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23B1 -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23B1
KR102655423B1 KR1020230108566A KR20230108566A KR102655423B1 KR 102655423 B1 KR102655423 B1 KR 102655423B1 KR 1020230108566 A KR1020230108566 A KR 1020230108566A KR 20230108566 A KR20230108566 A KR 20230108566A KR 102655423 B1 KR102655423 B1 KR 10265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recycled aggregate
transfer guide
plat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김창환
Original Assignee
동림개발 주식회사
(유)고려환경개발
예일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림개발 주식회사, (유)고려환경개발, 예일환경(주) filed Critical 동림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18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9Arrangements of feed and discharge means in relation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에서 로터로 안내되는 경사벽체의 하단부에 이송안내판을 설치하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여 투입구로 투입된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가 이송안내판을 통해 로터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Impact crusher's aggregate guide plate angle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구에서 로터로 안내되는 경사벽체의 하단부에 이송안내판을 설치하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여 투입구로 투입된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가 이송안내판을 통해 로터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팩트크라샤(IMPACT CRUSHER)는 크기가 큰 원석(原石) 또는 폐콘크리트 등을 순환골재로 사용하거나, 폐기물 등을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임팩트크라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임팩트크라샤는 본체(10)의 내부에 파쇄실(11)이 구비되고 상측 일부분에는 파쇄실(11)로 순환골재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10)의 파쇄실(11) 내부에는 로터(2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터(2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로워바(22)가 설치되어 로터(20)와 함께 블로워바(22)가 회전하면서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해 파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쇄실(11) 일측에는 다수의 타격판(30)이 구비되고, 이 타격판(39)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이 전후로 회전운동하면서 순환골재를 타격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임팩트크라샤는 파쇄실(11) 내부로 순환골재를 투입하게 되면 로터(20)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22)가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을 받은 순환골재를 다수의 타격판(30)이 재차 타격하여 파쇄시키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임팩트크라샤는 투입구(12)로 투입되는 순환골재 중 일부가 로터(20)의 블로워바(22)로 정확하게 안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부는 로터(20)와 본체(10)의 전면 내벽 사이 공간(S)으로 그냥 낙하되어 파쇄되지 않고 배출되는 현상이 생기며, 이로 인해 파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4214호에는 경사본체에 손실방지대를 설치하여 경사본체를 따라 안내되는 순환골재가 파쇄실 내에서 로터와 전면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 임팩트크라샤의 투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임팩트크라샤는 손실방지대가 순환골재를 단순하게 안내하는 역할만 할 뿐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안내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투입 조건이 다른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를 로터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4214호(등록일: 2022년11월07일), 고안의 명칭: "임팩트크라샤의 투입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0797호(등록일: 2017년08월17일), 발명의 명칭: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크라샤"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428호(등록일: 2008년10월30일), 고안의 명칭: " 임팩트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6956호(등록일: 2004년07월12일), 고안의 명칭: "임팩트크라샤의 건설폐기물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입구에서 로터로 안내되는 경사벽체의 하단부에 이송안내판을 설치하여 경사벽체를 따라 안내되는 모든 순환골재가 로터와 전면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출되지 않고 이송안내판을 통해 로터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되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이송안내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순환골재를 안내하는 기능을 향상시킨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전면을 밀폐하는 전면벽체, 전면벽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순환골재를 안내하는 경사벽체, 상면 일부분과 후면을 밀폐하는 상면후면벽체, 양측면을 밀폐하는 측면벽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파쇄실이 구비되고, 상부 전방에는 상면후면벽체과 경사벽체의 사이에 파쇄실로 순환골재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전체적으로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와, 파쇄실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와, 로터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하면서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는 다수의 블로워바와, 파쇄실의 일측에서 로터 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하면서 순환골재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판으로 구성되어, 투입구로 순환골재를 투입하면 로터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가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을 받은 순환골재를 다수의 타격판이 타격을 가해 파쇄시키는 구조를 갖는 임팩트크라샤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체의 하단부에는 투입구로 투입되어 경사벽체를 타고 흘러내리는 순환골재가 로터와 전면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을 막아 순환골재를 로터로 안내하는 이송안내판이 설치되되, 상기 이송안내판은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경사벽체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들어올려지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안내 각도를 조절해 투입 조건이 다른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를 로터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이송안내판의 상면에는 길이연장판이 포개지게 조립되되, 길이연장판은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안내판과의 협동에 의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순환골재가 안내되는 전체적인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이송안내판의 하단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본배출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빗살 무늬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이송안내판으로 따라 안내되는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어 순환골재가 전체적으로 퍼져서 로터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길이연장판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판이 이송안내판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의 보조배출홈이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며, 이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을 좌우로 조정해 보조배출홈이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엇갈리게 배치하면 기본배출홈을 막아서 순환골재가 기본배출홈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며, 길이연장판을 전후로 조정해 이송안내판에서 돌출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는 이송안내판을 지나 일부는 보조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길이연장판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게 구성됨으로,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길이연장판을 전후, 좌우로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안내판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고정편과, 상기 경사벽체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편과, 상기 경사벽체와 이송안내판의 사이에서 일측편은 상부고정편에 고정되고 타측편은 하부고정편에 고정되어 경사벽체를 기준으로 이송안내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하부고정편의 하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도조절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서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공이 연통되게 부착된 체결너트와, 상기 경사벽체의 하부에서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고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볼트와, 상기 각도조절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관통 형성되어 각도조절볼트의 단부에 끼워지게 조립되고 상단은 상부고정편에 밀착되며 하단은 하부고정편에 밀착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을 기준으로 양면에 체결되어 각도조절판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볼트를 풀고 조이면 각도조절판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송안내판을 밀어서 이송안내판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연장판은 이송안내판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되, 상기 이송안내판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길이연장판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좌우장공이 관통 형성되어, 전후장공과 좌우장공을 관통하게 볼트와 너트를 가체결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을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한 후 볼트와 너트를 결속시켜 길이연장판을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는 투입구에서 로터로 안내되는 경사벽체의 하단부에 이송안내판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경사벽체를 따라 안내되는 순환골재가 파쇄되지 않고 로터와 전면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일부 배출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아 손실률을 줄여 파쇄 효율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이송안내판의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투입되는 모든 순환골재를 로터로 안내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임팩트크라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임팩트크라샤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안내판이 각도 조절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길이연장판이 위치 조절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임팩트크라샤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파쇄실(11)이 구비된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전면을 밀폐하는 전면벽체(10-1), 전면벽체(10-1)의 상단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순환골재를 안내하는 경사벽체(10-2), 상면 일부분과 후면을 밀폐하는 상면후면벽체(10-3), 양측면을 밀폐하는 측면벽체(10-4)로 구성되어 내부에 파쇄실(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전방에는 상면후면벽체(10-3)과 경사벽체(10-2)의 사이에 파쇄실(11)로 순환골재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가 전체적으로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파쇄실(11)의 내부에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로터(20)가 설치되고, 로터(2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로워바(22)가 설치되어 블로워바(22)가 로터(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쇄실(11)의 일측에는 로터(20) 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하면서 순환골재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판(30)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40)를 통해 안내되는 순환골재를 투입구(12)로 투입하면 로터(20)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22)가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을 받은 순환골재를 다수의 타격판(30)이 타격을 가해 파쇄시키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에 더해, 본 발명은 경사벽체(10-2)의 하단부에 투입구(12)로 투입되어 경사벽체(10-2)를 타고 흘러내리는 순환골재가 로터(20)와 전면벽체(10-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S)을 막아 순환골재를 로터(20)로 안내하는 이송안내판(100)이 추가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송안내판(100)은 각도조절수단(200)을 통해 경사벽체(10-2)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들어올려지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안내 각도를 조절해 투입 조건이 다른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를 로터(20)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각도조절수단(200)은 이송안내판(100)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고정편(220)과, 경사벽체(10-2)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편(230)과, 경사벽체(10-2)와 이송안내판(100)의 사이에서 일측편은 상부고정편(220)에 고정되고 타측편은 하부고정편(230)에 고정되어 경사벽체(10-2)를 기준으로 이송안내판(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경첩(210)과, 하부고정편(230)의 하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도조절볼트(250)가 관통하는 관통공(252)이 형성된 고정판(240)과, 고정판(240)의 일면에서 관통공(252)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공이 연통되게 부착된 체결너트(252)와, 경사벽체(10-2)의 하부에서 체결너트(252)에 체결되어 고정판(240)의 관통공(252)을 관통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볼트(250)와, 각도조절볼트(250)가 관통하는 조립공(262)이 관통 형성되어 각도조절볼트(250)의 단부에 끼워지게 조립되고 상단은 상부고정편(220)에 밀착되며 하단은 하부고정편(230)에 밀착되는 각도조절판(260)과, 각도조절판(260)을 기준으로 양면에 체결되어 각도조절판(260)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너트(254)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250)를 풀고 조이면 각도조절판(260)이 상부고정편(220)과 하부고정편(230)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송안내판(100)을 밀어서 이송안내판(100)이 경첩(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도조절판(260)이 최대한 후진하게 되면 상부고정편(220)의 단부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부고정편(220)의 단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삼각대(270)가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각도조절판(260)이 후진하면서 상부고정편(220)의 단부에서 이탈되더라도 다시 전진할 때 삼각대(27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서 상부고정편(220)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안내판(100)의 상면에는 길이연장판(300)이 포개지게 조립되되, 길이연장판(300)은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안내판(100)과의 협동에 의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순환골재가 안내되는 전체적인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안내판(100)은 하단에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본배출홈(11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빗살 무늬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이송안내판(100)으로 따라 안내되는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110)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100)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어 순환골재가 전체적으로 퍼져서 로터(20)로 안내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길이연장판(300)에도 하단에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송안내판(100)의 기본배출홈(110)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배출홈(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판(300)이 이송안내판(10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300)의 보조배출홈(310)이 이송안내판(100)의 기본배출홈(110)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110)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100)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어 골고루 로터(20)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길이연장판(300)을 좌우로 조정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출홈(310)이 이송안내판(100)의 기본배출홈(110)과 엇갈리게 배치하면 기본배출홈(110)을 막아서 순환골재가 기본배출홈(11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이송안내판(100)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된다. 또한, 길이연장판(300)을 전후로 조정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안내판(100)에서 돌출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는 이송안내판(100)을 지나 일부는 보조배출홈(310)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길이연장판(300)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된다. 이처럼 길이연장판(300)은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전후, 좌우로 조절해서 낙하되는 순환골재가 로터(20)로 잘 안내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길이연장판(300)은 이송안내판(100)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즉, 이송안내판(100)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장공(120)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연장판(300)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좌우장공(320)이 관통 형성되어, 전후장공(120)과 좌우장공(320)을 관통하게 볼트(B)와 너트(N)를 가체결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300)을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한 후 볼트(B)와 너트(N)를 결속시켜 길이연장판(300)을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게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의 작동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송컨베이어(40)를 통해 안내되는 순환골재를 임팩트크라샤의 투입구(12)로 공급하면 순환골재가 경사벽체(10-2)를 타고 흘러내려 가면서 이송안내판(100)을 타고 올라가 로터(20)와 전면벽체(10-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뛰어 넘어 로터(20) 방향으로 튕겨 나가게 된다. 즉, 경사벽체(10-2)를 타고 흘러내리는 순환골재가 로터(20)와 전면벽체(10-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낙하되는 것이 아니라 이송안내판(100)을 타고 올라가 로터(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이송안내판(100)은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각도조절수단(200)을 통해 이송안내판(1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골재를 안내하는 기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즉, 각도조절볼트(250)를 조이게 되면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판(260)이 전진하면서 이송안내판(100)을 밀게 되고 이송안내판(100)은 경첩(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경사벽체(10-2)를 기준으로 각도가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각도조절볼트(250)를 풀게 되면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판(260)이 후진하면서 이송안내판(100)과 떨어지게 되고 이송안내판(100)은 경첩(210)을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경사벽체(10-2)를 기준으로 각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맞게 이송안내판(1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이송안내판(100)은 상면에 길이연장판(300)이 포개지게 조립되고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안내판(100)과의 협동에 의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순환골재가 안내되는 전체적인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길이연장판(300)과 이송안내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출홈(310)이 기본배출홈(110)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110)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100)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어 골고루 로터(20)로 안내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출홈(310)이 기본배출홈(110)과 엇갈리게 배치하면 기본배출홈(110)을 막아서 순환골재가 기본배출홈(110)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이송안내판(100)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연장판(300)이 이송안내판(100)에서 돌출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는 이송안내판(100)을 지나 일부는 보조배출홈(310)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길이연장판(300)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된다.
이처럼, 길이연장판(300)은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전후, 좌우로 조절하면 되는 데, 그 방법은 이송안내판(100)의 전후장공(120)과 길이연장판(300)의 좌우장공(320)을 관통하게 볼트(B)와 너트(N)를 가체결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300)을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한 후 볼트(B)와 너트(N)를 결속시켜 길이연장판(300)을 조절된 위치에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이송안내판(100)과 길이연장판(300)의 외면에는 오염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오처리액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방오처리액은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해, 에레몰 5중량부, 메틸살리실레이트 10중량부, 송진 10중량부, 아크릴에스터 코폴리머 25중량부, 트리클로산 5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5중량부, 올레아미드 5중량부, 무수 디클로로메탄 5중량부가 혼합 조성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폴리락트산은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으로서 바인딩 기능을 강화시키고, 에레몰은 내수압특성을 증대시키며,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는 연화기능을 강화시켜 인장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밀봉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송진은 표면의 미세구조와 낮은 표면에너지를 갖추도록 하여 소수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아크릴에스터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는 점도를 높이고 열에 의한 밀착, 고밀화를 증대시켜 밀폐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트리클로산은 항균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는 정전방지 특성과 연화에 따른 인장강도 향상에 기여하도록 첨가되고, 올레아미드(Oleamide)는 슬립성을 강화시키고 균일 분산성을 좋게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방오처리액은 내스크래치성과 내변색성(내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해, 지르코니아 분말 3.5중량부, PEEK 4.5중량부, 폴리아닐린 7.5중량부 및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5.5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르코니아 분말은 비표면적을 작게 해서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내크랙성, 내구성을 강화시면서 지르코니아의 경도 강화특성에 의한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PEEK(Polyetheretherketone)는 열가소성의 고기능성 플라스틱수지로서 내화학성, 내수성은 물론 고열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강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폴리아닐린은 저렴하면서도 정전 방지 특성이 우수하여 표면 보호기능이 있고,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은 내산성을 강화 뿐만 아니라, 신축 변화에 따른 탄성저하를 막아 열화저항성을 강화시키면서 내약품성, 내변색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이송안내판(100)과 길이연장판(300)의 외면에는 차열방지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더 도포하여 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보호 코팅할 수도 있다.
이때, 차열방지제는 물 100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수지 60중량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20중량부, 운모가루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0중량부, 액화무수암모니아(ammonia anhydrous liquefied) 5.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수용성 아크릴수지는 도막 형성용 수지이고, 이산화티타늄은 차열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차단제이며, 운모가루는 무기충전제이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은 도료의 유연제 역할 및 방부제 역할을 수행하며, 액화무수암모니아는 수지와 무기물의 결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수용성 아크릴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탄성도막을 구성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도 탄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기존 방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과 달리 도막 내부로 들어가는 습기를 차단해 주기 때문에 팽창되지 않아서 여타의 아크릴 소재 보다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0-1: 전면벽체
10-2: 경사벽체 10-3: 상면후면벽체
11: 파쇄실 12: 투입구
13: 배출구 20: 로터
22: 블로워바 30: 타격판
40: 이송컨베이어 100: 이송안내판
110: 기본배출홈 120: 전후장공
200: 각도조절수단 210: 경첩
220: 상부고정편 230: 하부고정편
240: 고정판 250: 각도조절볼트
252: 체결너트 254: 고정너트
260: 각도조절판 270: 삼각대
300: 길이연장판 310: 보조배출홈
320: 좌우장공

Claims (4)

  1. 전면을 밀폐하는 전면벽체, 전면벽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순환골재를 안내하는 경사벽체, 상면 일부분과 후면을 밀폐하는 상면후면벽체, 양측면을 밀폐하는 측면벽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파쇄실이 구비되고, 상부 전방에는 상면후면벽체과 경사벽체의 사이에 파쇄실로 순환골재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파쇄된 순환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전체적으로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본체와, 파쇄실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와, 로터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로터와 함께 회전하면서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는 다수의 블로워바와, 파쇄실의 일측에서 로터 방향으로 전후 운동을 하면서 순환골재를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판으로 구성되어, 투입구로 순환골재를 투입하면 로터가 회전하면서 블로워바가 순환골재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을 받은 순환골재를 다수의 타격판이 타격을 가해 파쇄시키는 구조를 갖는 임팩트크라샤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체의 하단부에는 투입구로 투입되어 경사벽체를 타고 흘러내리는 순환골재가 로터와 전면벽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을 막아 순환골재를 로터로 안내하는 이송안내판이 설치되되,
    상기 이송안내판은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경사벽체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들어올려지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안내 각도를 조절해 투입 조건이 다른 모든 종류의 순환골재를 로터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이송안내판의 상면에는 길이연장판이 포개지게 조립되되, 길이연장판은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안내판과의 협동에 의해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순환골재가 안내되는 전체적인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이송안내판의 하단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본배출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빗살 무늬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이송안내판으로 따라 안내되는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어 순환골재가 전체적으로 퍼져서 로터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길이연장판에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판이 이송안내판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의 보조배출홈이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일치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 중 일부는 기본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며, 이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을 좌우로 조정해 보조배출홈이 이송안내판의 기본배출홈과 엇갈리게 배치하면 기본배출홈을 막아서 순환골재가 기본배출홈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이송안내판의 하단을 지나서 낙하되며, 길이연장판을 전후로 조정해 이송안내판에서 돌출되도록 배치하면 순환골재는 이송안내판을 지나 일부는 보조배출홈을 통해 낙하되고 일부는 길이연장판의 하단을 지나서 분산된 상태로 낙하되게 구성됨으로,
    투입되는 순환골재의 양, 속도, 크기에 따라 길이연장판을 전후, 좌우로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안내판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고정편과,
    상기 경사벽체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편과,
    상기 경사벽체와 이송안내판의 사이에서 일측편은 상부고정편에 고정되고 타측편은 하부고정편에 고정되어 경사벽체를 기준으로 이송안내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하부고정편의 하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도조절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서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공이 연통되게 부착된 체결너트와,
    상기 경사벽체의 하부에서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고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게 결합된 각도조절볼트와,
    상기 각도조절볼트가 관통하는 조립공이 관통 형성되어 각도조절볼트의 단부에 끼워지게 조립되고 상단은 상부고정편에 밀착되며 하단은 하부고정편에 밀착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을 기준으로 양면에 체결되어 각도조절판이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볼트를 풀고 조이면 각도조절판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송안내판을 밀어서 이송안내판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연장판은 이송안내판의 상면에 포개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되,
    상기 이송안내판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길이연장판에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좌우장공이 관통 형성되어, 전후장공과 좌우장공을 관통하게 볼트와 너트를 가체결한 상태에서 길이연장판을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절한 후 볼트와 너트를 결속시켜 길이연장판을 조절된 위치에 고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KR1020230108566A 2023-08-18 2023-08-18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KR102655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566A KR102655423B1 (ko) 2023-08-18 2023-08-18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566A KR102655423B1 (ko) 2023-08-18 2023-08-18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423B1 true KR102655423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566A KR102655423B1 (ko) 2023-08-18 2023-08-18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4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200442428Y1 (ko) 2008-07-18 2008-11-10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JP2010036071A (ja) * 2008-08-01 2010-02-18 Nakayama Iron Works Ltd 衝撃式破砕機
JP2012115727A (ja) * 2010-11-29 2012-06-21 Matsui Mfg Co 粉砕機
KR101770797B1 (ko) 2017-06-19 2017-08-23 (주)플랜트존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KR20220005678A (ko) * 2020-07-06 2022-01-1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마늘 일관 선별기
KR20220086344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피알피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KR102464214B1 (ko) 2020-11-04 2022-11-15 동림개발 주식회사 임팩트크라샤의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956Y1 (ko) 2004-04-22 2004-07-21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200442428Y1 (ko) 2008-07-18 2008-11-10 (주)대명크라샤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JP2010036071A (ja) * 2008-08-01 2010-02-18 Nakayama Iron Works Ltd 衝撃式破砕機
JP2012115727A (ja) * 2010-11-29 2012-06-21 Matsui Mfg Co 粉砕機
KR101770797B1 (ko) 2017-06-19 2017-08-23 (주)플랜트존 파쇄 기능이 향상된 임팩트 크라샤
KR20220005678A (ko) * 2020-07-06 2022-01-1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마늘 일관 선별기
KR102464214B1 (ko) 2020-11-04 2022-11-15 동림개발 주식회사 임팩트크라샤의 투입장치
KR20220086344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피알피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305B1 (ko) 폐플라스틱 분쇄장치
KR102655423B1 (ko) 임팩트크라샤의 순환골재 이송안내판 각도조절장치
US8173242B2 (en) UV resistant multilayered cellular confinement system
KR200442428Y1 (ko) 임팩트 크라샤의 파쇄물 공급장치
KR102241372B1 (ko) 제설제 살포장치
US6189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crusher for use with different materials
KR100689098B1 (ko) 건설 폐기물 습식처리장치
CA2417382A1 (en) Thermokinetic mixer, compositions and structural products
KR100729424B1 (ko) 폐목재 파쇄장치
KR102546245B1 (ko)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및 시멘트 페이스트 제거방법
WO2002022269A9 (en) Improvements in the reversible and not reversible secondary and tertiary hammer mills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2464214B1 (ko) 임팩트크라샤의 투입장치
KR101149067B1 (ko) 로터리 피더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2297641B1 (ko) 순환골재 낙하유도 및 회전타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페이스트 박리장치
KR20130123733A (ko) 다중 타격 파쇄장치
CN212328483U (zh) 一种耐磨型反击式破碎机
CN220011005U (zh) 一种砂石传送带
KR102039121B1 (ko) 블로워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임팩트 크라샤
KR102013216B1 (ko) 전기시설물 분리용 회전식 타격장치
CN116899714B (zh) 一种防尘型水泥加工用磨粉机
KR100527058B1 (ko) 목재칩 제조장치
CN215885113U (zh) 一种煤矿机电设备安装固定结构
KR100656731B1 (ko) 순환 골재 샌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