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563A -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563A
KR20160043563A KR1020140137408A KR20140137408A KR20160043563A KR 20160043563 A KR20160043563 A KR 20160043563A KR 1020140137408 A KR1020140137408 A KR 1020140137408A KR 20140137408 A KR20140137408 A KR 20140137408A KR 20160043563 A KR20160043563 A KR 20160043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designated
targeted
zone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532B1 (ko
Inventor
김호중
Original Assignee
김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중 filed Critical 김호중
Priority to KR102014013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특정인에게 배정된 지정주차구획을 그룹으로 묶어 공동으로 관리하고,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가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이를 타인에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anaging of parking slots}
본 발명은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정인에게 배정된 지정주차구획을 그룹으로 묶어 공동으로 관리하고,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가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이를 타인에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정주차구획이란 영구적으로 또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인에게 배정된 주차구획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정주차구획에는 이를 배정받은 특정인만이 해당 주차구획에 주차를 할 수 있으며, 타인이 지정주차구획에 주차를 하는 경우 불법주차가 된다. 일부의 주차장은 해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는 건물이나 지역 내에서 근무하는 자를 위해 주차장 내의 일부 주차구획을 지정주차구획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지정주차구획의 다른 일 예로 최근 대도시의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거주자 우선주차제에 따른 거주자 우선 주차구획을 들 수 있는데, 거주자 우선주차제는 골목길 또는 이면도로 등의 노상주차공간에 특정 주차구획을 지정하고, 인근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차주에게 일정기간 동안 우선적으로 주차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거주자 우선주차구획 등 지정주차구획의 경우,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다른 차량이 무단주차 하는 경우가 자주 문제가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RFID나 촬상기를 이용하여 불법주차를 방지하는 등록특허 제10-0686550호이나 공개특허 제10-2008-0028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거주자 우선주차제와 같은 지정주차제도의 경우에는 혼잡한 주차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므로 무조건 지정주차구획에 배정된 차량 이외의 차량의 주차를 금지하는 것보다는 배정된 차량이 주차하고 있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해당 지정주차구획을 타인과 공유하는 것이 더욱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공개특허 제10-2006-0035515호, 공개특허 제10-2014-0073138호, 공개특허 특2003-0078121 등에서는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방문자가 해당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로부터 주차 허가를 받아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안에서는 방문자가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할 때마다 일일이 배정자에게 허가를 받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는 수시로 주차요청을 받고 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정한 지역(예를 들면 주차구역) 내에 여러 개의 지정주차구획이 있는 경우, 방문자는 어떠한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가 주차를 허가할지 알 수 없으므로 여러 개의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에게 일일이 주차요청을 시도해보아야 하는 불편함도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지정주차구획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공동으로 관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지정주차구획을 타인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방문자가 특정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지정주차구획이 속해 있는 그룹 내의 다른 지정주차구획의 공유 설정을 함께 고려하여 해당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방문자의 주차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 이외의 공유자 중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중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을 더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중 어느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여기서, k는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한 방문자 차량의 수임-.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신규 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만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설치된 주차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지자기 센서, I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은,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감지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및 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금을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거나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한 신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은, 복수의 거주자 우선 주차구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으로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 이외의 공유자 중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공유자 중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판단단계는,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중 어느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k는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한 방문자 차량의 수임.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신규 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만료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설치된 주차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감지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및 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거나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한 신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주차구획에 배정자의 차량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차량도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공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방문자가 특정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지정주차구획이 속해 있는 그룹 내의 다른 지정주차구획의 공유 설정을 함께 고려하여 해당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방문자의 주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유동적으로 지정주차구획을 방문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동작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공유여부 또는 타인주차허용기간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방문자의 주차 허용여부 및 주차가능기간을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동작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예를 들어, 11, 12, 13 및 14)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공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은 특정인(배정자)에게 미리 배정되어 있는 주차구획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는 거주자우선 주차제에 의한 거주자 우선 주차구획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에 그에 상응하는 배정자가 아닌 타인이 주차를 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불법주차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항상 그에 상응하는 배정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배정자의 차량이 주차하지 않는 일정 기간 동안에는 타인의 차량이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는 해당 지정주차구획에 차량이 주차했는지 또는 해당 지정주차구획에서 출차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감지센서(21, 22, 23 및 24)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는 소정의 관리장치(300)를 통해 감지한 정보를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300)는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의 인근에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리장치(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관리장치(300)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또는 출력장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예시에서는 상기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는 상기 관리장치(300)를 통하여 감지한 주차/출차 정보를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관리장치(30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는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직접 감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방문자는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상기 방문자의 차량(210)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문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 또는 상기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주차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이에 대한 허용 여부 및/또는 주차가능 시간을 판단하고 이를 방문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방문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타인주차허용기간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12)이 속해 있는 그룹 내의 다른 지정주차구획(즉, 11 내지 14)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을 고려하여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 및/또는 주차가능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판단한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 및/또는 주차가능 시간을 상기 방문자의 사용자 단말(200) 또는 상기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의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 랩탑, 데스크탑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특히, 휴대전화, 위성전화, 무선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저장모듈(110), 수신모듈(120), 제어모듈(130), 감지모듈(140), 산출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모듈(110), 수신모듈(120), 제어모듈(130), 감지모듈(140) 및/또는 산출모듈(15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저장모듈(110), 수신모듈(120), 제어모듈(130), 감지모듈(140) 및/또는 산출모듈(150) 등 각각의 개별 모듈을 구성하는 세부요소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세부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개별 모듈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저장모듈(110), 수신모듈(120), 감지모듈(140) 및/또는 산출모듈(15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1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을 배정받은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는 자신의 차량을 주차하지 않을 일정 기간 동안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배정자(이하, '공유자'라고 함)는 타인의 주차를 허용하는 기간(타인주차허용기간)을 미리 지정하여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는 웹이나 앱을 통하여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타인주차허용기간을 입력하거나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타인주차허용기간을 통보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모듈(110)은 공유자에 의해 지정된 타인주차허용기간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 공유자가 입력한 기간과 상기 저장모듈(110)에 설정/저장되는 타인주차허용기간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가 09:00 ~ 17:00를 지정한 경우, 상기 저장모듈(110)에는 상기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허용기간이 09:30 ~ 16:30으로 설정/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저장모듈(110)에 저장되어 있는 공유 현황(즉, 상기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의 배정자에 의해 설정된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공유여부 또는 타인주차허용기간)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주차구획1(11)에는 09:00 ~ 19:00이 타인주차허용기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지정주차구획2(12)에는 10:00 ~ 20:00이 타인주차허용기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지정주차구획4(14)에는 10:00 ~ 22:00이 타인주차허용기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의 모든 배정자가 반드시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타인과 공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는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방문자와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가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지정주차구획3(13)에 반드시 타인의 차량이 주차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가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함은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지정주차구획이 자신의 지정주차구획을 공유하지 않은 배정자를 위해 반드시 비워져 있어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방문자는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상기 방문자의 차량(210)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문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 또는 상기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주차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모듈(120)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12)에 대한 주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요청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12)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구획번호), 상기 방문자의 차량(210)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14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는 해당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할 수 있는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가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감지모듈(14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는 초음파 센서, 지자기 센서, I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는 차량번호 등 차량의 고유식별정보를 탐지할 수는 없으나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자신에게 배정된 지정주차구획을 방문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 중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30)은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공유 현황만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과 그룹으로 묶인 지정주차구획 중 적어도 일부의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자신에게 배정된 지정주차구획을 방문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공유자가 지정한 타인주차 허용기간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과 그룹으로 묶인 모든 지정주차구획의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공유자 중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시점이라고 함은 상기 신규 방문자가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를 한 것을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설치된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 또는 상기 감지모듈(140)이 감지한 시점일 수 있다. 한편 주차요청시점이라고 함은 상기 신규 방문자로부터 전송된 주차요청을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이 수신한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 이전에,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주차를 요청하고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방문자의 수를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중 어느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한 방문자 차량의 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모듈(130)이 주차 허용여부 및 주차가능기간을 판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의 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의 공유 상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방문자는 14:00에 자신의 차량(310)을 비어 있는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2(12)에 주차하기 위하여,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주차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주차구획1(11)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09:00~20:00이며, 지정주차구획2(12)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19:00이며, 지정주차구획4(14)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22:00이다. 따라서, 제1방문자의 주차시점인 14:00은 3명의 공유자(즉, 지정주차구획1, 지정주차구획2 및 지정주차구획4의 배정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허용기간 이내에 위치하는 시점이다. 즉 도 4의 예시에서, 제1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 N1는 3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 내지 4(11 내지 14)는 아무런 차량도 주차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 N2는 0이다.
이와 같이, 도 4의 경우, N1이 N2보다 크므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2(12)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방문자가 자신의 차량(310)을 주차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기 주차되어 있는 방문자의 차량 수 k는 0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제1방문자의 주차 시점인 14:00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즉, 지정주차구획1, 지정주차구획2, 지정주차구획4의 배정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즉, 09:00~20:00, 10:00~19:00, 10:00~22:00)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즉, 지정주차구획4의 타인주차 허용기간 의 만료시점인 22:00)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이 제1방문자의 차량(310)에 대한 주차가 허용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저장모듈(110)은 상기 제1방문자의 차량의 고유식별번호, 주차시간, 주차한 지정주차구획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는 상기 저장모듈(110)은 상기 제1방문자의 차량(310)이 지정주차구획2에 14:00부터 주차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0)은 판단한 주차허용여부 및/또는 주차가능기간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130)은 제1방문자의 단말 또는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판단한 주차허용여부 및/또는 주차가능기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방문자의 차량(310)이 지정주차구획2(12)에 주차한 이후 15:00에 제2방문자가 자신의 차량(320)을 비어 있는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13 및 14)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3(13)에 주차하고자 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2방문자는 대상 지정주차구획3(13)에 대한 주차요청을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주차구획1(11)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09:00~20:00이며, 지정주차구획2(12)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19:00이며, 지정주차구획4(14)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22:00이다. 따라서, 제2방문자의 주차시점인 15:00은 3명의 공유자(즉, 지정주차구획1, 지정주차구획2 및 지정주차구획4의 배정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허용기간 이내에 위치하는 시점이다. 즉 도 5의 예시에서, 제1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 N1는 3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 내지 4(11 내지 14) 중 지정주차구획2에 제1방문자의 차량(310)이 기 주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기 주차된 차량수 N2는 1이다. 이와 같이, 도 5의 경우, N1이 N2보다 크므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3(12)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방문자가 자신의 차량(320)을 주차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기 주차되어 있는 방문자의 차량 수 k는 1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제1방문자의 주차 시점인 15:00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즉, 지정주차구획1, 지정주차구획2, 지정주차구획4의 배정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즉, 09:00~20:00, 10:00~19:00, 10:00~22:00)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2)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즉, 지정주차구획1의 타인주차 허용기간 의 만료시점인 20:00)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모듈(110)은 상기 제2방문자의 차량(320)이 지정주차구획3에 15:00부터 주차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대상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는 자신의 지정주차구획3(13)을 공유한 바가 없지만 상기 제어모듈(130)은 지정주차구획3(13)에 방문자의 주차를 허용할 수 있다. 만약 이후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가 귀가하여 자신의 차량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는 방문자2의 차량(320)이 주차하고 있는 지정주차구획3(13) 대신 비어있는 나머지 지정주차구획(즉, 지정주차구획 1 또는 지정주차구획 4) 중 어느 하나에 주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0에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가 귀가한 경우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는 자신의 차량(430)을 비어있는 지정주차구획1에 주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지정주차구획3(13)의 배정자가 지정주차구획1(11)에 주차한 이후 19:30에 제3방문자가 자신의 차량(330)을 비어 있는 지정주차구획4(14) 에 주차하고자 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3방문자는 대상 지정주차구획4(14)에 대한 주차요청을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주차구획1(11)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09:00~20:00이며, 지정주차구획2(12)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19:00이며, 지정주차구획4(14)의 타인주차허용기간은 10:00~22:00이다. 따라서, 제3방문자의 주차시점인 19:30은 2명의 공유자(즉, 지정주차구획1 및 지정주차구획4의 배정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허용기간 이내에 위치하는 시점이다. 즉 도 7의 예시에서, 제3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 N1는 2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 내지 4(11 내지 14) 중 지정주차구획2 및 지정주차구획3에 제1방문자의 차량(310) 및 제2방문자의 차량(320)이 기 주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 N2는 2이다. 이와 같이, 도 7의 경우, N1이 N2보다 크지 않으므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4(12)에 대한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대한 불법주차를 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모듈(140)에 의해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거나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한 신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제3방문자의 차량(330)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3방문자가 자신의 차량(330)을 지정주차구획4(14)에 주차를 하였거나 지정주차구획4(14)에 주차한 자신의 차량(330)을 출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감지모듈(140)을 통해 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미리 지정된 담당자(예를 들면, 주차관리원 등)의 단말로 이를 출력함으로써 담당자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불법주차된 차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방문자의 주차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주차감지센서(21 내지 24)를 통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이는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배정자의 차량의 주차일 수도 있지만 불법 주차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이러한 상황을 탐지할 수 있다. 즉,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방문자의 차량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주차이므로 미리 지정된 담당자(예를 들면, 주차관리원 등)의 단말로 차량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30)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주차된 방문자에 주차허용기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 만료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방문자가 자신의 차량을 출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0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30)은 지정주차구획3에 자신의 차량(320)을 주차한 제2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 만료 경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22:00이 경과한 경우 지정주차구획2에 자신의 차량(310)을 주차한 제1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 만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출모듈(150)은 상기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주차한 방문자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150)은 방문자 차량의 출차시간과 주차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주차기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주차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모듈(140)은 각각의 지정주차구획(11 내지 14)에 대한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산출모듈(150)은 상기 감지모듈(140)에 의해 감지된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및 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150)에 의해 산출된 주차요금은 해당 지정주차구획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방문자의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출력될 수 있으며, 방문자는 자신의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정산장치를 통해 주차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8)

  1.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 이외의 공유자 중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중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을 더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중 어느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여기서, k는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한 방문자 차량의 수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신규 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만료 경보를 출력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설치된 주차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감지 센서는,
    초음파 센서, 지자기 센서, I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은,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감지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및 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금을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거나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한 신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은,
    복수의 거주자 우선 주차구획인 것을 특징을 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4.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15.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으로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의 배정자 이외의 공유자 중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공유자 중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의 수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방문자의 차량수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단계는,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중 어느 한 명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는,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시점 또는 주차 요청 시점이 해당 공유자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이내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중 해당 기간의 만료시점이 k+1번째로 늦게 도래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의 만료시점까지를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가능 기간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여기서, k는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한 방문자 차량의 수임.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신규 방문자의 단말로 주차기간만료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설치된 주차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에 대한 차량의 주차 및 출차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감지된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및 출차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상기 신규 방문자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거나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한 신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규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신규 차량의 주차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불법주차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6. 복수의 지정주차구획을 공동 관리하기 위한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각각을 배정받은 복수의 배정자 중 적어도 일부인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복수의 지정주차구획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주차하고자 하는 신규 방문자의 주차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입력된 상기 주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공유자 각각에 상응하는 타인주차 허용기간 및 상기 주차구역 내에 기 주차된 차량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지정주차구획에 대한 주차 허용 기간을 판단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방법.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8.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이,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KR1020140137408A 2014-10-13 2014-10-13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08A KR101729532B1 (ko) 2014-10-13 2014-10-13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08A KR101729532B1 (ko) 2014-10-13 2014-10-13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63A true KR20160043563A (ko) 2016-04-22
KR101729532B1 KR101729532B1 (ko) 2017-04-24

Family

ID=5591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408A KR101729532B1 (ko) 2014-10-13 2014-10-13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186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지정주차 공간을 활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주차 관리 방법
KR20210108857A (ko) * 2020-02-26 2021-09-03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량 공유 충전장치 및 그 방법
CN113888000A (zh) * 2021-10-18 2022-01-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共享单车的调度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306B1 (ko) 2020-09-21 2022-12-14 (주)대웅아이피에스 공동 주차장의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03B1 (ko) *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186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지정주차 공간을 활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주차 관리 방법
KR20210108857A (ko) * 2020-02-26 2021-09-03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량 공유 충전장치 및 그 방법
CN113888000A (zh) * 2021-10-18 2022-01-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共享单车的调度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532B1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4560B2 (en) Managing parking space availability
US202101766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RU2672515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используя портативны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US8933776B2 (en) Relative positioning applications in wireless devices
US9275547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US20160042575A1 (en) Automated facility access and payment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29532B1 (ko) 지정주차구획 공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WI743434B (zh) 用於收取通行費的電腦實施的方法、電子設備
JP6615380B2 (ja) 自動駐車制御装置および自動駐車制御方法
KR101268903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US201403721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reservation and finding parking space suitable for user's vehicle size
KR101268904B1 (ko)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20170115073A (ko)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15668A1 (zh) 一种车位确认、导航的方法装置和系统
JP6386906B2 (ja) 定期車両判別システム、定期車両判別方法、プログラム
KR101576530B1 (ko) 주차위치 기록방법 및 시스템
KR101714753B1 (ko) 주차장 무인 관리 시스템
KR20200010833A (ko) 공유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1691400B1 (ko) 주차 센서,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64395B1 (ko) 주차 구역 안내 장치 및 방법
EP3635694A1 (en) Location-based behavioral monitoring
KR20210150689A (ko) 주차장 및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ravinthkumar et al.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in shopping malls
KR2016007315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장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315786B1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