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786B1 -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786B1
KR102315786B1 KR1020200050237A KR20200050237A KR102315786B1 KR 102315786 B1 KR102315786 B1 KR 102315786B1 KR 1020200050237 A KR1020200050237 A KR 1020200050237A KR 20200050237 A KR20200050237 A KR 20200050237A KR 102315786 B1 KR102315786 B1 KR 10231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ircuit breaker
exit
request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to KR102020005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개방요청 수신모듈,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Vehicle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having one way approach}
본 발명은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의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하고, 특히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를 가진 주차장에서 입차(또는 출차)하는 차량과 반대측에서 출차(또는 입차)하려는 차량의 통행을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이나 주차 솔루션은 주로 RF 태그/리모콘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관리하기에 비효율적이며 부정사용을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는 공정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지만 설치비용이 높고, 충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RF 태그와 리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설치비용은 낮으나 RF 태그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고 RF 태그의 부정사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리모콘 방식은 설치비용이 낮으나, 리모콘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으며 리모콘 부정사용에 문제가 있고, 미회수 리모콘의 차단이 불가능하며 출입기록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가의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사용자에게 분배할 별도의 장치(RF 태그, 리모콘 등) 없이, 사용자가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주차장의 차량 입출차 관리와 주차요금 부과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편,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를 가진 주차장에서 입차(또는 출차)하는 차량과 반대측에서 출차(또는 입차)하려는 차량은 출입구에서 서로 마주치는 경우 서로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먼저 차단기에 근접하여 입차 또는 출차하려는 차량이 있을 경우, 반대측 차량은 미리 반대측에 차량이 오는지 여부를 알고 대기하여 통행을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0731182,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운전자의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의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를 가진 주차장에서 입차(또는 출차)하는 차량과 반대측에서 출차(또는 입차)하려는 차량의 통행을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개방요청 수신모듈,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감지되는 해당 방향의 차량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기 알림정보와 구분되는 2차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단기 또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일정 범위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단기 주변 소정 범위 내로 무선신호를 방출하는 무선신호 방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무선신호 방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무선신호 방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무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구동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입출차 판단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여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입구측 차단기 및 출구측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측 차단기 및 상기 출구측 차단기로부터 진출입로를 향해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개방요청 수신모듈,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과 반대측 방향인 상기 입구측 차단기 또는 상기 출구측 차단기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개방요청에 상응하는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휴대단말은, 차량의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된 주차장의 차단기 제어를 위한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주차장에 설치된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여부 판단모듈,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량차단기에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제어 시스템으로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개방요청 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과 반대측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해진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의 제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를 가진 주차장에서 입차(또는 출차)하는 차량과 반대측에서 출차(또는 입차)하려는 차량의 통행을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운전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차량 통행이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구동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의 구동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 이하,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제어 시스템(10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주차장(10)의 출입구에 차량(20-1, 20-2)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기(400)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주차장(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된 주차장(10)일 수 있다. 즉, 주차장(10)에 입차하는 차량과 주차장(10)에서 출차하는 차량이 각기 다른 차로 또는 다른 차선을 주행할 수 있어 입차 차량(예컨대, 20-1)과 출차 차량(예컨대, 20-2)이 출입구를 동시에 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진출입로를 통해 한 번에 한 방향의 차량만 차단기(400)를 지나 출입할 수 있는 주차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차장(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400)가 입차측과 출차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면서, 그 사이에 한 방향의 차량만 통행이 가능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입차 차량(예컨대, 20-1)과 출차 차량(예컨대, 20-2)이 동시에 지날 수 없이, 어느 한 측의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 반대측의 차량은 대기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에 도시된 주차장(10)의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주차장(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사물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차단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물인터넷망 및 통상적인 인터넷망을 통해 이중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나머지 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는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20-1, 20-2)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400)의 양측 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양측 방향은 주차장 출입구를 중심으로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며 양측 방향으로 각각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가 별개로 양측 방향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 양측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입차 또는 출차를 위해 입차측 또는 출차측 방향으로 차량(20-1, 20-2)이 접근하는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상기 차단기(400)의 개방을 위한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개방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개방요청이 어느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알림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알림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차단기(400)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기(4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은 개방요청 수신모듈(110), 판단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또는 제어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를 들면, 개방요청 수신모듈(110), 판단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또는 제어모듈(14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10), 판단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또는 제어모듈(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10), 판단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또는 제어모듈(14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300)은 휴대전화, 위성전화, 무선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3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차량차단기(400)가 방출하는 비콘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은 GPS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10)은, 차량(20-1, 20-2) 운전자의 휴대단말(300)로부터 상기 차단기(400)의 개방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400)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30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10)에 의해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판단모듈(120)은 수신된 상기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10)이 수신하는 개방요청에 해당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구분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단말(3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3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330)을 통해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하거나, 사용자 가입이나 차량 등록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이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기록을 보유할 수 있다. 만약 입차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개방요청이 입차측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가 상기 개방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입차 기록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요청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개방요청이 출차측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개방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개방요청에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판단모듈(120)은 이를 통해 수신된 개방요청이 어느 측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120)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 중 입차측 방향 또는 출차측 방향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정의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한 차량의 반대측 방향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입차하려는 차량(20-1)으로부터 개방요청이 전송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출차측 방향 즉, 주차장(10) 내부에서 출차하려는 차량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200b)에 상기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알림정보는 개방요청을 전송한 차량의 반대측 차량이 주차장(10)의 출입구를 막아 서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맞은편에서 차량(20-1)이 오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림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행을 멈추라는 'stop'과 같은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알림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텍스트일 수도 있고, 텍스가 아닌 소정의 이미지나 영상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영상 정보가 혼합된 정보일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는 소정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정보는 물론, 경고음이나 경고방송 등과 같은 청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를 통해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해당 방향의 차량이 대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이동하는 경우 2차 알림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주의를 촉구할 수도 있다. 차량의 대기 여부 및/또는 이동 여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대기해야할 위치에 적외선 센서나 압력 센서 등 소정의 센서를 구비하여,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차량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이 대기해야할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2차 알림정보는 최초 디스플레이된 알림정보와는 구분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2차 알림정보는 처음 디스플레이된 알림정보에 비해 밝기가 일정 수준 이상 더 밝아지거나, 디스플레이되는 알림정보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디스플레이 중인 알림정보가 깜빡이는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더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 음향 출력 수단이 구비된 경우, 처음 알림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 시각적 정보만 디스플레이되다가, 2차 알림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경고음이나 경고방송이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처음 알림정보 시에도 상기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소정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2차 알림정보 시에는 처음 알림정보와 구분될 수 있는 다른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알림정보는 먼저 개방요청을 전송한 차량이 주차장(10)의 출입구를 우선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반대측 차량의 진행을 멈추게끔 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300)은 근접여부 판단모듈(310), 개방요청 전송모듈(320), 및 애플리케이션(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은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일정 범위 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 전송모듈(320)은,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20)을 통해 전송된 상기 개방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 이용자는 차량(예컨대, 20-1)을 운행하여 차단기(400)가 설치된 주차장(10)의 입구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차량(20)이 상기 차단기(4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개방요청 수신모듈(120)로 상기 차단기(400)의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200b)에 전술한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수신된 상기 개방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기(4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는 이처럼 자신의 휴대단말(300)을 이용하여 차단기(400)를 개방하고 주차장(10)에 입차할 수 있으며, 빈 주차면에 자신의 차량(20)을 주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차단기(400)의 주변으로 무선신호를 방출하는 무선신호 방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은 상기 차단기(400)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로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신호 방출장치는 비콘(Beac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일정 범위 내에서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방출하게 되는데, 운전자의 차량(예컨대, 20-1)이 상기 비콘이 설치된 차단기(400)를 향해 소정 범위 내로 접근하게 되면, 상기 주차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300)이 상기 비콘이 방출하는 무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무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무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상기 개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이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은 상기 휴대단말(300)에 구비된 GPS 장치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단말(300)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차단기(400)에는 해당 차단기(400)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소정의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300)은 태그를 인식하고 태그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리딩하는 태그 리더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은 태그에 저장된 고유정보가 인식될 때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기(400)에 부착된 태그 및 휴대단말(300)에 구비된 태그 리더는 RFID, NFC, Be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개방요청 전송모듈(320)은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300)이 상기 차단기(400)에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100)으로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주차장(10)은 소정 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진출입로를 두고 주차장(10)의 입구와 출구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차장(10)에는 2개의 차단기(400)가 주차장(10)으로 진입하는 측과, 주차장(10)으로부터 진출하는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 역시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입구측(진입측) 차단기와 출구측 차단기에서 상기 진출입로를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요청이 어느 측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2개의 차단기들 중 상기 개방요청에 상응하는 차단기(먼저 개방요청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는 측의 차단기)를 개방하고, 나머지 차단기는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들 역시 개방되지 않는 측의 차단기 방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300)을 통해 개방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부정하게 입차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10)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400)의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사용자가 출차를 위해 차단기(400)의 개방요청을 전송하여 차단기(400)를 개방한 후, 차단기(400)가 차단되기 전에 외부에 있던 다른 사용자의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 입차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입출차 판단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미도시)은 개방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기(400)가 개방된 후, 상기 개방요청에 상응하는 차량이 입차 또는 출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장(10)으로부터 출차하려는 차량이 개방요청을 전송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기(400)의 개방과 함께 입구측을 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에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미도시)은 상기 개방요청이 출차하려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었으므로, 차단기(400)가 개방된 후 차량이 출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차량의 진입/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적 사상은 주차장 출입구 인근 지면에 루프코일 등을 설치하는 방식 등 널리 알려진 방식이 존재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출차하려는 차량으로부터 개방요청이 전송되어 차단기(400)가 개방되었을 때, 출차하는 차량 감지 전에 입차하려는 차량이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미도시)에 의해 먼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시스템(100)이 차량의 통과 전에 개방되었던 차단기(400)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정상적으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마찬가지로 개방되어 있던 차단기(400)를 차단함으로써 개방요청을 전송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차량의 부정 입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사용자를 상기 주차장(10)에 부정입차시키기 위해, 이미 주차장(10)에 들어와 있는 다른 사용자가 출차측에서 개방요청을 전송하여 차단기(400)를 개방하여 상기 어떤 사용자를 진입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정입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미도시)에 의해 입차측(입구)에 대기 중인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출차측(주차장(10) 내부 즉, 출구)으로부터 개방요청이 전송되더라도 상기 차단기(400)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입차측의 차량이 대기하는 위치가 주차장(10)의 출입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야만 차단기(40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이용자는 상기 휴대단말(300) 및/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가입이나 차량 등록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상기 근접여부 판단모듈(310)이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개방요청 전송모듈(3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차량 차단기 제어 시스템(100)으로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한 식별정보(예를 들면, 상기 차량(20)의 차량번호, 차량 소유자의 식별정보 및/또는 혹은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식별정보 등)를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1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20)의 입출차 기록 관리, 및/또는 주차요금 과금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실시 예에 따라서는 앱,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330)이 상기 휴대단말(30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할 때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개방요청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입차한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개방요청에 입차측임을 알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포함하여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330)은 입차한 기록이 있는 상태에서 개방요청을 전송할 때에는 해당 개방요청이 출차측 개방요청임을 알 수 있도록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는 상기 차단기(400), 또는 출입구로부터 소정 범위 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장(10)에 입차하려는 차량(예컨대, 20-1)이 먼저 개방요청을 전송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출차하려는 차량(예컨대, 20-2) 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출차측의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200b)에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10)은 출입구에 입차로와 출차로가 구분이 없이 동일하므로, 만약 출차하려는 차량(예컨대, 20-2)이 출입구(즉, 차단기(400))에 가깝게 있을 경우 입차하려는 차량(예컨대, 20-1)의 진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는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가 상기 차단기(400) 또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일정 범위만큼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a, 200b)를 보고 정지하여 대기해야하는 차량이 상기 차단기(400) 또는 출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정지하게 하여 먼저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대기해야할 방향의 차량이 대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이동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은 종래의 주차관리시스템이나 차단기 시스템에 비해 저비용의 통신설비를 요구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면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지정된 사용자 또는 허가받은 사용자만 상기 주차장(10)을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주차장(10)의 주차관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RF 태그/리모콘을 이용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은 설치, 관리가 비효율적이며 부정사용을 해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는 공정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지만 설치비용이 높고, 충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RF 태그와 리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설치비용은 낮으나 RF 태그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고 RF 태그의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리모콘 방식은 설치비용이 낮으나, 리모콘 분배/회수 관리에 부담이 있으며 리모콘 부정사용에 문제가 있고, 미회수 리모콘의 차단이 불가능하며 출입기록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방식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설치비용은 물론,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단말(300)과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1)의 상호작용으로 주차관리를 수행하여 종래의 RF태그,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장치의 분배/회수 관리가 필요없는 편리함을 가질 수 있으며, 운전자 역시 자신의 휴대단말(300)을 사용하여 주차장(10)의 출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개방요청 수신모듈;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감지되는 해당 방향의 차량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기 알림정보와 구분되는 2차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3.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의 반대측 방향을 향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인 차량 출입 관리 방법.
  4. 주차장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입구측 차단기 및 출구측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과 반대측 방향인 상기 입구측 차단기 또는 상기 출구측 차단기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개방요청에 상응하는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측 차단기 및 상기 출구측 차단기로부터 진출입로를 향해 각각 설치되는 차량 출입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무선신호 방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무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며,
    구동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은,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입출차 판단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입출차 판단모듈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여부에 더 기초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7. 주차장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입구측 차단기 및 출구측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측 차단기 및 상기 출구측 차단기로부터 진출입로를 향해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상기 개방요청은,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전송됨-하는 개방요청 수신모듈;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과 반대측 방향인 상기 입구측 차단기 또는 상기 출구측 차단기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해진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개방요청에 상응하는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8. 차량의 입차로와 출차로가 동일한 하나의 출입구가 형성된 주차장의 차단기 제어를 위한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주차장에 설치된 상기 차단기에 소정 범위 이내로 근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여부 판단모듈;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차단기에 근접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제어 시스템으로 개방요청을 전송하는 개방요청 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개방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개방요청이 입차측인지 출차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의 양측 방향-상기 양측 방향은 입차측 방향 및 출차측 방향을 포함-을 향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상기 개방요청이 수신된 방향과 반대측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정해진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차단기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200050237A 2020-04-24 2020-04-24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31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37A KR102315786B1 (ko) 2020-04-24 2020-04-24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37A KR102315786B1 (ko) 2020-04-24 2020-04-24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786B1 true KR102315786B1 (ko) 2021-10-21

Family

ID=7826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37A KR102315786B1 (ko) 2020-04-24 2020-04-24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96A (ko)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398A (ko) * 2005-09-27 2007-03-30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의 핸드폰을 이용한주차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31182B1 (ko) 2006-02-27 2007-06-22 주식회사 엔텍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90017733A (ko) *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398A (ko) * 2005-09-27 2007-03-30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장의 핸드폰을 이용한주차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31182B1 (ko) 2006-02-27 2007-06-22 주식회사 엔텍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90017733A (ko) *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30105098A (ko) * 2012-03-16 2013-09-25 이정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96A (ko)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전면 차량번호판 미장착 차량의 출입 통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5707B1 (en) Parking objects detection system
US10803423B2 (en) System for managing parking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US2018021118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free fare validation and gateless transit
JP6772187B2 (ja) 出入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205847A1 (en)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parking prevention system having same
KR20180102284A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102315786B1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AU20232039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free fare validation and gateless transit
KR20170077455A (ko) 주차공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9090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ckage delivery
JP6324578B1 (ja) 出庫支援システム
KR20160043563A (ko)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1146B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40079801A (ko) 주차장의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60126261A (ko) 모바일인식코드를 이용한 주차시스템
KR102284545B1 (ko) 씨씨티비 및 IoT를 이용한 입출입 관리 시스템 구동 방법
KR20200006479A (ko) 차량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TWI621102B (zh) 停車場通行管制系統及其方法
KR101697899B1 (ko) 비콘을 활용한 주차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6311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KR20190061548A (ko) 자동 화물 반출입 시스템의 4열 벨트 구조 리프터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