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399B1 -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 Google Patents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399B1
KR102655399B1 KR1020220015486A KR20220015486A KR102655399B1 KR 102655399 B1 KR102655399 B1 KR 102655399B1 KR 1020220015486 A KR1020220015486 A KR 1020220015486A KR 20220015486 A KR20220015486 A KR 20220015486A KR 102655399 B1 KR102655399 B1 KR 10265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try
access information
image
licen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396A (ko
Inventor
백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2001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399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of vehicles without front number plate}
본 발명은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뿐만 아니라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에서 출입이 허용된 차량만을 입차시키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이나 주차 솔루션은 주로 RF 태그/리모콘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관리하기에 비효율적이며 부정사용을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는 공정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지만 설치비용이 높고, 충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RF 태그와 리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설치비용은 낮으나 RF 태그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고 RF 태그의 부정사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리모콘 방식은 설치비용이 낮으나, 리모콘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으며 리모콘 부정사용에 문제가 있고, 미회수 리모콘의 차단이 불가능하며 출입기록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주차 차단기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 차단기는 차량 진출입로의 지면에 매설되어 상부에서 차량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루프코일,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촬영한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수단 및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차단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주차 차단기는, 차량의 이동을 인식하는 루프코일과, 상기 인식한 결과에 따라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도록 하는 카메라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주차 차단기는 전면에 장착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전면에 차량 번호판이 미장착된 이륜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 출입을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157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진입이 감지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는, 진입이 감지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함으로써,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에 대해서도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와, 사용자 장치 및 제2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향해 제2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제2 차량이 진입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을 입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작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기계 구동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와, 사용자 장치 및 제2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를 향해 제2 차량이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제2 차량이 진입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을 입차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아파트 단지, 건물 및 주차장에 배치되어 아파트 단지, 건물 및 주차장의 출입을 통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출입이 허가된 차량만을 입출차시키거나 별도의 입출차 신호를 수신하면 입출차를 시도하는 차량을 입출차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이 입차를 위해 근접하여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전면을 촬영한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여 해당 차량을 입차시킬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지 않고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된 차량만을 입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여 해당 차량을 입차시킬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을 해제하지 않고 해당 차량을 입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의 미장착으로 인해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이 허가된 차량만을 입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100)는 감지부(110), 프로세서(120), 촬영부(130), 개폐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차량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은 승용차, 화물차 및 버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고, 제2 차량(B)은 이륜차(오토바이)일 수 있다.
즉, 감지부(110)는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10)는 감지 코일(L)을 구비할 수 있다. 감지 코일(L)은 루프 코일일 수 있으며, 감지 코일(L)은 후술되는 개폐부(140)에 구비된 차단바(OS)에 근접하여 지면에 매립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감지 코일(L)에 전류를 인가하여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차량이 진입하여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가 진입함을 나타내는 신호로써,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상술된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B) 각각의 전도성 및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제1 차량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진입하는 경우가 제1 차량 보다 크기가 작은 제2 차량(B)이 감지 코일(L)의 상부에 진입하는 경우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10)가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1 차량 및 제2 차량(B)에 따라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다를 수 있으며, 제1 차량에 대응되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제2 차량(B)에 대응되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촬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감지부(110)로부터 진입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촬영부(130)가 차량 전면을 촬영하도록 촬영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촬영부(130)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을 촬영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이 차단바(OS)과 근접한 감지 코일(L)의 상부 영역이 되도록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문자 및 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 중에서 차량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고, 차량번호판 이미지로부터 문자 및 숫자를 추출하여 차량 번호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B)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정보 요청 신호는 통신부(150)가 사용자 장치(200)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제2 차량(B)이 출입이 허가된 차량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에 포함된 출입 키 값이 허가 출입 키 값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더라도 출입이 허용된 제2 차량(B)만을 진입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이더라도 출입이 허용된 제1 차량만을 진입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감지 코일(L)의 인덕턴스 값의 변화에 비례하는 신호 세기로 출력되는 진입 감지 신호를 감지부(11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 진입하여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차량(B)이 입차된 이후, 프로세서(120)는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를 중앙값으로 하고,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의 95%를 최소값으로 하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의 105%를 최대값으로 하는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제2 차량(B)이 다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확인되면,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더라도,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야지만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의 출입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차량(B)으로 진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120)는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B)이 진입하여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차량(B)이 입차된 이후, 프로세서(120)는 추출된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제2 차량(B)이 다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20)는 기준 차량 이미지가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기준 차량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출입 정보와 매칭된 기준 차량 이미지가 확인되면, 수신된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더라도, 차량 전면 이미지에서 기준 차량 이미지가 검색되어야지만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의 출입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차량(B)으로 진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140)는 차량의 입차와 출차를 통제하기 위해 차량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차단바(OS)와 차단바(OS)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140)는 프로세서의 개폐 신호에 대응하여 차단바(OS)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 장치(200)와 각 장치들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50)는 각각의 장치들의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나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입차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입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00)는 제2 차량(B)을 운행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출입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한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110 : 감지부
120 : 프로세서
130 : 촬영부
140 : 개폐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70 : 표시부
200 : 사용자 장치

Claims (9)

  1.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장착된 제1 차량 및 차량 전면에 차량번호판이 미장착된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이 감지되면 진입한 차량의 차량 전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의 인식을 시도하고, 상기 차량 번호의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로 출입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진입을 나타내는 진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진입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진입 감지 신호의 신호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기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차량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준 차량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출입 정보에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설정된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입 정보가 출입 허가된 차량임을 나타내면 상기 출입 정보에 매칭된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차량 이미지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검색되지 않으면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진입이 감지된 진입 감지 시점으로부터 인식 대기 시간이 경과된 인식 대기 종료 시점까지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과 상기 사용자 장치로의 출입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 대기 종료 시점 전에 상기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번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가 상기 출입 허가 차량 번호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차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5486A 2022-02-07 2022-02-07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KR10265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ko) 2022-02-07 2022-02-07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ko) 2022-02-07 2022-02-07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96A KR20230119396A (ko) 2023-08-16
KR102655399B1 true KR102655399B1 (ko) 2024-04-05

Family

ID=8784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486A KR102655399B1 (ko) 2022-02-07 2022-02-07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36B1 (ko) * 2008-12-02 2009-07-28 (주)에스엔알 주차관리시스템, 센서노드 및 그 주차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407B1 (ko) * 2015-07-31 2017-07-05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1895155B1 (ko) * 2017-02-21 2018-09-04 김태호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15786B1 (ko) 2020-04-24 2021-10-21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36B1 (ko) * 2008-12-02 2009-07-28 (주)에스엔알 주차관리시스템, 센서노드 및 그 주차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96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2187B2 (ja) 出入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11364B1 (ko)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79752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CN111080820A (zh) 基于etc的车辆支付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5427432A (zh) 一种停车场管理系统
CN106780910A (zh) 闸机防冲撞控制方法及系统
CN115783919A (zh) 电梯用电动车监控系统及方法
KR102655399B1 (ko)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KR100768465B1 (ko) 차량의 출입관리방법
KR102339841B1 (ko) 주차관제시의 꼬리물기 대응 엘피알 수행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28989B1 (ko)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67437B2 (ja) 駐車場管制システム
TWI542491B (zh) Prevent the vehicle from stolen car park management system
KR100638524B1 (ko) 무인 방문증 발급 장치
JP4945130B2 (ja) 駐車場の車両管理システム
CN112037369A (zh) 基于车辆识别的自动车位锁的解锁方法、系统、介质及装置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KR20190135266A (ko)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harde et al. Automated Gate for Vehicular Entry Using Image Processing
KR20190095581A (ko) 장애인 주차 관리시스템
KR102594290B1 (ko)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1548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의 4열 벨트 구조 리프터
JP2012183878A (ja) 踏切障害物検知装置、及び障害物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