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757Y1 -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757Y1
KR200253757Y1 KR2020010023131U KR20010023131U KR200253757Y1 KR 200253757 Y1 KR200253757 Y1 KR 200253757Y1 KR 2020010023131 U KR2020010023131 U KR 2020010023131U KR 20010023131 U KR20010023131 U KR 20010023131U KR 200253757 Y1 KR200253757 Y1 KR 200253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s
partition
coupled
connecting memb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주
나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동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동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동공업
Priority to KR202001002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75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칸막이를 손쉽게 연결 및 분해할 수 있고, 연결과 동시에 칸막이들간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서로 결합되는 양 칸막이 수직 프레임의 결합되는 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수직 프레임의 양 측면부로부터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 끝단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는 서로 대향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대향면을 이루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요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체결부에 삽입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sectional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partition)이라고도 불리우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연결 부재에 의하여 칸막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동시에 연결된 칸막이들의 수평도 맞출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칸막이는 빌딩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주로 오피스텔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최근 건물 입주자들의 다양한 공간 활용 요구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칸막이는 한정된 공간을 분리식 칸막이 패널을 이용해 간단하게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져야 하며, 조용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소리 흡수 구조를 갖춰야 한다.
이러한 조립식 칸막이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그 분해와 조립이 반복되어 일어나기 때문에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해야 하며, 결합 후에도 견고한 결합력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조립식 칸막이의 결합 구조라 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은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는 일측의 칸막이(1) 일단과 타측의 칸막이(1') 일단에 상단과 하단으로 걸림고리(3)가 형성된 앵글(2)을 지지봉(4)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걸림고리(3)를 삽입한 후, 이 지지봉(4)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고정캡(5) 및 지지캡(6)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앵글(2)은 상기 칸막이(1,1')에 나사를 통해 고정 연결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칸막이는 설치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무거워 한 명의 작업자로는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칸막이를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킬 경우에 그 수평을 제대로 맞출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설치과정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것이다. 이는 칸막이(11)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주골조(12)에 조립부(13)가 형성되고, 결합시키고자 하는 칸막이들(11,11')의 양 조립부(13,13')에 유연성을 가진 쫄대(14)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칸막이는 한 명의 작업자로도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칸막이의 경우에도, 상기 유연성 재료의 쫄대(14)를 상방 끝에서 하방 끝까지 체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체결이 어려우며, 또한 칸막이의 분해 시에도 쫄대(14)를 손으로 잡아 뽑아내야 하기 때문에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밖에도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6872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칸막이의 측면 상, 하부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이 요입홈에 고정편을 끼워 나사로 고정하고, 이중 일측 고정편에는 연결공과 슬롯을 종방향으로 형성하고, 타측 고정편에는 연결공을 통해 슬롯에 끼워지는 안내봉을 설치하여, 이 안내봉의 선단에 슬롯 내측이 걸리는 구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도, 각 칸막이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형성시켜야 하는 등,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며, 오목부와 볼록부의 짝을 맞추어야만 결합할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많은 조립식 칸막이들은 연결작업이 복잡할 뿐 아니라, 일단 연결되어 설치된 칸막이를 분해하여 그 배치를 바꾸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결합 및 분해 시, 나사에 의한 연결부위가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칸막이를 한 명의 작업자로도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칸막이에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 및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칸막이의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칸막이를 일직선상으로 배설할 경우에도 손쉽게 그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구조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칸막이의 코너 부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0': 수직 프레임 22,22': 수직 프레임 측면부
24,24': 수직 프레임 평면부 30,30': 수평 프레임
32,32': 판넬 34,34': 연결 나사
40,40': 체결부 42,42': 지지부
44,44': 돌기부 50,50': 연결부재
52,52': 요입홈 54,54': 요면
60: 평형자 64: 코너 연결 부재용 평형자
70: 코너 연결 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결합되는 양 칸막이 수직 프레임의 결합되는 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수직 프레임의 양 측면부로부터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와, 이 지지부 끝단으로부터 다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는 서로 대향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대향면을 이루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요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체결부에 삽입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단 평면부가 양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결합되는 칸막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평형자가 부착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 평면부에 걸리도록 하여 연결되는 칸막이들의 연결부에서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면(凹面)을 구비하도록 하여 수직 프레임과의 마찰을 줄이고, 삽입 및 토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립식 칸막이를 연결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림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는 단일 판넬을 사용한 칸막이가 아닌 수직 프레임(20)과 수평 프레임(30)를 이용하여 전체 프레임을 구성한 후, 수직 프레임(20)의 전·후방에 판넬(32)을 결합하여 칸막이를 이룬 것이다.
이러한 칸막이의 수직 프레임(20)에는 본 고안의 연결구조를 위하여 그 결합되는 측단부에 체결부(40)가 형성된다. 이 체결부(40)는 수직 프레임(20)의 양 측면부(22)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는 타 칸막이의 방향으로 지지부(42)가 연장 형성되며, 이 지지부(42)로부터 내측으로 다시 돌기부(44)가 연장 형성된다. 곧, 하나의 수직 프레임(20)에는 양 측면부(22)로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체결부(40)가 형성된다.
이렇게 체결부(40)를 구비한 수직프레임(20)을 결합하고자 하는 타 수직 프레임(20')과 맞대어 놓으면, 마주하는 수직 프레임들(20, 20')의 체결부(40)도 각각 맞닿게 되고, 그 중 각각의 돌기부(44, 44')는 서로 대향면을 이루게 되며, 이 대향면을 이룬 돌기부는 서로 맞닿게 된다.
서로 대향하며 맞닿아 있는 양 체결부(40,40')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50)를 삽입하면, 양 칸막이들의 결합은 완료되는 것으로 별도의 체결을 위한 고정 나사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한 연결부재(5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 끝단에 상기 대향면을 이루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44,44')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요입홈(52)이 구비된다. 이러한 요입홈(52)을 구비한 연결 부재(50)를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체결부(40)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부재(50)의 요입홈(52)이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44,44')를 지지하여, 칸막이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50)는 수직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편의 조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편의 조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50)를 수직 프레임(20)의 상,하부에서 하나씩 체결해 주면 그로써 칸막이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칸막이를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도 무리한 힘을 가해 분해시켜 칸막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50)는 그 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면(凹面: 5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요면(54)은 체결부(40,40')에 삽입 시, 수직 프레임(20)의 평면부(24)와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부재(50)가 체결부(40,40') 내로 삽입 및 토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칸막이의 결합 및 분해 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요면(54)은 연결부재(50)의 토출 시, 손잡이로서의 기능도 겸비하여, 보다 손쉽게 결합·분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요면(54)은 하기 고정 부재, 특히 수평 프레임 연결 나사(34)에 의해 연결부재(50)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나사(34)의 결합 형태에 따라 알맞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곧, 본 고안에 있어서의 수평 프레임(30)과 같이 상하 두 개의 나사(34)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50)는 이 나사(34)에 걸릴 수 있도록 일 측면에 두 개의 요면(54)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재(50)를 체결부(40,40')에 삽입한 후에는 이것이 하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이 고정을 위해 별도의 부재를 수직 프레임(20) 평면부(24)의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이 놓일 위치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 이러한 연결부재의 고정은 수평 프레임(30,30')의 고정을 위한 연결 나사(34)의 나사 머리에 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가 체결부(40,40')에 삽입된 후, 그 하단이 상기 연결 나사(34)의 나사 머리에 걸려 더 이상 하부로 깊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연결부재(5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수직 프레임(20,20')의 하단에서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경우에는 연결부재를 삽입한 후, 삽입된 연결부재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와 같이 수직 프레임의 평면부에 나사를 체결하면, 이로써 삽입된 연결부재는 하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상부에 평형자가 부착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50)의 상부에 평형자(60)를 결합시킨다. 연결 부재(50)와 평형자(60)의 결합은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62)를 연결부재(50)의 나사 홈(56)에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직 프레임(20,20')의 평면부(24,24')를 상기 평형자(60)가 삽입될 수 있는 이상으로 양 측면부(22,22')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는 칸막이의 상부로 덮게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미도시)
이렇게 형성된 수직 프레임(20,20')에 평형자(60)가 결합된 연결부재(50)를 삽입하면 칸막이들은 연결부위에서도 어긋남이 없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연결부재(50)도 고정부재, 곧, 도 3에서와 같은 연결 나사(34)에 걸리지 않고도 상부 평형자(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칸막이 코너에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칸막이의 코너는 별도의 코너 연결 부재(70)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코너 연결 부재(7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코너 연결부재용 체결부(72)를 구비하여,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들(20,20')의 체결부(40,40')와 연결 부재(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너 연결부재용 체결부(72)는 코너 연결부재(70)의 결합되는 면이 상기 수직 프레임들(20,20')의 돌기부에 대응하여 이와 대향면을 이루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로부터 후방으로 지지부가 연장되어 평면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코너 연결부재의 구조는 근본적으로 수직 프레임들(20,20')의 체결부(40,40')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구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20,20')의 체결부(40,40')와 동일하게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지지부와 돌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코너 연결 부재(70)의 결합되는 측면부는 이와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의 평면부(24,24')와 대응하도록 짧게 형성하고, 코너 연결 부재(7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50)의 상부에는 코너 연결 부재용 평형자(64)를 결합하여 코너에서의 평형을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하면, 단편 조각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연결함으로써, 칸막이를 손쉽게 연결 및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면, 상부에 평형자를 부착하여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칸막이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연결된 칸막이들이 반듯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고정도 간단하여 분해시 무리한 힘을 가해 칸막이에 손상을 줄 염려도 없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고안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서로 결합되는 양 칸막이 수직 프레임의 결합되는 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 측면부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끝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는 서로 대향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체결부; 및
    상기 대향면을 이루는 양 칸막이의 돌기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요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되는 양 칸막이의 체결부에 삽입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단 평면부가 양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는 결합되는 칸막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평형자가 부착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 평면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면(凹面)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구조.
KR2020010023131U 2001-07-30 2001-07-30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KR200253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31U KR200253757Y1 (ko) 2001-07-30 2001-07-30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31U KR200253757Y1 (ko) 2001-07-30 2001-07-30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757Y1 true KR200253757Y1 (ko) 2001-11-22

Family

ID=7306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131U KR200253757Y1 (ko) 2001-07-30 2001-07-30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7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336B1 (ko) 2007-02-23 2007-10-24 심완섭 칸막이용 패널
KR100784711B1 (ko) 2007-02-21 2007-12-1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티션
KR101311068B1 (ko) 2012-04-19 2013-09-24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칸막이 벽체 어셈블리
KR101311110B1 (ko) 2012-04-19 2013-09-25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11B1 (ko) 2007-02-21 2007-12-1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파티션
KR100769336B1 (ko) 2007-02-23 2007-10-24 심완섭 칸막이용 패널
KR101311068B1 (ko) 2012-04-19 2013-09-24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칸막이 벽체 어셈블리
KR101311110B1 (ko) 2012-04-19 2013-09-25 주식회사 서린 칸막이 벽체 연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757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KR20190116627A (ko) 조립식 칸막이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1849769B1 (ko)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3842678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JP2008031737A (ja) 壁パネルと天井下地材の連結構造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JP3854178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
KR100205554B1 (ko) 텔레비전용 캐비넷의 결합수단
KR102431460B1 (ko) 마감재 건식 시공 시스템
KR200420674Y1 (ko) 조립식 앵글 흔들림 방지구 보강구조
KR101005627B1 (ko) 원터치 클릭형 인테리어용 조립 판넬
KR200200937Y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용 패널
KR200254586Y1 (ko) 경량 칸막이 판넬의 연결장치
JPH0615048Y2 (ja) 簡易構築物における梁と壁の連結装置
KR200284843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0125191Y1 (ko) 합판고정구
JP2966661B2 (ja) 廻り縁
JP4936543B2 (ja) ジョイント構造
KR100462527B1 (ko)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0205552B1 (ko) 텔레비전용 캐비넷의 결합수단
JP3842679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KR100205553B1 (ko) 텔레비전용 캐비넷의 결합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