 마감은 물론 상단 가로바에 대한 상면 마감이 빠르고 미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세로바와 가로바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 간의 교차방향 모서리에 결합되는 상단마감캡에 의해 수직방향의 단부마감몰딩과 수평방향의 단부마감몰딩에 대한 미려한 코너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단부마감캡은 수직의 단부마감몰딩과 수평의 단부마감몰딩에 상호 결합되므로 전체 마감몰딩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연출하는 동시에 예리한 첨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식 파티션의 노출 단부에 대한 효율적이고 미려한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와 파티션 간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단부마감몰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상단마감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하단마감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를 이용한 파티션 마감 시작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를 이용한 파티션 마감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수직방향 단부마감몰딩 및 상단마감캡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수평방향 단부마감몰딩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가 결합된 조립식 파티션의 전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와 파티션 간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단부마감몰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상단마감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의 하단마감캡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부마감 조립체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 및 등록된 조립식 파티션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의 조립식 파티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세로바(110)가 이격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세로바(110)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10)를 연결하는 가로바(120)가 각기 상,하단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가로바(120)의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10)를 연결하는 횡방향의 보강대(130)가 결합되어 프레임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별도 구비의 분할패널(140)(140')이 세로바(110)를 이용하여 밀착 고정됨에 따라 조립식 파티션(10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파티션(100)은 다양한 연결수단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고, 평면상 직각 혹은 "T"자 형태로도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분할패널(140)(140') 역시 다양한 상,하 크기를 갖고 다양한 질감 혹은 색감이 표면 연출되도록 교체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파티션의 끝단으로 노출되는 세로바(110) 및 상측 가로바(120)의 상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 구비의 단부마감몰딩(200)(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을 통해 끝단 세로바(110)의 외측면 및 상측 가로바(120)의 상면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별도 구비의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을 이용하여 상기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의 상단 및 하단에 대한 마감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단마감캡(300)의 경우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과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 간의 결합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세로바(110)의 외면과 상측 가로바(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별도 구비의 단부마감몰딩(200)(200')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에는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이 각기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은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의 일측에는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절곡홈(111)(121)으로 압입되는 한 쌍의 끼움날개부(201)(20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에는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중공부(202)(202')로 압입되는 한 쌍의 가압돌편(301)(301')(401)(401')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마감캡(300)의 일측에는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의 끼움날개부(201)(201') 사이에 압입되는 몰딩결합부(303)가 상기 가압돌편(301)(301')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세로바(110)의 외면으로 수직 방향의 단부마감몰딩(200)을 가압하게 되면 세로바(110)의 보강절곡홈(111) 내측으로 단부마감몰딩(200)의 끼움날개부(201)(201')가 압입되면서 상호 밀착 고정이 되는 것이고, 가로바(120)의 상면으로 수평 방향의 단부마감몰딩(200')을 가압하게 되면 가로바(120)의 보강절곡홈(121) 내측으로 단부마감몰딩(200')의 끼움날개부(201)(201')가 압입되면서 상호 간단하고 신속하게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보강절곡홈(111)(121)은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를 길이방향으로 절개 및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보강절곡홈(111)(121)을 이용하여 단부마감몰딩(200)(200')이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의 경우 하단에는 별도 구비의 하단마감캡(400)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하단마감캡(400)을 이용하여 단부마감몰딩(200)의 하단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의 상단에는 상단마감캡(300)을 추가로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단부마감몰딩(200)의 상단에 대한 마감은 물론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과의 결속을 통해 상호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동시에 단부마감몰딩(200)(200') 간 코너 마감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하단마감캡(400)의 상측으로 돌출된 가압돌편(401)(401')을 수직 방향의 단부마감몰딩(200)의 하단 중공부(202)(202')에 압입 고정함에 따라 상호 손쉬운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단마감캡(300)의 하측으로 돌출된 가압돌편(301)(301')은 수직 방향으로 된 단부마감몰딩(200)의 상단 중공부(202)(202')로 압입함에 따라 역시 상호 손쉬운 결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의 중공부(202)(202')는 단부마감몰딩(200) 자체를 경량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의 체결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세로바(110)의 외측면에 상단마감캡(300) 및 하단마감캡(400)이 결합된 단부마감몰딩(200)을 가압에 의해 결합 고정한 후, 가로바(120)의 상면에 또 다른 단부마감몰딩(200')을 하향 가압하여 밀착 고정하게 되면 상기 수평의 단부마감몰딩(2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날개부(201)(201')는 가로바(120)의 보강절곡홈(121)으로 압입되는 동시에 전기한 상단마감캡(300)의 일측으로 돌출된 몰딩결합부(303)가 상기 끼움날개부(201)(20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국 세로바(110)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200)과 가로바(120)에 결합된 단부마감몰딩(200')이 상기 상단마감캡(300)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를 연출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상단마감캡(300)의 몰딩결합부(303)에는 하향 개방의 탄지홈(304)을 형성하여, 상기 몰딩결합부(303)에 대한 단부마감몰딩(200)(20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몰딩결합부(303)가 끼움날개부(201)(201')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지홈(304)으로 인해 내측으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팽창하면서 지속적인 상호 탄력 계지력을 연출하므로 인위적인 힘이 작용하기 전에는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임의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밀착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부마감몰딩(200)(200')의 일측에는 끼움날개부(201)(201')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끼움조립홈(203)(203')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의 가압돌편(301)(301')(401)(401') 사이에는 상기 끼움조립홈(203)(203')으로 압입되는 한 쌍의 보강돌편(302)(302')(402)(40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에 대한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의 결합 과정에서 기존의 가압돌편(301)(301')(401)(401')과 함께 상기의 보강돌편(302)(302')(402)(402')이 상호 결합 고정력을 가일층 증대시켜 주어 상호 더욱 견고한 결합 및 고정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의 끼움조립홈(203)(203')은 단부마감몰딩(200) 자체를 경량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에 대한 강화된 체결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부마감몰딩(200)(200')의 길이방향 폭은 세로바(110)의 두께와 양측 분할패널(140)(140') 두께의 합과 같도록 구성함에 따라, 파티션의 프레임에 세로바(110)를 이용하여 양측에 분할패널(140)(140')을 장착하게 되면 분할패널(140)(140')의 상,하 끝단면 및 양측 끝단면이 단부마감몰딩(200)(200')에 의해 완전히 은폐되는 동시에 상기 세로바(110) 역시 단부마감몰딩(200)(200') 및 분할패널(140)(140')에 의해 완전히 은폐되므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조립식 파티션 전체가 일체감을 갖고 미려한 외장을 연출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분할패널(140)(140')의 외표면과 단부마감몰딩(200)(200')의 노출 전면은 연속된 표편을 형성하는 것으로 걸림부 혹은 단차와 단턱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파티션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에 대한 단부마감 조립체는 조립식 파티션의 세로바 및 가로바에 대한 노출부의 마감과 동시에 파티션 전체가 매끄러운 표면 및미려한 외장을 연출하도록 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설치 효과 및 인테리어 효과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조립식 파티션
110 : 세로바 111 : 보강절곡홈
120 : 가로바 121 : 보강절곡홈
130 : 보강대
140,140' : 분할패널
200,200' : 단부마감몰딩 201,201' : 끼움날개부
202,202' : 중공부 203,203' : 끼움조립홈
300 : 상단마감캡 301,301' : 가압돌편
302,302' : 보강돌편 303 : 몰딩결합부
304 : 탄지홈
400 : 하단마감캡 401,401' : 가압돌편
402,402' : 보강돌편

Claims (4)

  1.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세로바(110) 상,하단에 가로바(120)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가로바(120)의 사이에는 상기 세로바(110)를 연결하는 횡방향의 보강대(130)가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110)의 양측에는 별도 구비의 분할패널(140)(140')이 밀착 고정되게 한 조립식 파티션(100)에 대하여, 상기 세로바(110)의 외면과 상측 가로바(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별도 구비의 단부마감몰딩(200)(200')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11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에는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이 각기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은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의 일측에는 세로바(110) 및 가로바(12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절곡홈(111)(121)으로 압입되는 한 쌍의 끼움날개부(201)(20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에는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중공부(202)(202')로 압입되는 한 쌍의 가압돌편(301)(301')(401)(401')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마감캡(300)의 일측에는 가로바(120)에 결합되는 단부마감몰딩(200')의 끼움날개부(201)(201') 사이에 압입되는 몰딩결합부(303)가 상기 가압돌편(301)(301')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부마감몰딩(200)(200')의 일측에는 끼움날개부(201)(201')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끼움조립홈(203)(203')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단마감캡(300)과 하단마감캡(400)의 가압돌편(301)(301')(401)(401') 사이에는 상기 끼움조립홈(203)(203')으로 압입되는 한 쌍의 보강돌편(302)(302')(402)(402')을 더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마감캡(300)의 몰딩결합부(303)에는 하향 개방의 탄지홈(304)을 형성하여, 상기 몰딩결합부(303)에 대한 단부마감몰딩(200)(20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몰딩결합부(303)가 끼움날개부(201)(201')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지홈(304)으로 인해 내측으로 압축되며 상호 탄력 계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9272A 2021-04-15 2021-04-15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KR10234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72A KR102348711B1 (ko) 2021-04-15 2021-04-15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72A KR102348711B1 (ko) 2021-04-15 2021-04-15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711B1 true KR102348711B1 (ko) 2022-01-11

Family

ID=7935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72A KR102348711B1 (ko) 2021-04-15 2021-04-15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71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7U (ja) * 1992-10-14 1994-05-1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机上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200294096Y1 (ko) * 2002-07-23 2002-11-07 주식회사 제니시스 엔드 커버의 조립구조
KR20040073621A (ko) * 2003-02-14 2004-08-21 (주) 퍼펙트 사무실용 칸막이
KR100673893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
KR100893631B1 (ko) 2008-04-10 2009-04-17 주식회사 모빌퍼스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
KR101301035B1 (ko) 2013-05-06 2013-08-28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파티션 연결장치
KR101561174B1 (ko) 2015-03-09 2015-10-16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2083848B1 (ko) 2019-05-28 2020-03-0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27U (ja) * 1992-10-14 1994-05-1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机上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168537Y1 (ko) 1999-08-16 2000-02-15 이정우 파티션 연결구조
KR200294096Y1 (ko) * 2002-07-23 2002-11-07 주식회사 제니시스 엔드 커버의 조립구조
KR20040073621A (ko) * 2003-02-14 2004-08-21 (주) 퍼펙트 사무실용 칸막이
KR100673893B1 (ko) 2004-11-24 2007-01-24 조명구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파티션 및 그 연결 장치
KR100893631B1 (ko) 2008-04-10 2009-04-17 주식회사 모빌퍼스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된 파티션 연결구조
KR101301035B1 (ko) 2013-05-06 2013-08-28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파티션 연결장치
KR101561174B1 (ko) 2015-03-09 2015-10-16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2083848B1 (ko) 2019-05-28 2020-03-0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4156B (zh) 装饰用组装式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US20070209318A1 (en) Modular panel assembly
KR100861341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102347027B1 (ko) 간편 결속구조의 파티션 연결유닛
KR102348711B1 (ko) 분할패널에 의한 조립식 파티션의 단부마감 조립체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KR102083848B1 (ko)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KR102151243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KR100384617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200495193Y1 (ko) 캔버스 프레임
CN202348012U (zh) 施工容易的组装式门框
KR100510083B1 (ko) 납골함 안치단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100620363B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102030249B1 (ko) 유로폼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0318048B1 (ko) 조립식칸막이
KR102659034B1 (ko) 파티션 프레임
JPH11159204A (ja) フェンス
KR102418645B1 (ko)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
JP7348866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