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266A -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266A
KR20190135266A KR1020180060527A KR20180060527A KR20190135266A KR 20190135266 A KR20190135266 A KR 20190135266A KR 1020180060527 A KR1020180060527 A KR 1020180060527A KR 20180060527 A KR20180060527 A KR 20180060527A KR 20190135266 A KR20190135266 A KR 2019013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ocking bar
image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8006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266A/ko
Publication of KR2019013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분석을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에 있어서, 차단 바(bar) 및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 수단을 통해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단 바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차단 바의 상태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단 바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단 바와 차단 바에 접근하는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분석한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 바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입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많은 관공서, 기업, 시설물(축사, 농장 등), 사유지 등에서의 차량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도입하여 운용 중에 있다.
일반적인 차량 출입 관리 장치는 차단기에 차량이 접근하면 차량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포함한 차량 인식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 인식 정보가 기 등록된 차량으로 확인된 경우에 차단기를 개방시켜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동작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경우, 현장 운용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나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하여 차단기가 강제 개방되거나 장시간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등록 차량이 별다른 제약 없이 출입 가능하게 되어도 영상에서 확인이 불가능 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7-0104694호(2007.10.2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 분석을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차단 바를 검출하여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 내 차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가 포함된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단 바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등록 차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입출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단 바의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진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 내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와 함께, 차량의 종류, 색상,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 내 사람이 검출되는 경우에, 영상을 분석하여 식별 정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람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변경 사항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허가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차단 바의 개방 유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등록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 바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해당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차단 바 상태와 차량 인식 정보, 차량 진출입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수신부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센터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영상 분석을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차량 출입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차단 바를 검출하여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 내 차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가 포함된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단 바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등록 차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입출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단 바의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진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내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와 함께, 차량의 종류, 색상,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내 사람이 검출되는 경우에, 영상을 분석하여 식별 정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람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변경 사항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허가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차단 바의 개방 유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등록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 바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해당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차단 바 상태와 차량 인식 정보, 차량 진출입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센터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차단 바와 차단 바에 접근하는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분석한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 바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출입하는 차량의 적재함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화물차 등의 적재 유무, 적재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분석 결과로부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또는 비허가된 시간에 개방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자에게 즉시 해당 사실을 통보하여 신속한 사후 조치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미허용 차량들의 무분별하고 지속적인 출입을 방지함은 물론,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된 차량이 진입 시에 차단 바가 작동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장애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적용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차단 바 상태에 따른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적용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차단 바(100), 촬영 수단(200) 및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를 포함한다.
촬영 수단(200)은 차단 바(100) 및 차단 바(100)를 향해 접근하는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한 영상을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로 제공한다.
이때, 촬영 수단(200)은 차량의 적재함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수단(200)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수단(200)은 지주 등과 같은 시설물 상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영상 획득이 용이하도록 차단 바(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촬영 수단(200)은 차량의 적재함을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예를 들어, 3m) 이상 설치 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차단 바(100)의 전방에 촬영 수단(200)이 위치한 경우, 촬영 수단(200)은 진입하는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으며, 진출하는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의 후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수단(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면, 차단 바(100)를 진입하는 차량은 물론,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출입 관리 및 통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단 바(100)에 대한 차량의 접근이란, 진입 또는 진출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수단(200)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와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방식은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는 영상 수신부(310), 영상 분석부(320), 제어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하며, 촬영 수단(200)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기초로 차단 바(100)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으로부터 사람을 검출하고, 이를 인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310)는 촬영 수단(200)으로부터 차단 바(100) 및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분석부(3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영상 수신부(310)는 복수의 촬영 수단(200)으로부터 소정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분석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가 센터(Center)에 위치하는 경우,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촬영 수단(200)으로부터 소정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320)는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단 바를 검출하고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차량 인식 정보는 차량의 검출 정보와 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출 정보는 검출 시간, 진입/진출 여부, 차량 접근 정보를 포함하며, 인식 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종류, 색상, 형태 등을 포함한다.
영상 분석부(32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내 차단 바(100)와 차량 객체를 식별하거나 구분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분석되는 차단 바(100)의 각도, 형상, 길이 등을 기초로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320)는 차량을 검출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부(32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을 판단하고, 기 설정된 차량 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차량 번호와 함께, 차량 종류, 색상 등의 차량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320)는 영상 내 차량이 화물차량인 경우에, 화물 차량의 적재함 영역을 검출하여 차량의 적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수단(200)은 기존 시스템과 상이하게 소정 높이에 한 대 카메라만을 포함하므로, 넓은 각도로 촬영이 가능하여 차단 바와 차량은 물론, 적재함까지 포함한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로 또는 차단 바(100) 주변에 통행하는 사람의 영상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영상 분석부(320)는 촬영 수단(200)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사람을 검출하고 이를 인식한 사람 인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람 인식 정보는 식별 정보(매칭된 주민 번호 등), 특징 정보(어린이, 성인, 남자, 여자, 옷의 색상 등)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분석부(320)는 검출한 사람을 분석하여 특징 정보(안면, 형태, 형상, 크기, 색상 등)를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추출한 특징 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식별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특징 정보를 기초로 성인, 어린이, 남자, 여자, 옷의 색상 등을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분석부(320)는 차량 인식 정보와 함께, 적재 정보, 사람 인식 정보를 제어부(3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차단바 상태 정보와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차단 바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등록 차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제공한다.
물론, 제어부(330)는 차량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진출에 대응하여 차단 바 상태 정보 및 차량 인식 정보를 저장부(340) 및 관리자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검출된 차단 바(100)의 상태 정보 및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차단 바(100)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는 저장부(340)에 해당 차량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등록 차량 여부)를 기초로 차단 바(100)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330)는 차량 인식 정보가 저장부(340)에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등록 차량과 미등록 차량을 구분하고, 차단 바(100)에 접근한 차량이 등록 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차단 바(100)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330)는 차량 번호가 저장부(340)에 등록되어 있으면, 차단 상태로 검출된 차단 바(100)를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고, 개방 상태로 검출된 차단 바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켜서, 차량의 출입을 허용한다.
한편, 차량 번호가 저장부(3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차단 상태로 검출된 차단 바(100)를 차단 상태로 유지시켜서,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미등록 차량이 출입한 경우에, 해당 사실을 즉시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신속한 사후 조치 및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미등록 차량이 출입한 사실에 대한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정보는 차단 바(100)의 개방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의 검출 상태를 기초로 차단 바(100)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개방 상태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가 소정시간 이상 개방을 허용하는 허가 시간대(예를 들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출근 시간 07:00 ~ 09:00)를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대 외 비허가 시간대에 차단 바(100)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해당 사항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주변 기기 수단(예를 들어, 전광판, 스피커, 주차권 발권 장치, 인터폰 등)을 제어하며, 주변 기기 수단을 통해 차단 바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알리거나, 상태가 변경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 비정상 동작 상태라고 판단하여, 주변 기기 수단을 통해 소정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로 해당 변경 사항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등록된 차량 번호가 진입하는 데 소정 시간 차단 바(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차단 바(100)의 장애를 판단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0)는 등록된 차량 번호의 차량의 진입 시에도 차단 바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인지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400)로 알릴 수 있다.
그 밖에도, 제어부(330)는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해당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저장부(340)는 허용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저장하며, 신규 등록, 변경, 수정이 가능하다.
저장부(340)는 영상 분석부(320)에서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차량 인식 정보와 차량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입출차 정보, 차단바 상태 정보, 적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영상 내 사람이 검출되면, 사람을 인식한 사람 인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340)는 차단 바(100)가 개방 상태에 있었던 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미등록 차량의 출입 정보도 저장한다. 특히, 개방 상태에서 출입된 미등록 차량의 인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 촬영 수단(200)에서 획득한 영상을 저장하며, 검출된 차량 또는 사람을 시간 별로 인덱스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소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컴퓨터(Computer), 서버(Server) 등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출입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집한 소정 정보들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와 관리자 단말기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센터 내 단일 장비로 구축하여 다수 현장의 영상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차량 출입 및 사람 통행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관리자 단말기에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영상 분석부 만을 관리자 단말기에 포함시켜, 센터에서 영상을 통합 분석(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바(100)가 장시간 개방된 비 정상 상태를 관리자에게 즉시 통보하여 인지시킴으로써 차단 바(100)를 차단 조작하는 등의 신속한 사후 조치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미허용 차량들의 무분별하고 지속적인 출입을 방지하며,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바와 차량의 적재함을 동시에 촬영하여 분석함으로써, 화물 차량의 적재 유무까지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 바가 장시간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허가된 시간에 개방된 경우에, 관리자에 알림은 물론, 차단 바의 장애 여부를 분석하여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 차량에 대응하여, 차량의 검출 정보와 인식 정보, 차단 바의 상태정보, 제어 신호, 알림 여부를 포함한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서 '10가 1234' 및 '30다 5678' 차량의 경우 미등록 차량을 나타내며, '20나 3456' 및 '40라 7890'은 등록 차량을 나타낸다.
'10가 1234' 차량의 경우와 같이, 차단 바(100)의 개방(OPEN) 상태에서 미등록 차량이 검출되면,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의 개방(OPEN) 상태를 유지시키되, 해당 차량 번호 및 차단 바(100)의 OPEN 상태를 포함한 알림(Alert) 정보를 발생시켜, 미등록 차량의 출입 사실을 관리자 단말기(400)로 알리거나 주변 기기 수단(생략)을 통해 주변에 알릴 수 있다.
또한, '20나 3456' 차량과 같이, 차단 바(100)의 개방(OPEN) 상태에서 등록 차량이 검출되면,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의 개방(OPE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출입 허용된 차량의 경우, 차량의 검출 정보 및 인식 정보를 저장하며, 추가적으로 적재 여부를 확인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30다 5678' 차량과 같이, 차단 바(100)의 닫힘(CLOSE) 상태에서 미등록 차량이 검출되면,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의 닫힘(CLOSE)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미등록 차량의 출입을 차단한다.
하지만, '40라 7890' 차량처럼, 차단 바(100)의 닫힘(CLOSE) 상태에서 등록 차량이 검출되면, 제어부(330)는 차단 바(100)의 닫힘(CLOSE) 상태를 개방(OPEN) 상태로 전환시켜 등록 차량의 출입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어부(330)는 차량이 출입하는 경우에, 주변 기기 수단(생략)을 제어하여 해당 차량의 검출 정보, 인식 정보, 적재 여부 등의 정보를 알릴 수 있으며, 주차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영상 수신부(310)는 차단 바(100) 및 차량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 수단(200)으로부터 수신한다(S410).
그러면, 영상 분석부(320)는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차량 번호)를 생성한다(S420).
또한, 저장부(340)는 영상 분석부(320)의 영상 분석을 통해 획득된 차량 인식 정보와 차단 바의 상태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30)는 검출된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차단 바(100)의 동작을 제어한다(S430). 이때, 제어부(330)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출입 허용된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차량의 인식 정보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단 바(100)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석부(320)는 추가적인 영상 분석을 통하여 차량의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차량 출입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차단 바 상태에 따른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부(320)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단 바(10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S500), 제어부(330)는 검출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차단 바(100)가 설정 시간 이상 또는 비허가 시간대에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502), 개방 상태인 경우에, 차단 바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S504), 관리자에게 통보한다(S506).
한편, 개방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개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해당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함으로써, 차단 바(100)의 강제 차단 등과 같은 후속 조치를 유도하고 미등록 차량의 출입을 배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0)는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차단 바(100)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거나, 등록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차단 바(100)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지 않으면, 해당 차단 바(100)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 바에 차량 접근 시 차량 및 차단 바를 포함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분석한 차단 바의 상태 및 차량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 바의 상태를 유지 또는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분석 결과로부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자에게 즉시 해당 사실을 통보하여 신속한 사후 조치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미허용 차량들의 무분별하고 지속적인 출입을 방지함은 물론,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단 바 200: 촬영 수단
300: 차량 출입 관리 장치 310: 영상 수신부
320: 영상 분석부 330: 제어부
340: 저장부 4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20)

  1. 영상 분석을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으로부터 차단 바를 검출하여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 내 차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가 포함된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단 바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등록 차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입출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단 바의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진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 내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와 함께, 차량의 종류, 색상,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영상 내 사람이 검출되는 경우에, 영상을 분석하여 식별 정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람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변경 사항을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허가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차단 바의 개방 유지를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등록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 바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해당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차단 바 상태와 차량 인식 정보, 차량 진출입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부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센터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출입 관리 장치.
  11. 영상 분석을 이용한 차량 출입 관리 장치의 차량 출입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차단 바를 검출하여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상 내 차량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의 번호가 포함된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와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단 바의 정상 동작 여부 및 등록 차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입출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단 바의 개방 또는 차단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을 판단하고, 진입 또는 진출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바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내 차량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와 함께, 차량의 종류, 색상,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차량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내 사람이 검출되는 경우에, 영상을 분석하여 식별 정보,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람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주변 기기 수단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변경 사항을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 바가 설정 시간 이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허가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차단 바의 개방 유지를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등록된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 바가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바가 개방 상태로 변경되면, 해당 차단 바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알리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획득한 차단 바 상태와 차량 인식 정보, 차량 진출입 정보를 매칭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장치가 센터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촬영 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KR1020180060527A 2018-05-28 2018-05-28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5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27A KR20190135266A (ko) 2018-05-28 2018-05-28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27A KR20190135266A (ko) 2018-05-28 2018-05-28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266A true KR20190135266A (ko) 2019-12-06

Family

ID=6883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27A KR20190135266A (ko) 2018-05-28 2018-05-28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28B1 (ko) * 2019-12-23 2021-04-22 렉스젠(주) 화물차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528B1 (ko) * 2019-12-23 2021-04-22 렉스젠(주) 화물차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657B1 (ko) 출입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출입통제 및 방역 시스템 및 방법
CN110334563B (zh) 一种基于大数据的社区安全管理方法和系统
US8416077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which monitor persons and materials passing through monitoring point
CA2526551C (en) Automated site security,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system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US20120076356A1 (en) Anomaly detection apparatus
JPWO2007138811A1 (ja) 不審行動検知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847276A (zh) 定员管理系统及方法
KR102011226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2799B1 (ko) 감시영역 입퇴실자 추적을 통한 출입 통제 기능을 가지는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7814B1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20080044812A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WO20180373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in open restricted areas
CN114999141B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11450186B2 (en) Person monitoring system and person monitoring method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2315B1 (ko) 영상 분석 기반의 금융자동화기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3489B1 (ko) 카메라 입력 영상을 딥러닝 활용한 행동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4706A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20180085337A (ko) 무단침입감지센서를 구비한 보안용 게이트 시스템
KR102046591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방법
KR20190135266A (ko) 차량 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210262831U (zh) 一种闸机
KR102004998B1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